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0.08_06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의 진단 및 전략 연구 弹性景观设计的诊断及策略研究 A Study on the Diagnosis and Strategy of Resilient Landscape Design

  • Name : 陈文丽ㅣCHEN WENLI
  • Info : 박사학위논문ㅣ博士学位论文ㅣDoctor's thesisㅣ2020.08
  • Adviser : 홍관선ㅣ洪宽善ㅣHong, Kwan-Seon
192.168.95.161

초록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재해에 대비할 수 있는 리질리언트 시티를 건설하는 것이 중요한 연구 분야로 대두되고 있는 동시에, 도시 중 경관 공간의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홍수를 대비할 수 있는 경관디자인의 잠재력은 매우 크다고 파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외 리질리언트 도시 이론을 도입하여 이를 적용한 경관디자인을 통해 도시의 홍수피해 대비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고, 리질리언트 개념과 리질리언트 시티 이론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 대해 서술한 후, 리질리언트 경관 이론의 개념과 중요성, 가치를 정리하였으며,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의 진단, 분석과 전략제시의 과정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경관계획 디자인 과정에서 어떻게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 개념을 적용하여 리질리언트 기능이 있는 공간 및 환경을 조성할지 탐구하는 것이다. 환경이 경관 자체의 리질리언트 한계치 내에서 리질리언트의 최대치를 발휘할 수 있게 해, 자체 시스템의 안정력, 적응력을 높이고 외부 충격을 없애며, 위기가 닥쳤을 때에도 그 주요 기능을 유지하여 홍수, 가뭄, 수자원 오염 등의 문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아울러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에 대한 진단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생태적 리질리언트, 공학적,사회적 리질리언트, 경제적 리질리언트 4개 측면의 16개 지표를 토대로, 진단, 종합분석하여, 본 연구의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로써 경관의 리질리언트 디자인을 건설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리질리언트의 개념은 2009년 도시계획 분야로 발전한 후 경관디자인 프로젝트에서도 이 개념을 응용하여 디자인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한 객관적 사례선정 근거를 유지하여 2009년 이후 현재까지의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 10개의 사례를 선정한 후, 사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배경과 목적을 서술하였다. 리질리언트 이론과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를 종합한 것을 바탕으로 연구 범위와 방법을 확정하였다.
제2장에서는 리질리언트 이론, 리질리언트 시티, 계획 분야와 리질리언트 경관 분야의 발전 과정에 관한 기초 이론을 종합적으로 서술하였다. 리질리언트 이론은 생태적 리질리언트, 공학적 리질리언트, 사회적 리질리언트, 경제적 리질리언트의 네 가지 측면에서 기본 내용을 요약하였다. 다음으로 리질리언트 경관의 중요성과 긍정적 가치를 서술하고, 마지막으로 한중 논문에 대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여 본 연구의 차별성을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리질리언트 경관의 이론적 분석과 조사를 바탕으로 현재 리질리언트 개념의 발전에서 경관디자인 분야의 생태적 리질리언트, 공학적 리질리언트, 사회적 리질리언트, 경제적 리질리언트 4가지 측면의 구체적인 표현과 내용을 분석하고,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의 16개의 진단지표를 요약해 진단지표 내의 16개 지표의 표현과 포함된 내용을 정리하였다.
제4장에서는 리질리언트 경관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 선정 기준과 분석 기준을 서술하고, 10개 사례의 디자인 배경, 디자인 내용, 디자인 결과를 분석하였다. 동시에, 제3장에서 도출된 진단지표 분석표에 따라 사례에 대해 진단분석을 진행하고, 경관생태학, 공학, 경관디자인 등 여러 분야를 종합하였다. 도출된 분석의 내용은 1. 생태적 리질리언트 (포함된 주요 내용: 생태계 서비스, 천연자원의 부족 정도, 생태환경 오염 정도와 재해 리스크), 2. 공학적 리질리언트 (포함된 주요 내용: 인프라 시스템, 효율성, 내구성, 가외성), 3. 사회적 리질리언트 (포함된 주요 내용: 사회자본, 사회적 정체성, 재해정책, 효율적인 리더십과 관리), 4. 경제적 리질리언트 (포함된 주요 내용: 경제 다원화의 정도, 경제 발전 촉진의 정도, 시스템을 통한 피해 감소, 재해 재산손실 평가)의다. 나아가 총괄표로서 10가지 사례의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 진단분석 결과를 정리하였다.
제5장은 제4장의 10개 사례 분석 진단 결과를 통해, 생태적 리질리언트, 공학적 리질리언트, 사회적 리질리언트, 경제적 리질리언트 4개 측면에 대한 리질리언트를 분석틀로 하여 10개의 사례의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 과정에서 구현된 내용을 이론과 결합해 종합 분석하여, 본 연구의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소결에서 전략도표를 정리하였다.
제6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과 연구의 한계성 및 향후 연구과제 등에 대해 서술하였다. 우선, 생태적 리질리언트, 공학적 리질리언트, 사회적 리질리언트, 경제적 리질리언트 등 4가지 차원과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 측면의 결론 6개를 도출하였다. 즉 생태계 시스템과 빗물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경관의 자아 복구 능력과 생태적 리질리언트를 향상하고, 리질리언트 재료와 다양한 동식물을 선택하여 내구성을 갖춘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하여 공학적 리질리언트를 향상시킨다. 재해 관리 체계를 보완하여 공공 참여를 촉진하고 지역 활동을 수립함으로써 사회적 리질리언트를 향상하고, 낮은 투자와 유지보수 비용을 통해 자원 낭비를 절감하고 다양한 공공 공간을 활용해, 주민 생활의 질을 향상함으로써 경제 발전을 촉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홍수 적응성 차원에서는 경관 디자인 측면의 결론 3개를 제시하였다. 즉 공학적 재해 예방 기술과 비공학적 시설을 결합하여 완벽한 재해 대비 응급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재해 발생 전, 재해 발생 중, 재해 발생 후 등 전체 과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내용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리질리언트 경관 이론에 관한 연구 중 부족한 부분과 이론 방면의 한계성과 문제점에 대해 서술하였다. 리질리언트 관련 이론을 경관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경관 디자인의 향후 전망을 예측하고, 본 연구의 혁신성은 리질리언트 경관디자인이라는 연구에 기초를 제공함과 동시에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적 가치가 있는 과제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摘要

随着一些自然灾害的频繁发生,构建灾害适应性的弹性城市成为研究热点,而景观空间逐渐在城市中发挥越来越大的作用,在应对洪水适应的景观设计中有着巨大潜力。本研究引入国内外弹性城市的理论,来通过景观设计提高城市面对洪水灾害的应对能力为本研究的出发点。 首先对弹性概念和弹性城市理论的形成发展过程进行了综述,并总结弹性景观理论的概念、重要性和价值。指导弹性景观设计应对洪水的诊断及策略研究。
本研究的目的是探究如何在景观规划设计过程中应用弹性景观设计理念,建设出景观弹性功能的空间及环境。使环境在景观自身的弹性阈值内能够发挥弹性最大值,增强其自身系统的稳定能力、适应能力,并具有化解外界冲击、在危机出现时仍能保持其主要功能运行的能力,以应对洪涝灾害、干旱缺水、水资源污染等问题。同时,针对解决城市水问题,对弹性景观设计进行诊断分析。以诊断结果为基础,对生态弹性、工程弹性、社会弹性、经济弹性4个层面的16个指标进行综合分析,提出本研究的弹性景观设计战略。为建设景观的弹性设计提供设计方法的借鉴。
弹性的概念在2009年发展到城市规划领域后,在景观设计项目中也开始应用这个概念进行设计。本研究最大限度地保持了客观事例的选取依据,选取了2009年至今的10个弹性景观设计案例进行具体的分析。
第一章阐述了本研究的主要研究背景和目的。在国内外对弹性理论以及弹性景观设计的研究综述的基础上,确定了研究范围和方法。
第二章的内容整体上是对‘弹性’从弹性理论的提出,以及弹性城市,规划领域和弹性景观领域的发展过程的相关基础理论进行了综合阐述。首先,归纳了弹性理论在生态弹性、工程弹性、社会弹性、经济弹性四个层面的基本内容。然后,阐述弹性景观的重要性和积极价值。最后,对韩中论文进行了先行研究,总结了本研究的差别性。
第三章在弹性景观的理论分析和调研的基础上,分析了现阶段弹性理念发展下景观设计领域中生态弹性、工程弹性、社会弹性、经济弹性四个层面的具体表现和内容,归纳推导出弹性景观设计的16个诊断指标,进而在诊断指标表格中阐述16个指标的表现和包括的内容。
第四章内容对弹性景观案例进了分析。 首先,阐述了案例选定基准和分析基准。其次,对10个案例的设计背景、设计内容、设计结果进行了分析,同时,依据第三章推导出的诊断指标分析表对案例进行了诊断分析,结合了景观生态学、工程学、景观设计多学科知识。确定的分析内容包括生态弹性(包含的主要内容:生态服务,自然资源短缺程度,生态环境污染程度,灾害风险),工学弹性(包含的主要内容:基础设施系统,效率,耐久性,冗余性),社会弹性(包含的主要内容:社会资本,社会认同,灾害政策,高效的领导与管理),经济弹性(包含的主要内容:经济多元化程度,促进经济发展发展程度,系统减少损失程度,灾害财产损失评估), 进而在小结部分总结出10个案例的弹性景观设计诊断结果。
第五章通过第四章10个案例分析诊断的结果,以提升生态弹性,工程弹性,社会弹性,经济弹性四个层面的弹性为分析框架,对10个案例在弹性景观设计过程中所体现的内容结合理论进行综合分析,提出本研究的弹性景观设计策略,最后在小结整理出策略图表。
第六章综述了本研究内容得出结论,以及研究的局限性和后续研究课题。第一,从生态弹性,工程弹性,社会弹性,经济弹性4个层面以及弹性景观设计方面,总结出6个结论。通过建设生态系统和雨水管理来提高景观的自我修复能力,提升生态弹性。通过弹性材料和多样性动植物的选择,打造具有耐久性的多种基础设施,提升工程弹性。通过完善灾害管理机制,促进公众参与,建立区域活动,提升社会弹性。通过低投入低维护来节约资源浪费,并利用多元化公共空间提升居民生活质量从而促进经济的发展。第二,从洪水适应性角度,提出关于景观设计的3个结论。通过工程性防灾技术与非工程性措施的结合,建设完整的避灾应急系统,对灾前、灾中、灾后的过程全面把控。最后,阐述目前研究在弹性景观理论方面还有很多的不足,理论方面具有一定的局限性与难点。把弹性相关理论运用到景观设计中,使景观设计更具前瞻性,本研究的创新性为今后课题研究提出基础的同时,依旧是一个继续深入研究的有意义的课题

Abstract

With the frequent occurrence of natural disasters, the construction of a resilient city that can prepare for disaster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research field, the potential of landscape design to prepare for floods in the context of the increasing role of landscape spaces in the city is determined to be very important. This study used domestic and foreign resilient city theory as a starting point for the study to improve the ability of the city to prepare for flood damage through landscape design. After describing the resilient concept and the process of forming and developing the resilient city theory, the concept, importance, and value of landscape theory were summarized, and the process of diagnosis, analysis, and strategy presentation of resilient landscape design was studi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how to create a space and environment with a resilient function by applying the concept of resilient landscape design in the process of landscape planning design. It enables the environment to exert the maximum of the resilient within the resilience limits of the landscape, increasing the stability and adaptability of its system, eliminating external shocks, and maintaining its main functions even in the event of a crisis such as flood, drought, water pollution, and more. Besides, diagnosis and analysis of the resilience landscape design were conducted. Based on 16 indicators of four aspects: ecological resilience, engineering resilience, social resilience, and economical resilience, a diagnostic and comprehens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resilience landscape design strategy of this study. By doing so, I intend to provide the policy foundation necessary to construct a resilient landscape design.
The concept of Resilient developed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in 2009 and began to design by applying this concept in landscape design projects. In this study, ten cases of resilient landscape design from 2009 to the present were selected after maintaining the basis of objective case selection as much as possible, and then the cases were analyzed in detail.
Chapter 1 describes the main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scope and method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synthesis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on resilient theory and resilient landscape design.
Chapter 2 comprehensively describes the theory of resilience, resilience city, planning and development of the resilience landscape. The theory of resilience summarizes the basics in four aspects: ecological resilience, engineering resilience, social resilience, and economical resilience. Next, the importance and positive value of the resilience landscape were described. Finally, the previous study on the Korea-China thesis was conducted to summarize the differences of this study.
In Chapter 3, ba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resilient landscapes, I analyze the specific expressions and contents of the four aspects of ecological resilience, engineering resilience, social resilience, and economical resilience in landscape design in the development of the current resilience concept. The summary of the 16 diagnostic indicators and the contents of the 16 indicators in the diagnostic indicators were summarized.
Chapter 4 analyzes the case of the resilience landscape. Case selection criteria and analysis criteria were described, and the design background, design contents, and design results of 10 cases were analyzed. At the same time, a diagnostic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a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able of diagnostic indicators derived in Chapter 3, and various fields such as landscape ecology, engineering, and landscape design were synthesized. The content of the derived analysis is 1. ecological resilience (main contents included: ecosystem services, lack of natural resources, ecological environment pollution degree and disaster risk), 2. engineering resilience (main contents included: infrastructure system, efficiency, durability , Resilience), 3. Social Resilience (main contents included: social capital, social identity, disaster policy, effective leadership and management), 4. Economic Resilience (main contents included: degree of economic diversification, degree of economic development promotion, Reduction of damage through the system and evaluation of disaster property loss). Furthermore, as a general table, the results of 10 cases of resilience landscape design diagnostic analysis are summarized.
In Chapter 5, throug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10 cases analyzed in Chapter 4, the contents implemented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landscape of 10 cases were designed using the analysis framework for the four aspects of ecological resilience, engineering resilience, social resilience, and economic resilience. In combination with the theory, a comprehens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resilience landscape design strategy of this study, and finally, a strategic diagram was prepared in result.
In chapter 6, the conclusion derived from this research,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illustrated. First, four dimensions : ecological resilient, engineering resilient, social resilient, economic resilient and 6 conclusions of the resilient scenery design aspect were derived. Hence, establishing the ecosystem and rainwater management system enhances the self-recovery capability of the scenery and ecological resilient, and establishing various infrastructures with durability by selecting the resilient materials and diverse animals and plants enhances the engineering resilient. Social resilient is enhanced by supplementing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to promote the public participating and establishing the local activities, It was shown that the reducing the wasted resources through low investment and maintenance cost and fostering the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residents' lives by utilizing various public spaces. Second, in terms of the flood adaptability, 3 conclusions of the scenery design aspect. In other words, an engineering disaster prevention technology and non-engineering facilities can be integrated to establish a perfect disaster preparation emergency system to have an overall control over the whole processes of pre-disaster, mid-disaster, post-disaster, etc. Finally,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in the field of theory and the deficiencies in the present research on the resilient scenery theory have been described. By applying the resilient-related theory to scenery design, the research predicted the future prospects of scenery design and found that the innovation of this study was a task of continuous research value in the future while providing the basis for the study of resilient scenery design.

키워드

  • # 리질리언트 시티 # 리질리언트 경관 #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 # 디자인 전략

  • # 弹性城市 # 弹性景观 # 弹性景观设计 # 设计战略

  • # Resilient city # Resilience Landscape # Resilience Landscape Design # Design strategic

참고문헌

[Book]

1. 서지영, 박병원, 이성호, 조규진, 윤정현, 『미래위험과 회복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조사연구 2014, p.13
2. 德国戴水道设计公司. 新加坡碧山宏茂桥公园与加冷河修复, 中华建筑报, 2013
3. 李德华,『城市规划. 城市规划原理』, 中国建筑工业出版社,2001
4. 西蒙兹, 孔坚, 志芳,等.『景观设计学漏地规划与设计手册』, 北京:中国建筑工业出版
5. (美)亚历山大·加文,盖尔·贝伦斯,等, 『城市公园与开放空间规划设计』, 中国建筑工业出版社,2007
6. A Stronger, More Resilient New York, New York: City of New York, 2013
7. Alliance R. Uaban resilience resarch prospectus, Australia: CSIRO, 2007, 2007-02.
8. Holling C. S, Resilience and stability of ecological system,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1973.
9. K Klap, A Future design for a safe, sustainable and attactive landscape of the Eemsdelta-region, Wageningen: Wageningen U, 2007
10. Klein R J T, Nicholls R J, Thomalla F. Resilience to natu- ral hazards: How useful is this concept, Environmental Hazards, 2003
11. Niall G. Kirkwood,Resilient Landscapes—Dimensions of Future Landscape Architectural Practices,2010
12. Polese M, The resilient city: On the determinants of successful urban economies/ZPaddison R, Hutton T. Cities and Economic Change. London: Forthcoming Press, 2010
13. Prasad, H. Ranghieri, F, Shah, F. Climate resilient cities : A primer on reducing vulnerabilities to disasters. Washington D. C: World Bank Publications, 2009

[Dissertation]

1. 김정곤, 임주호, 이성회, 「리질리언트(Resilience) 도시재생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연구지원 2016
2. 김정곤 외, 「리질리언트 시티 평가기준 및 도시재생 적용연구」, 『토지주택연구원』, 2017
3. 송혜승, 「적응순환이론의 적용을 통한 저층주거지 지역사회의 리질리언트 고찰」,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4. 이윤호, 「도시리질리언트 지표를 기반으로 한 재해관리현황 비교분석」,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5. 이혜민, 「도시 리질리언스 향상을 위한 홍수적응형 그린인프라 계획」,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6. 정윤남, 「리질리언트 시티 모형의 구축 및 적용, 도시 잠재력과 사회적 역량의 중요성 및 역할에 관한 고찰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7. 진정은, 「연안도시의 홍수적응방안의 탄력성 평가-뉴욕, 로테르담, 서울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8. 陈文晨, 「基于城市转型大背景下的山西大同城市绿道规划研究」, 北京林业大学, 2016
9. 段亚丽, 「弹性设计理念指导下的郑州市树木园景观规划」, 河南农业大学, 2014
10. 冯璐,「弹性城市视角下的风暴潮适应性景观基础设施研究」, 北京林业大学 风景园林学 博士论文, 2015
11. 焦琪, 「基于弹性景观理念的城市滨水绿地景观设计研究」, 北京林业大学, 2019
12. 刘丹, 「弹性城市的规划理念与方法研究」, 浙江大学, 2015
13. 王佳琛. 「弹性设计理念下的城市溪谷湿地公园规划设计研究」, 内蒙古农业大学, 2019
14. 王熙漫, 「行为学指导下的弹性景观设计初探」, 四川农业大学, 硕士论文, 2018
15. 袁磊, 「基于弹性思维视角的城市滨水景观设计策略研究」, 华中科技大学 硕士论文, 2016
16. 张九玲. 「弹性设计理念指导下的驻马店平舆县小清河景观规划设计」, 东北农业大学, 2018
17. 张馨月. 「基于雨洪管理的城市公园设计」, 北京林业大学, 2017
18. Wang Lu, Zhou Zhongkai,Sponge Wisdom in Holland:Benthemplein Water Plaza,Rotterdam, Architects'Note,2018

[Academic Journal]

1. 강현철, 이창고, “도시재생사업의 도시 리질리언트적 진단과 정책적 함의”, 『경기연구원』, GRI연구논총 2017, Vol.19(1)
2. 김정곤, 임주호, 이성회, "리질리언트(Resilience) 도시재생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연구지원 2016, Vol.36
3. 서지영, 박병원, 이성호, 조규진, 윤정현, "미래위험과 회복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조사연구 2011, Vol.178
4. 陈晨, “城市设计与详细规划”, 『城市规划学刊』, 2017
5. 陈崇贤,夏宇.“欠发达地区的风景园林设计一一以‘圣保罗’和‘基贝拉’的环境改善项目为例”, 『中国园林』,2013, Vol.29(12)
6. 冯璐, “纽约弹性水岸公园设计实践与启示 以布鲁克林大桥公园为例”, 『风景园林』, 2016, (01)
7. 国务院办公厅, "关于印发国家综合防灾减灾规划(2016—2020年)的通知”,『国办发』, 2016, Vol.12(2)
8. 何达, “弹性景观在城市湿地公园设计中的重要性探析”, 『江西建材』, 2019, Vol.(12)
9. 江必新,李春燕.“公众参与趋势对行政法和行政法学的挑战”, 『中国法学』, 2006
10. 李磊, 陈天, “滨海低地城市鹿特丹应对气候变化灾害的策略及路径”,『国际城市规划』, 2020
11. 马洪涛,张晓昕,王强.“基于模型的城市雨水系统改造规划方法——北京奥林匹克公园地区为例”, 『给水排水』, 2008,Vol.34(10)
12. 尼尔·G·柯克伍德, 刘琼琳. “弹性城市:印度孟买的索引”, 『风景园林』, 2016, Vol.(01)
13. 谭文永,孙艳东,“弹性城市目标下的绵阳市朝阳片区城市更新改造设计初探”,『西部人居环境学刊』, 2014, Vol.(1)
14. 王茜, “基于海绵城市理念的湿地公园设计——以哈尔滨群力雨洪公园为例”, 『中国花卉园艺』, 2017, Vol.(02)
15. 王一凡, “城市废弃地景观更新设计——以上海世博后滩公园为案例探讨”, 『艺术科技』, 2014, Vol.27(04)
16. 俞孔坚, “建筑与水涝共生——哈尔滨群力雨洪公园”, 『建筑学报』, 2012, Vol.(10)
17. 俞孔坚, “金华燕尾洲:生态、生态社会和文化弹性的诗意体现”,『城乡建设』,2016, Vol.(1)
18. 俞孔坚,俞宏前,等, “弹性景观——金华燕尾洲公园设计”, 『建筑学报』,2015(4):68-70.
19. 兪孔坚,凌世红,金园园,“滩的回归——上海世博会园区后滩公园”, 『城市环境设计』, 2007
20. 俞孔坚, "后滩公园”. 『风景园林』,2010
21. 张饮江,罗坤,左本荣,等, “上海世博园区后滩湿地植被特征初步分析”, 『上海农业学报』,2007,Vol.23(3)
22. 赵晨鹿, “弹性空间设计探究”, 『艺术与设计(理论)』, 2010
23. B. WALKER, C. S. HILLING, S. R. CARPENTER, and Ann Kinzig Resilience, Adaptability and Transformability in SocialEcological systems, Ecology and Society, 2004, Vol.9(2
24. Holling, a measure of the persistence of systems and of their ability to absorb change and disturbance and still maintain the same relationships between populations or state variables, 1973
25. Holling C. S,Resilience and stability of ecological systems,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1973
26. J. Wu, Urban ecology and sustainability: The state-of-the-science and future direction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125, 2014
27. Janes David Hale and Jon Sadler. Resilient ecologicai solutions for urban regeneration, Proceeding of the ICE-Engineering Sustainability. 2012, Vol.165(3)
28. LEICHENKO R, Climate change and urban resilience, Current Opinion i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2011, Vol.3(3)
29. Olsson p, Folke C, Berkes F. Adaptive comanagement, for building resilience in social-ecological systems, Environmental management, 2004, Vol.34(1)
30. Prabhakar, S. V R. K, Srinivasan, A. Shaw, R. Climate change and local level disaster risk reduction planning: Need,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Mitigauon and Adaptation Strategies for Global Change, 2009, Vol.14(01)
31. PIKE A, DAWLEY S, TOMANEY J. Resilience, Adaptation and Adaptability.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 Society, 2010, Vol.3(1)
32. R. J. T. Klein, R. J. Nicholls, and F. Thomalla, Resilience to natu-ral hazards: How useful is this concept, Environmental Hazards, ISSN: 1464-2867, 2004, Vol.5(1-2)
33. Rose A, Defining and measuring economic resilience to disasters, Disaster Prevention and Management, 2004, Vol.13(5)
34. Thomas Balsley Associates. Chelsea Waterside Park, 2013
35. YAO Peng, Open Space Practice and Enlightenment in the Revival of Waterfront Industrial Zones, New York—A Case Study of Hudson River Park, Chinese Landscape Architecture, 2014, Vol.30(02)

[Magazine]

1. Danial N. Robinson, "The Most Wanted Particle", 『Time January』, 1993, Vol.62

[Website]

1. ARUP, "100 Resilient Cities”, https://www.arup.com/projects/100-resilient-cities
2. Landscape Architecture, “경관 리질리언스 전략”, https://mp.weixin.qq.com/s/sgYHFUu kNd4oTtsEqm27Jw
3. Resalliance Alliance, http://www.resalliance.org/indcx.php/urban_resili6nce.
4. 百度百科,“金华燕尾洲公园”,https://baike.baidu.com/item/金华燕尾洲公园/8154762?fr=aladdin
5. 个人图书馆,“挪威Grorudparken”http://www.360doc.com/content/16/0110/22/ 29439811_526966932.shtml
6. gooood,“2015ASLA通用设计类荣誉奖:斯坦福市弥尔河公园和绿色廊道/OLIN”. https://www.gooood.cn/2015-asla-mill-river-park-and-greenway-by-olin.htm
7. HUDSON RIVER PK, “Hudson River Park Act”,http://www.hudsonriverpark.org/about-us/ hrpt/hrp-act.
8. [2017-01-13]. http://www.gov.cn/zhengce/content/2017-01/13/content_5159459.htm.
9. Landscape Architecture, “경관 리질리어스 전략”, https://mp.weixin.qq.com/s/sgYHFUukNd4oTtsEqm27Jw.
10. http://www.resalliance.org/indcx.php/urban_resili6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