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2.08_01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디자인의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 부산 깡깡이예술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of Sustainable Community Design and its Application - Focused on Case Study of KangKangee Art Village in Busan -

  • Name : 경리/Geng, Li
  • Info : 박사학위논문/Doctor's thesis/ 2022.08
  • Adviser : 윤지영/Yoon, Ji-Young
192.168.95.160

초록

본 연구는 커뮤니티디자인을 ‘지속가능성’관점에서 연구하고,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커뮤니티디자인 관련 이론 및 시대별 변화 과정을 고찰한 후, 커뮤니티디자인의 평가 관련 연구와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3대 핵심 항목인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디자인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부산의 대표적 산업유산 지역인 영도 깡깡이예술마을의 재생 사례를 적용하여 커뮤니티디자인의 현황 분석과 함께 개발한 지표를 토대로 지속가능성 차원에서의 평가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의 지속가능한 재생사업을 위한 커뮤니티디자인의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이다.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 두 가지 단계를 통해 커뮤니티디자인의 특성과 분석 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부산시 대평동 깡깡이예술마을에 대한 구체적인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지속가능한 관련 개념과 발전 동향을 파악하고, 커뮤니티디자인의 개념 및 커뮤니티디자인 세부내용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는 한편, 현재 도시의 지속가능한 재생과 커뮤니티디자인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디자인의 평가 요소를 도출하였다. 커뮤니티디자인의 3대 핵심 요소인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차원이 정체성, 참여성, 사회성, 접근성, 경제성, 환경성, 맥락성, 지역성, 예술성이란 구체적인 구성요소와 관련된 개념 내용이 있음을 도출였다
둘째, 2000년 이후 재생이 이뤄지고 있는 6개의 대표적인 커뮤니티디자인 사업의 추진과정과 결과를 사례로 분석하여 커뮤니티 재생 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평가내용을 제시한다. 커뮤니티디자인의 구성 요소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도시재생 배경, 사업발전과정, 그리고 운영성과를 분석한 후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평가할 평가 요소와 커뮤니티디자인의 평가 요소를 종합하여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3대 핵심 요소와 역사 문화 차원을 결합하여 커뮤니티디자인 평가내용을 32개 세부내용으로 작성하였다.
셋째,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디자인’ 평가지표를 구축한 후 전문가 15명의 Delphi 조사와 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고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디자인’ 분석 프레임의 세부내용을 도출하였다.
넷째,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한 평가지표를 통해 한국의 대표적인 도시재생 사례인 부산시 깡깡이예술마을에서 이뤄지는 커뮤니티 재생의 현황과 사회적, 경제적, 물리⦁환경적, 역사⦁문화적 차원에서의 지속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깡깡이예술마을에 거주하는 지역주민(공무원, 전문가, 일반주민)과 방문자를 대상으로 커뮤니티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인터뷰, 구술녹취 및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설문 결과에 대하여 EXCEL과 SPSS 24.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기초통계 및 변량분석(ANOVA: ANalysis Of VAriance)을 하였다. 결과 검증과 함께 이해관계자(지역주민과 전문가, 공무원) 그룹 사이의 유의적 차이점을 파악하고 영향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깡깡이예술마을 커뮤니티디자인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커뮤니티디자인의 방향과 고려 사항을 제시하였다.
깡깡이예술마을은 예술‧문화적 차원에서 지역 특유의 선박사업의 역사와 문화를 핵심으로 한 재생사업이 성공적임을 의미하며, 지역 경제의 활성화와 지역 특유의 문화적 특징을 홍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사회성과 경제성은 지역발전이 불균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떤 곳은 생활 기초시설이 제대로 개선되지 않았고 그저 겉핥기로만 재생이 진행되어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지역 커뮤니티 계획을 통해 대규모로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생활공간 사이가 독립되지 않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지역 공무원과 전문가, 지역주민, 방문자의 3가지 독립 집단을 대상으로 비교분석을 한 결과 차이가 컸다. 각 집단의 출발점과 목적이 다르기에 결과도 다르게 나타난 것이다. 따라서 깡깡이예술마을의 지역 커뮤니티 재생 디자인은 정부가 주도하여 각 사회계층의 지원을 받도록 하고 주민의 참여를 이끌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주민의 참여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안정된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이라는 관점에서 지역의 생활 환경과 지역 안전을 바탕으로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독려하고 사회 인프라 시설과 의료, 교육 등 부분을 개선하며, 지역 문화 자원을 전승함으로써 문화 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 사회의 결속력을 강화하고 지역 사회 디자인이 사회, 경제, 환경, 문화 측면에서 전면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속가능한 커뮤니티가 되기 위해서 기존의 전통산업을 첨단화하고 인근 지역과 연계하여 산업 인력을 양성하여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이며 젊은 청년들을 지역으로 유입하는 동시에 대중교통 및 기본 인프라가 편리하게 구축되어 경제적, 사회적 활성화가 이루어졌을 때 지역의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과 커뮤니티디자인 개념을 결합하여 도시의 사회·경제·문화·환경 등 종합적인 방면에 활력을 주입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디자인의 발전과 재생을 위한 평가지표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평가지표를 참조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수많은 커뮤니티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하고 커뮤니티디자인의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식 및 만족도 조사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디자인 평가지표의 유용성 및 타당성을 더 높이고자 한다.

摘要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community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and after analyzing theories related to sustainable design and community design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 studies, and the process of change by time, the evaluation-related research of community design, we intend to develop a sustainable community design evaluation index by considering three major items -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 in an integrated way. In addition, by applying to the regeneration case of Yeongdo Kangkangee Art Village, a representative industrial heritage area in Busan, we intend to conduct an evaluation study in terms of sustainability based on the developed index along with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community design.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evaluation indicators of community design for urban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two stages,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ase analysis, the analysis indicators and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design are derived, and subsequently the Kangkangee Art Village located in Daepyeong-dong, Busan, is analyzed in detail through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s. The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development trends are identified, and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of community design and details of community design are analyzed to derive evaluation factors of sustainable community design.
In order to examin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sustainable design, an in-depth study is conducted on the concepts, policies and laws, and development trend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as the theoretical basis. By examining the preceding papers on the components and evaluation indicators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ublished after 2010, the main research directions and specific theoretical styles of the current stage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re identified. The three major items of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considered in three major categories. Based on the theories related to community and community design, we study the theories of representative sociology departments in the UK, USA, and Japan, and combine them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12 excellent papers related to local community design published since 2010. We derive that there are concepts related to specific components such as totality, participation, sociality, accessibility, economy, environment, contextuality, locality, and artistry.
Second, by analyzing case studies, we present specific evaluation contents for community regeneration evaluation by analyz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six representative community design projects that have been regenerated since 2000.
The components of community design are defined in detail. In order to analyze the best examples of the urban regeneration community, representative case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East Asia are examined. These examples include urban regeneration background, business development process, and operational performance of Gamcheon Cultural Village and Mapo Seongmisan Village in Korea, Koganecho and BankART 1929 in Yokohama in Japan, Shanghai M50 and Dogyecheon Ceramics Cultural Complex in Gyeongdeokjin City, China. After analyzing these, the evaluation factors to evaluate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the evaluation factors of community design are synthesized. In addition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original three major factors of economy, society and environment, 32 detailed evaluation contents of sustainable community design are formulated.
Third, after establishing the ‘Sustainable Community Design’ evaluation index, the validity of the FGI survey and analysis of 15 experts is verified and the details of the ‘Sustainable Community Design’ analysis framework are derived.
Fourth, we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regeneration in Kangkangee Art Village, Busan, which is a representative case of urban regeneration in Korea, and sustainability is examined through social, economic, physical, environmental, historical and cultural dimensions from evaluation indicators developed through prior research.
Fifth, interviews, oral recordings, and surveys are conducted on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munity for local residents (public officials, experts, general residents) and visitors living in the Kangkangee Art Village. Interviews and oral recordings are conducted with 9 people, including 4 local residents, 4 store owners, and 1 civil servant. In addition, the survey included 105 people consisting of local residents, related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and visitors evenly as the target. In addition to verifying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ocal residents, experts, and public officials are identified and influencing factors are derived. Also, based on this, I would like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considerations of community desig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fter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ommunity design in Kangkangee Art Village.
Overall, all characteristics of Kangkangee Art Village in terms of art and culture exceed 3.00. In particular, artistry (3.29) is the highest, followed by totality (3.18) and locality (3.07), which means that the regeneration project based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shipping business unique to the region is successful. It helps to promote the unique cultural features of the region. When both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are below 2.00, it can be seen as regional development is unbalanced. In the case of the most important local environment, the basic facilities for living are not properly improved and regeneration is carried out only on the surface, which does not reach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reg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on a large scale through the local community plan and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 of not being independent between living spaces. Considering that the significance level was p<0.05,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targeting three independent groups of local officials and experts,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overall, the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showed the highest regional awareness, followed by visitors and local residents, where local residents had very high dissatisfaction. Because the starting point and purpose of each group are different, the results are also different. Therefore, the local community regeneration design (with community) of Kkankangi Art Village should be led by the government to receive support from each social class and lead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However, since the current level of citizen participation is not high, it is impossible to achieve stabl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long term.
Based on a sustainable perspective, this study first encourages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actors based on the local living environment and local safety by improving social infrastructure facilities, medical care, education, etc., and transmits local cultural resources. To strengthen the cohesion of the local community, and to enable community design to achieve comprehensiv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social, economic, environmental and cultural aspects. In order to become a sustainable community, modernizing the existing ship repair industry itself and creating jobs by cultivating cutting-edge ship industry manpower in connection with a nearby maritime university is also considered to be the direction going forward. A health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region will be possible when young people flow into the region and at the same time, when public transportation and basic infrastructure are conveniently built, and economic and social revitalization is achie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evaluation index for the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of sustainable community design in a new way that combines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concept of community design to inject vitality into the overall social, economic, cultural, and environment of the city. In future studies, the use and validity of sustainable community design evaluation indicators will be further enhanced by analyzing numerous cases of community design currently being conducted with reference to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this study.

키워드

  • #지속가능
  • #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
  • # 도시재생
  • # 커뮤니티디자인
  • #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디자인
  • # 평가지표 개발


  • #Sustainability
  •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 Urban Regeneration
  • # Community
  • # Sustainable Community Design
  • # Evaluation Index

참고문헌

[Book]

1. 김호석․ 송영일․ 김이진․ 임영신, 『환경평가와 지속가능발전지표 연계운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2007
2. 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 『도시계획론』, 보성각, 2006
3.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 수립 보고서』, 환경부, 2019
4. Kettner. C., P. Radlberger, S. P. Schleicher and G.Thenius. Potentials for Extending National Income Accounts by Integrat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Wegener Center for Climate and Global. University of Graz. Austria, 2006
5. Peter P. Rogers⦁Kazi F. Jalal⦁JohnA. Boyd, AnIntroductionSustainableDevelopment, EARTHSCAN, 2007
6. 하성균, 김재익, 전명진, 문태훈, 『지속가능한 도시론』, 보성각, 2007
7. 알라스테어 풔드 루크(조 원호 옮김),『디자인 액티비즘』, 2010
8. 제프리 삭스, 홍성완 약, 『지속 가능한 발전의 시대』, 21세기북스, 2015
9. Rachel Carson, 『Silent Spring』, Penguln Classics, 2000
10. Adam Ritchie, Randall Thomas, 『지속 가능한 도시 디자인 환경적 측면으로의 접근』, 기문당, 2011
11. Sustainable Seattle, Sustainable Seattle Indmtors of Sustainable Community: A Report to Citizens on Long Term Trendsin Their Community, Seattle, Washington: Sustainable Seattle, 1993
12. Danilo Palazzo, Frederick Steiner, Urban Ecological Design: A Process for Regenerative Places, Island Press, 2011
13. Simon Bell, Stephen Morse, 『Sustainability Indicators Measuring the Immeasurable?』, Routledge Earthscan, 1999
14. 김대관,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지표 연구』, 한국관광연구원, 2001
15. 페르디난트 퇴니에스(Ferdinand Tönnies, 斐迪南·滕尼斯), 『공동체 사회: 순수 사회학의 기본 개념(共同体与社会:纯粹社会学的基本概念)』, 林荣远 (译), 北京大学出版社, 2010
16. 에치오 만치니, 조은지 역, 『모두가 디자인하는 시대』, 안그라픽스, 2016
17. 닉 웨이츠, 『커뮤니티 플래닝 핸드북』, 미세움, 2008
18. Henry Sanoff, Community participation methods in design and planning, Wiley, 1999
19. 사토마사루, 김명환 역,『커뮤니티 디자인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디자인로커스, 2005
20. 小泉秀樹, 『多世代共創 コミュニテイ 形成に向けた 空間戦略』, 計画行政, 계화행정, 2011
21. 야마자키 료, 『커뮤니티 디자인』, 안그라픽스, 2012
22. 커뮤니티 디자인센터, 『커뮤니티 디자인을 하다 주민참여로 가꿔나가는 삶의 공간』, 나무도시, 2009
23. 닉웨이츠, 오민근 외 옮김,『커뮤니티 플래닝 핸드북』, 미세움, 2008
24. Matarasso,『In Use or Ornament』, 1997
25.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커뮤니티 아트 진흥 방안 연구』, 2007
26. 강용주, 『델파이 기법의 이해와 적용사례』, 한국 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8
27. 양용한, 『지속가능한 건축과 인프라: 미래를 향한 로드맵』, 매일경제신문사, 2012
28. 영도구, 『2021 구정백서 친환경 해양문화특구』, 영도 구정백서, 2021
29. 깡깡이예술마을사업단지,『깡깡이마을, 100년의 울림 – 생활편』, 호밀밭, 2018

[Dissertation]

1. 구본섭,「도시재생을 위한 산업유산 활용방향에 관한 연구 : 폐철도부지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 장징위,「도시재생사업에서 커뮤니티 디자인의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3. 임영환,「지속가능한 건축의 계획기준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 이은지,「지역사회개발을 위한 상향식 커뮤니티 개발모델에 관한 연구 -서대문구 마을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5. 한상미,「지속가능한 도시개발및 관리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국내박사학위논문, 2019
6. 신동철,「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공공영역 구축방식 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7. 장헌일,「커뮤니티 행정을 위한 주민자치센터 운영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8. 서애영(徐爱英), 「지역커뮤니티를 통한 한∙중 문화예술교류의 반전적 방안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9. 이은회,「주거지역 커뮤니티 빌딩 모델 개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0. 방성성,「문화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창조적 커뮤니티 디자인 연구: 중국 하이커우시 창조적 커뮤니티 디자인 제안」,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1. 임현진,「지역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연구-서울시 마을 공동체 사업 마포구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2. 김남걸,「Likert 척도 개발을 위한 문항선정 방법 의 비교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3. 우수연,「근대 지역자산의 목록화와 탐방로 계획에 관한 연구: 영도구를 사례로」, 동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Academic Journal]

1. 하미경,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도심 지하공간의 커뮤니티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 Vol.22
2. 김상욱, “집단적 소통에 의한 통합형 커뮤니티디자인의 지속가능성”, 『한국디자인포럼』, 2016, Vol.53
3. 김민석, 이우형,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고려한 창조도시 접근체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2012, Vol.11
4. 이일희, 이주영,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11, Vol.12
5. 현민, “UN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2030 의제’의 이행수단에 관한 연구: 개발재원과 개발주체의 변화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017, Vol.26
6. 엄나너, 이광영,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고려한 공공디자인 접근체계 및 방법을 관한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 2011, Vol.10
7. 한상미, 이명훈,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도시개발 및 관리 평가지표: UN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의 목표 11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17, Vol.29
8. 구자훈, 신예철, “도시재생 전략으로서 도시디자인 정책방향 및 개선과제 고찰”,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3. Vol.48
9. 박광신, “도시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도시재생 디자인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Vol.15
10. 반영운,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추진방안”, 『한국지역학회』, 2017, Vol.33
11. 윤인정, “지속가능디자인을 통한 디자인경영 사례연구”,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 2013, Vol.12
12. 김보영, “지속가능디자인 개념 확장과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 글로벌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2010, Vol.23
13. 김이석, “지속가능디자인의 프로세스 프레임 도출에 관한 연구 - Triple Bottom Line 지속가능경영원칙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Vol.31
14. Peter Rogers, Kazi Jalal, & John Boyd, “An Introduction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ility: Science, Practice and Policy』, 2007, Vol.4
15. 김연금, 이영범, “커뮤니티디자인의 전개와 논의의 특징”,『한국조경학회지』, 2012, Vol.40
16. 양지선, “지속가능디자인 전략화를 위한 개념모델 연구: TBL model과 Sustainability 2.0 전략비교”, 『한국디자인학회』, 2012, Vol.25
17. Susan G. Mason, Can community design build trust? A comparative study of design factorin Boise, Idaho neighborhoods, Cities, 2010, Vol.27
18. 이경란, “도시 속 협동적 연대를 통한 마을경제관계망 만들기-서울 마포구 성미산마을의 사례”, 『한국협동조합연구』, 2010, Vol.28
19. 이홍택, 정성훈,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지역발전-서울특별시 마포구 성미산 마을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 2012, Vol.15
20. 박소연, 이경훈, “구도심 내 근대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문화클러스터 조성에 관한 연구”,『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Vol.24
21.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al Psychol, 1975, Vol.28
22. Kettner, C., S.P. Schleicher and G. Thenius, Eignet sich die Volkswirtschaftliche Gesamtrechnung zur Messung von wirtschaftlichem Wohlstand?, Wirtschaftspolitische Blätter, 2006, Vol.4
23. 이진숙, 류지선, 김한나, 이희원, “실내 거주공간의 적용 색채에 따른 감성어휘의 평가분석”, 『한국색채학회』, 2014, Vol.28
24. 김성만, 조혜리, “외국인 범죄예방을 위한 깡깡이마을 셉테드(CPTED) 디자인 적용사례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017, Vol.2017

[Magazine]

1. 최병두, "공동체 이론의 전개과정과 도시 공동체운동”, 『도시연구』, 2000, Vol.-(6)
2. 위한빈(魏寒宾), 당연(唐燕), 김세용(金世镛), “정부유도에 따른 정민협력 한국 커뮤니티 조성 (基于政府引导与政民合作的韩国社区营造)”. 『기획사(规划师)』, 2015
3. 박소현, “도시디자인 경향과 역사적 도시건축의 보전 특집”, 『건축』, 2005, Vol.49
4. 이제선, “지속가능한 도심재개발을 위한 고찰”, 『토지와 기술』, 2006, Vol.19
5. 송교성, “깡깡이예술마을과 문화적 도시재생”, 『로컬리티 인문학』, 2018, Vol.19
6. 박찬인, “지역문화 중심의 도시재생 연구”, 『인문학연구』, 2021, Vol.60
7. 강용주, “델파이 기법의 이해와 적용사례”, 『수시과제보고서』, 2008.12

[Website]

1. 글로벌 경제 데이터, “1950년에서 2018년 세계 도시화율은 9.6%에서 55%로 5.5배 이상 증가하였다”, http://www.qqjjsj.com
2. 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 “The Good Life Goals: sustainable development gets personal”, www.seit.ee/files/Ursula_31.03.06.pdf
3. 위키백과 ‘지속가능성’, https://ko.wikipedia.org/wiki/
4. 유엔 지속가능발전, https://www.un.org/sustainabledevelopment/zh/development-agenda/
5. 위키백과, “도시재개발”, https://ko.wikipedia.org/wiki/도시_재개발
6. 지속가능발전포절, “지속가능발전의 국제적 배경”, http://ncsd.go.kr/background?content=1
7. 블로그, “지속가능발전목표(UN-SDGs)”, https://m.blog.naver.com/PostList.naver?blogId=tiragon
8. 한국 지속가능발전포털, “지속가능발전 국제적 배경”, http://ncsd.go.kr/background?content=1
9.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 “도시재생 편람 -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https://www.city.go.kr/index.do
10. 尤缇·奥撒格哈尔(Jyoti Hosagrahar), “文化:可持续发展目标的核心”, https://www.ihchina.cn/luntan_details/22215.html
11. 联合国教科文组织农村社区(CLC)终身学习研究所, “加强社区参与促进可持续发展教育”, http://www.clcyjs.cn/
12. 뉴데일리 경제, “[SDGs FORUM 2020] ‘지속가능한 발전 위한 산림·토지이용' 말하는 김명길 과장”, https://biz.newdaily.co.kr/
13. 네이버 지식백과, “감천문화마을 [Gamcheon Culture Village]”, https://www.doopedia.co.kr
14. 뉴스프리존, “조경환의 지역 문화 관광 콘텐츠 탐방(16)-지역재생, ‘동피랑’과 ‘감천문화마을’”, http://www.newsfreezone.co.kr
15. 성미산마을 홈페이지, “마을이야기 마을연혁”, https://sungmisan.org
16. 오늘의 한국, 성미산 마을공동체를 아시나요?, http://www.k-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73
17. OhmyNews, “성매매 거리가 예술가들의 공간으로 탈바꿈한 비결”, http://www.ohmynews.com/
18. 매일신문, “도심 재생 주민에 정책 주도 역할 맡겨 야”, http://news.imaeil.com/
19. 트립캣(베쯔니), “은행이 멋진 미술관으로 요코하마 뱅크 아트 1929(BankART Studio NYK)”, https://likejp.com/2763 
20. 도계천 홈페이지, https://baike.so.com/doc/5858014-6070857.html
21. baidu, 陶溪川文化创意街区, https://baike.baidu.com/item/陶溪川文创街区/22096590?fr=aladdin
22. 부산시보, “부산 먼저 미래로 그린스마트 도시 부산”, https://www.busan.go.kr/yeongdogu
23. 나무위키, “영도구의 역사”, https://namu.wiki/w/%EC%98%81%EB%8F%84%EA%B5%AC
24. 불로주선의 블로그, “부산 영도구 역사”, https://blog.naver.com/dolmen66/221846858681
25. 영도구청 홈페이지, https://www.yeongdo.go.kr/00492/00553/00573.web
26. 영도문화원 홈페이지, “관광지 – 영도문화원”, https://www.ydculture.com
27. 부산제일경제, “도시재생뉴딜사업 최종 선정”, https://www.busaneconomy.com
28. 부산제일경제, “영도구 신선동 ‘도시재생예비사업지’ 선정”, https://www.busaneconomy.com
29. 부산제일경제, “영도구청장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 일방 매각 단호히 거부’”, https://www.busaneconomy.com
30. 부산제일경제, “중소조선硏 - 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수리조선 전문인력 양성”, https://www.busaneconomy.com
31. 국제신문, “조선 ‘발상지’ 영도 대평동 ‘첨단 선박 개·제조 센터’로”, www.kookje.co.kr
32. 연합슈스, “부산 영도구 등 원도심 도시재생사업 탄력”, https://www.yna.co.kr/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