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M.2019.08_08

‘제3의 공간' 개념으로서의 현대서점 공간특성요소에 관한 연구 -2010년 이후의 사례를 중심으로- 关于‘第三空间’概念的现代书店空间特性因素的研究 -以2010年以后的事例为中心-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Modern Bookstore Space in the Concept of “Third Space” - Focused on Cases from 2010 onwards -

  • Name : 우리ㅣWU LI
  • Info : 석사학위논문ㅣ硕学位论文ㅣMaster's thesisㅣ2019.08
  • Adviser : 홍관선ㅣ洪宽善ㅣHong, Kwan-Seon
192.168.95.161

초록

경제의 빠른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소비자의 수요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다양화되고 있다. 인터넷의 빠른 발전도‘읽기’의 방식을 바꾸고 있으며, 책과 같은 인쇄물의 교류를 통해 지식을 배우고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자체가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인터넷 플랫폼에서 책을 구매하고, 디지털 방식으로 읽는 것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점점 더 깊이 들어가고 있다. 전통의 읽기 형식은 인터넷 서점과 전자 서적의 영향을 받아 오프라인 서점들은 전환과 업그레이드를 하고 있다.
사회적 측면에서 말하면, 현재 자본주의와 산업화의 영향 아래에서 현대 상업공간의 발전은 점점 더 침체되었고, 사람들의 생활공간과 사회활동에 대한 욕구에도 변화가 생겨났다. 이것으로 기존의 상업공간과는 다른 제3의 공간이라는 개념이 생겨났는데, 서점은 도시 제3의 공간의 중요한 구성부분으로서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제3의 공간인 현대 서점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현재 서점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상에 중점을 두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대 서점의 공간을 탐색하고, 현대 서점의 공간 디자인과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며 현대인의 욕구를 만족시킨다. 또한, 제3의 공간에서 라이프스타일 숍 내부공간의 특징과 서점에서 이상적인 공간 구성방법에 대한 분석, 그리고 제3의 공간과 라이프스타일 숍의 관련된 특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현대 서점 공간의 특성 요소를 탐구한다. 이것으로 이후 서점의 발전에 유익한 참고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3의 공간의 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더 잘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자들은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의 고찰, 실제 사례를 조사하는 연구 방법을 주로 채택했다. 먼저, 제3의 공간의 개념과 라이프스타일 숍의 이론을 바탕으로, 레이 올든버그(Ray Oldenburg), 크리스티안 미쿤다(Christian Mikunda), 하워드 슐츠(Howard Schulze), 김수근, 앙리 르페브르(Henri Lefèbvre), 에드워드 소자(Edward Soja) 이 6명의 학자들의 제3의 공간에 대한 개념을 인용하고, 제3의 공간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했다. 제3의 공간은 제1의 공간(주거공간)과 제2의 공간(작업공간) 이외의 사람들의 휴식, 오락, 사회적 욕구를 만족시키는 쾌적한 공간이다. 또한 라이프스타일 숍의 공간적 표현 특성을 결합시켰는데, 라이프스타일 숍은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는 매장으로서 현대인의 가치관과 생활태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이론 고찰과 선행연구 부분에서 제3의 공간과 라이프스타일 숍의 특성 요소를 귀납적으로 정리하여, 제3의 공간의 개념에 부합하는 현대 서점의 특성 요소를 추출하였다. 또한, 서울 코엑스몰 내에 위치한 별마당 도서관(2017년), 도쿄 Ginza Six 내에 위치한 TSUTAYA BOOKS(2017년), 부산 롯데백화점 내에 위치한 교보문고(2016년), 홍콩 Hysan Place at Lee Gardens 내에 위치한 Eslite(2012년), 선전 COCO Park 내에 위치한 SiSYPHE(2014년), 상하이 Réel Mall 내에 위치한 종서각(钟书阁)(2016년), 광저우 k11 art mall 내에 위치한 언기우(言几又)(2018년), taikoo hui 내의 Fangsuo Commune(2011년) 이 8개의 2010년 이후 개설된 대형 상업시설 내의 서점을 본 연구의 사례로 분석을 진행했다.
객관적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현대 서점의 발전 트렌드는 다양성과 복합성, 이 두 가지 공간적 특성에서 종합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비자 사용률에 대한 데이터 통계와 분석을 통해 현대 서점의 운영 모델은 단일한 판매 모델에서 점점 책 읽기, 커피 휴식, 문화창의제품 판매, 도서 사인회 등이 하나로 집합된 복합적 운영 모델로 바뀌고 있다는 것을 도출했다.
먼저, 현대 서점은 기능상 변화가 발생했는데, 전통의 단일한 구조에서 도서구역, 카페 휴식구역, 행사전시구역 등 다양한 공간이 있는 구조로 발전했다. 서점은 운영의 사고를 전환하고, 자신의 특징과 조건에 따라 더욱 풍부한 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서 출발하고, 다시 포지셔닝을 해 더 큰 가치를 발휘하며 서점을 더 다양하고 특색 있는 생활의 장소로 만들었다.
다음으로, 현대 서점은 소비자 수요 위주의 운영이념을 강조하며, 소비자의 공간 내 체험 및 공간과의 상호작용을 중시한다. 또한, 자신만의 특색을 통해 주변의 고정된 독자층과 친밀하고 안정적인 관계를 구축한다. 이것은 더 많은 소비자들이 서점이 개최하는 행사에 참여하도록 하고, 서점과 주변의 교류를 늘리고 도서의 판매를 늘리며, 사람들의 여가 생활의 질을 높이게 했다. 또한, 더 많은 사람들이 관련 도서에 관심을 갖고 독서를 생활의 깊은 지식을 얻는 방식으로 삼도록 이끌었다.
새로운 시대의 발전 구도 하에서, 현대 서점은 독서와 문화, 라이프스타일이라는 이 방향을 더 많이 둘러싸고 확장하고 있어, 독서를 좋아하고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소비 집단에게 더 많은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서점은 경제와 문화의 발전을 함께 모색하면서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를 만족시키는 양성순환을 이루었다. 제3의 공간 개념에서 현대 서점은 여러 가지 시험공간의 기초 플랫폼 역할을 하며 큰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이것으로 사람들이 제3의 공간의 사회, 문화적 의미 및 가치를 인식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摘要

随着经济的快速发展和生活水平的提高,消费者的需求不断变化和多样化。网络的快速发展正在改变"阅读"的方式,通过书籍等印刷物的交流学习知识,传达信息的方法本身正在迅速变化。在网络平台上购书、以数字方式阅读逐渐深入人们的日常生活。传统阅读形式受到网络书店和电子书的影响,实体书店正在进行转换和升级。
从社会层面讲,在当今资本主义和产业化影响下,现代商业空间的发展越来越滞后,人们对生活空间和社会活动的需求也发生了变化。这就产生了与现有的商业空间不同的"第三空间"概念,而书店作为城市第三空间重要的组成部分,是不可或缺的。
本研究以第三空间现代书店为研究对象,着重于目前书店不断变化的现象,探索不断变化的现代书店空间,理解现代书店的空间设计和消费者生活方式之间的关系,满足现代人的需求。另外,通过分析第三空间里生活风格店内部空间的特征和书店里理想的空间构成方法,以及了解第三空间和生活风格店的相关特性,探索现代书店空间的特性要素。 这为以后书店的发展提供了有益的参考,同时可以更好地发挥第三空间文化意义和价值。
本研究以第三空间现代书店为研究对象,着重于目前书店不断变化的现象,探索不断变化的现代书店空间,理解现代书店的空间设计和消费者生活方式之间的关系,满足现代人的需求。 另外,通过分析第三空间里生活风格店内部空间的特征和书店里理想的空间构成方法,以及了解第三空间和生活风格店的相关特性,探索现代书店空间的特性要素。 这为以后书店的发展提供了有益的参考,同时可以更好地发挥第三空间文化意义和价值。
研究者们主要采取了相关理论和先行研究的考察、调查实际事例的研究方法。 首先,以第三空间概念和生活方式商店的理论为基础,雷•奥尔登伯格(Ray Oldenburg)、克里斯蒂安•米昆达(Christian Mikunda)、霍华德•舒尔茨(Howard Schulze)、金秀根、亨利•勒费夫勒(Henri Lefembre)、爱德华•索萨(Edward Soz)、爱德华•索扎(Edward So)等六位学者引用了第三空间的概念,把握了第三空间的特性。第3空间是满足第1空间(居住空间)和第2空间(工作空间)以外人们的休息、娱乐、社会需求的舒适空间。另外,结合了生活风格店的空间表现特点,生活风格店作为反映人们生活方式的卖场,包含了现代人的价值观和生活态度。
其次,从理论考察和先行研究部分归纳整理了第3空间和生活方式店的特性要素,并提取了符合第3空间概念的现代书店的特性要素。另外,位于首尔COEX商城内的星院图书馆(2017年)、位于东京Ginza Six内的TSUTAYA BOOKS(2017年)、位于釜山乐天百货商店内的教保文库(2016年)、位于香港Hysan Place at Lee Gardens内的ESlite(2012年)、位于深圳COCO Park内的SiSYPHE(2014年)、上海 Réel Mall内的钟书阁(2016)、广州 k11 art mall内的言几又(2018)、 taikoo hui 内的 Fangsuo Commune(2011년),以这八个2010年以后开设的大型商业设施内的书店作为案例进行了分析。
通过客观的分析结果,我们可以看出现代书店的发展趋势是多样性和综合性,这两种在空间特性中的体现是综合的。另外,通过对消费者使用率的数据统计和分析,现代书店的运营模式从单一的销售模式逐渐转变为集读书、咖啡休息、文化创意产品销售、图书签名会等为一体的综合运营模式。
首先,现代书店在功能上发生了变化,从传统的单一结构发展到图书区、咖啡馆休息区、活动展示区等多种空间。书店从转换经营思路、根据自身特点和条件提供更丰富的文化服务出发,重新定位,发挥更大的价值,使书店成为更加多样、有特色的生活场所。
其次,现代书店强调以消费者需求为主的运营理念,重视消费者在空间内的体验及与空间之间的相互作用。另外,通过自身的特色,与周围的固定读者层建立亲密、稳定的关系。这使更多的消费者参与到书店举办的活动中来,增加书店与周边的交流,增加图书的销售,提高人们的业余生活质量。同时,引导更多的人关注相关图书,把读书作为获取生活深层知识的方式。
在新的时代发展格局下,现代书店围绕读书和文化、生活方式这一方向进行扩张,可以为喜欢读书、追求生活质量提高的消费群体提供更多的选择。
这样,书店在共同探索经济和文化的同时发展,实现了满足消费者多样需求的良性循环。在第三空间概念中,现代书店发挥着多种试验空间的基础平台作用,具有很大的空间。希望这能成为人们认识第三空间社会、文化意义及价值的契机。

Abstract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economy and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the demands of consumers are constantly changing and diversifying.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has also updated the way of “reading”, and the way of communica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printed books is changing rapidly. Purchasing books online and reading e-books have become more and more popular in people’s daily life. Traditional reading forms are influenced by online bookstores and e-books, so physical bookstores are undergoing transformation and upgrading.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level, the development of modern commercial space has gradually depressed under the influence of current capitalism and industrialization, and people’s demands for living space and social activities have also changed. As a result, this creates the concept of the “third spa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ommercial space. Bookstores, as an important part of the third space in the city, are indispensable.
This study takes the modern bookstore of the third space as the research object, focusing on the changing phenomenon of bookstores. By exploring the changing space of a modern bookstore, we can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design of a modern bookstore and the lifestyle of consumers, to meet the needs of contemporary peopl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lifestyle shop in the third space and the ideal space composition method in the bookstore,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and lifestyle shop, this paper further explore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modern bookstore space. This study hopes to provide a beneficial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bookstores in the future and spread the cultural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third space.
Based on the prior study of relevant theories, the main research methods adopted by researchers are fieldwork and case analysis.
Firstly, based on the concept of the third space and the theory of lifestyle shop, this study quoted the concept of the third space from six scholars - Ray Oldenburg, Christian Mikunda, Howard Schulze, Kim Swoo Geun, Henri Lefèbvre and Edward Soja, and grasp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The third space is a comfortable space outside the first space (living space) and the second space (working space) to meet people’s rest, entertainment and social needs. Besides, the third space also combines the spati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lifestyle shop, which is a shopping mall that reflects people’s lifestyle and it includes modern people’s values and life attitudes.
Secondly,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previous research,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third space and lifestyle shop are summarized and sorted out, an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modern bookstore accord with the concept of the third space are extracted. In specific, this study took eight bookstores opened in large commercial facilities after 2010 as examples to analyze. They are respectively: STARFIELD LIBRARY at COEX MALL in Seoul (2017), TSUTAYA BOOKS at Ginza Six in Tokyo (2017), Kyobobook at Lotte Department Store in Busan (2016), Eslite at Hysan Place at Lee Gardens in Hong Kong (2012), SiSYPHE at COCO Park in Shenzhen (2014), Zhongshuge Bookstore at Réel in Shanghai (2016), Yanjiyou Bookstore at K11 Art Mall in Guangzhou (2018) and Fangsuo Commune at Taikoo Hui in Guangzhou (2011).
Through the analysis of objective results, it can be known that the development trend of modern bookstores is comprehensively reflected in the two spatial characteristics of diversity and compound.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usage rate of consumers, it is concluded that the operation mode of modern bookstores has gradually changed from a single selling mode to an integrated business model, which includes book reading, coffee leisure,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sales, book signing fair and other activities.
First of all, the function of modern bookstores has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single pattern to a rich spatial pattern that integrates the book area, coffee rest area and activity exhibition area. This shows that bookstores should change their management ideas, that i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they should start from providing richer cultural services and reposition their role, which can exert their greater value, and become diversified and distinctive living places.
Secondly, modern bookstores emphasize the business philosophy of giving priority to consumers’ needs. Specifically, they pay attention to consumers’ experience inside the space and interaction with space and establish cordial and stable relations with surrounding fixed reader groups through their characteristics. This enables more consumers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organized by bookstores, increase the communication between bookstores and the surrounding areas, increase the sales of books, improve people’s leisure life quality, guide more people to pay attention to relevant books, and take reading as a way to acquire deep knowledge of life.
In this new era, modern bookstores focus more on reading, culture and lifestyle, which can provide more choices for consumers who love reading and pursue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In this way, while exploring the common development of economy and culture, bookstores also meet the diversified needs of consumers and achieve a virtuous cycle. The modern bookstore in the third space concept, as a basic platform for multiple experimental spaces, has a large space for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become an introduction” for people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third space.

키워드

  • # 제3의 공간 # 현대 사점 # 라이프스타일 숍 # 특성

  • # 第三空间 # 现代书店 # 生活风格店

  • # Third Space # Lifestyle Shop # Modern Bookstore #Characteristic

참고문헌

[Book]

1. KEN WHITE 저, 박신흥 역,『서점 설계와 디자인』,경인문화사, 1994
2. 권영걸,『공간 16강』, 국제, 2001
3. 김경태,『김수근의 건축적 패러다임의 변화와 그 배경에 관한 연구』, 수원대 석사논문, 1995
4. 김수근,「좋은 길은 좁을수록 좋고 나쁜 길은 넓을수록 좋다」, 공간사, 2012
5. 김영수,『실내디자인 각론』, 도서출판 지음, 2001
6. 김용규, 이우권,『점포디자인의 실제 (상)』,효성, 1998
7. 매일경제,『라이프스타일(Lifestyle)』 항목 참조
8. 맹명관,『스타벅스 100호점의 숨겨진 비밀』, 비전코리아, 2005
9. 서영표,『도시적인 것, 그리고 인권-‘도시에 대한 권리’논의에 대한비판적 개입”』, 《마르크스주의 연구》 9(4), 2012
10. 요한 하위징아,『호모 루덴스-놀이하는 인간』, 이종인 역, 연암서가, 2010
11. 이두영,『출판상황론』, 청한, 1991
12. 크리스티안 미쿤다, 최기철·박성신 공역,『제3의 공간』, 미래의창, 2008
13. 패션전문자료사전,『라이프스타일 숍(Life-style shop)』 항목 참조
14. 하이브리드컬처연구소,『하이브리드 컬처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8
15. 하워드 슐츠 조앤 고든,『온워드, 8.0』, 안진환 장세현역, 2011
16. Bennett S, Libraries and Learning: A History of Paradigm Change[J], Portal: Libraries and the Academy, 2009
17. Blanchard A L, Markus M L, The Experienced Sense of a Virtual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Processes[J], ACM SIGMIS Database, 2004
18. D’Elia G, Jörgensen C, Woelfel J, et al, The Impact of the Internet on Public Library Use: An Analysis of the Current Consumer Market for Library and Internet Services[J],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2
19. Gehl J, Life Between Buildings: Using Public Space[M], Island Press, 2011
20. Gordon R, Foxall and Ronald E, Goldsmith
21. Jacobs J,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M], Random House Digital, Inc. 1961
22. Lynch K, The Image of the City[M], MIT Press, 1960
23. Marcus C C, Cooper C C, Barnes M, Healing Gardens: Therapeutic Benefits and Design Recommendations[M], New York : John Wiley & Sons, 19990
24. Max Weber, 『Economy and Society』, Bedminster Press, 1968
25. Mehra B, Merkel C, Bishop A P, The Internet for Empowerment of Minority and Marginalized Users[J], New Media & Society, 2Marcus C C, Cooper C C, Barnes M, Healing Gardens: Therapeutic Benefits and Design Recommendations[M], New York : John Wiley & Sons, 1999
26. Muschamp H, The Once and Future Park[M],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93
27. Oldenburg R, The Great Good Place: Cafes, Coffee Shops, Community Centers, Beauty Parlors, General Stores, Bars, Hangouts, and How They Get You Through the Day[M], New York: Paragon House, 1989
28. Perry C A, Neighborhood and Community Planning[M], Regional Plan of New York and Its Environs, 1929
29. Project for Public Spaces, What Makes a Successful Place[EB/OL]. [2009-12-30]. http://www.pps.org/reference/grplacefeat/
30. Puel G, Fernandez V, Socio-technical Systems, Public Space and Urban Fragmentation: The Case of ‘Cybercafés’ in China[J], Urban Studies, 2012
31. Ray Oldenburg, The Great Good Place, Da Capo, 1999
32. Sitte C, The Art of Building Cities[J], New York: Reinhold, 1945
33. Soja, E. W. 1996. 《THIRDPLACE》. Oxford: Blackwell
34. William Lazer, 『Life Style Concepts and Marketing』, Toward Scientific Marketing: AMA, 1963

[Dissertation]

1. 김효선,「지역서점의 분화 특성 및 커뮤니티공간으로서의 역할에 대한 분석연구」, 서울 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2. 김희연,「일본 라이프스타일 스토어의 실내디자인 표현 특성」,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 문근이,「제 3의 공간’으로서 카페의 공간 연출 전략」, 건국대학교, 2014
4. 박성신,「공간 디자인마케팅의 전략과 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5. 박지혜,「제3공간에 대한 탐구”」, 경기대학교, 2011
6. 박진호,「기업운영 복합 문화공간건축 및 운영 특성에 관한 연구- 브랜드 도서관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7
7. 손현진,「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적용한북 스토어 공간계획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11
8. 송하원,「제3서점의 내부 동학에 관한 연구-<퇴근길 책한잔> 사례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2017
9. 유연,「브랜드 라이프스타일 샵의 실내공간 표현특성 연구」, 한양대학교, 2017
10. 이완희,「일본 츠타야 T-SITE의 마케팅 전략과 방법을 적용한 서점공간디자인」, 건국대학교, 2018
11. 이지수,「라이프스타일 숍의 개념을 적용한 문화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소비자 맞춤형서점 전략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17
12. 허윤미,「골목 서점을 위한문화관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보수동 책방골목을 중심으로 -」, 홍익대학교, 2017

[Academic Journal]

1. 이정미,“제3의 장소에 대한 실증적 조사와 유형별 공간 특성에 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 학회논문집, 통권 94호, 2012
2. 이항우,“미니홈피와 비공식적 공적 생활의 조건-공사 경계의 조율-”,《한국사회학》, 40(3), 2006
3. 최원선, 이정교,“체험을 적용한 쇼핑몰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통권 12권, 2010
4. 胡咏嘉, 于涛, 罗小龙, “转型期公共空间重置背景下的中国城市碎片化研究 [J]”. 现代城市研究, 2011
5. 李品庆,“第三空间”视角下高校图书馆的定位及其构建措施”, 新世纪图书馆, 2015
6. 廖开怀, 李立勋, 张虹鸥, “全球化背景下广州城市文化消费空间重构—以星巴克为例[J]”. 热带地理, 2012
7. 牛红艳,“图书馆营造“第三空间”的实践探索[J]”, 图书情报工作, 2012
8. 沈丽珍,“流动空间 [M]”. 南京 : 东南大学出版社, 2010
9. 沈丽珍, 张敏, 甄峰, “信息技术影响下的空间观及其研究进展 [J]”. 人文地理, 2010
10. 斯特凡纳·托内拉, 黄春晓, 陈烨, “城市公共空间社会学 [J]”. 国际城市规划, 2009
11. 张京祥,“西方城市规划思想史纲 [M]”, 南京 : 东南大学出版社, 2005

[Website]

1. naver, “상호작용성”,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47280&cid= 50814&categoryId=5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