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19.02_03

사찰 범어사의 소장품을 모티브로 한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关于以寺庙范鱼寺藏品为主题的文化商品设计研究 A Study on the Design of Cultural Product based on the motif of the collection of Beomeosa Temple of Buddhist

  • Name : 바이옌ㅣBAI YAN
  • Info : 박사학위논문ㅣ博士学位论文ㅣDoctor's thesisㅣ2019.02
  • Adviser : 안병진ㅣ安炳珍ㅣAhn, Byoung-Jin
192.168.95.161

초록

최근 국내 여러 사찰에서 사찰의 이미지 변화 도모와 사찰의 홍보를 위해 각 사찰만의 고유 아이덴티티(Identity)를 창출하고, 사찰과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관련 문화상품등을 개발하여 사찰의 이미지를 제고시키며 신도뿐 아니라 일반 관광객에게 사찰관련 문화상품을 제공함으르써, 사찰에 대한 좋은 인상을 갖도록 하고 있다. 차별화되며 고유한 사찰의 이미지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사찰의 아이덴티티와 사찰의 삶이 녹아 소장품을 활용하여 보다 대중적이고 친숙하며 독착정인 문화상품이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찰의 소장품을 모티브로 한 이미지와 관련 콘텐츠를 활용한 사찰 아이덴티티 정립과 그것을 통한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지역 관광홍보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13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한국의 경상남도 부산에 위치한 범어사를 선정하였다. 범어사는 한국에서 손꼽히는 사찰로, 사찰 규모가 크며 100여점 이상의 국보급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으며,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도 큰 일조를 하고 있으나, 종교적인 특색이 강한 문화상품들을 판매하고 있으나 현대적이며 세련된 디자인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에서 본 연구자는 현대적인 범어사 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하여, 범어사에 관한 다양한 문헌과 자료를 연구하여 범어사의 이미지와 아이덴티티를 정립한 후, 이를 문화상품 디자인에 반영하였다.
범어사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해, 범어사 디자인 컨셉 및 스토리 구성, 범어사 디자인 기획 및 개발, 브랜드 아이덴티티 작업의 단계로 진행하였다.
범어사 디자인 컨셉 키워드 단계에서는 범어사의 역사, 문화, 관광, 자연이며, 각 키워드에 적합한 항일, 건축물, 금어, 설화, 선사상, 전통, 금정산 등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이미지와 아이덴티티 키워드는 Passion, Prestige, Holy, 금정총림, 선찰대본산의 세부 키워드를 설정한 후, 해당 키워드에 적합한 선맥수호, 민족불교, 선사, 3대 영남 사찰 등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 과정을 거쳐 범어사 문화상품 디자인 컨셉은 Holy(선사상, 신성함), Prestige(권위, 무게감), Passion(정열)을 설정하였다. 범어사 디자인 스토리 구성은 범어사의 우물 설화와 목조미륵불 설화를 참고하여, 금어와 목조미륵불 스토리를 구성하였다.
범어사 관련 개발한 문화상품 디자인은 장신구, 잡화, 의류, 생활용품, 문구상품, 사찰상품, 사무용품, 공예품, 포스터, 사찰 소장품 이미지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 작업 단계에서는 범어사를 한국불교의 유명 사찰을 넘어선 글로벌한 사찰로 표현하기 위해 국제 통영어인 영어로 사찰의 고유명사 BeomEosa로 명명하였다. 범어사 심볼의 전체 형태는 범어사의 네이밍을 조합하는 형태로 하였으며, 한글과 한자, 영어의 기호적 결합을 통해 심벌 타입을 총 3가지로 분류하였다. 3가지 타입은 영어와 한글, 한자를 모두 조합한 형태인 A타입, 영어와 한글을 조합한 형태인 B타입, 영어와 한문을 결합한 형태인 C타입이다. 이후 시뮬레이션을 통해 개발한 범어사의 심벌이 어느 제품에나 적용하여도 일관된 디자인 결과를 보이도록 하였다. 그리고 범어사 문화상품 디자인 중 시각적 모티브를 현대적 디자인으로 개발하기 위해 팝아트의 다양한 기법 중 레터링 기법과 망점 효과를 활용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범어사 아이덴티티 심볼, 로고 1개와 이미지 포스터 21점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작품은 장신구, 잡화, 의류, 생활용품, 문구상품, 사찰상품, 사무용품, 공예품, 포스터, 컴퓨터 이미지등이다. 작품 1은 범어사 심벌로 국제화와 글로벌화를 지향하는 범어사의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 2~19는 THE HISTORY OF BEOMEOSA로, 포스터, 에코백, 접시, 티셔츠, 마우스패드, 손거울, 머그컵, 핸드폰케이스, 노트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포스터 작품들의 이미지를 각 상품 디자인에 적용하여 범어사만의 이미지와 아이덴티티를 더욱 효과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작품 3은 범어사 이야기로, 미니어처, 도장, 족자, 엽서, 노트 등의 상품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주요재료는 목재, 견직물, 종이 등의 소재를 활용하였다. 종합적으로 모던한 이미지로 표현되는 망점과 현대적 타이포그래피 레터링 기법을 적용해 전통과 현대의 융합을 추구하여 독창적이며, 예술적 가치와 상업적 가치가 돋보이는 범어사 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처럼 범어사의 특성, 문화상품 문제점, 현대사회의 시대적 요구와 패러다임, 경제성, 생산성, 상업성, 역사성을 고려한 작품들로 전통 범어사 및 현대 범어사의 특징과 현황을 모티브로 하여 다양한 문화상품 디자인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범어사의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의 가치와 효용성, 차별성, 개선 및 보완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비자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남·여 1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2월 15일부터 2018년 12월 23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하여 총 9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본 조사대상자들은 사찰 구매 특성으로 사찰 문화상품의 디자인과 색상, 독창성, 문양, 상징성 등의 요인들을 중요하게 고려하였고, 특히 상품의 독창성과 전통적 상징성, 문양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사찰 문화상품을 구매하지 않는 이유는 실용적이지 않고 디자인이 마음에 들지 않으며, 새롭고 현대적이지 않아서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조사대상자가 사찰 문화상품이 기존의 전통성을 반영하면서도 현대적인 트렌드 및 감각을 적용하여 새롭게 디자인되어야 하고, 사찰의 유물과 문양을 디자인에 활용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범어사 문화상품 디자인이 현대적이며, 새롭고, 차별성 있으며, 관광 활성화 및 홍보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상품 디자인이 의미 있는 개발이며, 사찰의 상징성과 전통성을 현대적인 비주얼 모티브로 문화상품에 반영해야 하며, 적용방법이 새로우며 최신의 시각적 트렌드를 반영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사찰의 전통적, 문화적 가치와 산업적, 상업적, 예술적 가치가 결합된 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해야 하며, 시대적 감수성과 미적 감각, 역사와 정체성을 담은 디자인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디자이너는 사찰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역사, 정체성, 이미지를 연구함으로써 고유한 문화콘텐츠를 현대의 트렌드에 맞게 계승 및 발전시키고, 이를 산업화하고 상업화하기 위한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하여 더욱 노력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摘要

最近,国内各寺庙为了谋求改变寺庙的形象和宣传寺庙,创造各寺庙独有的自我同一性(Identity),开发与寺庙相关的多种文化产品,开发相关文化商品等以提高寺庙的形象,向信徒和普通游客提供寺庙相关的文化商品,给游客留下美好的印象。为了改变寺庙的差别化、固有的形象,应该利用寺庙特色和融寺庙生活的收藏品,开发出更具大众化的、即熟悉又独具特色的文化商品。因此,本研究的目的在于利用以寺庙藏品为原型的形象和相关内容,确立寺庙自我同一性,并开发文化商品,为地区旅游宣传及地区经济活性化提出方向性。
本研究的对象选定了拥有1300年以上历史的位于韩国庆尚南道釜山梵鱼寺。梵鱼寺是韩国首屈一指的寺庙,寺庙规模大,收藏有100多件国宝级文物,在吸引外国游客方面也起到了很大作用,出售宗教特色很强的文化商品,但现代的、精练的设计却不尽如人意。从这一实际情况出发,本研究为开发现代梵鱼寺文化商品设计,研究了关于梵鱼寺的各种文献和资料,确立梵鱼寺的形象和特色后,将其反映在文化商品设计中。
为了开发梵鱼寺的设计,以构筑梵鱼寺设计主题及故事情节、企划及开发梵鱼寺设计、品牌自我同一性的阶段进行研发。
梵鱼寺设计理念关键词阶段,导出了梵鱼寺的历史、文化、旅游、自然、适合各关键词的抗日、建筑、金鱼、传说、禅思想、传统、金井山等关键词。通过这些,形象和个性关键词在设置Passion、Prestige、Holy、金井丛林、禅刹大本山的详细关键词后,得出符合该关键词的鲜脉守护、民族佛教、禅寺、三大岭南寺庙等关键词。 经过这一过程,梵鱼寺文化商品设计理念设置了Holy(禅寺像神圣)、Prestige(权威,重量感)、Passion(热情)。梵鱼寺设计故事的构成参考了梵鱼寺的水井传说和木造弥勒佛传说,由金鱼和木造弥勒佛故事构成。
梵鱼寺相关开发的文化商品设计包括首饰、杂货、服装、生活用品、文具商品、寺庙商品、办公用品、工艺品、海报、寺庙藏品形象等。
品牌特色塑造阶段,为了将梵鱼寺超越韩国佛教的著名寺院,用国际通英语将梵鱼寺命名为寺院固有名词BeomEosa。 梵鱼寺标志的整体形态是梵鱼寺的名称组合形式,通过韩文和汉字、英语的符号性结合,将标志类型共分为3种。 这3种类型是英语和韩文、汉字相结合的A型、英语和韩文相结合的B型、英语和汉文相结合的C型。 之后通过模拟开发的梵鱼公司的标识,无论适用于任何产品,都要表现出一贯的设计结果。此外,为了将梵鱼寺文化商品设计中的视觉主题开发成现代设计,还利用了POP ART的多种技法中的文字技法和网点效果。为此开发了梵鱼寺的个性符号、1个商标和21幅形象海报。
开发出的作品有首饰、杂货、服装、生活用品、文具商品、寺庙商品、办公用品、工艺品、海报、电脑图片等。作品1以梵鱼寺的象征,表现了向往国际化和全球化的梵鱼寺形象。作品2~19是THE HISTORY OF BEOMEOSA,开发了海报、环保购物袋、盘子、T恤、鼠标垫、小镜子、马克杯、手机壳、笔记本设计。将海报作品的形象应用于各商品的设计,以更有效地展现梵鱼寺独有的形象和特色。作品3是梵鱼寺故事,开发了迷你模型、印章、画轴、明信片、笔记本等商品设计。主要材料利用木材、丝织品、纸张等材料。综合运用表现现代形象的网点和现代印刷文字技术,开发出了追求传统和现代融合、独具匠心、突出艺术价值和商业价值的梵鱼寺文化商品设计。像这样,以梵鱼史的特性、文化商品的问题点、现代社会的时代要求和范式、经济性、生产性、商业性、历史性为考虑的作品,以传统梵鱼史及现代梵鱼史的特征和现状为原型,以多样的文化商品设计作品表现出来。
为了解本研究开发的梵鱼寺文化商品设计开发的价值、效用、差异性、改善及完善之处,进行了消费者认识调查。本研究的调查对象为居住在釜山广域市的100名男、女,从2018年12月15日至2018年12月23日期间进行了问卷调查,除去不诚实资料,共分析使用99份。调查结果显示,本调查对象以寺庙购买特性,着重考虑了寺庙文化商品的设计和颜色、独创性、纹样、象征性等要素,特别是商品的独创性和传统象征性、纹样最为重要。不购买寺庙文化商品的理由有不实用、不满意设计、不新颖、不现代等。另外,大部分调查对象认为,寺庙文化商品既要反映传统性,又要运用现代潮流及感觉,重新设计,而且要利用寺庙的文物和图案。此外,本研究认为,梵鱼寺文化商品的设计具有现代性、新颖性和差异性,有助于促进旅游和宣传。 由此可以看出,本研究中开发的文化商品设计是有意义的开发,寺庙的象征性和传统性要用现代视觉主题反映在文化商品上,适用方法要新颖,要反映出最新的视觉趋势。
总而言之,通过本研究,需要开发寺庙的传统、文化价值和产业性、商业性、艺术价值相结合的文化商品设计,需要开发包含时代感知性和审美感、历史和整体性的设计。因此,设计师应该通过研究寺庙所具有的特性、历史、认同感、形象等,继承和发展固有的文化产品,并为了开发符合现代潮流的产业化、商业化的设计而更加努力。

Abstract

Recently, the domestic various Buddhist temples have created unique identity of each temple for image change of the temple and public relations of the temple, develop various content and cultural product related to the temple. In order to differentiate and change the image of the unique temp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popular, familiar and original cultural product by utilizing the identity of the temple and the collection of the temple life.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the design of temple cultural product by utilizing the temples collection as a motif. Also this study created temple identity, reflected it in cultural product design. Through this, this study will present the direction of local tourism and local economy promotion, temple cultural product design.
The target of this study select as Beomeo Temple in Busan, Gyeongsangnam-do of Korea, which has a history of more than 1300 years. Beomeo Temple is a famous temple in Korea, the temple size is large, it has more than 100 national treasure cultural properties. Also, Beomeo Temple has a great help in attracting foreign tourists, it sells cultural products with religious characteristics. But the image and identity of Beomeo Temple is not clear at present. Therefore, a researcher examined various documents about Beomeo Temple, it developed a modern Beomeo Temple cultural product design. Through this, a researcher established the image and identity of Beomeo Temple, it reflected it in the design of cultural product.
The development stage of Beomeo Temple design is as follows: Beomeo Temple design concept and story composition → Beomeo Temple design plan and develop → brand identity work.
In the Beomeo Temple design concept stage deducted history, cultural, sightseeing, nature keywords. The detailed keywords deducted anti-Japan, architecture, gold fish, tale, seon idea, tradition, Geumjeongsan Mountain. The image and identity keywords of Beomeo Temple deducted Passion, Prestige, Holly, Geumjeong bosket, Zen temple the home temple of a Buddhist sect. The detailed keywords deducted the Sunbeam protect, nationality Buddhism, prehistoric, the three Yeongnam Buddhist temples. The Beomeo Temple cultural product design concept is Holly(prehistoric, divine), Prestige(authority, weight), Passion(passion, bixie). The Beomeo Temple design story is composed gold fish and wood maitreya story by using the well tale and wood maitreya in Beomeo Temple.
The Beomeo Temple cultural product design development works are ornaments, miscellaneous goods, clothing, household goods, stationery products, temple products, office supplies, crafts, posters, and computer images.
The brand identity work stage was set as BeomEosa using English an international common language. This is to express Beomeo Temple as a global temple. The symbol type has developed three types. Type A is a combination form of English, Hangeul, Chinese, type B is a combination form of English and Hangeul, type C is a combination form of English and Chinese. Simul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ymbol of Beomeo Temple. The symbol of Beomeo Temple showed consistent design results even if it was reflected in any product. In order to develop modern Beomeo Temple cultural product design, researcher used lettering technique and halftone effect among pop art technique. Through this, 18 image posters were worked and used as visual motifs.
Developed works include ornament, miscellaneous good, clothing, household good, stationery product, temple product, office supplie, craft, poster, and computer image. Works 1 Beomeo Temple symbol, which aims to internationalize and globalize that to express the image of Beomeo Temple. Works 2 is THE HISTORY BEOMEOSA, which developed poster, handbag, plate, T-shirt, mouse pad, hand mirror, water cup, cell phone case and note designs. By applying the image of the poster works to each product design, it wanted to reveal the image and identity of Beomeo Temple more effectively. Works 3 are Beomeo Temple story, which developed product design such as miniature, stamp, scroll, postcard, and note. The main materials using material such as wood, silk fabric, paper. Synthetically, this study developed a Beomeo Temple cultural product design that is original, artistic value and commercial value by pursuing the fusion of tradition and modern by applying the halftone and modern typography lettering technique expressed in a comprehensive modern image. These works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Beomeo Temple, cultural product problem, the demand and paradigm of modern society, economic, productivity, commerciality, history. It is expressed as a variety of cultural product design works with the motif of the characteristic and status of traditional Beomeo Temple and modern Beomeo Temple.
This study conducted a consumer awareness survey to find out the value, utility, differentiation, improvement, complementary points of Beomeo Temple cultural product design developed. The target of this study were surveyed from 2018 December 15 to 2018 December 23 for 100 men·women live in Busan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99 paper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unfaithful data. As a survey result, this survey targets considered the factors such as design, color, originality, pattern, symbolism of temple cultural product characteristic. Especially, the originality of the product, the traditional symbolism, the pattern were considered most important. The reason why we do not purchase temple cultural products is not practical, design is not good, new and modern. Also, most of the survey targets recognized that even if the temple cultural product do not reflect the traditionality, modern trend and sense should be applied to the new design, the artifact and pattern of the temple should be used for design. In addition, the design of Beomeo Temple cultural product developed in this study is more modern, new, differentiated, and helpful for tourism activation and promotion than the existing Buddhist cultural product design. Through this, this study developed cultural product design is meaningful development, it can be seen that modern design should be developed. Conclusively, this study imply develop cultural product design that combines traditional, cultural value of temple with industrial, commercial and artistic valu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design that includes historical sensitivity, aesthetic sense, history and identity. Therefore, designers should research further efforts to develop design to inherit and develop unique cultural contents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 history, identity, image of temple, to industrialize and commercialize them.

키워드

  • # 사찰의 이미지 # 문화상품 디자인 # 아이덴티티 # 소장품 # 범어사

  • # 寺庙形象 # 文化商品设计 # 自我同一性 # 藏品 # 梵鱼寺

  • # Image of Temples # Cultural Product Design # Identity # Collections # Beomeo Temple

참고문헌

[Book]

1. 김현강, 『이미지』,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5
2. 민속원, 『2007 교육백서 박물관교육의 새로운 이해』, 국립민속박물관, 2007
3. 박영만, 『차이나 마켓코드: 하나의 나라, 천개의 시장』, 서울: 미래의 창, 2013
4. 심재은, 최정이, 최서현, 『옛날 옛날에 문 따라 들락날락』, 서울: 파란자전거, 2015
5. 유재웅, 『이미지 관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6. 이보아, 『성공한 박물관 성공한 마케팅』, 과천: 역사넷, 2003
7. 이보아, 『실무자를 위한 박물관 경영 핸드북』, 서울: 학고재, 2001
8. 에릭 로스캠 에빙, 『브랜드, 디자인, 혁신 sam series 01』, 샘파트너스, 이연준, 윤주현 역, 서울: 아템포, 2018
9. 제임스 워드, 『문구의 모험』, 김병화 역, 서울: 어크로스, 2015
10. 전우용, 『서울은 깊다: 서울의 시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탐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11. 정은주, 『색채심리』, 서울: 학지사, 2015
12. 조선대학교, 『전통문화상품화 계획. [1] / 전라남도 [편]』, 광주: 조선대학교 산업디자인특 성화사업단, 2009
13. 최낙삼, 백동현, 『CSV, 기업은 어떻게 공유 가치를 만들 수 있는가: 커뮤니케이션북스이해 총서』,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14. 최원주, 김흥규, 『브랜드는 커뮤니케이션이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5. 커뮤니케이션 디오, 『디자이너's Pro 편집 디자인 by 인디자인, 편집 업무별 실무 프로젝 트로 배우는』, 대구: 길벗, 2015
16. Aaker, D., & Joachminsthaler, E, Brand leadership. New York: Free Press, 2000
17. Aaker, D. A., & Myers, J. G, Advertising management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2
18. Kapferer, J. N, Strategic brand management: New approaches to creating and evaluating brand equity, New York, NY: The Free Press, 1992

[Dissertation]

1. 김경태, 「宗敎 博物館 所藏品을 모티브로 한 文化商品에 관한 硏究: 圓佛敎博物館 中心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 문영준, 「단청 문양을 이용한 문화관광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대구·경북지역 사찰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 박성빈, 「국가 문화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전통 사찰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 해인사를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 박현택, 「박물관의 문화서비스 확대와 재정기반 강화를 위한 문화상품 개발 시스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5. 심현필, 「박물관 소장품 등록의 체계화 방안」,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6. 안종윤, 「지역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관광상품 디자인 연구-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 중부내륙 힐링여행 권역을 중심으로-」, 세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7. 장혜영, 「지역혁신을 위한 문화클러스트의 발전전략에 관한 국제 비교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8. 전희관, 「백제 유물과 문양을 활용한 패션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 백제 문화권 방문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9. 정경희, 「문화관광축제 활성화를 위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0. 조태영, 「불교사찰관광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1. 최영욱, 「사찰 관광을 통한 포교 활성화방안 연구 : 화엄사권역을 중심으로」,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Academic Journal]

1. 강우방, "세계 종교건축의 본질, ‘宇宙木 숲’의 建築化",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6
2. 권정만, "대학생들의 불교이미지에 관한 연구 - 특성용어를 통한 적절성과 호오도 분석을 중심으로 -", 『불교학리뷰』, 2009, Vol.6(6)
3. 권정만, "대학생들의 불교이미지에 관한 연구(II) - 충남지역 불교종립대학과 일반대학의 대학생간의 불교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불교학리뷰』, 2010, Vol.7(7)
4. 권정만, "불교이미지와 불교신뢰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불교학리뷰』, 2011, Vol.10(10)
5. 김경진, 최산, "사찰에 나타나는 꽃살문올 활용한 Fashion Jewelry Design - CAD Design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2014, Vol.42(42)
6. 김광식, "금정총림` 설립의 역사와 범어사의 정체성 - 백용성 사상의 계승의식을 중심으로 -", 『전자불전』, 2016, Vol.18
7. 김광식, "범어사의 사격과 선찰대본산" 『선문화연구』, 2007, Vol.2
8. 김민하, 김보연,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통한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일관성 전략에 관한 연구 - 국내 SM엔터테인먼트와 YG엔터테인먼트를 중심으로 -",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2015, Vol.15(3)
9. 김선영, 최영순, “전통사찰문화를 기반으로 한 문화상품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012, Vol.14(3)
10. 김혜숙, "문화상품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 광주지역 문화요인에 대한 컨셉 디자인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2002, Vol.15(1)
11. 박선화, 이정욱, "브랜드 디자인 브랜딩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0, Vol.12(1)
12. 박태원, "우리나라 템플스테이의 활성화 방안", 『한국불교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7
13. 서진환, 한귀자, “국립고궁박물관 문화상품 현황 및 디자인 제안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2, Vol.18(1)
14. 안수지, "환경 분석을 활용한 전략적 문화상품개발과 디자인프로세스 연구",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2016, Vol.49
15. 이상미, 김정호, “충청지역 국립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백제 문화상품 현황조사”, 『한국가구학회지』, 2007, Vol.18(3)
16. 이영화, "영축총림 통도사 통합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연구", 『조형미디어학』, 2018, Vol.21(2)
17. 이완수, 김찬석, "기업 PR을 위한 이미지 개념의 성찰과 탐색", 『홍보학연구』, 2012, Vol.16(3)
18. 이용대, "글로벌 융복합을 위한 사찰음식 세분화 연구 - 인식과 선호도를 중심으로 -", 『한국조리학회지』, 2016, Vol.22(5)
19. 전희관, 김혜경, "백제 사비시대 사찰의 사리장엄구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015, Vol.17(6),
20. 정건용, "공예문화상품 디자인개발을 위한 지역 문화자원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광주,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2, Vol.18(2)
21. 정용순, "전통조각보를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조형디자인연구』, 2016, Vol.19(4)
22. 정은주, 임지영, "꽃창살 문양을 활용한 실크 자카드 문화상품 개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3, Vol.19(4)
23. 조성태, "브랜드아이덴티티의 시각적 표현요소 분석 연구 - 최근에 심볼 및 로고가 변경된 IT 기업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포럼』, 2010, Vol.29(29)
24. 지준형,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이미지의 차이를 바탕으로 한 효과적인 광고 전략 수립 방법", 『광고연구』, 2016, No.111
25. Aaker, D, Measuring brand equity across products and market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1996, Vol.38(3)
26. Dobni, D., & Zinkhan, G, In search of brand image: A foundation analysis, Adv Consum Res, 1990, Vol.17

[Report]

1. 국가법령정보센터, 『전통사찰의 보존 및 지원에 관한 법률(법률 제11317호) 제2조 (정의)』, 2012
2. 국가법령정보센터, 『전통사찰의 보존 및 지원에 관한 법률(법률 제11317호) 제4조 (전통사찰의 지정 및 등록)』, 2012
3. 문화체육관광부, 『문체부와 조계종, 한국전통불교문화 해외홍보 위해 손잡다』,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16
4. 이혁수, 『기업 이미지 관리,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LG주간경제, 2000
5.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상품 품질인증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정책과제 2002-15, 2002

[Website]

1. 강소성관광청홈페이지, http://jiangsutravel.kr/article/57.html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검색”, http://stdweb2.korean.go.kr/search/View.jsp?idx=194344
3. 국립민속박물관, “소장품 소개”, https://www.nfm.go.kr/home/subIndex/100.do
4. 네이버지식백과, “룽산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64906&cid=42864&categoryId=50859
5. 대만 연합보, “拼“庙宇经济”纪念品热卖 台湾寺庙推文创商品”, http://www.huaxia.com/tslj/lasq/2012/12/3118889.html
6. 대한불교조계종, “범어사”, http://www.buddhism.or.kr/bbs/board.php?bo_table=info_01_0801&wr_id=14&DNUX=info_01_0801
7. 대한불교진흥원, “한국의 전통산사 세계유산 등재 추진위원회 발족한다”, https://www.kbpf.org/1496/1496
8. 두산백과, “도다이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82754&cid=40942&categoryId=39956
9. 두산백과, “오방색”,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24298&cid=40942&categoryId=31447
10. 두산백과, “의상”,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33933&cid=40942&categoryId=33375
11. 두산백과, “조계사 대웅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06524&cid=40942&categoryId=33081
12. 동아비즈니스리뷰, “시뮬레이션으로 디자인에 창의 입혀라”, http://dbr.donga.com/article/view/1206/article_no/6769
13. 라이프, “탐스, ‘#탐스를 응원해’ 캠페인 전세계서 동시 진행”, http://sports.khan.co.kr/bizlife/sk_index.html?art_id=201705131506003&sec_id=561901&pt=nv#csi dx19240b00796e9debe1fab42558a979f
14. 문화원형백과, “도다이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94787&cid=49332&categoryId=49332
15. 문화콘텐츠닷컴, “사찰의 이해”,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cp0528&index_id=cp05280035&content_id=cp052800350001&search_left_menu= 3
16. 문화콘텐츠닷컴, “범어사(梵魚寺)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cp0528&index_id=cp05280218&content_id=cp052802180001&search_left_menu=6
17. 범어사 성보박물관, “소장유물검색”, http://www.beomeomuseum.org/03_colle/colle01.php?zipEncode=1&p=4&relic1Num=1&relic2Num=24
18. 부산 문화관광, “범어사 조계문”, https://tour.busan.go.kr/board/view.busan?boardId=ATTRACTION&menuCd=DOM_000000102001 004000&dataSid=232
19. 부산 문화관광, “범어사 나한전”, https://tour.busan.go.kr/board/view.busan?boardId=ATTRACTION&menuCd=DOM_000000102001 004000&dataSid=24
20. 불교신문, “기획/사찰들 이미지 통합 붐”,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69032
21. 불교신문, “사찰에서 볼 수 있는 불화 - 불교회화”,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85509
22. 봉은사홈페이지, http://www.bongeunsa.org:90/
23. 봉은사템플스테이홈페이지, http://temple.bongeunsa.org/public_html/explain/temple_life.asp
24. 엔조이재팬홈페이지, “나라의 관광정보”, http://kr.enjoy-jp.net/kansai/sightseeing/toudaiji/
25. 조계사홈페이지, http://www.jogyesa.kr/user/jogye/
26. 조선일보, “세계 최대 크기의 청동 불상, 영산대불(灵山大佛)” http://boomup.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8/30/2015083000736.html
27. 템플스테이, “운영사찰 검색”, https://www.templestay.com/temple_search.aspx
28. 통도사홈페이지, http://www.tongdosa.or.kr/kor/introduce/most_excellent.php
29. 통도사 템플스테이 홈페이지. http://templestay.tongdosa.or.kr/templestay_notice.php?page=1
30. 한겨례, “범어사 동산선사”, http://www.hani.co.kr/arti/society/religious/20528.html
31. 한국광고총연합회 광고정보센터 매거진, “소비자와 교감하는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https://www.adic.or.kr/journal/column/show.do?ukey=330655
3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범어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7418&cid=46648&categoryId=46648
3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봉은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7157&cid=46648&categoryId=46648
3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부산 범어사 미륵전 목조여래좌상”,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438527&cid=46659&categoryId=46659
3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조계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8321&cid=46648&categoryId=46648
36. 현대불교, “사찰들 TI(Temple Identity)로 ‘브랜드 포교’”,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76393
37. 한국브랜드경영협회, “브랜드 아이덴티티란 무엇인가?”, http://www.brands.or.kr/board/view.php?board_code=theory&idx=228&board_code=theory&page=1
38. 향토문화전자대전, “범어사 관음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15478&cid=55774&categoryId=55952
39. 향토문화전자대전, “범어사 금어선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18159&cid=55774&categoryId=55952
40. 향토문화전자대전, “범어사 미륵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14428&cid=55774&categoryId=55952
41. 향토문화전자대전, “범어사 비로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17349&cid=55774&categoryId=55952
42. 향토문화전자대전, “범어사 심검당”,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17348&cid=55774&categoryId=55952
43. 향토문화전자대전, “범어사 지장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14468&cid=55774&categoryId=55952
44. 향토문화전자대전, “범어사를 지키는 느티나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19018&cid=55774&categoryId=55971
45. BTN뉴스, “불교를 디자인하다 '염주의 변신'”, http://www.btnnews.tv/news/articleView.html?idxno=40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