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M.2022.08_11

창의적인 장면전환 기법 연구 - 본인작품 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Creative Transition Technology of Short Films - Focus on my works -

  • Name : 위진농/Yu,Jin-Nong
  • Info :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2022.08
  • Adviser : 김동현/Kim Dong-Hyun
192.168.95.160

초록

1970년대 이후 디지털 기술이 영화 제작 분야에 적용되면서 디지털 물결을 일으켰다. 영화 제작 기술적 측면과 예술적 측면에 모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영화는 기술과 예술의 완벽한 결합 산물이며 영화 생산 제작은 엄격한 기술적 구현이자 풍부한 예술적 상상력이 깊이 혼합되는 복잡한 과정이다. 따라서 영화와 관련된 모든 기술 혁신과 새로운 기술의 통합은 영화 제작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디지털 기술이 영화 후반 작업에 미치는 지대한 영향이다. 시청각 언어는 영화 작품에서 화면과 소리에 의해 생성된 시청각 이미지를 말한다. 사람들의 시각과 청각으로 인지되는 기호, 언어적 기호, 비언어적 기호로 구성된 표현 체계다. 이 생생하고 복잡한 기호 체계를 통해 영화 예술은 이야기를 내레이션하고, 플롯을 펼치고, 캐릭터를 구축하고, 주제를 드러내어 사회 현실 생활의 풍부한 복잡성을 충분히 보여준다. 디지털화 후기 단계의 영상 기술은 영화의 시청각 언어를 크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영화의 내러티브 방식도 풍부하게 한다. 관객에게 새로운 감각적 자극을 제공하고, 영화 생산력을 크게 추진하며, 영화가 짧은 시간에 역사상 가장 찬란한 예술적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편집은 영화 후반 작업 과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기술이다. 영화 작품 서사적 내용을 전개하고, 레이어와 구조를 구축할 때 편집 기술을 적디졸브야 한다. 영상 편집은 영상 편집자가 초기 단계에서 촬영한 영상 자료와 사운드 자료를 재분해, 결합, 편집하여 완전한 영상 작품을 구성하는 과정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편집 장면 전환 기법은 다양하여 기법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뉠 수가 있다. 하나는 스페셜 스킬로 트랜지션을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렌즈로 자연스러운 트랜지션을 이루는 것이다. 전자를 스킬 트랜지션이라고 하고 후자를 노 스킬 트랜지션이라고 한다. 장면 전환의 시각 심리적 기초는 시각적 일관성과 심리적 차단성에 따라 시간의 전환, 공간의 전환 또는 줄거리 전환에 따라 장면을 나눈다. 내러티브 필요에서 시작하여 영화 작품 스타일에 따라 합리적인 장면 전환 기법을 채택하고 앞 뒤 두 장면을 연결한다. 일관성 있는 콘텐츠, 명확한 레이어, 부드러운 내러티브 목적을 달성한다.
본고는 후반 편집 실천과 편집 기법 연구를 통해 장면 전환 활용 스킬을 알아보고 장면 전환 역할에 대해 새로운 이해를 가지고 쇼트 MV ‘INSOMNIA’를 만든다. 영상 제작자와 관객의 관점에서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영상 편집에서 자주 적용하는 장면 전환 기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외에 관객의 관람 효과를 높이기 위해 장면 전환과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합하는 기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摘要

Abstract

Since the 1970s, digital technology has gradually formed a new trend in the field of film production, which has revolutionized both the technical and artistic aspects of film production. The film is the product of the perfect combination between technology and art. And the production of the film is a complex process in which rigorous technical implementation and rich artistic imagination are deeply intertwined. Therefore, any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related to film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ilm creation, the most representative is the impressive impact of digital technology on film post-production. Audio-visual language refers to the audio-visual images created by images and sounds in film and television works and is also a representation system composed of signs, verbal signs, and non-verbal signs perceived by people's visual and auditory senses. Film and television art relies on this vivid and complex sign system to narrate stories, expand plots, shape characters, and reveal themes, thus fully reflecting the abundant complexity of social reality. Digital imaging technology has not only greatly enhanced the audio-visual language of film, but also enormously improved the narrative style of film, providing audiences with new sensory stimuli and significantly releasing the productivity of film, which has enabled the film to create the most brilliant artistic achievement ever in a short period.
While the editing is one of the post-production processes of the film, i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content of the film and television works, as well as the need to create a hierarchy and structure. Film and television editing is a general term for the process of re-decomposing, combining, and editing to compose a complete film or television work from the visual and sound materials shot in the early stages by editors. The methods of editing scene transitions are various, however, there are two types based on different techniques: one is to use
special effects for transitions, one is to use the natural movement of the camera for transitions,  the former is called skill transitions, while the latter is also called skill-less transitions. The visual psychological basis of transitions is visual coherence and psychological disconnectedness, and the scenes are divided depending on the transition of time, space, or plot paragraphs. From the narrative needs, based on the style of the film and television works using a reasonable way of transition, it can group the upper and lower scenes or paragraphs to reach the purpose of content organization, clear hierarchy, and smooth narrative.
The paper analyzes the techniques of using scene transitions and provides new perceptions on the role of scene transitions through post-editing practice and research on editing techniques and produces the short film MV 'INSOMNIA. From the perspective of video creators and audiences, it analyzes the application of scene transitions commonly used in video editing through a few cases and investigates the method of combining scene transitions with animation effects to attain the impact of enriching the audience's perception.

키워드

  • #무의식
  • # 시각적 표현
  • # 초현실주의
  • # 자동기술법
  • # 캐릭터 디자인


  • #Creative
  • # Transition
  • # Video Editing
  • # MV short film
  • # Montage

참고문헌

[Book]

1. Dan Sperber, Deirdre Wilson, Relevance: Communication & Cognition, 중국사회과학출판사, 2008, p.142
2. Chris Heckmann, Types of Editing Transitions in Film—The Ultimate Guide, Studiobinder, 2021, pp. 4-7
3. 하겸, 고동, 애니메이션 샷 디자인, 랴오닝 미술 출판사, 2011, p.45
4. Bobbie O'Steen, The Invisible Cut: How Editors Make Movie Magic, Michael Wiese Productions, 2009, pp. 8-13
5. Andrei Tarkovsky, Sculpting in Time, People's Literature Publishing House, 2003, p.124

[Dissertation]

1. 왕쉐옌,「이야기 단편집 편집 연구」,산동사범대학교 연극영화예술대학원 대학원 과정, 2017, p.23

[Academic Journal]

1. 손대위, 방송 프로그램 후반 작업 편집 예술에 대한 연구, 중국 미디어 테크놀로지, 2013, Vol.6, P83
2. 손진호, 장면 전환 - 영상 유창 표현 '비밀 무기', 뉴스와 글쓰기, 2020, Vol.3, pp. 105-108
3. 왕소분, 영상 편집에서 장면 전환 활용에 대한 분석, 명작 감상, 2016, Vol.6(2), pp. 55-56
4. 이교령, 영상 작품 후반 편집 장면 전환 기법에 대한 연구, 영상 미디어, 2016, Vol.35(05), p.56
5. 전단, 영상 창작에서의 편집 예술, 기자 요람, 2009, Vol.9, p.60  
6. 동광군, 음악에서의 기승전결의 요소 및 운용 형식, 황하의 소리, 2013, Vol.21, p.14

[Website]

1. 180-degree rule, https://en.wikipedia.org/wiki/180-degree_r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