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NO.M.2021.08_01

중국 전통 색채 ‘오색’의 중국학파의 애니메이션 작품에서의 활용 사례 분석 中国传统色彩'五色'在中国学派动画作品中的应用案例分析 The Analysis on the Flexible Use of Chinese Traditional Color ‘Five Colors’ in Chinese Animation Works

  • Name : 샤오쉬원 (邵鈺雯)/SHAO YUWEN
  • Info : 석사학위논문/硕士学位论文/Master's thesis/ 2021.08
  • Adviser : 김해윤/金海润/Kim, Hae Yoon
192.168.95.172

초록

1950년~1990년대 초기 중국 애니메이션계는‘민족 스타일의 길을 걷자’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재능 있는 중국 애니메이터가 중국의 전통 예술 자원을 연구해 진정한 중국적 스타일을 표현한 <대요천궁(大鬧天宮)>, <나타요해(哪吒鬧海)> 등의 애니메이션 작품을 선보였다. 그뿐만 아니라 기존의 기법을 뛰어넘어 유례없는 새로운 장르인 수묵 애니메이션을 만들었다. 이 시기의 애니메이션은 국가의 민족문화를 증명하는 잠재적 임무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중국학파 애니메이션은 하나의 귀중한 예술품이 되어 현재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오늘날의 경제 문화는 세계화와 융합하여 세계 각국의 애니메이션은 끊임없이 중국 시장으로 유입되었으며, 특히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중국은 일본 애니메이션을 패러디하는 경향을 보이며, 애니메이션에서 중국의 민족적 특징을 잃어갔다. 2015년 <신서유기: 몽키킹의 부활>의 개봉으로 중국 애니메이션 업계는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으나, 여전히 중국의 민족적 특징이 부족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현재 학계에서 떠오르는 이슈에 의하면, 색채는 애니메이션의 시각적 표현 형식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중국 전통 오색관의 색채 체계는 중국인의 문화적 속성, 사상 및 감정, 윤리철학을 표현하고 있으며, 뚜렷한 민족적 특징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문은 중국 전통의 색채 이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전통 색채 체계를 발굴하며, 최종적으로 정리를 거쳐 중국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에 응용하였다. 또한 애니메이션의 중국 전통 색채 특징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향후 오색 활용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도 지니고 있다. 아울러 중국 현대 애니메이션에서 전통 색채의 융합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중국 애니메이션 창작에 있어서 전통 색채를 융합하고, 중국의 민족적 특색을 구현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중국 전통 예술과 애니메이션을 더욱 융합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제 1장에서는 연구 배경, 연구목적,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중국 애니메이션의 발전사를 정리하고, 중국 전통 색채인 ‘오색’에 대한 정리를 진행하였다.
제 3장에서는 민족문화를 경극, 종교, 수묵, 벽화, 전지, 그림자, 여섯 가지로 분류하고, 중국 색채를 활용하여 이러한 형식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제 4장에서는 앞선 제 3장의 내용에 따라 경극, 종교, 수묵, 벽화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아울러 여섯 가지의 민족문화 형식이 전통적인 색채의 활용에 있어서 중국학파 애니메이션에서 응용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증명하였다.
제 5장에서는 KSCA 색채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9편의 중국학파 애니메이션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색채 분석을 통해 중국학파 애니메이션 색채 사용의 특징을 모색하였다. 또한 4편의 중국 근대 애니메이션의 색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중국 근현대 애니메이션 색채 사용의 특징을 분석하였을 뿐 아니라, 관련 내용에 대한 비교 및 대조를 통해 중국 근대 애니메이션의 색채 사용에서 부족한 부분을 찾아내었다.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중국학파 애니메이션은 색채 활용에 있어서 더욱 폭넓게 활용되었고, 색상환에는 색채가 분산되어 있었으며, 고해상도 및 저해상도 색채도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장면에서는 색채 명도가 낮고, 인물의 색채 명도가 높은 특징을 지니며, 대체로 애니메이션 한 편당 평균 9가지의 색상을 사용할 정도로 색상이 다양하였다. 반면 중국 현대 애니메이션은 색상의 사용이 제한적이고 색상환이 주로 5R(홍색)-10YR(홍색, 황색) 범위에 집중되어 있었다. 또한 색상이 적어 애니메이션 한 편당 평균 4가지 색상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붉은색이 많았다.
홍색과 황색은 중국의 민족성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며, 반대로 캐릭터의 색채가 너무 단순하여 인물의 성격과 감정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었다. 또한, 중국학파 애니메이션은 다양한 색상을 결합하여 사용하며 애니메이션에 적용된 전통적인 요소에 따라 색의 조합을 변경하였다. 그리하여 중국의 민족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캐릭터의 특징도 부각시켰다.
중국의 오색을 애니메이션 창작에 녹여내어 중국의 민족적 특색을 지닌 애니메이션을 형성하고,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새로운 발상을 보여주어 오색 활용을 확산시켜 민족문화를 지닌 중국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적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摘要

20世纪50年代至90年代初期,中国动画界打出"走民族风格之路"的口号,并推出了有才能的中国动画师研究中国传统艺术资源,展现真正中国风格的《大闹天宫 》 、 《哪吒鬧海》等动画作品。不仅如此,还超越已有的技法,制作了史无前例的新类型的水墨动画片。由于这个时期的动画具有证明国家民族文化的潜在任务,中国学派动画成为一种珍贵的艺术品,至今仍在产生影响。
  当今的经济文化与全球化相融合,世界各国的动画片不断流入中国市场,特别是受此影响,中国出现了模仿日本动画片的倾向,在动画片中失去了中国的民族特征。2015年《新西游记:猴子王复活》上映,中国动画行业迎来转折点,但依然缺乏中国民族特征。另一方面,根据目前学界的热点,色彩是动画视觉表现形式中的重要组成部分,中国传统五彩观的色彩体系体现了中国人的文化属性、思想及情感、伦理哲学,体现了鲜明的民族特征。
以此为基础,本文对中国传统色彩理论进行研究,发掘传统色彩体系,最终经过整理,应用于中国制作的动画片。另外,也要通过整理和分析动画片中国传统色彩特征,作为今后五色应用基础资料。同时,在中国现代动画中提出传统色彩的融合方案,为今后中国动画创作中融合传统色彩、体现中国民族特色的理论依据,为进一步融合发展中国传统艺术和动画作出贡献。
第一章阐述了研究背景、研究目的、研究范围及研究方法。
第二章梳理了中国动画的发展史,对中国传统色彩"五彩"进行了梳理。
第三章将民族文化分为京剧、宗教、水墨、壁画、剪纸、皮影六种,运用中国色彩对这种形式进行了分析。
第四章根据前三章的内容对京剧、宗教、水墨、壁画进行了分析。同时间接证明六种民族文化形式在传统色彩的运用上在中国学派动画中得到应用。
第5章利用KSCA色彩分析工具对9部中国学派动画进行了分析。通过这种色彩分析,探索了中国学派动漫色彩使用的特征。此外,通过对4部中国近代动漫色彩的分析,不仅分析了中国近现代动漫色彩的特点,还通过对相关内容的比较和对比,找到了中国近代动漫色彩使用中的不足之处。
通过以上分析可以看出,中国学派动画在色彩运用方面得到了更广泛的运用,色彩环上色彩分散,还使用了高分辨率及低分辨率色彩。场面中色彩明度低,人物色彩明度高,大体上每部动画片平均使用9种颜色,颜色多样。相反,中国现代动画片颜色有限,颜色环主要集中在5R(红色)-10YR(红色、黄色)范围内。另外,由于颜色较少,每部动画片平均使用4种颜色,特别是红色较多。
红色和黄色并不代表中国的民族性,相反,人物色彩过于单一,无法很好地表现人物的性格和情感。另外,中国学派动画结合多种颜色使用,根据动画中应用的传统要素改变颜色的组合。 因此,在展现中国民族性的同时,也突出了角色的特征。
希望将中国的五彩融入动漫创作,形成具有中国民族特色的动漫,展现传承传统文化的新思路,推广五色应用,在制作具有民族文化的中国动漫的过程中,本研究能够起到基础性的作用。

Abstract

From the 1950s to the early 1990s, the Chinese animation industry held the slogan of “following the step of national style”. Based on the study of Chinese traditional art resources, many talented Chinese animation artists presented real Chinese-style animation works, such as “Uproar in Heaven”, “Nezha Conquers the Dragon King” and other animation works. Furthermore, it went beyond the existing techniques of that time and created the unprecedented water-ink animation. Since the animation of this period undertakes the potential task of demonstrating the national culture, so the animation of Chinese School becomes a precious artwork and still has an influence today.
Nowadays, with the integration of economy and culture with globalization, the worldwide animations continuously flow into Chinese market. Especially under such influence, it emerges a tendency in China to imitate Japanese animation, and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are lost. In 2015, with the release of “Monkey King: Hero is Back”, the Chinese animation industry comes to a turning point, but still lacks n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hot-spot appearing in educational circles currently, color is an important part of the visual expression form of animation. The Chinese traditional color system with five colors concept presents cultural attribute, thought, emotions and ethics philosophy of Chinese, as well as embodies the distinctive national characteristics.
On this basis, the thesis studies the Chinese traditional color theory, develops the traditional color system, and finally applies it into the China-made animations after sorting. In addition, it classifies and analyzes the traditional color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as the basic materials for the flexible use of five colors in the future. Meanwhile, it puts forward the integration scheme of traditional colors in Chinese modern animation, which provides the theoretical basis for integrating traditional colors in Chinese animation creation and reflecting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makes a contribution to the further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traditional art and animation.
Chapter One clarifies the research background, research purpose, research scope and research method.
Chapter Two classifies the development history of Chinese animation and the Chinese traditional color “Five colors”.
Chapter Three divides the national culture into six forms including Peking Opera, religion, water-ink, wall painting, paper cutting and shadow puppetry, and analyzes this form with Chinese colors.
Based on the contents in the first three chapters, Chapter Four performs applied analysis of colors for the Chinese School animation with six forms including Peking Opera, religion, water-ink, wall painting, paper cutting and shadow puppetry. And it indirectly proves that the animation of Chinese School applied the color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Chapter Five analyses 9 animations of Chinese School by KSCA color analysis tool. Through this color analysis, the thesis explores the color characteristics used by Chinese anim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color analysis of 4 Chinese modern animations, the thesis not only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modern animation colors, but also indicates the deficiencies during the use of Chinese modern animation color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relevant contents.
From the above analysis, it is obvious that the Chinese School animation has been widely used in color application. The color is dispersive on the color ring, and it adopts high and low resolution color. The scene color lightness is low while the figure color lightness is high, generally, each animation uses 9 colors in average and the application of color is various. By contrast, the use of colors in modern Chinese cartoons is limited, and the color ring mainly focuses on 5R (Red)-10YR (Red and Yellow). Besides, due to the limited use of colors, each animation uses 4 colors in average, most of them is red.
The red and yellow are not on behalf of Chinese nationality, on the contrary, the characters and emotions are not well expressed due to the monotonous figure color. In addition, the Chinese School animation integrates multi-colors, and changes color combinations according to traditional elements applied in animation. Therefore, it not only presents Chinese nationality, but also highlights character features at the same time.
The Chinese five colors are expected to be integrated into the creation of animation, to form the animation with Chinese national features, and to show the new thought of inheriting traditional cultures as well as to promote the application of five colors.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a fundamental role during the process of producing Chinese animations with national culture.

키워드

  • #중국학파
  • # 애니메이션
  • # 전통
  • # 오색

  • #中国学派,动画,传统,五色

  • #Chinese School, Animation
  • # Tradition, Five Colors

참고문헌

[Book]

1. 이철(李鐵)『중국 애니메이션 역사 1923-1976 상 (中國動畫史1923-1976 上)』북경, 칭화대학교 출판사, 북경 교통대학교 출판사(北京,清華大學出版社,北京交通大學出版社) 2018
2. 이철(李鐵)『중국 애니메이션 역사 1923-1976 하 (中國動畫史1977-2015 下)』북경, 칭화대학교 출판사, 북경 교통대학교 출판사.(北京,清華大學出版社,北京交通大學出版社) 2018
3. 천루난(陈鲁南)『직색입사전(織色入史箋)』중화서국의 출판사(中华书局出版社) 2014-8
4. 양국영(梁國楹),왕수동 (王守棟)『중국 전통 문화 정요(中国传统文化精要)』 인민 출판사(人民出版社) 2011
5. 펑더(彭德)『중화오색 (中華五色)』장쑤 미술 출판사(江苏美术出版社) 2008-8
6. 손입군(孙立军), 『세계 애니메이션 예술사[M] (世界动画艺术史)』북경 해양출판사(北京海洋出版社) 2014:62-71

[Academic Journal]

1. 방홍봉(方紅峰), 양효림(楊曉林) "대호법: 중국 애니메이션 성인화 탐구의 이정표”(大護法: 中國動畫成人化探索的里程碑) 출처:예원(藝苑) 2018년, 02기, p52-p53
2. 호원원(胡媛媛), 소금성(蘇金成)“중국 미술 영화 속 민족 스타일의 탐색과 성숙”(中國美術片民族風格的探索與成熟) 출처:창의적 디자인 발원(创意设计源) 2013년, 02기, p58-p60
3. 왕호(王昊) “중국학파 애니메이션 조형의 미학적 패러다임” (中國學派動畫造型的美學範式)미원(美苑) 2010년, 03기, p104-p108
4. 가수청(賈秀清), 전육림(田育霖)“중국학파 의발전 과정 및 현실의 새로운 구성”(中國學派的發展歷程及現實新構) 출처:당대동화년(當代動畫年), 2018년, 000기, p11-p16
5. 유려나(劉麗娜), 우양(尤陽) “오늘날‘중국학파’의 애니메이션 창작에 대한 시사점”(中國學派"對當今中國動畫創作的啟示) 출처:미와시대:도시(美與時代:城市) 2013년 8기 p133
6. 은복군(殷福軍)“만씨 형제의 초기 애니메이션 서진동화문타자기 제작과 관련 문제점” (萬氏兄弟早期動畫作品《舒振東華文打字機》創作時間及相關問題) 출처:청두대학교 학보(사회과학면) (成都大學學報,社會科學版) 2013년, 01기, p96-p102
7. 곽홍(郭虹), 교가역(鄔佳力)“1920년대 중국 애니메이션 재탐사”(再探20年代中國動畫之發軔) 출처:신문대학(新聞大學), 2010년, 01기, p106-p112
8. 굴정(屈菁), 굴건(屈健) “중국학파와 민족 애니메이션의 당대 사고”(中國學派與民族風格動畫的當代思考) 출처:미술관찰(美術觀察) 2014년, 06기, p114-p117 

[Website]

1. “중국도자기박물관”, http://www.zgtcbwg.com/
2. “닝보중국항구박물관”, ttp://www.portmuseum.cn/
3. “중국문자박물관”, http://www.wzbwg.com/
4. “중국찻잎박물관”, http://www.teamuseum.cn/
5. “중국색등박물관”, http://www.lantern-museum.com/
6. “서대문자연사박물관”, https://namu.sdm.go.kr/site/main/content/aboutus
7. “국립해양박물관”, https://www.knmm.or.kr/
8. “청주고인쇄박물관”, http://www.cheongju.go.kr/jikjiworld/index.do
9. “국립항공박물관”, http://www.aviation.or.kr/index.do
10. “국립한글박물관”, https://www.hangeul.go.kr/main.do
11. “국립현대미술관”, http://www.mmca.go.kr/
12. “박물관산”, http://www.museumsan.org/museumsan/
13. “필라델피아미술관”, https://philamuseum.org/、
14. “휘트니미술관”, https://whitney.org/
15. “슈투트가르트국립미술관”, https://www.staatsgalerie.de/
16. “스웨덴국립역사박물관”, https://historiska.se/home/
17. “브루클린박물관”, https://www.brooklynmuseum.org/
18. “모스크바디자인박물관”, http://moscowdesignmuseum.ru/en/
19. “뉴박물관”, https://www.newmuseum.org/
20. “재즈박물관”, https://jazzmuseuminharlem.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