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0.08_03

중국의 현대 지역 건축에서 나타나는 맥락적 특성에 관한 연구 中国现代地域建筑脉络特性研究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Without Thought Design Process

  • Name : 王欣瑶ㅣWANG XINYAO
  • Info : 박사학위논문ㅣ博士学位论文ㅣDoctor's thesisㅣ2020.08
  • Adviser : 박부미ㅣ朴滏美ㅣPark, Boomee
192.168.95.161

초록

중국의 세계화와 급속한 도시화 추이는 지역 건설에서의 모순이 날로 대두되게 하였다. 이런 모순은 주로 역사의 맥락과 단절시키는 연속되는 건설적 파괴, 지역 문화의 특색이 결여된 ‘모든 도시가 하나 같이 비슷한' 현상, 어느 한쪽 면에만 치우치는 도시의 신구건축의 조화 문제, 단기적 경제적 효과만을 추구하며 생태계를 파괴하는 대형건물 등 다양한 방면으로 표출되었다. 이런 현상은 도시와 건축 전반의 관계를 고려하는 맥락을 무시한 까닭에 빚어진 일이다. 이런 문제에 직면하여 1999년 국제건축가협회는 「베이징 헌장」을 발표하여, 지역건축의 발전이 21세기 중국 건축 발전의 새로운 방향이 되며, 거시적으로 맥락 이론을 파악하고, 미시적으로 맥락 특성의 구체적인 표현 방식을 분석하는 것이 중국 지역건축의 건전한 발전을 유지하는 중요한 이론적 지원이 된다는 것을 표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현대 지역 건축이 보여주는 맥락적 특성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이론과 실제를 연계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당대 중국지역 건축의 맥락 특성을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맥락 이론이 중국의 지역건축 디자인에 명확하게 운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개선된 건축디자인 시스템을 수립하는 데 지침이 될 수 있도록 했다.
제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배경과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연구 범위, 연구 방법을 설명했다.
제2장은 이론적 고찰 부분이다. 맥락의 내용을 학제적(multidisciplinary) 각도에서 해석했는데, 맥락 이론을 건축학적으로 해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역사발전의 관점에서 서양의 맥락 이론 발전의 3단계를 정리하고, 단계별 대표적 관점을 통해 건축 맥락의 일반적 구성요소인 환경요소, 역사요소, 기술요소를 정리했다. 또 서양 이론을 바탕으로 중국의 전통적인 천인합일의 사상을 결합하여 정리했고, 2000년 이후 우량융(吴良镛), 장친난(张钦楠), 손준교(孙俊桥)등 세 사람이 중국의 지역적 특성을 근거로 서술한 중국 맥락 이론을 통해 당대 중국 맥락 이론이 구성하고 있는 세 가지 측면인 지역 환경, 본토 문화, 적정 기술을 종합적으로 개괄했다.
제3장은 중국의 현대 지역 건축의 맥락 특성에 대한 구체적인 이론 분석이다. 2000년 이후 중국 맥락 이론은 지역 건축 디자인에 많이 반영되었다. 중국의 권위 있는 정기간행물인 『건축학보』에 실린 20편의 논문을 통해 지역 환경, 본토 문화, 적정 기술의 세 가지 측면을 분석해 중국 지역건축 맥락의 6가지 특징을 도출하였는데, 이에는 지역 환경 차원의 순응성과 조화성, 본토문화 차원의 계승성과 전환성, 적정 기술 차원의 현지성과 융합성이 포함되었으며, 각각의 특성에 대해 논문 사례를 결합하여 설명했다.
제4장은 제3장에서 이론을 분석하여 얻은 중국 지역건축 맥락 특성에 근거하여 공간과 구조를 분석하고, 이미 구축된 우수 사례를 이용하여 검증했다. 먼저 11개 국제 전문 건축상을 총결산하여 2000년 이후 중국 건축가 수상 현황을 종합해 수상 경력과 지명된 회수가 3위 안에 든 건축가 왕슈(王澍), 리샤오둥(李晓东), 화리(华黎)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그들이 2000년 이후 만든 작품 중 10개를 선정해 분석했는데, 선정된 10개 사례는 모두 다음 요건을 충족시켰다. ①2000년 이후 중국의 권위 있는 잡지에 보도된 적이 있다 ②중국에서 서로 다른 지역적 특성과 인문적 특성을 가진 4개 지역인 베이징, 저장, 윈난, 복건에 집중적으로 위치한다. 직접 건물 소재지를 방문하여 현지시찰하며, 공간과 구조를 분석하고, 10가지 사례의 맥락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최종적으로 현재 중국 지역건축의 맥락 특성 6가지 특징(순응성, 조화성, 계승성, 전환성, 현지성, 융합성)의 구체적인 표현방식을 종합하고, 중국 지역건축의 맥락 특성 표현 방식 체크리스트를 만들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맥락 특성 체크리스트는 거시적 이론 분석과 미시적 실사가 결합된 방식에 기초하여 구축되었기 때문에 맥락 이론을 중국 지역건축에 실제적으로 응용하는 데 적극적인 촉진 역할을 할 것이다.
제5장, 논문 연구 결과와 현재 중국의 현황을 근거로 하여, 본 연구자는 앞으로 적절한 기술의 총체적인 발전 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맥락 이론을 건축적인 실행에 보급하는 중요한 착안점으로, 특히 디자인에서 건축자재의 현지성과 전통과 현대 기술의 융합성을 중시하여 중국 지역 건축 디자인과 도시계획을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건전하게 발전시키는 데 긍정적 의의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맥락 이론은 중국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환경생태를 유지하고 보호하는 바탕 위에, 문화의 지역 다원성과 기술 수단의 지역 적응성 제창을 중시하는 것을 큰 줄기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 본토 문화의 맥락을 표현하는 현대적 지역건축 발전의 길을 고수하면 맥락 이론의 중국 건축계에서의 전략적 가치와 위상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화 진행 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문제와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여, 향후 세계화의 큰 흐름 속에서도 중국 건축이 여전히 독특성과 선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다.

摘要

随着中国全球化与城市化的快速发展使地区建设中的矛盾日益突出,主要表现为割断历史脉络延续的建设性破坏、缺乏地域文化特色的“千城一面”现象、城市新旧建筑协调问题、只追求短期经济效益的破坏生态环境的临时建筑等,其实都是对于城市和建筑整体脉络的忽视所致。面对这些问题,1999年国际建筑协会发布了《北京宪章》,发展地域建筑成为中国21世纪中国建筑发展的新方向,而从宏观把握脉络理论内涵和从微观分析脉络特性的具体表现方式,是保持中国现代地域建筑健康发展的重要理论支持。
本文以中国现代地域建筑表现出的脉络特性为研究对象,采用理论联系实际的方法对当代中国现代地域建筑脉络特性进行详细分析,使得脉络理论在中国现代地域建筑设计中的运用变得清晰明确,并对建立完善的建筑评价系统具有一定的指导意义。
第一章提出本文的研究背景和必要性以及研究目的、范围和方法。
第二章是理论考察部分。对于脉络的内涵从多学科角度进行解释,重点是对于脉络理论在建筑学上的诠释。从历史发展的角度,梳理西方脉络理论发展的三个阶段,通过不同阶段的代表观点,整理出建筑脉络性的一般构成要要素:环境要素、历史要素、技术要素。再以西方理论为基础结合中国传统天人合一的思想梳理,通过2000年以后吴良镛、张钦楠、孙俊桥三位以中国地域特点为依据,阐述的中国脉络理论,总结出当代中国脉络理论构成的三个层面:地域环境,本土文化,适宜技术。
第三章是中国现代地域建筑脉络特性的具体理论分析。2000年以后中国脉络理论多体现于地域建筑设计中,通过对中国权威期刊《建筑学报》刊载的20篇论文,从地域环境、本土文化、适宜技术三个层面进行分析,导出中国现代地域建筑脉络性的六个特征。包括地域环境层面的顺应性和和谐性,本土文化层面的继承性和转化性,适宜技术层面的当地性和融合性,并对每个特性结合论文案例进行展开说明。
第四章是根据第三章的理论分析得出的中国现代地域建筑脉络特性分析框架,用已建成的优秀案例进行验证。首先通过总结11个国际专业建筑奖项2000年以后中国建筑家获奖情况,选出获奖和提名次数前三的建筑师王澍、李晓东、华黎,在他们2000年以后已建成的作品中选出10个案例进行分析,10个案例的选择都满足以下条件,①2000年以后在中国权威杂志上报道过,②案例集中位于中国具有不同地域特征和人文特征的四个地区,北京、浙江、云南、福建。通过亲自前往建筑所在地进行现场考察,结合分析框架对10个案例的脉络特性进行具体分析,最后总结出目前中国现代地域建筑脉络特性6个特征(顺应性、和谐性、继承性、转化性、当地性、融合性)的具体表现方式,并建立中国现代地域建筑脉络特性表现方式清单。本研究得出的脉络特性清单是建立在基于宏观理论分析和微观实地调查相结合的方式下,因此,对提升脉络理论在中国现代地域建筑中的实际应用具有积极的促进作用。
第五章,通过论文研究的结果,并根据目前中国的现实情况,本研究者认为未来建立一种适宜技术的总体发展战略观,是脉络理论用以建筑实践推广的重要切入点,尤其是在设计中注重建筑材料的当地性和传统与现代技术的融合性,对推动中国现代地域建筑设计与城市规划朝着可持续方向健康发展具有积极意义。
通过本论文的研究,可以看到这样一条主线:脉络理论在中国的发展更重视提倡在维护环境生态的基础上,保持文化的地域多元性和技术手段的地区适应性。坚持走以表现中国本土文化脉络的现代地域建筑发展之路,不仅可以提升脉络理论在中国建筑界的战略价值和地位,也为解决城市化进程中种种问题和矛盾的提供理论依据,成为今后中国建筑在全球化发展的大趋势中,依然可以保持独特性和先进性的重要手段。

Abstract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glob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China, the contradictions in regional construction are increasingly prominent. It is presented by the constructive disruption that cuts off the continuation of historical context, the phenomenon of “the same look in one thousand cities” which lacks reg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poor coordination between old and new buildings in the city, and temporary building which simply pursue short-term economic benefits, while destroy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etc. All of these are actually attributed to the negligence of the overall context of the city and architectures. Confronted with these problem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rchitects issued the Beijing Charter in 1999, which identified the development of regional architecture as a new direction of architectural development in China in the 21st century. With this consideration, to grasp the connotations of context theory from a macro perspective and analyze the specific manifestations of context features from a micro perspective has become an important theoretical support for maintain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modern regional architecture in China.
Taking the context features represented by modern regional architecture in China as the research object, this paper adopts the method of integrating theory with practice and makes a detailed analysis of context features of modern regional architecture in China, which makes the application of context theory in the design of modern regional architecture in China more clear and definite. It is of certain guiding significance for the building of a perfect architectural evaluation system.
Chapter I introduces the research background, necessity, purpose, scope and methods of this paper.
Chapter II is a theoretical review, which explains the connotations of context from multiple disciplines, with an emphasis on the interpretation of context theory in archit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development, the author sorts out three stages during the development of western context theory, and figures out general elements of an architectural context: environmental elements, historical elements and technical elements, according to representative viewpoints in different stages. By associating western theories with the traditional Chinese idea of unity between man and nature, through Chinese context theories expounded by Wu Liangyong, Zhang Qinnan and Sun Junqiao after 2000 based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China, the author summarizes three aspects that constitute contemporary Chinese context theories, that is, regional environment, local culture and appropriate techniques.
Chapter III is a concret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context features of modern regional architecture in China. After 2000, Chinese context theories are mostly embodied in the design of regional architecture. By analyzing 20 papers published on Architectural Journal, an authoritative in China, from three aspects, that is, regional environment, local culture and appropriate techniques, the author deduces six context features of modern regional architecture in China, including the compliance and concordance in the aspect of regional environment, the inheritance and transformation in the aspect of local culture, and the locality and fusion in the aspect of appropriate techniques. After that, each feature is illustrated with specific cases in the paper.
Chapter IV is an analytical framework of context features of modern regional architecture in China, ba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in Chapter III, which is verified by excellent cases that have already been built. To begin with, by summarizing Chinese architects who have won 11 international architectural awards since 2000, the author selects Wang Shu, Li Xiaodong and Hua Li, top three architects in terms of award-winning and nomination, screens 10 cases from their works after 2000 that have already been built. The selection of 10 cases conforms to the following criteria: (1) They have been covered by authoritative magazines in China since 2000; (2) The cases are concentrated in four regions in China with different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at is, Beijing, Zhejiang, Yunnan and Fujian. By paying a field visit to the premises where these buildings are in person and combining with the analytical framework above, the author make a specific analysis of the context features of 10 cases, and finally concludes the specific manifestations of 6 context features of modern regional architecture in China (compliance, concordance, inheritance, transformation, locality and fusion), and establishes a list of the manifestations of context features of modern regional architecture in China. The list of context features obtained in this study is based on a combination of macro theoretical analysis and micro field survey, so it plays a positive role in promoting the actual application of context theories in modern regional architecture in China.
In Chapter V,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current situation in China, the author believes that to build a strategic view of overall development of appropriate techniques in the future is an important entry point for popularizing context theory in architectural practice.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locality of building materials and fusion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techniques in design, in particular, is of positive significance for promoting the sustainable and healthy development of modern regional architecture design and urban planning in China.
Through the research of this work, we can see the following clew: the development of Chinese context theories lays more emphasis on maintaining the diversity of regional culture and regional adaptability of technical means, based on the maintenance of environmental ecology. To adhere to development road of modern regional architecture by showing the context of Chinese local culture can not only enhance the strategic value and position of context theories in Chinese architectural community, but als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solving a variety of problems and contradictions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It has become an important measure for Chinese architecture to maintain its uniqueness and progressiveness in the general trend of globalization in the future.

키워드

  • # 중국 # 지역 건축 # 맥락적 # 지역 환경 # 본토 문화 # 적정 기술

  • # 中国 # 地域建筑 # 脉络性 # 地域环境 # 本土文化 # 适宜技

  • # China # Regional architecture # Contextual # Regional environment # Local culture # Appropriate techniques

참고문헌

[Book]

1. Edward. T. Hall, Beyond Culture, New York:,Doubleda, 1978
2. 김슬옹,『담론학과 언어분석 : 맥락·담론·의미』,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9
3. 윤정근외 4인 공저, 『서양현대건축』,기문당, 2007
4. 秋元馨(著),周博(译),『现代建筑文脉主义』,大连理工大学出版社,2010
5. 车文博,『西方心理学史』,浙江教育出版社,1998
6. Hans Robert Jauss(著),顾建光等(译),『审美经验与文学解释』,上海译文出版社,1977
7. 孙俊桥,『城市建筑艺术的新文脉主义走向』,重庆大学出版社,2013
8. 罗小末. 『外国近现代建筑史』,中国建筑工业出版社,2003
9. Colin Rowe, Fred Koetter(著), 童明(译). 『拼贴城市』. 中国建筑工业出版社, 2003
10. Charles Jencks(著). 李大夏(译). 『后现代建筑语言』. 中国建筑工业出版社,1984.
11. Brent .C. Brolin(著),翁致祥,叶伟,石永良(译),『张洛先建筑与文脉——新老建筑的结合』,中国建筑工业出版社
12. Kenneth Frampton(著),张钦楠(译). 『现代建筑:一部批判的历史』,三联书店,1988
13. 吴良镛,『国际建协 “北京宪章”——建筑学未来』,清华大学出版社 , 2002
14. 张钦楠, 张祖刚,『现代中国脉络下的建筑理论』,中国建筑工业出版社 , 2008
15. 吴良镛,『广义建筑学』,清华大学出版社,2011
16. 吴焕加,『论现代西方建筑』,中国建筑工业出版社,1997
17. 杨永生,『中国四代建筑师』,中国建筑工业出版社,2002,
18. 王澍,『造房子』,湖南美术出版社,2016

[Dissertation]

1. 이용흠, 「맥락주의와 근대건축 : 알도 로시와 루이스 칸의 건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논문,2011,
2. 홍선표, 「도시맥락을 위한 건축입면의 인지요소 순위 결정 및 비교 : 청주시 상업지역 가로를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석사논문,2013
3. 최범지, 「디자인호텔에 나타나는 맥락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가천대학교 석사논문, 2017
4. 李春媚,「“审美经验”再认识」,扬州大学 박사학위논문,2011
5. 郭王国光,「基于环境整体观的现代建筑创作思想研究」,华南理工大学 박사학위논문,2013
6. 崔文河,「青海多民族地区乡土民居更新适宜性设计模式研究」,西安建筑科技大学 박사학위논문,2015
7. 李蕾,「建筑与城市的本土观」,同济大学 박사논문,2006
8. 李晅,「基于海德勒兹哲学的中国建筑师国际获奖现象研究」,浙江大学 박사학위논문,2017

[Academic Journal]

1. 왕흔요,박부미,"왕슈(王澍)의 건축에 나타나는 맥락적 특성에 관한 연구 -‘수안산거’(水岸山居) 호텔을 중심으로”,『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9.Vol.18 No.2
2. 박연숙, “존 듀이의 경험 개념에 근거한 미적 무관심성 비판”, 『철학연구』104, 2007.11
3. 송석원, "개슈탈트 시지각심리를 적용한 백화점 제화브랜드샵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제5권, 2호
4. 송석현, “현대건축의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지역주의적 다양성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11.12,Vol.27 No.12
5. 장용순,"웅어스와 콜린 로우의 도시론에 대한 비교 연구—맥락, 켜, 유형 개념을 중심으로”,『대한건축학회 논문집』,2018,09
6. 高登亮,"浅议语境理论在西方的形成与发展”,『龙岩师专学报』,2005.02
7. 赵立强,"文脉主义中的建筑与城市”,『山西建筑』,2004.09
8. 雷莹, "格式塔心理学在景观中的应用”,『装饰』,2004. No.09
9. 吴云鹏,"论文脉主义建筑观”,『山西建筑』,2007.07. No.27
10. 贺夏雨,"国外文脉研究的进程及其启示”,『华中建筑』,2019.08
11. 朱宁,任云英,"西方建筑文脉主义思潮及其理性思辨”,『建筑与文化』,2016.10
12. 怡楠,"‘拼贴城市’的思维和手法 —— 当代语境下城市的历史环境更新”,『建筑师』,2018,06
13. 孙艳,"永恒的建筑 ——浅析阿尔多·罗西的建筑观”,『华中建筑』,2006.07
14. 申青鸟,"用类型学方法看历史建筑——读阿尔多.罗西的《城市建筑学》”,『室内设计』,2010.06
15. 刘先觉,"关于后现代主义—当代国外建筑思潮再探”,『建筑学报』,1981
16. 周卜颐,"中国建筑出现了‘脉络热’”,『建筑学报』,1989.03
17. 张钦楠,"为‘文脉热’一辩”,『建筑学报』,1988.06
18. 张友良. "沿着历史的文脉 创造时代的风格——杭州市建筑风格刍议”. 『建筑学报』,1990(6)
19. 张为城,"小城镇的现代化与历史文脉的延续”,『新建筑』,1993(2)
20. 齐康,"文脉与特色——城市形态的文化特色”, 『城市发展研究』,1997(1)
21. 吴良镛," 国际建协 ‘北京宪章’”,『建筑学报』 , 1999年.06
22. 王昊,"试论建筑设计与周边环境的关系”,『农家参谋』,2019. No.21
23. 张春兴,"心理学研究本土文化取向的理论与实践”,『心理科学』,2004.03
24. 郭娟,"对城市文脉主义的认识”,『科学之友』,2011.08
25. 陈晓扬,“当代适用技术观的理论构建”,『新建筑』 , 2005.06
26. 戴路,"中国当代青年建筑师的群体特征”,『天津大学学报』,2003.04
27. 曾坚,"中国建筑师的分代问题与其他”,『建筑师』,1995.12. No.67
28. 彭怒,伍江,"中国建筑师的分代问题再议”,『建筑学报』,2002.12
29. 李晓东,"淼庐”,『住区』,2011.04
30. 林莎莎,柳肃,"浅谈丽江古城纳西民居的建筑形制”,『中外建筑』, 2009.09
31. 李晓东,"淼庐,丽江,云南,中国”,『世界建筑』,2014.09
32. 侯郑昕,"建筑美学中的对比交融——漳州平和‘桥上小学’艺术设计的探索”,『漳州职业技术学院学报』,2014.09
33. 陈德平,"结构与建筑的“艺术人生”——桥上书屋结构设计中的和谐美探索”,『福建建筑』,2011.10
34. 李晓东."篱苑书屋,北京,中国”,『世界建筑』,2011,第11期
35. 李晓东,"乡野清境 北京篱苑书屋”,『室内设计与装饰』,2012,第7期
36. 李晓东,"篱苑书屋”,『新建筑』,2012.06
37. 王澍,"当代大型城市建筑与地方性城市结构的重建——宁波美术馆设计手记”,『世界建筑』,2012.05
38. 王澍."宁波美术馆设计手记”,『建筑师』,2006.04
39. 王澍,"宁波美术馆”,『建筑学报』,2006.01
40. 王澍,"自然形态的叙事与几何宁波博物馆创作笔记”,『时代建筑』,2009,03
41. 王澍,"隔岸问山——一种聚集丰富差异的建筑类型学”,『建筑学报』,2014.01
42. 童明, "理型与理景 (二)——王澍的文本及其建筑”,『建筑师』,2013,03.
43. 申屠团兵,陈永兵,何剡江,"本土营造观下结构与建筑设计的协作 — ‘水岸山居’结构设计的回顾与反思”,『建筑学报』, 2014.01.No.9
44. 张睿宇, "富春山馆的空间表现”,『艺海』,2019,06
45. 张玉梅 陆建,"富春山馆:凝蕴山水精神”,『光明日报』,2016.11.06.
46. 陈立超,"建造的工法—关于‘富春山馆’外墙砌筑技艺的探讨和实践”,时代建筑,2018.04
47. 华黎,"高黎贡手工造纸博物馆”,『城市环境设计』,2011.11
48. 华黎,"建造的痕迹 —云南高黎贡手工造纸博物馆设计与建造志”,『建筑学报』,2011.06
49. 华黎,"武夷山竹筏育制工厂”,『建筑学报』,2015.04
50. 华黎,"回归本体的建造—武夷山竹筏育制场设计”,『时代建筑』,2014.09
51. 华黎,"武夷山竹筏育制场,南平, 福建,中国”,『世界家住建筑』,2015.02
52. 朱馥艺,“生态建筑的地域性与科学性”,『新建筑』,2002.08
53. 黄伟侠,“尊重环境与延续脉络之道 —— 简评澳门塔石卫生中心建筑设计”,『建筑学报』,2001.06
54. 刘恩芳,“难舍渐已逝去的上海里弄情怀——上海静安新福康里规划设计”,『建筑学报』,2002.10
55. 陈伯超,张福昌,王严力,“现代校园中的历史情结——沈阳建筑大学新校区脉络传承的实践”,『建筑学报』,2005.05
56. 阎少华,“易郡·新本土主义建筑”,『建筑学报』,2005.10
57. 舒平,汪丽君, 杨凯,“天津杨柳青新中式住宅”,『建筑学报』,2006.04
58. 郭卫宏,王智峰,海佳,“武汉大学文科区规划与建筑设计”,『建筑学报』,2007.08
59. 常青,“历史语境的现代表述—上海豫园方浜中路街廓建筑设计”,『建筑学报』,2008.12
60. 史建,“中国元素的“原型”与“编辑”——银泰中心语境中的裙楼屋顶花园酒吧设计解析”,『建筑学报』,2009.11
61. 梅洪元,张向宁,费腾,“文明承载与自然象征——黑龙江省博物馆建筑创作探索”,『建筑学报』,2009.07
62. 陈可石,王雨,“当代地域性策略在灾后重建中的探索实践——汶川水磨中学建筑设计”,『建筑学报』,2011.06
63. 魏春雨,许昊皓,卢健松,“异质同构——从岳麓书院到湖南大学”,『建筑学报』,2012.03
64. 鲁安东,刘克成,“异质的脉络——对刘克成金陵美术馆设计思路的讨论”,『建筑学报』,2014.03
65. 郭明卓,“融合城市肌理传承历史脉络——南越王宫博物馆的建筑设计”,『建筑学报』,2014.11
66. 沈磊,“城市的建筑理性的建筑时代的建筑——谈天津的建筑实践思考”,『建筑学报』,2015.04
67. 屈培青,“浮华隐去,拙朴为衷 — 临潼贾平凹文化艺术馆创作构思”,『建筑学报』,2015.07
68. 庄惟敏,屈培青,“将地域脉络根植于校园文化和空间中——北大光华管理学院(西安分院)设计对谈”,『建筑学报』,2016.04
69. 陈可石,“关乎情感以及生活本身——马岔村村民活动中心设计”,『建筑学报』,2016.04
70. 盘育丹,何镜堂, 郭卫宏, 郑常波,“根植脉络 传承创新——大厂民族宫建筑创作”,『建筑学报』,2016.11
71. 冯正功,吕彬,周宣东,蓝锋,王祺雯,“城市文脉的时间循迹 — 徐州城墙博物馆”,『建筑学报』,2018.04
72. 王建国,葛明 ,“别开林壑、随物赋形、构筑一体 — 扬州江苏省园艺博览会主展馆建筑设计”,『建筑学报』,2019.11
73. 刘永黎.沈中伟, "文脉在当代建筑设计中的语意解读” 『四川建筑科学』,2015.10,No.05
74. 程泰宁,“东西方文化比较与建筑创作”. 『建筑学报』,20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