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NO.D.2021.08_02

Q, R 방법론을 통한 중국내 청년아파트(青年公寓)의 감성적 선호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通过Q、R方法论研究中国国内青年公寓感性的偏好类型和特性 Residents Participation, Urban Regeneration Project, Collaborative Governance, Model Development, Empirical Research

  • Name : 주수리 (朱素丽)/ZU SULI
  • Info : 박사학위논문/博士学位论文/Doctor's thesis/ 2021.08
  • Adviser : 홍관선/洪宽善/Hong, Kwan-Seon
192.168.95.172

초록

중국에서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청년들이 취업과 성공을 위해 1선도시(一线城市) 로 몰려들게 되었으며, 이들은 도시 건설 중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청년들의 수입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주거에 대한 기준 역시 높아졌으며, 신세대 청년들의 주거 관념에 변화가 생겼다. 매일 강도 높은 업무에 치이는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히 숙박을 해결할 공간이 아니라, 감정적인 의탁과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공간이다. 이들은 편안함과 미를 겸비한 주거공간을 선호하며, 프라이버시를 중요시 하는 동시에 교류를 갈망하기 때문에 충분한 사교 공간과 오락 레저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해 현대 도시에서 청년층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는 주거환경이 바로 청년아파트이다. 특히 2017년부터 ‘조구동권(租购同权) ’이 제시되면서 청년아파트 시장에도 순풍을 불러왔으며, 청년아파트는 점차 하나의 주거 장소에서 신세대 청년층이 정체성을 획득하는 매개체로 거듭나게 되었다.
오늘날 물질적 측면보다 정신적 측면의 가치를 더 중요시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면서 ‘감성적 디자인’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감성적 디자인이란 인간의 감성을 이해 및 분석하고 이를 디자인에 융합시키는 것을 말한다. 주거공간디자인에서도 다양한 사람들을 충분히 연구하고 관찰함으로써 그들의 심층적인 수요를 이해하고 디자인 방식에 녹여낼 수 있다. 따라서 청년아파트 공간의 기획과 디자인에서 사용자의 정서를 인지하고 이를 공간 계획과 디자인 속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층을 위한 경쟁력과 차별성을 갖춘 주거공간디자인을 위한 효과적인 청년층 실내 주거공간(청년아파트 공간) 디자인 방안과 전략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청년층의 입장’에 입각해‘청년층의 실내 주거공간디자인 선호 요소’를 파악한 후, 이를 유형화하여 다양한 유형의 청년층의 특성, 라이프스타일 취향, 실내공간 감성적 디자인 요소 중요도 등을 파악하고자 한다.
청년층의‘선호’정서는 다양한 심리·환경적 요인에 의해 비롯되는 인간의 ‘주관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본 연구는 개인 심리의‘주관성에 대한 연구’인‘Q방법론’을 활용해 청년층이 선호하는 실내공간디자인 분석을 통해 선호유형과 그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어 선행연구 결과를 근거로 자주 사용되는 R방법(연구방법) 설문조사를 실시해 빈도 분포를 확정하였으며, Q방법론으로 도출한 선호유형이 실제로 얼마나 존재하는지를 확정하고, 선호유형의 인구학적 특징, 청년아파트의 사용 특징을 확정하였다. 또한, 실내 감성적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 라이프스타일 취향을 분석해 디자인 컨셉 설정에 활용하였다.
우선, Q방법론 분석을 통해 청년아파트 공간디자인 선호유형 총 4가지를 도출하여 ‘제1유형-자연스럽고 편안한(自然舒适的) 공간 분위기 추구’, ‘제2유형-단순하고 산뜻한(简单清爽的) 공간 분위기 추구’, ‘제3유형-아늑하고 편안한(温馨舒适的) 공간 분위기 추구’, ‘제4유형-다양하고 개성적인(多样个性的) 공간 분위기 추구’로 명명하였다. 4개 유형이 선호하는 감성어휘는 각각 다음과 같다. 제1유형은 내추럴한, 수수한, 고전적인, 편안한 공간 감각을 선호한다. 제2유형은 미니멀한, 산뜻한, 깔끔한, 수수한 공간 감각을 선호한다. 제3유형은 따뜻한, 아늑한, 편안한, 가벼운 공간 감각을 선호한다. 제4유형은 즐거운, 자유분방한, 예술적인, 개성적인 공간 감각을 선호한다. 다음으로 4가지 선호유형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선호 유형별 빈도 분포는 ‘자연스럽고 편안한(自然舒适的) 공간 분위기 추구’가 37.4%,‘단순하고 산뜻한(简单清爽的) 공간 분위기 추구’가 36.0%,‘자연 친화적 편안함 추구형’이 21.8%,‘다양하고 개성적인(多样个性的) 공간 분위기 추구’가 4.9%로 나타났다. 검증 결과, 선호유형에 따른 청년아파트 이용 특성의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내공간 감성디자인 표현요소 중요도를 알아보고자 선행연구를 토대로 항목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행태지원성’,‘오감 체험’, ‘연속성과 장소성’, ‘상징성’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선호 유형별 실내공간의 감성디자인 표현 요소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 ‘행태지원성’, ‘연속성’과 ‘장소성’, ‘상징성’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오감의 체험’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실내공간 관련 라이프스타일 성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요인 분석한 결과, ‘자연친화 추구성향’,‘미적공간 추구성향’,‘유행 추구 성향’의 3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선호 유형별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摘要

在中国,随着城市化的发展,很多青年为了就业和成功涌向一线城市,他们承担着城市建设的中坚作用。青年们的收入不断增加,居住标准也随之提高,新一代青年的居住观念也发生了变化。对于每天被高强度业务缠身的他们来说,需要的不仅仅是解决住宿的空间,而是能够找到感情上的依托和认同感的空间。他们喜欢舒适和审美兼备的居住空间,在重视隐私的同时也渴望交流,因此需要充分的社交空间和娱乐休闲空间。满足这些条件,在现代城市受到青年层喜爱的居住环境就是青年公寓。特别是从2017年开始提出"租住同权"后,青年公寓市场也掀起了顺风,青年公寓逐渐成为一个居住场所,新生代青年层获得认同感的媒介。
如今,越来越多人比物质层面更重视精神层面的价值,因此"感性设计"受到了广泛的关注。 感性设计是指理解及分析人类的感性,并将其融入设计之中。在居住空间设计上,通过充分研究和观察不同的人,可以理解他们的深层需求,并融入设计方式。因此,应该从青年公寓空间的企划和设计中认识用户的情绪,并积极将其运用到空间计划和设计中。
本研究的目的在于提出为青年层设计具有竞争力和差异性的居住空间的有效青年层室内居住空间(青年公寓空间)设计方案和战略。为此,从"青年层的立场"出发,了解"青年层喜欢室内居住空间设计的要素"后,将其类型化,了解各种类型的青年层的特性、生活方式取向、室内空间感性设计要素的重要性等。
青年层的"偏好"情绪是由多种心理、环境因素导致的人类的"主观性"决定的,因此本研究利用个人心理的"主观性研究"即"Q方法论",通过分析青年层偏爱的室内空间设计,得出偏好类型及其特性。接着以先行研究结果为依据,进行经常使用的R方法(研究方法)问卷调查,确定了频度分布,确定了以Q方法论导出的偏好类型实际存在多少,确定了偏好类型的人口学特征、青年公寓的使用特征。另外,通过分析室内感性设计要素的重要度、生活方式取向,用于设计理念的设定。
首先,通过Q方法论分析得出青年公寓空间设计偏好类型共4种,分别是"第一类型-自然舒适的空间氛围追求"、"第二类型-单纯清爽的空间氛围追求"、"第三类型-温馨舒适的空间氛围追求"、"第四类型-多样个性氛围追求"等。4种类型喜欢的感性词汇分别是:第一类型是喜欢自然、朴素、古典、舒适的空间感。第二类型是喜欢简约、清爽、干净、朴素的空间感。 第三类型喜欢温暖、温馨、舒适、轻便的空间感。第四类型是喜欢快乐、自由奔放、艺术性、个性的空间感。其次,以4种偏好类型为基础进行的问卷调查结果显示,偏好类型的频率分布中,"追求自然舒适的空间氛围"占37.4%,"追求单纯清爽的空间氛围"占36.0%,"追求亲近自然的舒适型"占21.8%,"追求多样个性化的空间氛围"占4.9%。经验证,根据偏好类型的不同,青年公寓使用特性并没有明显差异。为了了解室内空间感性设计表现要素的重要性,以先行研究为基础提取项目进行分析的结果显示,由"行为支持性"、"五感体验"、"连续性和场所性"、"象征性"四个要素构成,对不同类型室内空间的感性设计表现要素的差异分析结果显示,"行为支持性"、"连续性"和"场所性”、"象征性"存在注意的差异,而"五感体验"则没有出现偏好类型的室内空间感性设计表现要素的差异。最后,为了解室内空间相关的生活方式倾向是否有差异,对原因进行了分析,结果由"追求自然亲和倾向"、"追求美的空间倾向"、"追求流行倾向"等3个因素构成,根据偏好类型都出现了有意义的差异。

Abstract

Urbanization in China drives more and more youth groups to go to tier 1 cities or new tier 1 cities to seek for chances of employment and development. The youths play a key role in urban construction. With the increase of their income, their requirements on residence are constantly raised. The residential concept of the youth groups in new era changes. What the youths need is not a place providing accommodation, but also a place to seek for emotional sustenance and obtain the sense of identity after their work due to intensive work. The youths like the indoor living space which is comfortable and aesthetic, and puts emphasis on privacy; they long for communication, and they also need sufficient social space and space for leisure and entertainment. Nowadays, amo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of youth groups, the bulkiest and the most popular is youth apartments. Especially, with the proposal of "equal rights for home tenants and owners" in 2017, youth apartments have greeted "best of times". Therefore, youth apartments are not the places to live, but the carriers for the youth groups of new generation to obtain the sense of identity.
Nowadays, more and more people are willing to acknowledge spiritual values, not put values at the material level. Therefore, "emotion design" is a hot topic. Just as the name implies, the so called emotion design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emotions of humans, and integrate emotions into designs. In design of living space, different crowds are fully researched and observed to understand their deep demands, after that, the demands are applied to new objects by design. Hence, during plan and design of space of youth apartments, the moods of "emotion" users should be re-recognized and actively applied to spatial planning and design.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design an indoor living space which is competitive and with differential atmosphere for youth groups. The present research started from "the subjective position of the youth groups" to understand "the preference factors of the youth groups for design of youth apartments". After that, the factors were categorized. By understanding the features, tendencies of lifestyle and importance of emotion design factors for indoor space, etc. of different youth groups, effective design schemes and strategies were effectively formulated for indoor living space (space of youth apartments).
The emotions, for example, "preference", etc. of the youth groups are determined by "subjectivity" of human which is formed by multiple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Hence, in the present research, "Q methodology", used as "a research of subjectivity" for individual psychology, was used to research the indoor space design preferred by the youth groups, And determine their preferred types and featur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questionnaire by common research methodology (R Method)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distribution, the actual proportion of the preferred types obtained by Q methodology, demographic features of the preferred types and usage features of youth apartments, and analyze the importance of indoor emotion design factors and tendencies of lifestyle to formulate design concepts and schemes.
Firstly, Q methodology was used for analysis, four preferred design types of youth apartments were obtained, named as ("space atmosphere pursuing being natural and comfortable", "space atmosphere pursuing being simple fresh", "space atmosphere pursuing being warm and comfortable" and "space atmosphere pursuing being diverse and personalized"). Secondly, the emotional words of the four preferences were that, the first type was the space sense tendency pursuing being natural, plain, classical and comfortable; the second type was the space sense tendency pursuing being simple, fresh, clean and plain; the third type was the space sense tendency pursuing being lively, free, bold, artistic and personalized. For another,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four preferred types indicated that, for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preferred types, "the space atmosphere pursuing being natural and comfortable" accounted for 37.4%, "the space atmosphere pursuing being simple fresh" accounted for 36.0%, "the space atmosphere pursuing being warm and comfortable" accounted for 21.8%, and "the space atmosphere pursuing being diverse and personalized" accounted for 4.9%. After verification and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s of the preferred types, the usage features of the youth apar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performance elements of emotion design for indoor spa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items extracted from prior studies indicated that, there were four elements of "behavior support", "five-sense experience", "continuity and placeness" and "symbolism"; the results of variation analysis for the performance elements of emotion design for indoor space based on the preferred types indicated that, form support, continuity, placeness and symbolis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five-sense experie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last, to understand that whether the tendency of lifestyle related to indoor space was different,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ere three elements of "tendency pursuing natural affinity", "aesthetic space tendency" and "tendency pursuing fash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typ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키워드

  • #청년아파트,실내공유공간
  • # 감성디자인
  • # Q,R방법론

  • #青年公寓、室内共享空间、情感设计、Q、R方法论

  • #Youth apartments
  • # Indoor shared space
  • # Emotion design
  • # Q
  • # R methodology

참고문헌

[Book]

1. 권영걸, 『공간디자인 16강』, 도서출판 국제, 2001
2. 김헌수·원유미, 『Q방법론』,교육과학사, 2000
3. 김흥규, 『Q방법론』,커뮤니케이션 북스, 2008
4. 김흥규, 『Q 방법의 이해와 적용』,서강대 언론문화 연구소, 1990
5. 김흥규, 『Q방법론:과학철학,이론,분석 그리고 적용』,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6. 연세대학교 이연숙교수 연구실, 『실내이미지 선호판별도구』,서울 : 기문당. 1997
7. 오영근, 『건축・감성디자인의 언어』, 서울 : Spacetime, 2002
8. 이순요, 『감성공학』,서울 : 淸文閣, 1996
9. 임석진 외, 『철학사전』, 중원문화재단, 2008
10. 임승빈, 『환경심리와 인간행태』,보문당, 2007
11. 정무웅 외, 『건축디자인과 인간의행태심리』, 서울 :교문당, 2004
12. 진중권, 『미학오디세이』,도서출판 샛길, 1994
13. 홍지원, 『디자인 마케팅』,서울 : 미진사, 2009
14. 황세옥,신경주,남경숙,정원주,오찬옥, 『실내건축용어대사전』, 서울 : 기문당, 2015
15. 산국염(山国艳), 『대인관계와 청년(人际交往与青年)』, 中国青年研宄,2004
16. 펑웨이(冯维), 『青年心理学(청년 심리학)』, 重庆:西南师范大学出版社,2016

[Dissertation]

1. 박준태, 「1인 가구를 위한 도시형 생활주택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커뮤니티시설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 박혜숙, 「생활양식에 따른 실내디자인 선호유형」,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3. 최혜진, 「공동주택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 구명완, 「주거 공간 리모델링의 실내디자인스타일 선호도 조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 석사학위논문, 2016,
5. 권윤지,「감성디자인 선호 유형에 따른 소형주택 계획에 관한 연구」,국민대학교 석사논문,2010
6. 김남호, 「연령별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 요인별 주거공간선호도 및 서비스디자인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P89
7. 김성연,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간에 나타난 감성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8. 김형자, 「싱글사회를 위한 공유주거공간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4
9. 서수경, 「뮤지엄의 감성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20세기 이후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pp. 42-43. 2016
10. 손지은,「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파트 주거선호특성요인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1. 송수경,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이 청소년의 사회적 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2. 오세정,「스마트폰 이용자의 유형과 구매행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아이폰 이용자를 중심으로」, 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3. 오효정, 「주거환경 선호에 따른 공동주택 설계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4. 유은미, 「건축공간의 색채 이미지 평가모형 연구」,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5. 윤일섭,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주거선호도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6. 이 보람,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고려한 공동주택 계획안 : 이웃관계를 중심으로」,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7. 이상석,「국내 브랜드 아파트의 실내코디네이션선호도에 관한 연구-85㎡이하 브랜드 아파트 모델하우스를 중심으로-」,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4
18. 이상엽, 「청년 정책의 실태와 방향」,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19. 이창범, 「都市 라이프 스타일의 變化에 對應한 住居 計劃」,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0. 임경희,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주거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1. 장희옥, 「범죄예방환경설계와 공동체의식이 주거환경 만족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6
22. 정상원, 「주거 내 청소년의 개인공간에 대한감성어휘와 스타일 선호에 관한 연구」,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3. 정수경,「한국광고인과 광고주의 국제광고 문제에 대한 태도 연구」,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3
24. 정주영, 「1인 가구의 거주성 향상을 위한 원룸 형 소형주택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5. 추진, 「감성적 치유공간디자인의 선호유형에 관한 연구 -병원 로비(Lobby)공간을 중심으로-」,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6. 소밭,「주거선호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유형화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09
27. 홍소정호텔, 「로비공간의 자연친화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건국대학교 관광전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8
28. 홍우전, 「주거선호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유형화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9. 위목훼(于沐卉), 「 도시 장세형 청년아파트 실내설계 연구(城市长租型青年公寓室内设计研究)」,大连工业大学硕士学位论文,2019
30. 자오샤오쩡(赵晓增),「청년아파트 공공교제공간 설계연구(青年公寓公共交往空间设计研究)」,河北建筑工程学院硕士学位论文, 2016
31. 리솽(李爽),「장기전세식 청년아파트 공간모델 설계 연구(长期租赁式青年公寓空间模式设计研究)」,湖南师范大学硕士学位论文,2020
32. 저우자페이(周佳培),「공유생활 모델에 기반한 유스아파트 공간설계 연구(基于共享生活模式下青年公寓空间设计研究)」,中原工学院博士学位论文,2015
33. 류멍페이(刘梦飞),「커뮤니티형 영플라자 실내디자인 연구(社区型青年公寓室内设计研究)」,南京林业大学博士学位论文,2020
34. 한욱(韩 昱),「영플라자 속 실내 공공공간 설계 해석(青年公寓中的室内公共空间设计解析)」,山西大学硕士学位论文,2020
35. 단검영(段剑颖),「청년층을 위한 장세아파트 공공공간 설계 연구(面向青年群体的长租公寓公共空间设计研究)」,湖南大学硕士学位论文,2018

[Academic Journal]

1. 구혜경,조희경,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주거선호 연구- 주택 구입 예정자를 중심으로 -”, 『소비자학 연구』,Vol.26(2) ,2015
2. 김민지, "내추럴 스타일의 식공간 연출 및 전망에 관한 연구”, 『식공간연구』,2008, Vol.3(1)
3. 김범종,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한국마케팅저널 』,1999, Vol.1(3)
4. 김지은, 한정원,“공동주택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실내코디네이션 시행특성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2012,Vol. 23(3)
5. 김흥규,오세정,“관광동기와 선호유형에 대한 Q 방법론적 접근”, 『한국관광레저연구』,2009,Vol.21(2)
6. 모조설, 남경숙,"청년층 분석에 기초한 공유주거 감성디자인 연구 - 커뮤니티 공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Vol.21(3)
7. 문영선, 조희선,“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녹차 소비행태 연구”, 『생활과학』, 2012,Vol.15
8. 박영순,“도시 아파트거주자의 주생활양식과 실내분위기 선호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1994, Vol.5(1),
9. 백지현,이정교, "주거공간의 감성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007, Vol.8(1)
10. 신화경,“실내디자인선호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실내디자인선호 구성요소에 관한 기 초 연구”,『자연과학연구』, 2007, Vol.18
11. 유성은, “소형주택 계획을 위한 청 장년층 1인 가구의 주거요구 : 서울과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퍼실리티 매니지먼트 학회』, 2019, vol.21(1)
12. 윤정미, 류호창 “주거공간에 나타난 감성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7,Vol.9
13. 이구형, “감성과 감정의 이해를 통한 감성의 체계적 측정 평가”, 『감성과학』, 한국감성과 학회, 1998, Vol.1 (1)
14. 이연숙, 홍미혜,"실내이미지 선호 측정 시각적 도구에 대한 실증적 검증”, 『한국실내 디자인학회지』,1998, Vol.(16)
15. 이학식, 임지훈, “소비관련 감정척도의 개발”, 『마케팅연구』, 2002, Vol.17(3)
16. 이희원,성민호,유정원,이기석,이장범 “1인 가구를 위한 도시형 쉐어하우스의 건축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2014,Vol.16(3)
17. 정상원, 황연숙,“사춘기 청소년의 개인공간 스타일 유형화 및 선호도 분석”, 『한국 실내디자인학회』,2018, vol.27(5), 2018
18. 정혜원, 양환석,“멀티미디어 매체에서 이미지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2005, Vol.5(2)
19. 조성실, 김원필,“아파트 거주자의 주생활양식별 실내디자인 선호 및 인식도 연구 :디자이너와 사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창립60주년기념 학술발표대 회논문집』, 2005, Vol.25(1)
20. 지예진ᆞ,신화경(2017),“청년 1인 가구를 위한 공유주택의 툭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 2017, Vol.29(1)
21. 채서일,“체계적 분석의 틀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연구”,『소비자학 연구』, 1992,Vol.3 (1)
22. 최은정,박수빈,“원룸 도시형 생활주택 거주자의 수납가구 사용 요구에 관한 연구-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2017,Vol.28(1)
23. 추진, “감성적 아이덴티티를 지향하는 의료 공간 디자인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 회』, 2010,Vol.19(3)
24. 황장선, 강태종 "강태종 국내 광고학 연구에 있어서 질적 접근법의 적용현황과 가능성”, 『광고학연구』,2004, Vol.15(4)
25. 손레이양, 쉬장孙(蕾扬,许江), "군세문제 종합관리 딜레마 해소(群租问题综合管理困境求解)”,『人民论坛』,2015, Vol(02)
26. 송이민, 장울침, 청정곡(宋李民 张蔚琛 程正中),"청년아파트 건설운영문제 연구(青年公寓建设运营问题研究)”, 『山 西 建 筑』,2015,Vol.41(34)
27. 왕리쥔(王立君),"우리나라 도시 청년아파트 발전대책과 사고(我国城市青年公寓发展对策与思考)”,『山西建筑』,2009,Vol.35(17)
28. 자오텅(赵腾),“도시 청년 주택 문제의 탐구(城市青年住房问题的探索)”, 『Social Perspective』, 2015,Vol.1(23)
29. 조걸(赵杰),“공간 기능과 심리적 욕구를 실내 디자인에 적용하기(空间功能与心理需求在室内设计中的应用)”, 『美术与设计』, 2013, Vol.1(12)
30. 종정군(钟庭军), "집중식 장세 아파트의 현황과 전망(集中式长租公寓的现状以及前景)”,『上海房产』,2017,Vol.1(10)
31. 황함운(黄含韵),"중국 청소년 소셜미디어 이용 및 중독 현황:친화적 동기인상관리 및 사회적 자본(中国青少年社交媒体使用与沉迷现状:亲和动机印象管理与社会资本)”,『新闻与传播研究』,2015, Vol.22(10)
32. Heath, S., and Kenyon, L. Single young professionals and shared household living,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4(1)

[Website]

1. 네이버 국어사전,“국어사전”,krdic.naver.com
2. 아하 경제, "두 줄 경제용어",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227674,
3. 파이 낸 셜 뉴스, "사무실, 하숙집, 차량을 나누다'공유경제 2.0 시대진입", http://www.fnnews.com/news/201606031532518119
4. 한국감성 공학회, http://www.gamsung.or.kr/front/g7_info/f1_00.htm
5. 안거객(安居客),"2020年全国房价",https://www.anjuke.com/fangjia/quanguo2020/
6. 중국보고망(中国报告网),"2021年中国青年公寓市场分析报告-行业运营现状与未来前景研究”,http://baogao.chinabaogao.com/fangdichang/53054753054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