석박사 공통필수과목

통합디자인특강1.2 (Topics in Integrated Design I, II)

디자인 사고를 통한 디자인 혁신사례와 다학제적 관점에서의 통합디자인의 경향과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디자인 융ㆍ복합 분야의 선도적인 전문가 및 디자이너들을 초빙하여 전문분야에 대한 특강 및 워크샵, 토론의 기회를 가지며, 개인별 연구주제 발표를 함께 수행한다.

디자인연구윤리(Design Research Ethics)

디자인학과 특성에 맞는 저작권, 이미지 활용, 출처, 논문 작성 등에 필요한 윤리교육 강화, 교수 및 연구원 학생들이 연구수행과정에서 준수해야 할 연구윤리지침을 포함한 윤리기준 마련, 연구를 위해 재정지원을 일부 또는 전부 지원받았을 때 이를 적절하게 밝혀야 하고, 재원을 투명하게 관리하여야 하는 의무 전달 등에 대해서 학습한다.

전공 선택과목(박사과정)

디자인심화연구1.2 (Advanced Design ResearchI, II)

디자인연구의 전문과정으로서 자신의 연구를 완성하는 박사과정에서의 논문저술 단계에 필요한 여러 부분들을 검토하고 점검해보는 수업이다. 수강생들은 서로의 연구계획과 주제에 관한 상호 비평과 제안을 통해 디자인 연구자로서 연구문제와 연구진행 과정에 관한 보다 논리적 조직적 사고와 정확한 의사소통의 기술을 훈련 한다.

일차적으로 자료수집과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연구주제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높이고, 기존의 원리나 법칙, 이론을 종합하고 체계화 해본다. 나아가 자신의 연구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초가 되는 이론과 전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의식의 제기와 함께 연구주제로의 귀결로 이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의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든든히 세워서 추후 자신의 독창적 연구 방법의 설계로 이어질 수 있는 기초를 닦는 데에 이 수업의 목표를 둔다.

석박사 공통선택 개별 Lab심화

프로페셔널 프로젝트(Professional Project I, II)

석, 박사과정을 위한 담당지도교수의 개별 스튜디오로 운영된다. 프로페셔널 프로젝트 과목은 담당교수의 연구분야를 중심으로 다학제적 관점에서 새로운 디자인 문제 해결방안을 학습하며, 구체적인 디자인 결과물을 산출하는 스튜디오 교과목이다.

리서치 프로젝트(Research Project I, II)

석, 박사과정을 위한 담당지도교수의 개별 스튜디오로 운영된다. 담당교수의 연구자세와 그 내용을 깊이 있게 접할 수 있으며 지도교수의 연구분야를 중심으로 개별 학생의 논문진행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수집의 방법, 수집된 정보의 분석, 처리능력을 학습하며 논리적이고 창의적인 연구진행 방법을 배운다.

석박사 공통선택 전공심화

산업디자인프로세스기획(Industrial Design Process Planning)

산업디자인 실무 프로세스 기획을 연구하는 수업으로 특정 상황 또는 조직 환경에서 이해 관계자들의 협업 방안을 통하여Co-Creation디자인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다양한 디자인의 방법론과 효율성 및 효과성 중심의 프로세스를 탐구하고 학습한다.

시스템디자인연구(Research on System Design)

디자인의 사회적, 문화적, 시대적 현상을 바탕으로 산업디자인이 인간과 사회에 미치는 상호적 영향을 연구한다. 이를 통하여 산업디자인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분석 및 비평을 진행한다. 인간을 위한 순환적인 디자인 개념과 디자인 사고력을 함양한다.

제품경험디자인( Product Experience Design)

제품경험디자인의 개념과 사용자 인지적측면의 정성적 디자인방법론 및 감성공학적 측면의 계량적 디자인 접근방법론을 학습한다. 이를 통하여 제품과 서비스디자인에 있어서인간의 감성적 가치를 기반으로 창의성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산업디자인실증사례연구(Research on Practical Design Case)

산업디자인 실무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디자인 상품화 단계에서 발생되는 의사결정방법, 개발성 및 상품화 검증 등의 디자인 결정요인 분석을 통하여 전문적인 디자인 방법론을 연구한다.

아이덴티티디자인(Identity Design)

기업의 경영철학과 제품의 브랜드화를 통하여 경영전략으로 발전시켜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가치와 감성가치를 이미지화하여 사회적 존재의의를 확립시키기 위한 연구와 프로젝트를 실행한다. 소비자의 미적, 정신적,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브랜드를 통한 기업과 제품의 존립기반을 확립한다.

광고커뮤니케이션디자인(Advertising Communication Design)

급변하는 광고환경과 정보사회의 변화추세에 맞춰 고도의 판매촉진을 위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설득기술을 필요로 한다. 정보 문화의 선두주자로서 식견과 전문지식을 갖춘 유능한 광고 인력 배출을 목표로 한다. 과학적인 광고이론 교육과 인쇄매체 및 방송매체의 실무제작 교육을 통하여 창의적인 광고 디자이너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갖춘다.

고급타이포그라피(Advanced Typography)

현대의 타이포그래피 영역은 매우 방대하며, 디자인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이는 정보가 디지털화되면서 웹페이지, 휴대전화 화면, 비디오 게임 등 넓고 방대하게 펼쳐지게 되었다. 이렇게 다양한 미디어와 함께 한글과 영문, 한자문화권의 중국과 일본의 문자를 단독 혹은 병행하여 이용하는 환경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인쇄물의 디자인뿐만아니라 디지털 화면의 디자인에서 타이포그래피의 가독성, 판독성, 장식성 등의 기본부터 다양한 언어환경을 연구하여 글로벌 디자이너로서의 역량을 키운다.

정보디자인(Information Design)

정보를 구성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디자인 기술로 복잡하거나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그 뜻을 명확하고 분명하게 보이게 한다. 정보의 시각화를 위해서는 조직화된 정보 내용을 사용자가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지구조에 일치시키는 시각적 구조를 만들고, 여기에 조형요소들을 적용시켜 사용자가 접하는 시각적 형태를 완성한다.

영상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for Moving Images)

다양한 영상작품의 스타일 분석과 이를 통한 영상이미지의 시각적 표현기법을 연구한다. 특히 영상제작실습을 통해 화면 사이즈의 변화와 구도, 프레임 안에서 나타나는 인물 동선과 카메라 움직임에 의한 영상적 리듬의 표현요소에 대해 체험한다.

인터랙션디자인(Interaction Design)

디지털과 인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문학, 자연과학, 공학 등 다양한 학문분양와의 연관성을 고찰하고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에 대해 연구한다. 인터랙티브 미디어디자인에 대한 기술적 지식과 디자인적 감성, 인터랙션 관련 연구 등을 바탕으로 다양하고 창의적인 인터랙티브 미디어콘텐츠를 기획, 제작하는 제반 과정을 심도 있게 연구한다.

UX디자인(UX Design)

본 과목에서는 사용자 경험 이론을 바탕으로 사용자와 컨텍스트를 연구하여 사용자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제품을 디자인한다. 수업에서는 사용자 경험에 대한 제반 이론을 학습하고, 정보구조와 정보표현 및 사용자 경험을 디자인하고, 그 결과를 다양한 인터페이스 환경에 적용하는 프로젝트 진행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풍부하게 하는 창의적인 인터페이스와 제품의 디자인 능력을 함양한다.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s)

영상의 시각적인 요소들, 모션 그리고 사운드 간의 상호 관계를 이해하고 이러한 요소들로부터 의미를 창출하고 전달하는 모션그래픽 표현 방식을 연구한다. 아이디어 개발하기, 시각화하기 그리고 모션 디자인하기 등의 제작 과정은 모션그래픽 제작 프로젝트 수행을 통하여 학습한다. 이러한 연구 및 학습을 통하여 영상 표현 방식의 범위를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

공간프로그래밍론(Theory of Space Programming)

설계 디자인에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의 수집, 분석, 및 해석 능력을 기르며 이를 조직화 및 체계화시키는 공간계획의 기초단계인 프로그래밍 과정에 대하여 학습하며 공간 디자인의 체계적이며 창의적인 과정들을 연구하도록 한다.

공간디자이너연구(Research on space designer)

근대이후의 공간 디자이너들의 다양한 작품을 분석하여 각 시대의 특성과 각각의 디자이너의 디자인방법과의 관계를 이해하여 시대적 패러다임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디자이너와 작품의 방법론을 실증적으로 분석, 정리하며, 각 디자이너의 디자인 개념과 프로젝트의 프로세스 특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도록 한다.

도시재생디자인 연구(Research on urban regeneration design)

도시에 대한 기본이론을 바탕으로 도시의 상황 분석과 재해석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 계획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도시 현황에 따른 분석과 변형, 도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디자인 이슈를 주제화한 공공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도시 재생의 바탕이 되는 연구를 제시하도록 한다.

디지털공간연구(Research on Digital Space)

비물질화, 중첩성, 부유성, 투명성 등의 특성을 지닌 디지털화된 공간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전자 미디어 시스템에 관해 학습함으로서 공간과 피막이라고 하는 신개념의 미디어 공간 디자인을 제안하도록 한다.

공간과 색채(Color theory in space)

색채와 빛에 대한 기본요소 및 원리에 대한 이해와 연구를 바탕으로 다차원적인 인간의 주변 환경에 색채를 응용할 수 있는 색채감성을 배양시킨다. 색채의 물리적, 생체적, 심리적, 심미적, 그리고 기능적인 다양한 측면에 대하여 알아보고, 색이 적용되는2차원 평면으로부터3차원 공간과4차원 시간성에 따른 색의 활용법을 모색한다.

패션스튜디오1 (Fashion Studio I)

패션 감각과 조형 능력을 토대로 패션 분야의 커뮤니케이션을 다양한 방법으로 전개하여 패션 산업에 고부가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패션스튜디오2 (Fashion Studio II)

패션 감각과 조형 능력을 토대로 패션 분야의 커뮤니케이션을 다양한 방법으로 전개하여 패션 산업에 고부가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비교복식연구(Comparison Research about Costume)

패션의 글로벌화가 진행되었으나 패션의 지역적 특성은 여전히 있으며 새롭고 이색적 트랜드의 소재는 민속적, 로컬적 소재가 더 중요하다. 각 지역패션의 색, 형태, 소재 특징을 분석하고 비교한다.

지속가능패션연구(Sustainable Fashion Research)

지속가능패션의 개념 및 다양한 사례를 글로벌 패션트렌드와 연관하여 분석하고, 고급 패션 창작 기술을 통해 관련 개념을 트렌드를 반영한 창의적 디자인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패션사회심리연구(Psychological Research of Fashion)

“The Second Skin"의 역할인 패션의 사회 심리적 측면에 대한 연구. 자의든 타의든 자아확장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패션을 연구하며 특히 사회적 지위 역할의 변화와 패션의 변화를 연구하여 인간행동이론을 패션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패션 디자인&아트(Fashion Design&Art)

패션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 구성 원리를 연구하고 창의적 예술성을 기반으로 패션에 확장된 예술을 다양하게 시도하여 패션분야의 총체적 지휘를 할 수 있는 패션 아트 디렉터의 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패션모델리즘(Fashion Modelism)

다양한 패션 조형의 형태 및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구 주제에 따른 패턴설계 및 입체구성을 자유롭게 전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개인별 창의적인 실루엣 표현 및3차원 디지털 패션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을 향상시킨다.

패션텍스타일디자인연구(Research on Fashion Textile Design)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소재연구를 위한 수업이다. 섬유소재의 회화적 평면성과 다양한 소재 특징과 텍스츄어의 구성을 기술적, 심미적으로 표현하고자 연구를 진행한다. Project를 중심으로 실습을 겸하므로 텍스타일디자인의 자기 영감 도출, 모티브디자인 전개, 실물제작(의상, 액세서리 등)을 위한 적용단계 모색 등의 기획 능력을 골고루 함양하는 과정이다.

석박사 공통선택 특성화(국제화, 지역성)

융합디자인(Interdisciplinary Design)

디자인과 관련된 타 학문분야의 접목과 연구를 통해 학문적, 산업적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미래 디자인의 솔루션을 탐구하도록 한다. 다양한 디자인 연관 학문들을 탐색하고, 각 분야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융합하여, 디자인 혁신의 새로운 방향성을 추구할 뿐 아니라 디자인의 새로운 가치 창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서비스디자인(Service Design)

고객이 서비스를 통해 경험하게 되는 모든 유ㆍ무형의 요소(사람, 사물, 행동, 감성, 공간, 커뮤니케이션, 도식 등)및 모든 경로(프로세스, 시스템, 인터랙션, 감성로드맵 등)에 대해 고객 중심의 맥락적인(Contextual)리서치 방법을 활용하여 이해관계자간에 잠재된 요구를 포착하고 이것을 창의적이고 다학제적ㆍ협력적인 디자인 방법을 통해 실체화함으로써 고객 및 서비스 제공자에게 효과ㆍ효율적이며 매력적인 서비스 경험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익힌다.

엔터테인먼트디자인(Entertainment Design)

무형의 아이디어 이미지를 형상화된 시각적 이미지로 전환하여 제시하는 엔터테인먼트디자이너의 디자인적 역할과 표현기법에 대해 연구한다. 영상 언어에서 출발하여 동적 이미지를 시간의 공간화를 통해 사전시각화 하는 프로덕션디자인, 그리고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모든 시각적 요소를 통제 후 배열하는 비주얼디렉터의 역할 분석과 기법연구를 단계적으로 진행한다.

유니버셜디자인(Universal Design)

사용자들이 성별, 연령, 국적, 문화적 배경, 장애의 유무에도 관계없이 보다 편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을 연구하는 것이다. 시각, 제품, 건축, 환경, 서비스 등 다양한 디자인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 “배리어 프리 디자인(Barrier-Free Design)”의 원리를 탐구하도록 한다.

미디어프로그래밍(Media Programming)

디지털미디어 디자이너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이다. 프로그래밍에 대한 사전경험이 없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이에 적합하게 설계된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지고 기초에서부터 실제 프로젝트에도 사용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으로 학습한다. 디지털 미디어 디자이너로서 갖추어야 할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와 지식을 갖추기 위한 수업이다.

국제종합프로젝트(International Design Project)

한국, 중국, 일본3개국의 디자인 대학원이 합동으로 전개하는 국제교류 학습이다. 3개국의 전통문화를 현대의 문화적 감각과 일상에서의 디자인으로 재구성하는 방안뿐만 아니라 현대 각 국의 사회적 트렌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3개국이 함께 상생하는 디자인을 공유한다. 공통의 주제에 대한 문헌조사와 현장학습을 연계하여 각 국가뿐만 아니라 소규모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과 그 활용에 대한 결과물의 발표회를 가진다.

세계디자인 이슈(Contemporary Design Issues)

세계적인 디자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영미권 디자인 학술지의 논문과 온 오프 신문, 잡지 매체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주요 디자인 텍스트를 원서로 강독하는 세미나 방식의 수업이다. 그 해의 가장 이슈가 되는 테마를 정해서, 논문과 기사의 직접적인 검색과 수집, 강독과 비판, 분석, 토론의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자인에서의 여러 관점에 대해 이해하고, 국제적 안목과 함께 디자인 담론에 대한 지식을 함양한다.

소셜디자인(Social Design)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 능력 자체보다는 어떤 사회문제를 발견하는가에 중점을 둔다. 단순히 해결방법 제시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문제라고 느끼지 못한 사회 전반의 문제점을 인식하는 단계에서부터 시작한다. 좁게는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한 디자인 연구 기반에서 넓게는 세계의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 연구를 진행한다. 현대 디자인의 화두인 공공성, 환경친화성,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지역사회가 품고 있는 복잡한 과제를 해결하는 디자인을 연구한다.

동아시아디자인연구(East Asian Design Research)

그동안 서구사회 중심의 발전과정에서 드러나는 모순점들을 동양적 사고와 시각으로 수정 보완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지구상의 다양한 문제의 극복과 새로운 변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세계 각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움직임 속에, 동아시아 문화의 내재적 속성과 그 정체성은21세기 문화의 시대 패러다임 및 세계관을 리드하게 될 것이다.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의 가치와 문화전통과 삶의 방식, 특성을 연구하여 국가적 상징 브랜드와 한류 콘텐츠를 디자인하는 기반을 구축한다.

디자인인류학과 한국문화(Design Anthropology & Korean Culture)

본 수업에서는 디자인은 예술이 아니라 물질문화의 연장선이라는 관점에서 디자인 과정 전반에 사회문화적 요소들을 융합시키는 방식으로서 ‘디자인 인류학’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디자인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한다. 특히 인류학적 접근을 통한 한국디자인문화의 해석을 시도해본다.

디자인정책(Design Policy)

디자인 정책의 개념 및 내용, 우리나라와 주요 국가의 디자인 정책 현황 및 역사, 디자인 진흥을 위한 정부, 진흥기관, 민간의 역할 등에 강의, 토론, 실습 중심으로 진행 이를 통해 디자인 정책의 중요성과 진흥기관의 이해를 높이고, 현업에서의 정책 참여 및 활용 방법 등을 전파

석박사 공통선택 기반이론 및 융복합연구

소통심리학(Communication Psychology)

소통으로써 디자인의 중요성을 제고하며, 사용자와 디자인 창출물 간의 소통뿐 만 아니라, 디자인과정 중 디자이너와 협력자 간의 이해 증진을 위하여 요구되는 소통의 방법론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학습한다. 이는 개념적 소통과 시각적 소통의 특성을 지니는 디자인에 있어서 다학제간 융⦁복합 가능성 확장을 목적으로 한다.

기호학(Semiotics)

본 과목에서는 이미지 소통에서 이미지와 의미의 유기적 관계에 대하여 기호학적인 접근을 통해, 보다 본질적이고 구조적으로 접근하여, 기호생산자에서 그 대상에 이르기까지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가능성을 연구한다. 수업에서는 기호학의 다양한 제반 이론들을 학습하고, 디자인 이미지를 기호로 파악하여 이미지들이 생산하는 의미에 대한 기호학적으로 분석을 시도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현대디자인사(History of Contemporary Design)

본 강의에서는 현대 디자인의 변천을 산업, 경제, 과학, 기술, 문화적 배경 등과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탐구하고, 디자인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이해한다. 나아가 현대 디자인 쟁점에 관한 심화된 지식을 습득하고, 미래에 기술의 발전과 사회 구조의 변화에 따라 디자인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 적용될 것인가를 토의한다. 그리하여 디자인의 과거, 현재와 미래를 통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디자인에 대한 비판과 통찰력, 그리고 미래 디자인에 대한 학생 스스로의 디자인적 전망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자인과 색채(Theory of Cultural color)

각 디자인 분야 및 인공 환경에서 역사와 역사권 마다 다양하면서도 특징적으로 드러나는 색채의 경향에 대한 조사 및 연구를 수행 한다. 이를 통하여 각 문화권의 색채 특성을 이해한 후 한국적 색채의 개발 및 발전, 미래 색채 문화의 예견을 목적으로 한다.

디자인 마케팅(Design Marketing)

경제활동으로써의 사회현상과 수요자와 공급자의 상호적 이해를 바탕으로 디자인 전략을 탐색하기 위한 수업이다. 이에 디자인과 마케팅의 협력적 사례 연구와 마케팅 이론 및 소비자 심리 측면에서 디자인 역할과 가치를 고찰한다.

디자인리서치(Design Research)

본 과목은 디자인 연구에 있어서 경험적ㆍ실증적 방법론을 통해 디자인의 수요 및 사용자 경험에 대한 조사 및 연구를 진행하는 수업이다. 수업에서는 자료수집방법과 자료분석방법으로 구성되며, 자료분석방법은 디자인을 연구하는데 꼭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초중급 통계기법 즉 기술통계와 교차분석, t검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회귀분석방법을 학습하고, 논문작성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디자인연구방법론(Doing Research in Desig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디자인학에서의 글쓰기 능력을 배양하고 자신의 해석과 주장을 담은 독창적인 사고를 발전시켜서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 등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수업이다. 디자인 연구의 지식 체계와 연구 대상의 범위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디자인 연구 영역의 범주에서, 자신의 연구의 위치를 파악하고 연구의 방향을 구상하도록 돕는다. 특히 디자인 연구에서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방법인 질적 방법론의 사례와 적용을 학습하고, 논문작성법 및 연구계획서 등의 실제적인 논문

창직과 퍼스널 브랜딩(Job Creation and Personal Branding)

창조적 아이디어와 활동을 통해 개인의 지식, 기술, 능력 뿐만 아니라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개인의 장점을 홍보/마케팅의 관점에서 브랜딩할 수 있도록 소개

디자인이노베이션과 리더십(designinnovation and leadership)

본 과목은 새로운 전쟁과 새로운 비즈니스 인 디자인시대에 디자이너로써의 창의력과 독착성을 모색하고 연구하고,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을 기초로 한 디자인 경영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

영상디자인(Image Design)

시간과 공간 예술인 영상은 분절된 쇼트들의 연결로서 관객의 정서적 반으을 끌어낸다. 연결된 쇼트들은 시간 이미지로서 관객과 소통한다. 영상 언어의 내포된 표현 기법들의 이론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영상작품제작에 적용함으로서 쇼트 장면화의 비언어적 표현 기법을 연구한다.

소셜이노베이션서비스디자인Ⅰ,∐(Social Innovation Service Design I,∐)

이 수업의 목표는 good을 위해 행동을 변경하여 실제 과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설꼐의 능력을 심층적을 살펴 보는 것입니다. Disciplinarysilo를 깨고 (1)개인의 이익, (2)사업상의 이익, (3)지역 사회의 이익, (4)생태적 이익의 네 가지 통합 영역을 살펴볼 것입니다. 1학기에서는 개인 사용자가 어떻게 기술과 상호 작용하고 경험 하는지를 탐구하고 가치 창출, 비즈니스 모델 개발, 기업가 정신을 다루는 경제적인 미래인 'business good' 을 탐구하는 개인의 미래인 'personal good'을 다룰 예정입니다. 2학기에서는 사회 변혁을 목표로 하는 사회 혁신 디자인과 대규모 시스템 이슈를 해결할 환경 미래로 'community good % ecological good'을 다룰 예정이다. 그 외 폐기물 및 과소비, 환경 오염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녹색 재생 에너지로의 에너지 전환, 심지어 기후 변화. 등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Service Design Project)

서비스디자인의 핵심 연구 분야는 공공서비스디자인, 제품서비스디자인시스템이다. 본 수업에서는 공공서비스디자인 분야에 있어 사회문제디자인, 안전디자인, 유니버셜디자인으로 구분하여 문광부 공공디자인에서 지정한 20개 과제를 대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스타트업 크라우드 펀딩(Start-up Crowd Funding)

창의적 도전정신을 갖춘 실전형 창업가 양성을 위해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개념 및 유형에 대한 이해, 유형별 사례를 통한 학습 진행 학생 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 아이템에 대하여 펀딩을 위한 스토리 작성 및 상세페이지를 확보할 수 있는 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을 통한 실제 크라우드 펀딩이 가능한 가이드를 제시하고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과정 제공

기업가정신과 벤처창업(Entrepreneurship and Venture Start-Up)

창의적 도전정신을 갖춘 실전형 창업가 양성을 위해 창업 관련 기초지식과 건전한 기업가 정신을 교육하여 아이디어 구체화, 사업화 전략, 사업계획서 작성 등 기업에 필요한 이론과 실무를 통하여 CEO로써 갖추어야 할 덕목을 습득
학생들은 창업자가 수립한 사업개념 및 아이템이 본격적인 가치개발에 앞서 과연 실현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사업 타당성을 검증으로 위험요소 측면에서 평가하는 과정을 학습

디자인씽킹 실전창업 프로젝트(Design Thinking Start-Up Project)

디자인씽킹은 아이디어를 상상하고 실천하는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끌어내는 프로젝트로 4차 산업혁명의 시작과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능력을 함양 문제중심 학습법,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실제 삶의 문제들을 가져와 직접 개선해 나가는 것은 학생들에게 흥미를 주고 직접 '이해하기-공감하기-문제정의하기-아이디어 생성-프로토타입-공유하기' 이렇게 6단계로 학습 의욕을 고취

지속가능한 디자인(Sustainable Design)

문화의 관점에서 지역과 장소의 정체성을 과거, 현재, 미래의 총체적 시각으로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의 문화적,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핟나. 또한 현재 일어나고 있는 지구환경의 문제를 포함하여 건축, 환경 및 서비스 디자인 분야에 이르기까지 적용 가능한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대해 이해하고, 다양한 솔루션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