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학위논문박사논문(PhD Theses)

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NO.D.2021.02_05

문화창의산업 발전을 위한 커뮤니티 아트의 프레임 개발 활용에 관한 연구  关于灵活运用地区艺术框架促进文化创意产业发展的研究 A Study on the Flexible use of Community Art Fram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Creative Industries

  • Name : 팽자용(彭紫蓉) /PENG ZIRONG
  • Info : 박사학위논문/博士学位论文/Doctor's thesis/ 2021.02
  • Adviser : 안병진/安柄珍/Ahn Byoung-Jin
192.168.95.172

초록

본 연구는 커뮤니티 아트 사업을 통해 문화창의산업의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프레임 및 응용에 관한 연구이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서 진행된다.
1단계에서는 문화창의산업의 발전 동향과 개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커뮤니티 아트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본 논문에 이론적 근거와 방향을 명확하게 설정한다. 이어서 커뮤니티와 커뮤니티 아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되짚어 봄으로써 커뮤니티 아트의 기본 요소와 세부내용을 정리하여 문화창의산업의 특성과 커뮤니티 아트의 요소가 여러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하여 이 두 가지를 결합하여 문화창의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커뮤니티 아트 활용 요소의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고, 사회성, 장소성, 사교성, 접근성, 정체성, 지속성, 예술성 그리고 24개의 평가요소 체크리스트로 구분하였다.
2단계에서는 7가지 요소 지표를 바탕으로 커뮤니티 아트의 대표적인 사례(한국 영도 깡깡이마을, 대구 방천시장 문전성시 사업, 일본 뱅크아트 1929, 요코하마 코가네쵸, 중국 광저우시 리완구 은닝루 용칭팡, 베이징 난뤄구샹) 6개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레임의 내용을 세분화한 후 평가요소 체크리스트를 다시 세분화하여 수정된 1차 프레임을 형성하여 모두 7개 요소, 28개의 평가요소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3단계에서는 프레임의 평가 체크리스트에 대해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커뮤니티 아트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종사자와 연구자를 대상으로 본문에서 제시된 프레임에 대해 객관적인 평가를 진행하여 조사 결과를 통해 최종적으로 커뮤니티 아트 활용과 프레임(사회성, 장소성, 접근성, 정체성, 지속성, 예술성 7가지 핵심요소와 26개 평가요소 체크리스트)을 제안하였다. 이어서 평가할 수 있도록 세부설명을 제시하였다.
4단계에서는 샤오조우촌의 문화창의산업과 커뮤니티 아트의 발전 현황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진행하여, 3단계에서 개발된 프레임을 바탕으로 설문 조사의 항목을 제시하고 샤오조우촌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샤오조우촌 문화창의산업 및 커뮤니티 아트 인식과 평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는 AVOVA 분석 및 차이검증(t-test)를 진행하여, 지역 주민 간의 관점 차이를 종합적으로 평가 및 비교하고 샤오조우촌 문화창의산업과 커뮤니티 아트의 인식과 평가에 관한 정량적 분석 결과를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샤오조우촌에 대한 사례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해 7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진행하였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발전 방안을 제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샤오조우촌은 정부가 주도하는 중국 문화창의산업 발전의 중점 계획 지역으로써, 문화창의산업 발전의 싹이 움트는 단계에서 경제 기반의 정책과 자연환경 그리고 역사 문화적 분위기의 독특함은 창의적 계급을 한데 모이도록 하였고, 도시의 확장과 대학가의 건설은 더욱 많은 창의 계층의 결집을 가속화하였다. 정부의 지원 역량은 예술이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부여하였지만 행정적인 관리와 발전전략의 두 가지 측면에서 확연히 미흡한 점을 보였으며, 동시에 직권의 분배가 불분명하여 하의상달되는 과정에서 제대로 된 피드백을 받지 못하여 정책의 실행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둘째, 현재 샤오조우촌은 훌륭한 예술적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지만, 지역주민과 창의 계층 간의 상호 교류와 학습의 방면에서는 부족함이 드러나며, 경제적 이익만이 주요 관심사로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커뮤니티 생태계에 심각한 손상을 미치게 되었다. 샤오조우촌은 발전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지방의 특색을 지닌 문화, 역사, 예술환경을 대대적으로 보호해야 하며, 지역 주민을 포함한 문화예술 관련 산업사슬을 개발 및 육성하여 핵심적인 창의 계층(예술창작과 예술 교육 관련 인력)의 결집을 가속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다원적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지방의 특색을 지닌 문화예술 환경을 바탕으로 창의 계층 육성시설을 구축하여 생태, 경제, 사회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발전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셋째, 샤오조우촌은 중국 전통을 간직한 옛 마을로서 풍부한 현지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예술가와 상인들이 샤오조우촌에 입주하여 새로운 문화 모임을 형성하였다. 이들의 입주와 출현은 샤오조우촌에 현지 문화 예술의 풍부성을 더해주었지만, 이와 동시에 예술가와 상인들의 사회적 가치 문제와도 연관되게 되었고, 심지어 그들의 생존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각기 다른 사회적 가치에 따라 커뮤니티의 오랜 균형이 훼손될 수 있기에 예술가와 상인의 신분 정체성은 특히 중요하다. 현재 입주 예술가들은 작품 전시와 판매의 플랫폼을 마련하였으며, 상인들 역시 이에 대응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고 있지만, 과도한 상업화로 인해 현대 시장에서 예술가의 신분을 제대로 확인할 수가 없게 되었으며, 예술가와 상인의 신분 정체성도 현지 주민의 신분 정체성과 동떨어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앞으로 샤오조우촌에 입주하는 예술가와 상인들은 현지 문화환경을 더욱 융합하여, 현지 문화 경험과 지역 주민의 기억을 결합하거나 관심을 받지 못했던 현지 문화의 특성을 조화시켜 주민들의 문화적 신분을 회복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주 예술가나 상인들의 신분 정체성 형성을 촉진해야 한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는 샤오조우촌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그들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연구하며, 문화창의산업의 발전과 커뮤니티 아트를 추진 방식으로 하는 중국 문화창의산업 발전 프로젝트에 대해 어떠한 선택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를 단위로 하는 문화창의산업 프로젝트에서 지역 주민들의 의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커뮤니티 아트의 개념을 고려하여 주민들이 현재 살고 있는 지역에서 계속 거주하기 위해서 지역 주민의 생활을 보다 편하고 아름답게 할 목적으로 문화창의산업 프로젝트를 추진력으로 삼는 도시 재개발에 나서야 한다.
공무원은 지역 문화창의산업의 개발과 운영 그리고 커뮤니티 건설을 주도하는 주체로서 커뮤니티를 도시 건설의 단위로 하여 주민을 위주로 하는 ‘관리’를 ‘서비스’로 바꿔야 한다. 그리하여 사람에 대한 배려를 강조하는 것은 물질적 이익뿐만 아니라 정신문명, 정치 참여, 일상생활 등 지역주민의 생활과 직결되는 일상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다. 일반 주민을 제외한 예술가와 상인들의 입주는 지역 문화창의산업의 발전을 활성화시키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여 지역 주민의 문화적인 의식과 지역 정체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상인들은 커뮤니티의 경제발전에 있어서 안전성과 지속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주민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커뮤니티 발전을 위한 각종 계획과 커뮤니티 건설의 실행 및 커뮤니티 사무의 처리 등에서 커뮤니티 내부의 광범위한 참여가 요구되며, 주민의 실질적인 수요의 구현을 중시해야 한다.

摘要

本研究是通过社区艺术事业促进文化创意产业发展的框架及应用研究,本研究通过以下步骤进行。
第一阶段,通过对文化创意产业的发展动向和概念的研究,掌握与社区艺术的关系,并在本论文中明确设定理论根据和方向。 接着通过对社区和社区艺术的理论考察和先行研究,整理了社区艺术的基本要素和细节,发现了文化创意产业的特点和社区艺术要素的多种共同点。结合这两点,形成促进文化创意产业发展的社区艺术活用要素的基本框架,分为社会性、场所性、社交性、接近性、认同性、持续性、艺术性以及24个评价要素的评估核对表。
第2阶段以7个要素指标为基础,分析了社区艺术的6个代表性事例(韩国影岛康康村、大邱芳川市场门庭若市事业、日本银行艺术1929、横滨康家町、中国广州市荔湾区银宁路龙庆坊、北京南锣鼓乡)。在此基础上细分框架内容后,重新细化评价要素确认列表,形成修改后的第1次框架,共制定了7个要素、28个评价要素的评估核对表。
第3阶段,对框架的评估清单进行事前调查,以参与社区艺术项目的从业者和研究者为对象,对本文中提出的框架进行客观评价,通过调查结果最终提出了应用社区艺术和框架(社会性、场所性、接近性、整体性、持续性、艺术性7个核心要素和26个评估要素的确认列表)。接着为了便于评价提出细节说明。
第四阶段对小洲村的文化创意产业和社区艺术的发展现状进行了分析和评价,以第三阶段开发的框架为基础提出了问卷调查项目,以小洲村地区居民为对象进行了"小赵村文化创意产业及社区艺术认知与评价"的问卷调查。问卷调查结果进行了AVOVA分析及差异验证(t-test),综合评价及比较了地区居民之间的观点差异,并得出关于小洲村文化创意产业和社区艺术的认知和评价的定量分析的具体的如下结果。
本研究通过对小洲村的事例分析和问卷调查,从7个方面进行了分析,对不足的部分提出了发展方案,得出了以下结论。
第一,小洲村作为政府主导的中国文化创意产业发展的重点规划地区,在文化创意产业发展萌芽阶段,以经济为基础的政策和自然环境以及历史文化氛围的独特性让创意阶级汇聚一堂,城市扩张和大学城建设加速了更多创意阶层的凝聚。政府的支持力量虽然赋予了艺术发展环境,但在行政管理和发展战略两个方面明显不足,同时由于职权分配不明确,在下级过程中得不到应有的反馈,导致政策落实情况得不到准确把握。
第二,现在小洲村形成了良好的艺术氛围,但在社区居民和创意阶层之间相互交流和学习方面,出现了不足,只有经济利益开始成为主要关注点,严重损害了社区生态。小洲村在发展过程中,要大力保护具有地方特色的文化、历史、艺术环境,开发和培育包括社区居民在内的文化艺术相关产业链,加快核心创意阶层(艺术创作和艺术教育相关人才)的聚集。由此构建多元合作关系,以具有地方特色的文化艺术环境为基础,构建创意阶层培养设施,为谋求生态、经济、社会发展提出可持续发展方向。
第三,小洲村作为保留中国传统的古村,有着丰富的当地文化,因此许多艺术家和商人入驻小洲村,形成了新的文化聚会。他们的入驻和出现为小洲村增添了当地文化艺术的丰富性,但与此同时,牵涉到了艺术家和商人的社会价值问题,甚至影响了他们的生存。因为根据不同的社会价值,社区的长期均衡会受到损害,所以艺术家和商人的身份认同感尤为重要。现在入驻艺术家们搭建了作品展示和销售的平台,商人们也相应地获得了经济利益,但由于过度的商业化,在现代市场无法确认艺术家的身份,艺术家和商人的身份认同也脱离了当地居民的身份认同感。因此,今后入驻小窝村的艺术家和商户要进一步融合当地文化环境,结合当地文化经验和当地居民的记忆,协调当地文化特点,不仅恢复居民的文化身份,还要促进入驻艺术家和商户的身份认同的形成。
整体来看,该研究深入调查小洲村村民的意见,从他们的角度思考和研究,对以文化创意产业发展和社区艺术推进方式的中国文化创意产业发展项目应该作何选择。本研究强调了以社区为单位的文化创意产业项目,考虑到社区艺术的概念,为了让居民继续在现居住的地区居住,以更加舒适和美丽为目的,以文化创意产业项目为推进力的城市再开发。
公务员作为主导地区文化创意产业的开发和运营以及社区建设的主体,应该将社区以城市建设为单位,以居民为主的"管理"转变为"服务"。因此,强调对人的关怀,不仅关注物质利益,还关注精神文明、政治参与、日常生活等与地区居民生活息息相关的日常生活。除普通居民外,艺术家和商人们的入驻成为激活地区文化创意产业发展的核心动力,为提高地区居民的文化意识和地区认同感做出贡献,商人们在社区经济发展方面提供了安全性和持续性。在这样的环境下,强调居民参与的重要性,在社区发展的各种计划和社区建设的实施及社区事务处理等方面,需要社区内部的广泛参与,要重视居民实际需求的体现。

Abstract

With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through community art undertakings, this study has established a factor framework and applied it to Xiaozhou Village in Guangzhou.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stages.
In the first stage, it is feasible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and community art, so as to determine the theoretical basis and direction for this civilization by studying the development trend and concept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Next, the paper reviews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previous research on community and community art, and sorts out the basic elements and details of community art. It is found tha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and the elements of community art. Therefore, the combination of the two forms a basic framework for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which is divided into sociality, place, proximity, propriety, sustainability, artistry and 24 factor evaluation lists. In the second stage, this paper analyzes six representative examples of community art on the basis of seven elements. Based on this result, the content of the element framework is refined, and four items are subdivided again to form the modified element framework, with a total of 7 elements and 28 element checklists. In the third stage, the evaluation list of the element framework is prepared and investigated. The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art projects are taken as the objects to objectively evaluate the element framework proposed in this paper. The final element framework is formed by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cluding 7 elements and 26 element checklists. Based on the factor framework of three-stage development, a questionnaire project was put forward to carry out the "Xiaozhou Villag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y and community art awareness and evaluation questionnaire survey" with the residents of Xiaozhou Village as the object.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VOVA and t-test through the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of views among the residents in the area,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of th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y and community art in Xiaozhou Village are obtained.
Based on the case study and questionnaire survey of Xiaozhou Village, this paper analyzes from seven directions, and puts forward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relatively deficient aspects. 1)As a key planning area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led by the government, the uniqueness of economic foundation, policies, natur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and cultural atmosphere has attracted the gathering of creative classes in the embryonic stage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in Xiaozhou Village, while the expansion of the city and the construction of university town have accelerated the gathering of more creative classes. As far as the government's support is concerned, there are obvious deficiencies in its administration and development strategy although it provides an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art. The distribution of powers is not clear, leading to the lack of timely feedback in the "bottom-up" process, and the failure to truly grasp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2)Although Xiaozhou Village has formed a good artistic atmosphere, there is a lack of mutual communication and learning between local residents and creative class, which leads to the economic interests becoming the main focus of attention, and the community ecological environment is also under strong pressure.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Xiaozhou Village, it is advisable to vigorously protect the cultural, historical and artistic environment with local characteristics, develop, cultivate and improve the cultural and artistic industry chain including local residents, accelerate the gathering of the core creative class (artistic creation and art educators), establish a diversified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establish a creative class based on the cultural and artistic environment with local characteristics layer incubation base, providing direc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ecology, economy and community.3)As a traditional ancient village in China, it has a profound local culture. The settlement of artists and businessmen has formed a new cultural community for Xiaozhou Village. Their settlement and appearance has increased the richness of local culture and art for Xiaozhou Village, but at the same time, it is also related to the positioning of artists and businessmen, and even affects their survival. Due to different positioning, they will continue to fight To break the lasting balance of the community, the identity of artists and businessmen is particularly important. Although the current artists have got a platform for exhibition and sales of their works, and businessmen also seek economic benefits according to their needs, at the same time, excessive commercialization also makes artists unable to really confirm their identities in the contemporary market, and the identities of artists and businessmen are also separated from the identities of local residents. Therefore,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artists and businessmen in Xiaozhou Village should be more integrated with the local cultural environment, combined with the local cultural experience and the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that local residents remember or ignore, not only to help local residents regain their cultural identity, but also to promote the formation of identity of artists and businessmen.
On the whole, this study is based on the in-depth investigation of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in Xiaozhou Village, thinking and studying from their point of view, what kind of choices should be made for the development projects of Chines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promoted by community art.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local residents' ideas in the community-based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y projects. It can be said that considering the concept of community art, that is, in order for the residents to continue to live in the area where they live, we should develop the urban renewal driven by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y projects with the purpose of making the residents' life more comfortable and better.

키워드

  • #커뮤니티 아트
  • # 문화창의산업
  • # 샤오조우촌
  • # 도시 재생
  • # 평가 체크리스트 

  • #社区艺术、文化创意产业、小洲村、社区建设、评估核对表

  • #Comnmunity art
  • #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 # Xiaozhou Village
  • # Community Construct
  • # Evaluation checklist

참고문헌

[Book]

1. 박삼철, 『왜 공공미술인가』, 학고재, 2006
1. Theodor W. Adorno, Max Horkheimer, 김유동 역,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 지성사, 2004
1. Howkin,J,『Creative Ecolgies』, SDX Joint Publishing Company,2011
1. Charles Landry,『The Creative City:A Toolkitfor Urban Innovations [M]』,Routledge; 2nd edition,2008
1. Florida R.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M]』, Brilliance Audio; Unabridged edition, 2002
1. Charles Landry, 『The Creative City:A Toolkit for Urban Innovators』, Tsinghua Unversity Press, 2000
2. 두덕빈(杜德斌), 『창의산업 : 현대서비스의 새로운 성장 포인트(創意產業:現代服務業新的增長點)』, 環球掃描,2004
3. 유리영(劉利永),『문화창의산업의본질적 특징과 시행착오』, 중국 소프트사이언스(中国软科学), 2010
4. 육양(陸揚),노유(路喻),『대중문화의 연구는 중국에 있다』,천진 사회와 과학(天津社会与科学), 2003
5. 裴迪南·滕尼斯,『共同體與社會純粹社會學的基本概念』,北京大學出版社,2010
6. 理查德·佛羅里達(Richard Florida), 『創意階層的崛起』, 中信出版社,2010

[Dissertation]

고홍우,『문화 및 창의산업과 도시 발전』, 통제(同濟)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 김민선, 『중국 문화창의산업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 YUAN XIAOLI, 『문화창의산업과 도시문화전형의 상관성 연구 -선전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4. 웨균, 『문화창의산업 클러스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곡부(曲阜) 공자 문화창의산업 진흥원의 설립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5. 김영주,『커뮤니티아트 활동에서 나타나는 창발현상에 의한 공진화 효과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6. 김영주, 『커뮤니티 아트 활동에서 나타나는 창발현상에 의한 공진화 효과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7. 오지은, 『커뮤니티 아트의 사례분석과 지역에서의 발전 방안』,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8. 노수정, 『커뮤니티 아트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9. 권수빈,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아트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0. 이홍,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을 통한 원도심 활성화에 관한연구』,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1. 손상희, 『지역 생활문화의 콘텐츠화를 통한 인구과소직역 활성화 사례 연구』, 경상대학교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석사학위논문, 2019
12. 최기원, 『문전성시 사업 프로그램 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3. 주소형, 『예술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4. 이주현,『대구 방천시장문전성시사업에 대한 문화정치론적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15. 신승민, 『공공미술으로서의 대구 방천시장의 발전적 모색』,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6. 김담비,『서울시 창작공간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문화예술창조도시 요코하마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7. 이양병, 『공공시설디자인 평가 방법론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8. 탁류영, 『광저우시 해주구 샤오조우촌의 건축물과 경관적 모습에 관한 연구』, 화남이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9. 장징위, 『도시재생사업에서 커뮤니티 디자인의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중국 징던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20. 판단단, 『중국 노령세대를 위한 구도심 지역 AIP 평가지표 개발』,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Academic Journal]

1. 余霖, “文化產業, 創意產業和文化創意產業概念辨析”, 『廈門理工學院學報』, 2013
2. 何海兵,“中國城市基層社會管理體制的變遷”, 『中國公共管理論壇』, 2003
3. 夏學鑾,“中國社區建設的理論架構探討”, 『北京大學學報』, 2002
4. 張海濤,蘇同華,錢春海, “創意產業興起的背景分析及其啟示”, 『中國浦東幹部學院』,2011
5. 柴彦威,塔娜,“中國时空間行為研究進展”,『地理科學進展』,2013
6. 조성국, “아브라함 마슬로우(Abraham Maslow)의 인간주의 심리학적 인간학”, 『고신대학교논문집』, 1996, Vol.23
7. 서경원·임경란, “노인들의 세대 간 교류증진을 위한 커뮤니티 센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9
8. 박찬성, “대화적 공동체의 정치사상 : Charles Taylor와 Michael Oakeshott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2008
9. 영국문화부(www.culture.gov.uk), “Process Report on Social Inclusion”, 『Building on PAT(Policy Action Team) 』, 2001
10. 한·일미래포럼,『일본의 커뮤니티 시민사회단체 사례 연구』, 2010
11. 공주형, “커뮤니티 아트를 통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재생의 실천 - 매직 미(Magic me)의 커뮤니티 아트 프로젝트 Our Generations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12. 윤나영, “창작공간 기반 커뮤니티 아트 지원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 서울시창작공간 금천예술공장 ‘금천미세스’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 2015
13. 신현경, 이은영, “마을 공동체기반의 문화예술교육 사례 연구 - ‘살림꾼, 마을의 예술꾼 되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2017
14. 박인실, “결혼이주여성의 여가활동 수용과정에 관한 근거 이론적 연구 - 커뮤니티 아트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2018
15. 맹욱재, “관객참여방식에 의한 커뮤니티 아트의 표현 특성 연구 - 클레어 투미의 도자설치작품을 중심으로”, 『조형디자인연구』, 2015
16. 임수영, “디자인 씽킹 관점에서의 커뮤니티 아트 사례 분석 및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2016
17. 민주식, “지역창생을 위한 커뮤니티 아트”,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18. 김동언, 조지연, 엄국천, “커뮤니티 아트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연구』, 2013
19. 김동언, “커뮤니티 아트 유형 개발 전략과 네트워크 모형 연구 - 경기 북부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디자인학연구』, 2017
20. 최경회, “커뮤니티 아트로서 무용의 진화 - 개념 및 다원화된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013
21. 서윤경, “시민 문화예술 활동의 사회적 의미 고찰 - 서울시 마을 예술 창작소 사업의 일상성, 공동체성, 공공성을 중심으로”, 『도시인문학연구』, 2017
22. 손은하·신나경, “공공미술의 전개와 로컬공간의 재생”, 『한국기초조형학회논문집』, 2010
23. Grodach C. and Loukaitou-Sideris A. “Cultural Development Strategies and Urban Revitaliztion: A Survey of USCities[J]”, 『InternationalJournal of Cultural Policy』, 2007
24. Glaeser S. “Consumer City[R]”,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Working Paper.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Cambridge』, 2003

[Report]

1. 1.UK DCMS, 『Creative Industries Mapping Document』, 1998
2. Andy C. Pratt, 『Creative cities: the cultural industries and thecreative class』, 2008
3. KOGA YAYOI, 『REALISER』, 2003
4. 村田武一郞, 『コミュニティの範圍と機能に關する考察 : ネットワク--型コミュニティの形成に向けて』,1997
5. 毕天云,『社区文化:社区建设的重要资源』,2003
6. Insul Kim, M, B. A, M. 『Art as Catalyst for Social Capital: Aommuity a Community Action Research Study for Survicors of Domestic Violence and its Imolications for Cultural Policy』, The Ohio State University, 2011
7. 계시석·천현숙, 『커뮤니티 중심의주거환경정비 연구』, 2000
8.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커뮤니티 아트 진흥 방안 연구』, 2007
9. 박인배, 『문화예술교육의 생태계적 패러다임 연구』, 2007
10. UK DCMS, 『Creative Industries Mapping Document』, 1998
11. Klaus R. Kunzmann, 『Culture, CreativeIndustries and Urban Regeneration』, 2016

[Website]

1. 중화인민공화국 통계청,“2020년 도시의 숫자”, http://www.stats.gov.cn/,2020.04.05
2. “부산시 예술상상마을 조성 등 마을생활서비스 개선”, http://www.yonhapnews.co.kr. 202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