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18.08_04

소통에 기반한 중국 도시재생의 평가에 관한 연구 基于沟通的中国城市再生评价研究 A Evaluation Study on Urban Regeneration for China – Based on Communication –

  • Name : 우첸ㅣWU QIAN
  • Info : 박사학위논문ㅣ博士学位论文ㅣDoctor's thesisㅣ2018.08
  • Adviser : 홍관선ㅣ洪宽山ㅣHong Kwan Seon
192.168.95.161

초록

본 논문의 연구배경은 도시재생 과정 속에서 정부, 기업, 시민, 전문가들 간의 대화와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사례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해 소통형 도시재생의 모델을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의 필요성, 연구 목적, 연구 방법, 그리고 연구 범위를 개괄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 같다.
본 연구는 ‘소통에 기반한 중국의 도시재생의 평가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소통형 도시재생 사례에서 나타난 소통 요소를 분석하며, 그에 따른 연구 분석사례의 범위로는 1980년 이후 최근 선진국 6개국(영국, 독일, 프랑스, 미국, 일본, 한국)으로 선정하였다. 사례분석과 전문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① 현 단계의 중국 도시재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순을 발견하고, 그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② 각 주체 간의 관계와 소통할 때 나타나는 특성과 단계별로 효과적인 소통모델을 제시하여 ③ 현존하는 도시재생의 모델을 소통형으로 개선하고,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를 심화하는 데에 있다. 정책적 주장은 실현 가능성이 부족하다면 대부분 그저 탁상공론에 불과하게 될 것이다. 중국 도시재생이론의 대부분은 거시적 차원의 정책에만 머물러 있어, 참여주체의 소통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도시재생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의 수는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이는 중국이 오늘날 도시재생 이론이 실천과정을 거치면서 겪게 되는 매우 현실적인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먼저 도시재생이론에 대한 고찰을 통해 소통형 도시재생을 정의한다. 국내외 도시재생과 상관된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 환경과 소통 관점에서 근대 도시재생을 분석하였다. ① 도시재생 참여 주체 간의 소통 측면에서 출발하여 현재 발전단계인 중국 도시재생사업 소통 이론 및 시민참여형 도시재생이론을 분석하였고 ② 도시재생이론에 대한 고찰을 통해 소통형 도시재생을 정의하였다. ③ 선진국의 도시재생 전략과 현황을 고찰하고, 중국의 도시재생의 과정, 현황, 그리고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④ 도시재생의 영역과 소통전달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중국 소통형 도시재생과 다른 국가에서 진행한 시민(주민) 참여형 도시재생과의 차이점을 도출하여, 이를 이론적 근거는 중국 소통형 도시재생의 이론적 프레임을 구축하였다.
또한 최근 국내외에서 진행한 도시재생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시작되어 경험이 풍부한 16개 도시를 선정하였으며 그 대상은 ①영국 런던시 도클랜드 지역, ②맨체스터시 노스무어 지역, ③쉐필드시 도심 지역, ④프랑스 드-본느 지역, ⑤리용 협의정비지구(ZAC) ⑥독일 코트부스 작센도르프-마들로 지역, ⑦베를린 시 동서 13개 지역, ⑧미국 Denver 시, ⑨Main street Iowa, ⑩일본 효고현 고베시 마노지구, ⑪동경 스미다구, ⑫한국 서울 강동구, ⑬인천시 구도심, ⑭인천시 산업단지, ⑮부산시 사상구, ⑯부산시 서구이다.
진행한 사례분석 결과를 토대로 중국의 도시재생영역, 공공정책 영역, 경관디자인 관리영역의 전문가 10명이 심층인터뷰를 하였고 전문가 설문지조사도 하였다. 전문가 설문지조사는 총 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중국 내 도시재생의 소통단계의 주체, 소통의 과정을 정량적 평가하도록 하였다. 58명 전문가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각 단계별 평가항목들의 가중치를 추출하였다.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오늘날 중국 내의 소통요소의 작용체제와 관련성을 정리하였고, 그 내재적 연결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통계결과와 평가내용을 근거로, 오늘날 중국의 현황과 문제점에 적합한 중국내 도시재생의 소통형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 사례분석을 이용해서 평가항목을 도출하여 4장에서 도출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평가항목의 가중치 및 평가점수의 기준에 기반한 평가 리스트를 구축하였고. 따라서 5장의 결과물이 나왔다. 5장 결과물에 대한 전문가 피드백을 받은 후 6장으로 본 논문의 주요 결론 및 제언과 연구적 가치와 한계를 서술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인 소통형 도시재생은 중국 현 단계의 국가운영에 적합하며, 현재 중국이 응용가능한 도시재생 모형이라고 판단된다. 본 모형은 독특한 시각으로 중국의 도시재생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소통형 도시재생 모형의 합리성을 검증하였다.

摘要

本论文的研究背景是从城市再生过程中需要加强政府、企业、市民、专家之间的对话和相互作用开始的。因此本研究想通过案例分析和问卷调查来评价沟通型城市再生的模型。概括地说明研究的必要性、研究目的、研究方法和研究范围如下。
本研究是"基于沟通的中国城市再生的评价研究"。在研究方法上,分析沟通型城市再生事例中出现的沟通要素,分析事例的范围从1980年以后到最近选定了6个发达国家(英国、德国、法国、美国、日本、韩国)。案例分析和专家问卷调查并行。
本论文的研究目的在于①发现当前阶段中国城市再生过程中产生的矛盾,为解决这一矛盾,②提出与各主体间的关系沟通时出现的特点和分阶段有效的沟通模式,③将现有城市再生模式改善为沟通型,并深化城市再生相关研究。如果政策性主张缺乏实现可能性,大部分只能是纸上谈兵。中国城市再生理论大部分停留在宏观层面,因此,对参与主体沟通进行详细分析,解决城市再生问题的研究数量非常不足。可以说,这是中国今天城市再生理论在实践过程中遇到的非常现实的问题。
首先通过对城市再生理论的考察,定义沟通型城市再生。以国内外城市再生相关的经验为基础,从社会、环境和沟通的角度分析了近代城市再生。①从城市再生参与主体之间的沟通层面出发,分析了目前发展阶段的中国城市再生事业沟通理论及市民参与型城市再生理论。ⅹ通过对城市再生理论的考察,定义了沟通型城市再生。③ 考察了发达国家的城市再生战略和现状,了解了中国的城市再生过程、现状以及存在的问题。④通过关于城市再生的领域和沟通传达的先行研究分析,得出中国沟通型城市再生与其他国家进行的市民(居民)参与型城市再生的差异点,理论根据构建了中国沟通型城市再生的理论框架。
并且通过最近国内外进行的城市再生相关先行研究分析,选定了较早时期开始城市再生、经验丰富的16座城市。其对象是①英国伦敦市多克兰地区、②曼彻斯特城北莫尔区、③雪佛兰市中心地区、④法国德-邦尼地区、⑤贝尔西协议开发地区(ZAC)⑥德国萨克森多夫-马德洛地区、⑦柏林市东西13个地区、⑧美国丹佛市、⑨Main street Iowa、⑩日本兵库县神越真野地区、 ⑪东京墨田区 ⑫ 韩国首尔江东区、 ⑬仁川市旧城中心、⑭仁川市工业园区、⑮釜山市沙上区、⑯釜山市西区。以进行的事例分析结果为基础,对中国城市再生领域、公共政策领域、景观设计管理领域的10名专家进行了深层采访,还进行了专家问卷调查。专家问卷调查以58人为对象进行问卷调查,对中国国内城市再生的沟通阶段的主体、沟通过程进行定量评价。利用58名专家的数据提取了各阶段评估项目的权重值。以所产生的内容为基础,整理了当今中国国内沟通要素的作用体制和关联性,并形成了内在联系因素,以得出的统计结果和评价内容为依据,构建符合当今中国现状和问题的中国国内城市再生的沟通型模式。
在第三章中利用事例分析得出评价项目,利用第四章中得出的数据构建了基于评价项目加权值及评价分数的标准的评价清单。所以得出第5章的结果。达到专家对第五章结果的反馈后,用第6章叙述了本论文的主要结论及建议和研究价值和局限,并提出了今后的研究方向。
本论文的研究结果显示,沟通型城市再生适合中国现阶段的国家运营,是目前中国可以应用的城市再生模型。本模型以独特的视角解决中国的城市再生问题,通过专家采访和问卷调查,验证了沟通型城市再生模式的合理性。

Abstract

The research background of this paper emphasizes that strengthening the dialogue and interaction among the roles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cess and expanding the social influence of urban regeneration in China are the most important step facing the urban regeneration in China toda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model of communicative urban regeneration through case analysis and questionnaire. The necessity of research, research objec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scope of research are as follows.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China based on communication‘. In the research method, we analyzed the communication factors that appeared in the case of the communication type urban regeneration. Since 1980, it has selected six developed countries (namely, England, Germany, France, USA, Japan, and Korea). The methods of case study and expert questionnaire were combined in the study.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1) discover contradictions in the current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in China and (2) to resolve such contradictions and to deepen the research on urban regeneration. Policy claims will most likely be a desk-based publicity only if they are not feasible. Most of the urban regeneration theories in China are manifested only in the macroscopic policy, and the number of researches to resolve urban regeneration problem is far from enough, which can be seen as a realistic problem that confronted by China today as the urban regeneration theory has gone through practice.
First, we define the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urban regeneration theory. Based on the experiences related to domestic and overseas urban regeneration, we analyzed the regeneration of modern c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ety,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respectively. ① This paper analyzed urban regeneration and current stage of citizen participation in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② This paper determined communicative urban regeneration theory model by the study of urban regeneration theory. ③ This paper reviewed the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and present conditions of developed countries and identified the process, status quo, and problems of urban regeneration in China. ④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on the area of ​​urban regeneration and communi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regeneration of communicative city in China and in other countries.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es on urban regeneration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and urban regeneration started at a comparatively early period, 16 cities with rich experience were selected. The subjects were ① the city of Docklands in London, England, ③ Sheffield downtown area, ④ France de-Beaune area, ⑤ Lyon Conservation maintenance area (ZAC), ⑥ Germany‘s Cotswolds Dorf-Maduro area, ⑦ East and West area of ​​Berlin city, ⑧ Denver city, ⑩ Japan Hyogo Prefecture Kobe City Mano District, ⑪ Tokyo Sumida City, ⑫ Seoul Gangdong District, ⑬ Incheon City Old Town, ⑭ Incheon City Industrial Complex, ⑮ Busan Sasang-gu, and ⑯ West Busa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ies, ten experts in urban regeneration area, public policy area, and landscape design management area in China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ed by professional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8 respondents. The questionnaire survey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in urban regeneration in China. Using the data of 58 experts, the weight of the evaluation items at each stage was extracted. Based on the deduced contents, we have summarized the operational system and relation of communication elements in China today and derived the inherent connection elements. In addition, based on the statistical results and evaluation results, we tried to construct a communication model of urban regeneration in China that is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in China.
In Chapter 3, we derive the evaluation items using case analysis. Using the data derived from Chapter 4, we constructed an evaluation list based on the weight of the evaluation items and the criteria of the evaluation scores. Therefore, the results of Chapter 5 were concluded. Chapter 5 is about the expert feedback on the results. Chapter 6 describes the main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is paper, its research values and limitations, and presents future research orien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ommunicative urban regeneration is suitable for the current state of China. This model can solve the problem of urban regeneration in China with a unique perspective. Expert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verify the rationality of the urban regeneration model.

키워드

  • # 소통 # 도시재생 # 중국 # 평가 # 도시환경

  • # 沟通 # 城市再生 # 中国 # 评价 # 城市环境

  • # Communication # urban regeneration # China # evaluation # urban environment

참고문헌

[Book]

1. 용학, 『사회연결망이론』, 서울: 박영사, 2013
2. 채서일,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서울: 학현사, 1996,
3.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 대가, 2009.04
4. 刘建明、纪忠慧、王莉丽:『舆论学概论-여론학개론』, 北京中国传媒大学出版社, 북경중국전매대학출판사, 2009
5. 장윤배, 『도시의 재생』, 경기개발연구원출판사, 2009

[Dissertation]

1. 이정동, 「도시재생사업의 평가지표 도출 및 거버넌스 체계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 이원규, 「미국 시애틀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수법으로서 어반빌리지(Urban Village) 전략에 관한 연구: 공공 프로젝트 재생과 민간 디자인 컨트롤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 왕로걸, 「중국의 효율적 도시재생 방안에 관한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 한슬기, 「영국 도시재생사업 실행주체로서 주도적 디벨로퍼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 장용일, 「도시재생 사례분석을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정책에 관한 연구-영국 독일 일본 한국의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대학원 공학석사학위논문, 2016
6. 송성민, 「도시정비법제상 도시재생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7. 윤입용, 「문화·예술을 활용한 중국의 도시재생 -북경과 상해 사례」,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8. 김새미, 「영국의 문화주도 재생정책 - 리버풀과 뉴캐슬게이츠헤드 사례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9. 강기용, 「주민참여에 의한 도시재생 활성화 방안 연구 - 인천루원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0. 박재은,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정책 연구 -홍대앞 문화예술생태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1. 이원상, 「도심재생전략으로서 재개발정책의 특성 및 갈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 2007
12. 류동길, 「주민참여를 통한 항만형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 방안 - 부산 북항 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3. 김민혁, 「도시재생에서의 주민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2015년도 제2기 청주시 도시재생대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4. 이지혜, 「영국 파트너쉽 주도형 도시재생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5. 왕로걸, 「중국의 효율적 도시재생 방안에 관한연구」,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6. 송종철, 「도시재생사업 의사소통 합리성의 영향요인과 구조적 특성」,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7. 이미숙, 「지역사회의 네트워크 활성화요인에 관한 연구: 금천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8. 전상인, 「계획이론의 탈근대적 전환에 대한 비판적 성찰」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9. 유병권, 「도시계획과정의 정책네트워크 특성에 한 연구」, 서울시립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0. 명순식, 「대한민국 제4공화국 국가권력에 대한 헌법적 정당성 평가」.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10
21. 박순영, 「정치권력의 합법성과 법의 정당성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22. 전미현,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성실성이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3. 기혜경, 「교사-학생 간 의사소통의 합리성에 관한 분석-하버마스의 보편 화용론을 중심으로」, 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4. 정미숙, 「국민연금도의 형평성에관한 연구-갹출과 급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5. 성시한, 「우리나라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구성원의 공정성 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한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6. 이태성, 「의사소통 합리성에 근거한 사회과 토론 수업의 설계 및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7. 장용일, 「도시재생 사례분석을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정책에 관한 연구」, 협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7
28. 강다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에서의 디자이너 및 이해관계자 역할에 관한 연구 - 3.0 정부 국민디자인단의 우수사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29. 김주경, 「환경 R&D 투자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전략 연구-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0. 刘春波,「舆论引导论-여론인도론」,武汉大学무한대학 박사학위논문,2013
31. 禹婧,「北京市流动人口聚居区‘社区参与型‘베이징시 유동인구 밀집지역의 ‘사회지역 참여형‘의 거주환경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베이징건축대학, 석사학위논문,2016
32. 黄燕,「法国城市复兴过程中旧工业更新的公共政策研究: 프랑스 도시재생에 공업재생의 정책연구」,同济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Academic Journal]

1. 이정동, 「도시재생을 위한 역사문화자원의 활용 방안」, 문화재청, 1권 2호, 2008
2. 이영석, 김동하, 「프랑스 그르노블 도시지역계획(PLU) 및 도시재생사업 특성 연구 - 군사시설 이전적지의 드-본느 협의정비지구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4권, 제5호 2013,
3. 오덕성, 박천보, 「독일의 도심재생을 위한 재개발사업의 특성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권 4호 통권 186호. 2004
4. 강인호, 김선명, 「미국지방정부의 도시재생전략」, 한국공공관리학보, 29권 1호, 2015
5. 김영경,이정형,「포괄적 근린 커뮤니티 재생수법으로서 미국 메인스트리트 프로그램 (Main Street Programs)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10
6. 박세훈, 「일본의 도시재생정책,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9권 2호. 2004
7. 이명훈, 김수연, 조미정, 황지욱, 「한·일도시재생 특별법 비교를 통한 개선 방안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8권 6호, 2014
8. 신희권, 「도시민참여형 도심재생모델의 정립」, 한국정치정보학회 학술논문, 2007
9. 장리브가, 윤철재, 「일본의 민간개발 유도형 도시재생정책의 제도적 특징과 활용에 관한 연구 - 동경도의 도시개발제제도와 제도에 따른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학술논문, 2016
10. 채종헌,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공공갈등의 구조 분석: 울진 신원전 건설과 관련된 공공갈등 사례 연구」,한국행정학보, 43관 2호, 2009
11. 이영석, 김동하, 「프랑스 그르노블 도시지역계획(PLU) 및 도시재생사업 특성 연구 - 군사시설 이전적지의 드-본느 협의정비지구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4관 5호, 2013
12. 한지형, 홍상훈, 김지엽, 「통합적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계획 특성에 관 한 연구 - 독일 코트부스 작센도르프-마들로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연합논문집, 16권, 2014
13. 강인호, 김선명, 「미국지방정부의 도시재생전략", 한국공공관리학보, 29관 1호, 2015
14. 박소현, 「덴버 역사 도심부의 보행자 몰」세계의 도시디자인: 도시설계 사례 편, 2010
15. 윤석진, 「인천시 산업단지 조성 성과에 대한 실증연구: 인천지방산업단지 및 인천서부지방산업단지 사례분석」, 연구과제 요약보고서, 2017
16. 구경민, 「노후공단 인근 주거지 주거환경실태와 재생사업 추진방향에 대한 고찰-부산시 사상공업지역 인근 주거지를 중심으로」, 2014
17. 陈浩, 张京祥, 吴启焰, 「转型期城市空间再开发中非均衡博弈的透视: 전환기에 도시공간 재개발과정의 대화식」, 城市规划学刊, 12관 5호, 2010
18. 杜英歌, 刘延平, 「中国非政府组织面临的立法困境及改革: 중국 비정부 기구의 궁지」, 东北大学学报(社会科学版), 13관 1호, 2011
19. 张静波, 「社区社会组织参与社会建设的路径: 지역공동체가 사회를 건설하는 방식」, 光明日报, 11관 4호, 2010
20. 易晓峰, 「从地产导向到文化导向——1980 年代以来的英国城市更新方法: 1980년대 이후 영국 도시재생의 방식—부동산주도형부터 문화주도형로 전환한 과정」, 城市规划 6관, 2009
21. 郭湘闽, 「土地再开发机制约束下的旧城更新困境剖析: 토지재개발의 도시재생 문제」, 城市规划, 32관 10호, 2008
22. 张平宇, 「城市再生-21世纪中国城市化趋势」, 地理科学进展, 11권 6호, 2004
23. 黄静, 王诤诤, 「上海市旧区改造的模式创新研究: 상하이시 옛 지역 개선모델의 신흥연구」, 城市发展研究, 22권, 2015
24. 陈浩,张京祥,林存松. 「城市空间开发中的“反增长政治”研究——基于南京‘老城南事件‘的实证: 도시공간 개발 속 ”반작용 정치“연구: 남경 ‘노성남 사건’의 실례를 기반으로」. 城市规划:도시계획,2015
25. 刘青昊,李建波. 「关于衰败历史城区当代复兴的规划讨论——从南京老城南保护社会讨论事件说起: 쇠퇴 역사지역의 당대 부흥계획에 관한 토론: 남경 노성남 보호의 사회토론사건에서부터」. 城市规划:도시계획,2011
26. 杨锐,赵岩. 「优雅地老去:南京老城南历史街区的景观复兴策略. 现代城市研究:남경 노성남 지역의 역사거리의 경관 부흥 책략, 현대도시연구」,2011
27. 张元端, 「我国城市改造的发展方向: 중국 도시개조의 발잔방향」,住宅科技, 7관, 1994
28. 阳建强, 「我国旧城更新改造的主要矛盾分析: 중국 옛 도시의 갱신개조의 주요모순 분석」. 城市规划汇刊, 제4호, 1995
29. 李斌, 徐歆彦, 邵怡, 李华, 「城市更新中公众参与模式研究: 도시재생에 시민참여형식 연구」, 学术论文专刊, 8관 2호, 2012

[Magazine]

1. 中国建设信息化,业界:新闻资讯,2017,7월호.
2. 徐晶慧. 广州城中村改造征安置意见 合法面积"拆一补一"광저우 도시 내 징수-배치 개선에 관한 의견, 합법적인 “1철거 1보상”. 南方日报:남방일보, 2012
3. 吕嘉欣,"广州都市再生中的公众参与研究: 광저우 도시재생의 대중참여에 관한 연구",广州大学석사학위논문,2013

[Website]

1. ‘노스무어 홈존에 관하여‘, http://www.northmoorhomezone.org.uk/
2. 부산시 사상구 공업지역 재생사업지구 https://blog.naver.com/k2m332/220757870926
3. 아미. 초장 도시재생 프로젝트-다시 희망을 노래하다! https://blog.naver.com/seogu00/220946594488
4. 중화인민공화국 사회발전사 http://shs.ndrc.gov.cn/zcyj/201703/t20170313_840881.html
5. 광저우의 각 개선마을의 거주민이 대표하지 않고 이주-철거시 발생하는 위험을 피하는 공략. http://bbs.tianya.cn/post-329-206381-1.shtml, 2010
6. 中华人民共和国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 및 개혁위원회 http://www.ndrc.gov.cn/gzdt/201606/t20160603_80639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