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2.02_04

MUJI 디자인에 나타난 근원 의식과 지속가능한 생태디자인적 특성에 관한 연구 关于MUJI设计中体现的根源意识和可持续生态设计特性的研究 A Study on the Origin Consciousness and Sustainable Eco-Design Characteristics of MUJI Design

  • Name : 판옌니(樊燕妮)/FAN YANNI
  • Info : 박사학위논문/博士学位论文/Doctor's thesis/ 2022.02
  • Adviser : 송만용/宋万庸/Song, Man-Yong
192.168.95.172

초록

20세기의 디자인은 마치 양날의 검과 같이 대량생산과 대중소비의 수요를 자극하여 사회 및 경제의 신속한 발전을 촉진했다. 다른 한편으로 물질적 풍요를 추구하는 디자인은 생산-소비-폐기의 프로세스 모델에 빠지게 되었고, 이러한 대량생산은 필연적으로 플라스틱 등 비자연적 순환 재질의 폐기로 이어지게 되어 생태계 위기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지구의 지속가능성과 생태계의 회복탄력성을 손상시켰다.
유례없는 환경과 생태적 위기 직면하여 현대 디자인은 디자이너에게 이러한 연관성에 대한 책임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디자인 분야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생태적 자연과 사회·문화의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과 ‘회복탄력성(Resilience)’의 개념으로 축약됐다. 이에 유엔은 2015년에 2016-2030년 지속가능 개발 목표(SDGs)를 수립하고,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디자인(Sustainable Design)’ 세계의 구축을 제시했다. SDGs의 지속 가능한 디자인은 지구 환경과 인류를 위한 총체적인 개념으로써 경제, 사회, 문화, 생태학 등 여러 분야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책임감 있는 생산과 소비를 주장했다.
그러나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지속가능성’은 서양적 사고방식이라기보다는 동양철학, 즉 중국, 한국, 일본의 선(禪)사상과 비슷한 부분이 존재한다. 그 이유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이 단순히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개념이 아닌, 미래를 추구하는 지향성과 함께 인간과 자연환경 사이의 균형과 조화로운 관계를 도모하는 디자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특히 선(禪)사상의 ‘자연무위(自然無為)’, ‘만물동정(萬物同情)’, ‘생생불식(生生不息)’, ‘유무상생(有無相生)’의 개념과 마찬가지로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자연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자연적인 생활’이라는 관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는 충만한 생명력을 지닌 생태철학적 사고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선(禪)사상이 지니는 지속가능한 생태적 이념은 동양철학, 특히 선(禪)사상과 생태학 및 디자인을 연결하는 중요한 연결고리이다.
중국과 한국의 선(禪)사상은 단순히 종교의 영역에 영향을 미친 반면 일본의 선(禪)사상은 ‘와비(侘わび)’와 ‘사비(寂さび)’의 심미적 의식으로 변형되어 예술과 디자인 분야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말부터 MUJI로 대표되는 일본 디자인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사람들로 하여금 그동안 서양 디자인에서는 볼 수 없었던 ‘자연, 소박, 치유’를 느낄 수 있도록 했으며, 이는 와비·사비의 심미적 의식에서 비롯됐다. 와비·사비의 영향으로 MUJI디자인은 자연스럽고, 심플하며, 소박하고, 불완전한 디자인을 추구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통해 선(禪)사상은 지속가능한 생태적 이념과 MUJI 디자인을 한데 연결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MUJI 디자인이 갖는 생태 환경적 디자인의 특징이 일본 선사상에서 출발하였다는 사실에서 출발하였다. 그런데 일본의 선사상은 중국의 선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일본 선사상에 영향을 받은 MUJI 디자인이 갖는 생태 디자인적 특징이 중국적 선사상의 주요개념과 연관되어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는 현재의 디자인이 생성-사용-폐기라는 순환적 특징만 갖는 것이 아니라 인문학적 근원의식에서 출발하여 인간과 자연의 상호 공존을 지향하는 생태학적인‘지속가능성’과 선사상의 자연관과 연결되어 있음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선사상에 기원한 “MUJI 디자인에 나타난 근원 의식과 지속가능한 생태 디자인적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이 6개의 부분으로 분류되어 진행됐다.
제1장은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 그리고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을 서술했다.
제2장은 생태학과 생태 디자인에 대한 종합적인 이론적 고찰을 진행했다.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서양 생태학의 개념과 동양 선(禪)사상의 자연관, 일본 선사상과 자연미 의식,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개념과 양상을 세 가지로 정리했다. 이후 한국, 중국, 서양 논문에서 나타난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MUJI 디자인’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했다.
제3장은 두 가지로 분류되며 지속가능성과 선(禪)사상의 연결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고찰했다. 첫째, 서양 지속가능성의 특징을 바탕으로 지속가능성과 선(禪)사상 속 ‘자연무위(自然無為)’, ‘만물동정(萬物同情)’, ‘생생불식(生生不息)’, ‘유무상생(有無相生)’의 구체적인 연관성을 분석했다. 둘째, 지속가능성과 선사상의 연결에 대해서 1차 전문가 검증을 진행하였다.
제4장에서는 MUJI 디자인에 선사상과 지속가능성의 관계와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일본의 선(禪)사상을 반영한 MUJI 디자인의 배경에 대해 정리했다. 둘째, 분석사례 선정 기준 및 분석 방법을 서술하였다. 셋째, 디자인 기획과 개발 관점, 디자인 생산과 제조 관점, 디자인 투입과 사용관점, 디자인 회수와 폐기 관점의 4 가지 관점에 근거하여 20개 사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제5장에서는 제4장의 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MUJI 디자인의 4가지 생태적 특징과 8개의 세부 특징을 정리 및 도출하였다. 먼저, MUJI의 지속가능한 생태디자인 특성에 대한 2차 전문가 검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생태적 특징은 자연법칙에 순응하는 디자인으로, 세부 특징은 연적 심미를 추구하는 디자인 제창과 자연적인 행위에 부합하는 디자인이다. 두 번째 생태적 특징은 생태환경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세부 특징은 사용자 참여 디자인 과정과 전통 민예에 근거한 디자인이다. 세 번째 생태적 특징은 안정성과 내구성을 지닌 디자인으로, 세부적인 특징은 전형적인 디자인과 다양성을 포용하는 디자인이다. 네 번째 생태적 특징은 변화에 적응한 디자인으로, 세부적인 특징은 폐기물을 활용한 리디자인과 구매 대체 공유 디자인이다.
제6장은 연구 내용에 대한 종합적인 정리를 진행하여 결론을 도출했다.
본 연구는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이론적으로 연구한 논문으로 동양철학의 선(禪)사상의 관점에서 지속가능성과 디자인 간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했다. 현재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생태학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위한 이성적이고 객관적인 과학적 뒷받침을 제공하고 있지만, 생태계 위기 문제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일본 선(禪)사상의 영향을 받은 MUJI 디자인에 주목하여 지속 가능성과 선(禪)사상의 구체적인 연관성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여 지속가능성, 선(禪)사상, MUJI 디자인 간의 연관성을 구축했다. 아울러 일련의 MUJI 디자인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MUJI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지속 가능한 생태 디자인의 특징을 도출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생태디자인 특성을 선(禪)사상적 관점에 의해 고찰 하였다는데 큰의의가 있으며 이에 따른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보는 시스템에서 내재적 연결의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디자인 개념에 대한 재인식은 물론 사례연구를 위한 이론적 틀의 중요성을 요구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이너와 브랜드 전문가들이 동양철학과 미학에 기반을 둔 브랜드 컨셉과 디자인 컨셉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종합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摘要

二十世纪的设计犹如一把双刃剑,刺激大量生产和大众消费的需求,促进了社会及经济的快速发展。另一方面,求物质富饶的设计陷入了生产-消费-废弃的过程模式,这种大量生产必然导致塑料等非自然循环材料的废弃,不仅引发了生态危机,还损害了地球的可持续性和生态界的恢复力。
面对前所未有的环境和生态危机,现代设计开始要求设计师负责对这种关联性的责任。特别是最近几年,在设计领域对这些问题的自我反省的声音被浓缩为追求生态自然和社会、文化持续发展的"可持续性(Sustainability)"和"恢复力(Resilience)"的概念。对此,联合国在2015年制定了2016-2030年可持续发展目标(SDGs),提出了构建人与自然和谐共存的"可持续设计(Sustainable Design)"世界。 SDGs的可持续设计是地球环境和人类的总体概念,主张综合考虑经济、社会、文化、生态学等多个领域之间的关系,负责任的生产和消费。
但可持续设计的"可持续性"与其说是西方思维方式,不如说是与东方哲学,即中国、韩国、日本的禅思想存在相似之处。其理由是可持续的设计不是单纯的保护自然环境的概念,而是追求未来的指向性、谋求人与自然环境之间的均衡和协调关系的设计概念。特别是与禅思想的"自然无为"、"万物同情"、"生生不息"、"有无相生"的概念一样,可持续的设计具有尊重和热爱自然的"自然生活"的观念。从这个意义上说,这是具有充满生命力的生态哲学思考。因此,禅思想所具有的可持续生态理念是连接东方哲学,特别是禅思想和生态学及设计的重要纽带。
中国和韩国的禅思想单纯对宗教领域产生了影响,而日本的禅思想则转变为"不完整"和"寂静"的审美意识,对艺术和设计领域产生了重大影响。从20世纪末开始,以MUJI为代表的日本设计在全世界范围内受到关注,让人们感受到此前西方设计中从未有过的"自然、朴素、治愈",这源于Wabi、Sabi的审美意识。受Wabi、Sabi的影响,MUJI设计开始追求自然、简单、朴素、不完整的设计,由此可以看出禅思想将可持续的生态理念和MUJI设计连接在一起。
因此,本研究源于MUJI设计所具有的生态环境设计特征从日本禅思想开始的。但日本的禅思想根植于中国的禅思想。因此,考察了受到日本禅思想影响的MUJI设计所具有的生态设计特征与中国禅思想的主要概念有关。本研究旨在表明,现在的设计不仅具有生成-使用-废弃的循环特征,而且从人文学根源意识出发,与人类和自然相互共存的生态学上的"可持续性"和禅思想自然观相连。 因此,本研究的目的是考察起源于禅思想形象的"MUJI设计中出现的根源意识和可持续的生态设计特性"
本研究分为以下六个部分进行。
第一章叙述了研究背景、研究目的、研究范围及研究方法。
第二章对生态学和生态设计进行了综合性理论考察。首先通过文献调查整理了三种西方生态学的概念和东方禅思想的自然观、日本禅师和自然美意识、可持续设计的概念和形态。之后分析了韩国、中国、西方论文中出现的"可持续设计"和"MUJI设计"相关的先行研究。
第三章分为两种,重点考察了可持续性和禅思想的连接。 第一,以西方可持续性的特征为基础,分析了可持续性和禅思想中"自然无为"、"万物同情"、"生生不息"、"有无相生"的具体关联性。 第二,对可持续性和禅思想的连接进行了第一次专家验证。
第四章对MUJI设计进行了禅思想和可持续性的关系和事例分析。第一,整理了反映日本禅思想的MUJI设计背景。第二,叙述了分析案例选定标准及分析方法。第三,根据设计企划和开发观点、设计生产和制造观点、设计投入和使用观点、设计回收和废弃观点四个观点,对20个事例进行了分析。
第五章以第四章的事例分析结果为基础,整理并导出了MUJI设计的4个生态特征和八个细节特征。首先,对MUJI可持续生态设计特性进行了第二次专家验证。第一个生态特征是顺应自然规律的设计,细节特征是追求情趣的设计提倡和符合自然行为的设计。第二个生态特征是能够感知生态环境变化的设计,具体特征是根据使用者参与设计过程和传统民艺的设计。第三个生态特征是具有稳定性和耐久性的设计,具体特征是典型的设计和包容多样性的设计。第四个生态特征是适应变化的设计,具体特征是利用废弃物的重新设计和购买代替共享设计。
第六章对研究内容进行了综合整理,得出了结论。
本研究是从理论上研究可持续设计的论文,从东方哲学的禅思想的观点出发,研究了可持续性和设计之间的关联性。目前,对可持续性的研究大部分从生态学观点出发,为可持续设计提供了理性、客观的科学支撑,但对生态系统危机问题的本质缺乏哲学性、深入的研究。在此背景下,本研究关注受到日本禅思想影响的MUJI设计,对可持续性和禅思想的具体关联性进行了深入研究,构建了可持续性、禅思想、MUJI设计之间的关联性。同时,通过对一系列MUJI设计事例的分析,得出了MUJI设计中出现的可持续生态设计的特征。
因此,本研究对以禅思想观点考察可持续的生态设计特性具有重大意义,在观察可持续设计的系统中提出内在连接的观点,不仅有助于重新认识可持续的设计概念,而且有助于要求事例研究的理论框架的重要性。
通过本研究,设计师和品牌专家在构建以东方哲学和美学为基础的品牌概念和设计概念的过程中,有望提供综合性的启示。

Abstract

The design of the 20th century stimulated the demand for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like a double-edged sword, promoting rapid development of society and economy. On the other hand, the design pursuing material abundance fell into the process model of production-consumption-disposal, which inevitably led to the disposal of natural circulating materials such as plastic, leading to an ecosystem crisis, as well as impairing Earth’s sustainability and ecosystem resilience.
Faced with an unprecedented environment and ecological crisis, modern design began to hold designers accountable for this connection.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voices of self-reflection on these issues have been abbreviated into the concepts of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which pursue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ecological nature, society, and culture. In response, the United Nations establishe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n 2015 and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world of “sustainable design” in which humans and nature coexist in harmony. SDGs’s sustainable design insisted on responsi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ields such a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ecology as a holistic concept for the global environment and humanity.
However, the ‘sustainability’ of sustainable design is not a Western way of thinking, but rather a similar part to oriental philosophy, that is, the Zen thought in China, Korea, and Japan. The reason is that sustainable design is not simply a concept of protecting the natural environment, but a design concept that promotes a balance and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long with a future-seeking orientation. In particular, like the concepts of “Natural inaction(自然無為)”, “Compassion for All Things(萬物同情)”, “life and growth in nature(生生不息)”, and “Existence and nonexistence give birth to one another(有無相生)”, in the Zen thought, sustainable design has the notion of ‘natural life’ that respects and loves nature.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o be an ecological philosophical thinking with full vitality. Thus, the sustainable ecological ideology of Zen thought is an important link between oriental philosophy, especially Zen thought, ecology, and design.
While Chinese and Korean Zen thought simply influenced the realm of religion, Japanese Zen thought were transformed into aesthetic consciousness of “Wabi” and “Sabi”, which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ield of art and design. Since the end of the 20th century, Japanese design represented by MUJI has attracted worldwide attention, allowing people to feel “nature, simplicity, and healing” that has not been seen in Western design, which stems from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Wabi and Sabi. Due to the influence of Wabi and Sabi, MUJI design began to pursue natural, simple and incomplete designs, indicating that line ideas linked sustainable ecological ideology and MUJI design together.
Therefore,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the ecological environment design characteristics of MUJI design began with Japanese Zen thought. However, Japanese Zen thought are rooted in Chinese Zen thought.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the ecological design characteristics of MUJI design influenced by Japanese Zen thought are related to the main Chinese Zen thought concepts.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at the current design has not only a cyclical characteristic of creation-use-disposal, but is also connected to the ecological “sustainability” that aims for mutual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na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rigin Consciousness and Sustainable Eco-Design Characteristics of MUJI Design” from the Zen thought.
This study was classified into six parts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s the research background, research purpose, research scope, and research method.
Chapter 2 conducted a comprehensive theoretical review of ecology and ecological design. First, through a literature survey, the concept of Western ecology, the natural view of Eastern Zen thought, the Japanese prehistoric image and natural beauty consciousness, and the concept and aspect of sustainable design were summarized into three. Since the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ustainable design’ and ‘MUJI design’ have been analyzed in Korean, Chinese, and Western papers.
Chapter 3 i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and the connection between sustainability and Zen thought was intensively considered. Firs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Western sustainability, we analyzed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ility and “Natural inaction(自然無為)”, “Compassion for All Things(萬物同情)”, “life and growth in nature(生生不息)”, and “Existence and nonexistence give birth to one another(有無相生)”. Second, the first expert verification was conducted on sustainability and Zen thought connection.
In Chapter 4,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Zen thought and sustainability in MUJI design. First, the background of the MUJI design reflecting the Japanese Zen thought was summarized. Second, the criteria and analysis method for selecting analysis cases were described. Third, the analysis of 20 cases was conducted based on four perspectives: design planning and development perspectives, design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perspectives, design input and use perspectives, and design recovery and disposal perspectives.
Chapter 5 summarizes and derives four ecological features and eight detailed features of the MUJI design based on the case analysis results of Chapter 4. First, the second expert verification of the sustainable ecological design characteristics of MUJI was conducted. The first ecological feature is a design that conforms to the laws of nature, and the detailed feature is a design that conforms to the design proposal and natural behavior that pursues a soft aesthetic. The second ecological feature is a design that can detect changes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detailed feature is a design based on the user participation design process and traditional folk art. The third ecological feature is a design with stability and durability, and the detailed feature is a typical design and a design that embraces diversity. The fourth ecological feature is the design adapted to change, and the detailed feature is the redesign using waste and the alternative shared design for purchase.
Chapter 6 drew conclusions by conducting a comprehensive summary of the research contents.
This study theoretically studied sustainable design and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ility and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Zen thought in oriental philosophy. Currently, most studies on sustainability start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and provide rational and objective scientific support for sustainable design, but philosophical and in-depth studies on the nature of the ecosystem crisis problem are insufficient.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focused on MUJI design influenced by Japanese Zen thought and conducted in-depth research on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ility and Zen thought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ility, Zen thought, and MUJI design. In addition, through analysis of a series of MUJI design cases, the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ecological design that appear in MUJI design were derived.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ecological design from Zen thought, and thus suggests the perspective of intrinsic connection in a system to view sustainable design to help demand the importance of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ase studie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designers and brand experts will be able to provide comprehensive implications in the process of building brand concepts and design concepts based on oriental philosophy and aesthetics.

키워드

  • #MUJI 디자인
  • # 지속가능한 디자인
  • # 생태 디자인적 특성
  • # 선(禪)사상

  • #MUJI设计,可持续设计,生态设计的特征,禅思想

  • #MUJI design
  • # sustainable design
  • # ecological design characteristics
  • # Zen thought

참고문헌

[Book]

1. 하라 켄야,『디자인의 디자인』, 광시 사범대학 출판부, 2009
2. 다케히코,『간소简素-일본 문화의 근본』,사회과학문헌출판사, 2016
3. Ptricia J.Graha,『일본 디자인』,생활·독서·신지 삼련서점출판사, 2017
4. 김진,『칸트와 생태주의적 사유』, 울산대학교 출판부, 1998
5. 우메하라 다케시(うめはら・たけし),『상생과 순환의 철학-영원을 살다』, 쇼가쿠칸 출판사, 1996
6. 빅터 파파넥, 이은재, 현용순 역,『인간을 위한 디자인』,서울 미진사 출판사, 1983
7. 빅터 파파넥, 조영식, 김태선, 심효영 역, 『녹색위기: 디자인과 건축의 생태성과 윤리』, 서울하우스 출판사, 2011
8. 다나카 잇코, 『디자인의 각성』,광서사범대 출판사, 2009
9. 고토 다케시, 후카사와 나오토, 사사기 마사코, 『디자인 생태학』, 세종출판사, 2005
10. Sherin. Aaris, 우정준 역,『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위한 지침』, 서울 디자인 리서치 앤플래닝 출판사, 2009
11. 나오미 플록, 『일본의 제품디자인100』, 미메시스, 2014
12. 쓰다 소키치,『중국사상과일본사상』,소화, 2001
13. 쓰지 노부오,『일본미술 이해의 길잡이』,시공사, 1995
14. Hargrove Eugene C , 김형철 역,『환경 윤리학(Foundation of environment ethics)』,서울 철학과현실사, 1994
15. 콘텐츠 비즈니스 연구회,『(하루키, 키티, MUJI를 통해 본) 일본의 문화 아이콘』, 서울 : 미래를소유한사람들, 2010
16. 증전명자 , 노경아, 『MUJI 무인양품 보이지 않는 마케팅』, 서울 : 라이팅하우스, 2017
17. Ryohin Keikaku,『(MUJI) 무인양품의 생각과 말』, 파주: 웅진지식하우스 : 웅진씽크빅, 2020
18. 나가오카 겐메, 남진희, 『디자인하지 않는 디자이너』, 파주 : 아트북스, 2010
19. 후카사와 나오토, Morrison, Jasper,『평범함 속에 숨겨진 감동 슈퍼노멀』, 파주 : 안그라픽스, 2009
20. 조영식,『위대한 디자이너의 철학과 영향력 : 큰글씨책』,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21. 하라 켄야,『백』, 안그라픽스, 2009
22. 야나기 무네요시, 『다도와 일본의美』, 한림신서, 2004
23. 조형식,『스마트 엔지니어링과 스마트 PLM』, Computers, 2010
24. 야나기 무네요시, 『工艺文化』, 广西师范大学出版社, 2011
25. 스즈키 다이세츠, 『선과 일본문화(禪與日本文化)』, 譯林出版社, 2014
26. 邓绍秋,『道禪生態美學智慧(도선(道禪) 생태미학 지혜)』, 옌볜 인민 출판사, 2006
27. 曾繁仁,『生態美學-曾繁仁美學文獻(생태미학-曾繁仁미학문선)』,산둥 문예 출판사, 2019
28. 卢政,『中國古典美學的生態智慧研究(중국 고전 미학의 생태 지혜 연구)』,인민출판사, 2016
29. 良品計画,『MUJI生成的「思考」与「言语」』, 臺北 : 天下雜誌, 2019
30. 渡邊米英,『無印良品 : 世界戰略と經營改革』, 東京 : 商業界, 2012
31. 王诺,『欧美生态文学』,北京大学出版社, 2003
32. 鲁枢元,『生态文艺学』,陕西人民教育出版社, 2000
33. 曾繁仁,『生态美学导论』, 商务印书馆, 2010
34. 曾繁仁,『生态美学基本问题研究』, 人民出版社, 2015
35. NORMAN D A., Design Psychology 3:Emotional Design, China Citic Press, 2010
36. マガジンハウス 編集部,『MUJI & ME : いちばん新しい、無印良品のこと』, 東京 : マガジンハウス, 2012
37. Leopold, Aldo, A Sand County Almanac,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66
38. Shedroff Nathan, Design is the problem : the future of design must be sustainable, N.Y. : Rosenfeld Media, 2009
39. TOM RUSS, Sustainability and Design Ethics, 重庆大学出版社, 2016
40. R. Buckminster Fuller, Operating Manual for Spaceship Earth, 华中科技大学出版社, 2017
41. Rolston Holmes, Environmental ethics : duties to and values in the natural world,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1989
42. Berleant Arnold, Aesthetics Beyond the Arts : New and Recent Essays, Farnham, Surrey, England ; Burlington, VT : Ashgate, 2012
43. Chick Anne , Micklethwaite Paul, Design for sustainable change : how design and designers can drive the sustainability agenda, Lausanne : Ava Pub Sa, 2011
44. JOH & Company,『Brand Balance . 53 , MUJI』, Seoul : JOH & Company, 2017
45. Gregory A.Keoleian, Dan Menerey,「Life Cycle Design Guidance Manual: Environmental Requirements and The Product System」, In Gregory A.Keoleian etal.,『Product Life Cycle Assessment to Reduce Health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s』,NDC(Noyes Data Corporation),1994; Gregory A.Keoleian, Jonathan E.Koch,Dan Menerey,『Life Cycle Design Framework and Demonstration Projects』,EPA/600/R-95/107, 1995

[Dissertation]

1. 박혜준,「생태미학적 관점에서 본 현대 패션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 황윤정,「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의 미니멀리즘 경향에 나타난 선(禪)사상」,홍익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3. 감선주,「4차 산업혁명시대 지속가능성 디자인 개발을 위한 한국적 이미지 패션제품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4. 손영진,「생태미학 관점에서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개념과 적용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 중외공원을 중심으로」,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5. 양은지,「생태미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 전통 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도가사상을 중심으로」,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 나유신,「현대 패션과 건축 디자인에 나타난 지속가능성 경향」,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7. 전유미,「텍스타일 디자인의 감성적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8. 李琳,「중국 불교의 생태 심미적 지혜 연구」,박사학위 논문, 2009
9. 张庸铭,「庄子的生态美学与当代反思」, 박사학위논문, 2015
10. 王诺,「欧美生态批评研究」, 박사학위논문, 2007
11. 岳芬,「西方环境美学中的中国生态思想影响研究」, 박사학위논문, 2017
12. 王小妍,「生态视野下当代产品设计新价值研究」, 박사학위논문, 2018
13. 李阳,「禪风西渐:禪宗美学对美国战后艺术的影响」,박사학위논문, 2019
14. 潘丹丹,「生态伦理及其实践研究」,베이징교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5. 赵东,「自然之道与美学-论庄子哲学的美学转化」,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6. 王校军,「柔性设计模式-基于弹性理念的生态城市设计策略研究」,천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7. 王群,「旅游地社会=生态系统恢复力研究-以千岛湖为例」,안후이사범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8. 付晶,「上海城市景观格局, 生态效应及恢复力特征」,상해사범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9. 刘志敏,「社会生态视角的城市韧性研究-以沈阳市中心城区为例」,동북사범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20. 古璇,「生产性消费的伦理研究」,동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1. 王冠文,「生态文化的多维审视与构建研究」,다롄 해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2. 马琳,「先秦儒家‘生生’思想的生态伦理研究」,남경사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3. 王娟,「论曾繁仁生态美学观」,석사학위논문, 2013

[Academic Journal]

1. 이대웅, “재난정책분야의 회복탄력성(Resilience) 결정요인 분석”,『한국정책학회보』,2017, Vol.26(2)정윤섭, “환경의식과 생태학적 디자인 고찰”,『한국 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Vol.58(-)
2. 정윤섭, “환경의식과 생태학적 디자인 고찰”,『한국 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Vol.58(-)
3. 맹형재, 서희봉, “하라 켄야의 ‘백(白)’ 특성에 관한 연구 -무인양품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Vol.26(4)
4. 남미경, “무인양품 사례와 하라켄야의 리디자인사고에 관한 연구”,『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9, Vol.25(3)
5. 최유진, 이윤진, “해외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제품 컬러의 연관성-이케아와 무인양품 중심으로”,『한국색채학회』, 2017, Vol.31(3)
6. 채승진, 노다운, 권오성, “제품디자인 개발에 있어 지속가능디자인 방법의 수립과 적용”,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Vol.17(4)
7. 이주형,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별 활용 가능한 친환경 지속가능 디자인가이드라인 개발”, 『한국디자인학회』, 2012, Vol.3(1)
8. 판옌니 , 송만용, “중국의 선(禪)사상으로 본 무인양품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 2020, Vol.11(11)
9. 판옌니 , 송만용, “MUJI 디자인의 생태미학과 융합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021, Vol.39(2)
10. 판옌니 , 송만용, “MUJI 디자인의 지속가능한 생태융합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021, Vol.39(4)
11. 양은지, 김개천, “생태미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 전통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0, Vol.19(3)
12. 남치우, “동서양의 생태미학 지형 연구-心然의 생태미학에 대한 시론”,『한국동양예술학회』, 2020, Vol.46
13. 신정원, “생태주의 미학의 가능성: 미디어아트 작품을 중심으로”,『인문콘텐스학회』, 2020, Vol.0(58)
14. 서희봉, 맹형재, “일본 현대디자인에 나타난 젠 스타일 미니멀리즘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Vol.21(2)
15. 서희주, “윌리엄 모리스의 미학에서 생태적 사유와 실천”,『새한철학회 논문집』,2019, Vol.97(3)
16. 맹형재, 서희봉, “일본 젠 스타일(Zen Style) 디자인의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한국디자인문화학회』,2019, Vol.25(4)
17. 배정민, “생태미학관점에서 살펴본 미니멀리즘 패션디자인의 표현 특성 연구”,『한국기초조형학회』,2013, Vol.14(2)
18. 유현주, “생태미학에서의'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개념연구-Sacha Kagan의 '지속가능성' 개념을 바탕으로”,『美學·藝術學硏究(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Science of Art)』, 2013, Vol.37
19. 李欣复, “论生态美学”,『南京社会科学』,1994, Vol.12
20. 徐恒醇,“论生态美学的本源性-生态美学:一种新视域”,『陕西师范大学学报(哲学社会科学版』,2001, Vol.2
21. 曾繁仁, “中國古代“天人合一”思想與當代生態文化建設(중국 고대 "천인합일" (天人合一)사상과 당대 생태 문화 건설)”,『文史哲』,2006, Vol.4
22. 曾繁仁, “當代生態文明視野中的生態美學觀(당대 생태문명 시야 속의 생태미학관)”,『華夏文化論壇』,2007, Vol.2
23. 曾繁仁, “當代生態美學觀的基本範疇(당대 생태 미학관의 기본 범주)”,『文藝研究』,2007, Vol.4
24. 周博, “维克多·帕帕奈克与绿色设计的思想传统”,『设计学研究』, 2015, Vol.6(6)
25. 刘樯, 张颀, “弹性设计的理论与实践初探”,『新建築』, 2005, Vol.4
26. 林銘煌, “極簡主義在設計上的形式表徵與發展趨向”,『設計學報』,2012, Vol.17(1)
27. 闫海明, 战金艳, 张韬, “生态系统恢复力研究进展综述”,『地理科学进展』,2012, Vol.31(3)
28. 彭少麟, “发展的生态观:弹性思维”,『生态学报』,2011, Vol.31(19)
29. 曾繁仁, “关于‘生生美学’的几个问题”,『济南大学学报』,2019, Vol.29(06)
30. 葛怡, “恢复力研究的新进展与评述”,『灾害学』,2010, Vol.25(3)
31. 张枫, “建筑适应性设计释义及核心理论研究进展”,『住宅科技』,2018, Vol.38(3)
32. 沈振宁, “日本宅寂美学与设计伦理观探究”,『视觉与设计』,2020, Vol.12
33. 李湘梅, “社会-生态系统弹性概念分析及评价综述”,『生态与农村环境学报』,2014, Vol.30(6)
34. 何明, “社区环境家具韧性化设计更新研究”,『設計』,2021, Vol.34(7)
35. 王鑫, “生态建筑的适应性设计问题研究”,『浙江大学学报』,2011, Vol.38(5)
36. 杨庚, “生态系统恢复力评价研究进展”,『浙江农业科学』,2019, Vol.60(3)
37. Katarina BAJC, Antje STOKMAN, “韧性设计:重新连接人和环境”,『景觀設計學』,2018, Vol.6(4)
38. Anders Haug, Defining ‘Resilient Design’ in the Context of Consumer Products, The Design Journal , 2017, Vol.10
39. Jusuck Koh., An ecological aesthetic, Landscape Journal, 1988, Vol.7(2)
40. Dunlap, R. E., Van Liere, K. D., Mertig, A. G., & Jones, R. E. , New trends in measuring environmental attitudes: measuring endorsement of the new ecological paradigm: a revised NEP scale, Journal of social issues, 2000, Vol.56(3)
41. TUCKER, MARY EVELYN, Ecological Themes in Taoism and Confucianism, BUCKNELL REVIEW, 1993, Vol.37(2)
42. Carolina Short, The Ulm School of Design Discourse: A Foundation for Sustainable Design, The Design Journal , 2021, Vol.24(2)

[Website]

1. UN, “联合国报告发出警报:近百万物种面临灭绝”, https://news.un.org/zh/story/2019/05/1033781
1. 2. UN, “유엔 지속가능 발전목표(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2. https://www.un.org/sustainabledevelopment/zh/
3. 3. MUJI, “サステナビリティ”, https://ryohin-keikaku.jp/sustainability/
4. 4. China Dialogue Ocean,“海洋塑料污染之忧”, https://chinadialogueocean.net/
5. 5. 中国新闻网,“2021年全球粮食危机报告”,https://www.chinanews.com/gj/2021/05-06/9471404.shtml
6. 6. 文汇网, “地球村即景”, https://wenhui.whb.cn/third/yidian/201806/29/202111.html
7. 7. 腾阅网, “全球1.55亿人面临重度粮食不安全”, https://www.ty2808.com/news/4938.html
8. 8. 中新经纬, “联合国“最权威警告”:全球物种灭绝速度前所未见”,
9. https://www.jwview.com/jingwei/html/05-07/230587.shtml
10. 9. 天维新闻, “打环保幌子的新西兰‘漂绿’产品引爆机制要来了”,
11. http://news.skykiwi.com/na/zh/2018-10-15/403307.shtml
12. 10. UN,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https://www.un.org/zh/millenniumgoals/
13. 11. Brunch,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겉핥기(마지막 편)”, https://brunch.co.kr/@ecleesia/14
14. 12. Globalgoals,“GOAL 12 IN ACTION”,
15. https://www.globalgoals.org/12-responsible-consumption-and-production
16. 13. 100 Resilient Cities. “City Resilience [EB/OL]”, http://www.100resilientcities.org/, 2015.
17. 14. BBC, “侘寂之美:日本不同寻常的世界观”,https://www.bbc.com/ukchina/simp/vert-tra-46088617
18. 15. NIPPON, “千利休が愛した茶碗づくりを継承する樂家15代当主-樂吉左衞門”,
19. https://www.nippon.com/ja/people/e00111/
20. 16. Interbrand Japan Inc., “Best Japan Brands 2021”,
21. https://t.qianzhan.com/caijing/detail/210406-28fbc48c.html
22. 17. MUJI, “くらしの良品研究所”, https://www.muji.net/lab/project/ga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