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M.2018.08_05

디즈니 애니메이션 <피노키오>(1940)의 공간에 대한 의미 분석 迪士尼动画片《木偶奇遇记》(1940)空间的意义分析 An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Disney Animation (1940)

  • Name : 김민경ㅣKim, Min-Kyung
  • Info : 석사학위논문ㅣ硕士学位论文ㅣMaster's thesisㅣ2018.08
  • Adviser : 김세화ㅣ徐汉锡ㅣKim, Se HWA
192.168.95.161

초록

애니메이션은 관객으로 하여금 재현된 세상이 내포하는 사회상이나 견해를 무의식중에 수용하게 하는 힘이 있다. 이러한 힘은 어린이들에게 특정 사안이나 견해에 대해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작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애니메이션에 이러한 힘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작품을 선정하여 여기에서 드러나는 시각적 표현들에 대한 의미작용(signification)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1940년에 발표된 디즈니의 <피노키오>를 선정하였다. <피노키오>는 디즈니의 작품 중에서도 캐릭터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교훈을 전하는 기능이 강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과 관련된 의미작용 분석연구는 주로 캐릭터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현대의 애니메이션은 캐릭터를 중심으로 흘러가는 주요 서사뿐만이 아니라 공간 안에서 드러나는 부가적인 배경이미지도 고유의 의미를 담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 작품의 프레임 안에서 묘사된 공간적인 표현(Spatial expression)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 애니메이션의 배경 장면에 내재된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즉, 배경 공간에 내포된 의미(connoted meaning)와 이것이 모여 생성해내는 전반적인 이념이 어떠한 의도로 애니메이션 작품 속에 내포되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피노키오 작품의 서사구조(narrative structure)를 파악하여 주요한 사건이 벌어지는 공간 4곳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각각의 공간(space)에 내재된 공시적 의미( synchronic meaning)를 해석하기 위해 롤랑 바르트의 기호분석 체계(Roland Barthes’s Analysis system of symbol)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공간을 구성하는 소품들이 어떻게 관계구조(relational structure)를 이루어 공간의 상징 의미를 생성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잔 랭거(Susanne Langer)의 표상적 상징 형식(representational symbolic form)을 도입하였다. 이어서 배경을 구성하는 색들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고자 각 공간에 대해 대표적으로 3개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한국표준색 색채분석(KSCA) 시스템에 적용하였고, 이 결과를 I.R.I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에 적용하여 형용사 이미지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모든 결과를 종합하여, 기호학적 분석에 의한 공간의 상징 의미해석과 색채의 배색으로 나타나는 의미성이 일치하는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피노키오>에 등장하는 첫 번째 공간인 ‘제페토의 집’은 생명의 탄생과 관련되어 어머니의 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공간인 ‘인형 극단’과 해당 배경이미지를 구성하는 소품들과의 관계구조를 살펴보았을 때, 생명이 도구화된 물질만능주의 사회를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공간인 ‘오락의 섬’은 규율과 도덕성이 파괴된 타락한 사회를 보여준다. 네 번째 공간인 ‘바다’는 나무 인형인 피노키오의 완전한 죽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피노키오의 죽음은 이 후 제페토의 집으로 회귀하면서 완전한 인간으로 거듭나는 전환점이다. 이와 같이 <피노키오>의 공간에 대한 서사구조는 구약성서의 요나이야기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디즈니의 <피노키오>가 개봉된 당시 미국의 상황이 작품에 어떻게 반영되어있는지를 살펴보았다. 1940년대 당시 2차 세계 대전이 진행 중이던 상황에서, 미국은 디즈니의 <피노키오> 애니메이션을 통해 어린이들로 하여금 군인으로서 참전하여 얻게 되는 성숙과 그 행위의 숭고한 가치를 주입시킴으로써, 마땅히 국가를 위해 헌신하는 국민으로 자라도록 교육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노키오가 자본시장과 전쟁터를 의미하는 각각의 공간을 거치면서 ‘완벽한(피노키오가 완전한 사람이 되는) 남성어른으로’ 성장해 간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는 당시 미국에서 요구하는 ‘이상적인’ 남성성의 형성 과정을 어린이들에게 신화(myth)화 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기독교 문화를 바탕으로, 주어진 사명을 외면하던 요나가 큰 물고기에게 삼켜져 뱃속에서 3일을 지내고 회개한 후 다시 세상에 나와 사명을 완수하였다는 요나서의 공간구조를 모방함으로써 작품에 숨겨둔 의도를 보편적 가치로 받아들이게끔 유도했음을 알 수 있다.

摘要

动画片具有使观众无意识地接受再现世界的社会面貌和见解的力量。这种力量可以起儿童对特定的事案或见解无批判地接受的作用。因此,本论文观察这种力量以儿童为对象的动画片的作用。为此,选定了具体的作品,并分析其中对意义作用(signification) 的视觉表现。分析对象选定了1940年迪斯尼发表的《木偶奇遇记》。因为《木偶奇遇记 》在迪士尼的作品中具有很强的传达角色成长和变化教训的功能。
一般来说,与动画片相关的意义作用分析研究主要集中在角色上。但是现代的动画片不仅包含了以角色为中心的主要叙事,还包含了空间中出现的附加性背景形象。因此本论文将研究的重点放在动画作品框架内描述的空间表现(Spatial expression),试图解释动画片背景场景的内在意义 即,要分析背景空间内包含的意义(connoted meaning)和聚集生成的整体理念出于何种意图而包含在动画片作品中。 为此,采取了以下方法。首先,掌握木偶奇遇记作品的叙事结构(narrative structure),选定了主要事件发生的4处空间。其次,为了解各自空间(space)中蕴含的时空意义(synchronic meaning),应用了罗兰巴特的符号分析体系(Roland Barthes's Analysis system of symbol)。为了了解构成空间的道具如何构成关系结构(relational structure)并产生空间的象征意义),引进了苏珊•兰格(Susanne Langer)的表象象征形式(representational symbolic form)。接着,为了掌握构成背景的颜色所具有的意义,对各个空间提取了3个代表性图像,并应用于韩国标准色色彩分析(KSCA)系统,并将结果应用在I.R.I形容词形象的尺度上,从而推导出形成形容词形象。最后,综合以上所有的结果,探讨了符号学分析中空间的象征意义解析和色彩配色所表现出来的意义是否一致。
本研究的分析结果显示,《木偶奇遇记 》中出现的第一个空间"杰佩托的家"与生命的诞生有关,意味着母亲的怀抱。从第二个空间"玩偶剧团"和构成相应背景形象的道具之间的关系结构来看,意味着生命被工具化的物质万能主义社会。第三个空间"娱乐之岛"表现了纪律和道德遭到破坏的堕落社会。第四个空间"大海"意味着木偶木偶奇遇记的完全死亡。但是,木偶奇遇记的死后他回到泽佩托的家,成为完整人类的转折点。 由此可见,对《木偶奇遇记》空间的叙事结构与旧约圣经的约拿故事相似。
以上分析结果为基础,观察了迪斯尼的《木偶奇遇记 》上映当时美国的情况如何反映到作品中。20世纪40年代当时正在进行第二次世界大战,美国通过迪斯尼的《木偶奇遇记 》动画片,向儿童灌输作为军人参战所获得的成熟及其行为崇高的价值,教育他们成长为为国家献身的国民。具体来说,这意味着匹诺曹在资本市场和意味着战争现场的各自空间中"成长为完美(匹诺曹成为完整人的)男性大人"。这是把当时美国要求的"理想男性性"的形成过程对儿童的神话(myth)化。
另一方面,可以看出以基督教文化为基础,曾忽视赋予使命的瑶拉被大鱼吞噬,在肚子里度过3天之后悔改,重新回归世界,模仿瑶拉书"完成了使命"的空间结构,诱导人们将隐藏在作品中的意图视为普遍价值。

Abstract

Animation has the power to let audiences embrace the social aspects or views of a reproduced world without realizing them. This power also makes children uncritically accepting certain issues or views. In this paper, we wanted to see how these forces work in animation targeting children. To that end, specific works were selected and the semantic actions (signification) of the visual representations shown here were analyzed. The subject of the analysis was Disney's published in 1940. Selected for is one of Disney's most powerful books that tells the story of character growth and change.
In general, studies of semantic action related to animation have focused mainly on characters. However, modern animation has its own meaning, not only the major epic flowing around characters but also the additional epic that is shown in space. Therefore, this paper was intended to interpret the meaning inherent in the background scene of the animation by focusing on the space represented in the frame of the animated work. In other words, he wanted to find out what connoted meaning is implicit in the animation film and what the overall ideology it creates in the background is.
This was accomplish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he identifi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Pinocchio's work and selected four places where major events take place. Next, the Roland Barthes’s Analysis System of Symbol shall be used to interpret the official synchronic meaning of each space. We used it and introduced the representational symbolic form of Susanne Langer to see how the relational structure of the props that make up the space creates the meaning of spa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olors that make up the background, three images extracted from each space were extracted through the Korean Standard Color Analysis (KSCA) system and this result was applied to the Korean Standard Color Adjectives by I.R.I. Finally, all of these results were combined to examine whether the meaning of the symbolic interpretation of the space and the color scheme of colors are consistent.
The analysis of this study showed that Geppetto's house, the first place in , was the beginning of life, in relation to the birth of life. In the second space, “The Doll Theater, " you look at the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ater and the surrounding props, and you see life as a tool. It turned out to be a materialistic society. The third place, ‘ Island of Recreation, ‘ shows a corrupt society in which discipline and morality are destroyed. The fourth space, ‘ The Sea, ‘ means the complete death of Pinocchio, a wooden puppet. But this death of Pinocchio is the whole point of being reborn as a complete human being returning to Geppetto's house afterwards. Thus, we can see that the epic structure of the space of Pinocchio is similar to the Jonas story of the Old Testament.
Based on the above analysis, I looked at how the American situation reflected when Disney's was released. With the World War II going on in the 1940s, the United States deserves to instill in its children the maturity and noble value of its actions by serving in the war through Disney's Pinocchio animations. Specifically, Pinocchio is meant to grow up as a ‘ perfect man ‘ through each capital market and each space that represents a battlefield. This is a myth that the U.S. demanded at the time is a process of forming an “ideal" masculinity with children. On the one hand, based on the culture of Christianity, Jonas was swallowed by a big fish, and he had to live three days in the stomach, repent, and come back to earth to fulfill his mission.

키워드

  • # 디즈니 피노키오(Disney Pinocchio) # 장편 애니메이션(Full-lengthAnimation) # 애니메이션 공간(Space in Animation) # 롤랑바르트(Roland Barthes) # 수잔 랭거(Susanne Langer)

  • # 设计程序 # 非常设展示空间

  • # Disney Pinocchio # Full-lengthAnimation # Space in Animation # Roland Barthes # Susanne Langer

참고문헌

[Book]

1. 베르나르 투셍, 운학로 역, 『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청하 번역서, 1987, p.15
2. 박영식, “서양철학사의 이해: 탈레스의 아르케에서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까지”, 『철학과 현실사』, 2008.
3. 백선기, 『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p.224.
4. 르나르 투셍, 운학로 역, 『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청하 번역서, 1987, p.15
5. 오동열, 『각국 병역제도 비교연구』, 고려문화사, 1990, p. 203.
6. 오동일, 『디즈니 스튜디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pp.64-66.
7. 이동후, 『미디어 생태이론(커뮤니케이션 이해 총서)』,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pp.99-106.
8. 이영돈, 『영상콘텐츠제작사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p.204.
9. 조창연, 『기호학과 미학』,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10. Brett E. Morris, “The effects of the draft on U.S. Presidential approval ratings during the Vietnam War, 1954-1975”, pp. 34-5.
11. Susanne K. Langer, 『Problems of Art』, 1957, pp.133-134.
12. U.S. President’s Commission on an All-Volunteer Armed Force, The Report of the President’s Commission on an All-Volunteer Armed Force, (New York, Macmillan, 1970), p. 156.

[Dissertation]

1. 곽수, "애니메이션 엔딩 타이틀 의미작용에 대한연구-미국과 중국 장편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동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 김경아, "애니메이션 캐릭터 표현의 상징성과 의미구조",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p.89.
3. 김계원, “성공한 디즈니애니메이션들의 스토리전개에 관한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7, p.9.
4. 김근혜, "닉슨 행정부의 모병제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p.3.
5. 김동원, 박형진, "애니메이션 캐릭터 표현의 상징성과 의미구조",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09, pp.40-41.
6. 김수정, "애니메이션 영화에 나타난 ‘장난꾸러기 캐릭터’의 특징 연구- 쿵푸 펜더 2, 겨울 왕국, 인사이드 아웃, 슈렉 2,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pp.112-113.
7. 김윤배,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기호학적 생성구조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pp.27-28, p.54.
8. 김윤배, "장편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기호학적 구조에 관한 연구-창작모형을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시각디자인연구소」, 2003.
9. 김지혜, "1990년대 한국영화 흥핵작 대사 연구-롤랑 바르트의 신화이론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p.3.
10. 김태형, “기호학적 방법론을 통한 그래픽 디자인의 의미분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p.5.
11. 김형석, 김성훈, “붉은 돼지에 나타난 캐릭터와 텍스트의 의미구조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 2014, pp.243-255.
12. 류지혜, "영화 오프닝 시퀀스에서 보여지는 기호학적 방법론을 통한 그래픽이미지 연구-영화 007시리즈 오프닝시퀀스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pp.2-3.
13. 민신기, "영화 배트맨 반동인물들의 캐릭터 성격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p.787.
14. 백민선, "애니메이션 동화를 활용한 조망수용중심 문학치료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pp.78-79.
15. 백지원, "쿠마 켄고의 자연스러운 건축에 나타난 색채 이미지 분석- 저서,<자연스러운 건축>에 삽입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015, pp.119-129.
16. 변청산,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유머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비교분석-",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7. 서수정, "한국 장편애니메이션의 공간정치학",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pp.3-4.
18. 서태희,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반전 캐릭터 성격유형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p.17.
19. 성례아, "장편 애니메이션의 재미요소와 관객의 심리적 재미에 대한 상관관계",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p.161.
20. 손주락,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감정 표현에 따른 배경설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p.104-106.
21. 송천호, "TV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감정표현에 따른 배경효과와 은유적 언어표현과의 관계",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pp.81-84.
22. 양첩예, "중국 애니메이션에 반영된 중국 사회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신필(神筆)>, <나타노해(哪吒鬧海)>,<보련등(寶蓮燈)>, <마란화(馬蘭花)>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3. 오동일,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외시 의미적 표현과 소통의 경향", 「한국콘텐츠학회」, 2014, pp.575-583.
24. 陸方, "애니메이션의 의미생성구조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 동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pp.34-35, p.139.
25. 이동주, "장편 애니메이션 내러티브 구조 요소 분석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p.88.
26. 이병관, 이상원, “장편 애니메이션 <짱구는 못 말려 : 어른제국의 역습>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4, pp.109-130.
27. 이완규, "장편애니메이션 <크리스마스의 악몽> 미장센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p.52.
28. 이혜원, "디즈니애니메이션의 영웅서사와 환상성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p.16.
29. 진주현, "포스트 아포칼립스 영화의 신화론적 의미구조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p.5.
30. 최정화, "애니메이션 동화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학습이 학습부진아의 국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p.53.
31. 최지혜, "동화의 애니메이션화에 관한 연구-그림동화 「백설공주」의 디즈니메이션 「백설공주와 일곱난쟁이」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p.15.
32. 하진숙, 유제분, "수잔 랭거의 예술생명론과 봉산탈춤", 「한국연극학회」, 제 64호, 2017, p.41.

[Website]

1. 네이버지식백과, ‘집', ‘마차', ‘무대', ‘섬', ‘바다', '요나', https://terms.naver.com/
2. 커뮤니케이션북스, ‘디즈니 스튜디오’, http://commbooks.com/
3. ㈜살림출판사, ‘월트 디즈니’, http://www.sallimbooks.com
4. 세계애니메이션백과,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http://www.hanulmplus.kr/
5. 두산백과, ‘요나콤플렉스 [Jonah complex]’, http://www.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