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학위논문박사논문(PhD Theses)

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NO.D.2021.08_01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Residents Participation, Urban Regeneration Project, Collaborative Governance, Model Development, Empirical Research

  • Name : 두보위 (杜博宇)/DU BOYU
  • Info : 박사학위논문/博士学位论文/Doctor's thesis/ 2021.08
  • Adviser : 홍관선/洪宽善/Hong, Kwan-Seon
192.168.95.172

초록

오늘날 날로 심화되고 있는 도시 쇠퇴 문제는 도시 개발에 거대한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에 따라 무분별한 도시 확장, 인구고령화로 인한 경제 사회 및 환경의 상호 배척 현상 등을 해결하고 도시 활력을 되살릴 도시재생사업이 두각을 드러내게 되었다. 도시재생사업은 지역 자원의 합리적 분배와 지역사회 역량 강화를 통해 도시의 낙후된 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생활의 품질을 향상시켜 도시의 경쟁력을 확보하며, 최종적으로 도시의 발전이라는 목표를 실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과거 정부 주도형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의 실질적인 문제해결 과정에서 주민들의 의견을 파악하지 못해 도시 공간에 대한 주민들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했으며, 이에 따라 사업 효과적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주민이 주도적 지위를 갖는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주민과 계획 디자인 전문가, 민간기업 및 지방정부 등 여러 참여주체가 협력을 통해 지역재생 문제의 해결을 도모하는 협력적 거버넌스 모델을 말한다. 그렇다면 이렇게 복잡한 네트워크 속에서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을 어떻게 잘 조율하여 협력적 거버넌스를 실현할 수 있을지는 고민해 볼 만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입각하여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 협력적 거버넌스의 사업 효과에 대한 영향 구조를 탐구하였으며, 선전시(深圳市) 룽강구(龙岗区) 부지(布吉) 중심지를 연구 사례 지역으로 선정하여 도시재생사업 혐력적 거버넌스에 대한 주민의 인식 수준과 현지 재생 사업의 평가 수준을 조사를 통해 모형 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탐구하고 도출된 가설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이론적 고찰 단계로, 우선 한국과 중국의 도시재생 관련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양국의 도시재생사업 선도 도시인 서울과 선전의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을 대상으로 전문가의 역할, 문제 발굴 방식, 계획 수립 및 실시 방식 세 가지 측면에서 양국의 도시재생사업의 차별점을 탐구하였다. 다음으로 가설모형을 도출하기 위해 Bryson의 부문 간 협력 이해 의 틀, Ansell과 Gash의 협력적 거버넌스 모형, Emerson의 협력적 거버넌스 통합적 틀 세 가지 이론모형에 대한 연구와 종합 분석을 진행하고, 각 모형의 연구 중점을 본 연구의 협력적 거버넌스 가설모형의 이론적 기초로 삼았다. 모형 개념에 대한 상기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초기조건 ̓, ̒̒제도적 디자인 ̓, ̒̒협력적 거버넌스 과정 ̓, ̒̒추진요인 ̓, ̒̒결과 ̓는 협력적 거버넌스 모형을 구성하는 영향 요인으로 취급된다.
두 번째 단계는 도시재생사업 평가지표 개발 및 우선순위 도출 단계로 우선 도시재생사업 관련 선행연구 및 세 차례의 델파이 피드백 조사를 통해 물리‧환경적, 사회‧문화적, 산업‧경제적 3가지 분야에서 27개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HP계층분석법을 통해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도출하고, 가중치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고 평가하였다. 전체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종합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을 살펴보면 ʻ유휴지의 재활용ʼ이 1위,ʻ도심 공기의 질적 상황ʼ이 2위,ʻ도시재생사업 주민참여 및 주도ʼ가 3위, ̒지역자원 재활용(자연자원, 노동력자원)ʼ이 4위,ʻ인프라의 접근성과 편리성ʼ이 5위로 나타났다.
세 번째 단계는 제2장에서 제시한 협력적 거버넌스 가설모형과 제3장에서 도출한 평가지표를 기초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으며, 가설을 설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협력적 거버넌스가 도시재생사업효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요인 간의 영향 관계 결과, 협력적 거버넌스가 재생사업효과에 미치는 영향효과 표준화 계수의 강약으로 보면‘초기 조건’(β=0.392) > ‘협력적 거버넌스 과정’(β=0.334) >‘추진요인’(β=0.246) >‘제도적 디자인’(β=0.180)순이다. 이는 도시재생사업 효과의 상승은 주로 ‘초기조건’과 ‘협력적 거버넌스 과정’의 영향을 받으며, ‘제도적 디자인’과 ‘추진요인’도 영향관계가 존재하지만, 전자들에 비해 영향의 정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초기조건’이 협력 시작 전 객관적인 전제로, ‘협력적 거버넌스 과정’의 전개의 난이도를 좌우하여 도시재생사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제도적 디자인’과 ‘추진 요인’은 본질적으로 협력적 거버넌스의 촉매제에 가깝고, 사업 효과의 좋고 나쁨을 직접 결정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중국 도시재생사업 실천의 선행도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중국상황에 적절한 협력적 거버넌스 가설모형을 제시 및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협력적 거버넌스 과정이 도시재생사업의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증할 뿐만 아니라 개념적 모형 개발의 방법론을 탐색하였다.

摘要

当今日益严重的城市衰退问题对城市开发提出了巨大的挑战。因此,解决因盲目扩张城市、人口老龄化导致的经济社会及环境相互排斥现象,恢复城市活力的城市再生事业崭露头角。城市再生工程旨在通过合理分配地区资源和加强社区力量,改善城市落后环境,提高地区生活质量,确保城市竞争力,最终实现城市发展的目标。但是,过去政府主导型城市再生事业在解决城市实际问题的过程中,由于未能掌握居民的意见,无法满足居民对城市空间的需求,因此在事业效果方面存在局限性。在这样的背景下,居民占据主导地位的居民参与型城市再生事业的重要性开始抬头。居民参与型城市再生事业是指城市居民和计划设计专家、民营企业及地方政府等多个参与主体通过合作,谋求地区再生问题的解决"合作型管理模式"。那么,在如此复杂的网络中,如何妥善协调利害关系者之间的矛盾,实现合作性管理是值得深思的问题。
本研究立足于此,探索了居民参与型城市再生事业合作性管理对事业效果的影响结构,将深圳市龙岗区布吉中心选定为研究事例地区,通过调查居民对城市再生事业嫌疑性管理水平的认识和当地再生事业的评价水平,探究模型因素之间的影响关系,验证得出的假设模型。
为达到上述目的,本论文大致分三个阶段进行研究。
第一阶段是理论考察阶段,首先以韩国和中国城市再生相关文献资料为基础,以两国城市再生事业先导城市首尔和深圳的居民参与型城市再生事业为对象,从专家的作用、问题挖掘方式、计划制定及实施方式三个方面探讨了两国城市再生事业的差异点。其次,为了得出假设模型,对Bryson的部门间合作理解框架、Ansell和Gash的合作性管理模型、Emerson的合作性管理综合框架三种理论模型进行研究和综合分析,并将各模型的研究重点作为本研究的合作性管理模式的理论基础。 综合对模型概念的上述内容来看,早期条件、制度设计、合作性管理过程、推进因素、结果等被认为是构成合作性管理模型的影响因素。
第二阶段是城市再生事业评价指标开发及优先顺序的得出阶段,首先通过城市再生事业相关的先行研究及三次Delphy反馈调查,在物理、环境、社会、文化、产业、经济3个领域得出了27个评价指标。以此为基础,通过AHP阶层分析法得出评价指标的权重值,根据权重值确定优先顺序并进行评价。综合整体评价指标的权重,优先顺序高的项目来看,闲置地的再利用ʼ排在第一位,市中心空气质量状况ʼ排在第二位,城市再生事业居民参与及主导ʼ排在第三位,地区资源再利用(自然资源、劳动力资源)ʼ排在第四位,基础设施的接近性和便利性排在第五位。
第三阶段以第二章提出的合作性管理假设模型和第三章导出的评价指标为基础,提出了研究模型,并设定了假设。通过结构方程式模型验证了合作性管理对城市再生事业效果的影响关系。 根据因素间的影响关系,从合作性管理对再生事业效果的影响效果标准化系数强弱来看,依次是"初期条件"(β=0.392)>"合作性管理过程"(β=0.334)>"推进因素"(β=0.246)>"制度设计(β=0.180)。这意味着,城市再生事业效果的上升主要受"初期条件"和"合作性管理过程"的影响,而"制度设计"和"推进因素"虽然也存在影响关系,但影响程度比电子低。 这是因为"初期条件"在合作开始之前是客观的前提,左右"合作性管理过程"的展开难度,对城市再生事业的效果。 "制度性设计"和"推进因素"本质上接近于合作性管理的催化剂,并不直接决定事业效果的好坏。
本研究以中国城市再生事业实践的先行城市为研究对象,提出并验证了适合中国情况的合作性管理模式。本研究不仅验证了合作性管理过程对城市再生事业效果有直接影响,还探索了概念模型开发的方法论。

Abstract

2. The increasingly serious urban decay raises a huge challenge for urban development. To cope with th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exclusion caused by the rapid urban sprawl and phenomenon of the population, the urban regeneration business that could activate the energy of urban shows up prominently. The urban regeneration business could improve the old environment and improve the living quality of the area through the reasonable arrangement of local resources and enhancement of community force to ensure the urban competitiveness so as to achieve the development target of urban revitalization. However, the regeneration business had led by the government in the past impeded some regeneration projects to have a better satisfying the residents’ demand for urban space for being failed to timely master their opinions and ideas when solving the actual urban problems, so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business’s promotion effect. Under the circumstance, it highlights the residents participation 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at is mainly led by the voluntary residents. The residents participation 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 means a collaborative governance model that urban residents, planning and design experts, folk enterprises and local government participants solve the regeneration problem in the area through cooperation and consultation. Hence, how to modulate the conflicts among stakeholders in the complicated relationship network to achieve collaborative governance has been a question that we should consider.
3. Based on the question,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ing structure of collaborative governance on the effect of residents participation 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ith the Buji Central area, Longgang district, Shenzhen city as a study case, the study progress an investigations on the residents’ understanding of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the comment on the local regeneration business to explore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in the model, so as to validate the advantages of a hypothesis model.
4. Hence, the study could be carried out with following three stages.
5. The Stage Ⅰ is literature research on the theory review. Firstly, with the basis of urban regeneration literature in Korea and China, it is clarified with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and the necessity to push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In addition, through comparison and observation on the two advancing cities(Seoul city and Shenzhen city) of the two countries in the residents participation 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t is discussed the differences of the business in the two cities from three aspects, such as the roles of experts, ways to explore problems, regulation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methods. Then, there is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three theoretical models to drive the proposed hypothesis model; and there is a discussion on their own study key points of all models, which works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hypothesis model. Integrating the concepts of model factors, starting conditions, institutional design, driver, collaborative process and outcome are analyzed to be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of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model.
6. The Stage Ⅱ is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es and derivation of priority orders for urban regeneration business. Firstly, through the related advanced research of the business and three Dephi Method feedback investigations, it is concluded with 27 evaluation index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social culture and industrial economy these three fields. Based on these, the weights of evaluation indexes is concluded with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n the priority order is confirmed according to the weighted values and it is made with comments. Seen from the weights of overall evaluation indexes, the primary index is “reuse of leisure land”; the secondary one is “air quality in downtown”; the tertiary one is “residents participating and leading”; the quadratic one is “reuse of regional resources (man force, labor force) and the fifth is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infrastructure”.
7. The Stage Ⅲ is to gain the study model and set a hypothesis based on the hypothesis model of collaborative governance suggested in the Chapter Two and the evaluation indexes derived in the Chapter Three.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collaborative governance on the effect of urban regeneration business is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of the effect on the cause, it should be ranked to be Starting conditions> Collaborative governance process > Driver > Institutional design, which means that the rise of the business effect is mainly affected by the Starting conditions and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process; there is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 design and the Driver, but the degrees are lower than the first two. As an objective premise before the beginning of the collaboration, the Starting conditions would affect the undertaking difficulty of collaborative governance at the beginning period so as to affect the promotion effect of the business. The Institutional design and to Driver are essentially closer to catalysts of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so they could not directly determine the effect of the business.

키워드

  • #주민참여
  • # 도시재생사업
  • # 협력적 거버넌스
  • # 모형 개발
  • # 실증 연구

  • #居民参与,城市再生事业,合作型管理,模型开发,实证研究

  • # Residents Participation
  • # Urban Regeneration Project
  • # Collaborative Governance
  • # Model Development
  • # Empirical Research

참고문헌

[Book]

1. 고영복, 『사회학사전』, 사회문화연구소, 2000
2.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정책과),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2021
3. 류성진, 『커뮤니케이션 통계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4. 문화체육관광부,『문화콘텐츠 접목 노후 관광시설 재생사업 추진방안』, 2013
1. 서울특별시, 『함께 만들고 함께 누리는 서울시 주민참여형 재생사업 매뉴얼』, 서울특별시청, 2013
2. 서울특별시, 『국가 도시재생 기본방침』, 국토교통부 공고 제2019-113호, 2019
5. 오미숙, 정인숙, 『커뮤니케이션 핵심이론』,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9
6. 은재호, 오수길,『한국의 협력적 거버넌스』, 대영문화사, 2009
7. 이학식, 임지훈,『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7.0』, 법문사, 2008
8. 한국성인교육학회, 『교육평가용어사전』, 학지사, 2004
3. 国务院发展研究中心社会发展研究部课题组(중국 국무원 발전연구센터 사회발전 연구 과제팀),『社会组织建设:现实,挑战与前景(사회조직 건설: 현실, 도전과 비전)』,中國發展 出版社,2011
4. 陈振明(천전밍),『公共管理学-一种不同于传统行政学的研究途径(공공관리학-전통적인 행정학과는 차별된 연구방법)』,中國人民大学出版社,2003
5. 何永江(허융강), 『经济学方法论和学术写作(경제학 방법론과 학술논문 작문)』, 中國經濟出版社, 2011
6. 龙岗区都市更新和土地整备局(룽강구 도시갱신과 토지정비국), 『龙岗区城市更新'十三‧五'规划文本(룽강구 도시갱신 13차 5년계획,2017)』, 2017
7. 深圳市统计厅(선전시 통계청), 『深圳市2020年统计年鉴(선전시 2020년 통계연감)』, 2020
8. 深圳市都市规划协会(선전시 도시계획학회), 『深圳市城市更新专项规划(2010年-2015年) (심전시 도시갱신 특별계획 2010-2015)』,2013
9. 吴明隆(우밍룽),『结构方程模型-AMOS的操作与应用(구조방정식 모형-AMOS의 조작과 응용)』, 重庆大学出版社, 2009
10. Anderson, R. D., Strand of System, The Philosophy of Charles Pierce, Purdue University Press,1977
11. Bingham, B. L. and R. O'Leary, Big Ideas in Collaborative Public Management, Routledge Press, 2008
12. Creswell, W. J. and C. N. Poth,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the Five Traditions. 4th Edition, SAGE Publications, 2017
13. Habermas, J. and T. McCarthy,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Boston: Beacon Press, 1984
14. Kooiman, J., Societal Governance: Level Modes, and Orders of Social-Political Interaction, in Pierre, J. (ed), Debating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5. Lichfield, D., Urban Regeneration for the 1990s, London Planning Advisory Committee, 1992
16. McCarthy, J., Partnership, Collaborative Planning and Urban Regeneration, Routledge Press, 2007
17. Murayama, A., Toward the Development of Plan-Making Methodology for Urban Regeneration, M Horita, H Koizumi (eds.), Innovations in Collaborative Urban Regeneration, Springer Press, 2009
18. Ravetz, J., City-Region 2020: Integrated Planning for a Sustainable Environment, Routledge Press, 2000
19. Roberts, P. and H. Sykes,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Sage Publications, 2000
20. Saaty, T. 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 Hill, New York, 1980
21. Sabatier, A. P., W. Focht, M. Lubell, Z. Trachtenberg and A. Vedlitz, M. Matlock, (eds.). Swimming Upstream, Collaborative Approaches to Watershed Management, Cambridge, MA: MIT Press, 2005
9. Tallon, A., Urban Regeneration in the UK, Second Edition, Routledge Press, 2013
22. UN-HABITAT, State of the World's Cities: 2008/2009: Harmonious Cities, UN-HABITAT Press, 2008
23. Vigar, G., Healey P., Hull, A. and S. Davoudi, Planning, Governance and Spatial Strategy in Britain, Macmillan Press, 2000

[Dissertation]

1. 김경천, 「도시재생 지역선정을 위한 평가요소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 김수경, 「협력적 거버넌스가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 김상권, 「공공갈등의 발생요인과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4. 김재영, 「로컬 거버넌스의 구성요소가 도시재생과 주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 김태원, 「도시재생사업에서 부동산간접투자기구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6. 박진수, 「지속가능한 도심재생을 위한 계획이론과 특성에 대한 고찰」,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7. 손창진,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도시재생 과정 연구」,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8. 안진성, 「델파이 기법(Delphi)과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의 적용을 통한 전통정원의 보존상태 평가지표 개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9. 임선, 「도시재생사업에서의 실행력 강화를 위한 공기업의 역할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0. 오중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의 Project Consulting Management모델」,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1. 장철규,「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도시재생사업 평가 및 시행효과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19
12. 정수용, 「협력적 거버넌스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주민의 공동의 문제해결 사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3. 조재경, 「도시재생사업의 리스크요인 분류 및 중요도 산정」,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2
14. 한창섭, 「지역사회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도시기본계획 수립절차 개선방안」,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5. 허정문,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도시재생리츠 모델 개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6. 高畅(고창), 「基于Bryson 模型的A县农村环境协同治理有效性研究(Bryson 묘형을 기초한 A현청 농촌환경 협력적 거버넌스 유효성에 관한 연구)」,화중사범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7. 吕亚洁(여아결),「城市更新项目实施的影响因素分析:基于深圳市原龙岗区更新项目的实证研究(도시갱신사업시행의 영향요인 분석: 선전시 룽강구 갱신사업에 관한 실증연구)」,심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9
18. 赵锦(조진), 「中国网约车服务业的协同治理研究(중국 온라인 콜택시 서비스산업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화중사범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Academic Journal]

김신일, “교육자치의 당위성과 현실”, 『교육학연구』, 1991, Vol.6(2)
2. 김기형, “송도국제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방향”, 『미래 지속가능 에코도시건축 GEST』,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정책 국제 심포지움, 2007
3. 김영, 이정동, 김경훈, 천성봉, “통합창원시 도시재생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도시행정학보』, 2010, Vol.23(4)
4. 김혜천,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도시행정학보』, 2013, Vol.26(3)
5. 남영우,“영국의 도시재생전략(イギリスの都市再生戰略)”,한국 도시 지리 학회, 1999, Vol.2(1)
6. 노현준, 전용석, “도시재생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 경향 및 특성분석”,『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Vol.14(7)
7. 문채, 김광구,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연구”,『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2006, Vol.41.(6)
8. 서순탁, 민보경, “지역발전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 2005, Vol.30(2)
9. 이경환, 안건혁, "협력적 계획을 통한 도시계획 합의 과정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국토계획』, 2007, Vol.42(2)
10. 이규인, 이장욱,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주요과제와 계획목표 설정 및 단계적 추진모델 개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009, Vol.25(4)
11. 이명석, "협력적 거버넌스와 공공성”, 『현대사회와 행정』, 2010,Vol.20(2)
12. 이승우, "건설산업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의 이슈와 과제”, 『건설이슈포커스』, 한국건설 산업연구원, 2014
13. 임진강,「계층적 분석기법(AHP)에 의한 제주 돌문화경관자원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Vol.45(1), 2017
14. 오덕성, 김영환, “지속가능한 도시형태 모형의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Vol.39(2),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2004
15. 유미현, 나주몽, “사회적자본이 협력적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예술 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2017, Vol.7(4)
16. 주재복, 조석주, 김필두, 박해육, 하동현,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적 거버넌스 재설계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2011
17. 주재복,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적 거버넌스 성공 요인 분석”, 『한국정책연구』, 2013, Vol.13(3)
18. 최성욱,“한국의 거버넌스 연구경향에 대한 분석”,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003, Vol.(10)
19. 蔡延东(차이옌둥), “政府危机管理到危机协同治理的分析及路径选择(정부 위기관리 및 협력적 거버넌스 분석 경로 선택)”, 『허난 공과대학 학보』, 2011, Vol.12
20. 刘少瑜(류사오위), "从基础到更新-城市再生新策略(기초부터 갱신까지-도시재생 신전략)”,『城市设计(도시 설계)』, 2016, Vol.6
21. 刘伟忠(류웨이중), “我国协同治理理论研究的现状与趋向(중국 협력적 거버넌스 이론 연구의 현황과 경향)”, 『城市问题(도시 문제)』, 2012, Vol.5
22. 李辉(리후이), “善治视野下的协同治理研究(선치에 의한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과학과 관리』, 2010, Vol.6
23. 吕亚洁(여아결),「城市更新项目实施的影响因素分析:基于深圳市原龙岗区更新项目的实证研究(도시갱신사업시행의 영향요인 분석: 선전시 룽강구 갱신사업에 기초한 실증연구)」,심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9
24. 唐艳,杨东(당염, 양동), “城市更新制度建设:广州,深圳,上海三地比较(도시갱신제도건설: 광우주, 선전, 상하이 3 도시 간의 비교)”,『城乡规划(도농 계획)』, 2018, Vol.4
25. 田培杰(전배걸), “协同治理概念考辩(협력적 거버넌스 개념의 분석)”,『上海大学学报(상해대학 학보)』, 2014, Vol.31
26. 王名(왕명),『非盈利组织管理概论(비영리조직 관리 개론)』,中國人民大學出版社,2010
27. 张平宇(장평우), “都市再生: 我国新型都市化的理论与实践问题(도시재생: 우리나라 신형도시화의 이론과 실천문제)”,『都市规划 (도시계획)』,2004, Vol.4
28. 郑巧(정교), “协同治理: 服务型政府的治道逻辑(협력적 거버넌스: 서비스형 정부의 통치논리)”, 『中国行政管理(중국 행정 관리)』, 2008, Vol.7
29. 邹兵(추우병), “从咨询公众到共同决策-深圳市城市总体规划全过程公众参与的实践与启示(대중적 자문부터 공동 의사결정-선전시 도시의 총체적 계획과정에서의 대중 참여의 실천과 시사점)”, 『都市规划(도시 계획)』,2011, Vol.35(8)
30. Alexander, A. J., M. E. Comfort, and B. J. Weiner, Governance in Public-private Community Health Partnerships: A Survey of the Community Care Network: SM Demonstration Sites, Nonprofit Management & Leadership, 1998, Vol.8
31. Andranovich, G., Achieving Consensus in Public Decision Making: Applying Interest Based Problem-solving to the Challenges of Intergovernmental Collaboration,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Research Vol.31, 1995
32. Ansell, C. and A. Gash,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18(4), 2008
33. Bryson, M. J., B. C. Crosby, and M. M. Ston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ross-Sector Collaborations: Propositions from the Literatur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2006, Vol.66(s1)
34. Bryson, M. J. and B. C. Crosby, Failing into Cross-Sector Collaboration Successfully, In Big Ideas in Collaborative Public Management, (eds.), L. B. Bingham and R. O’Leary, 2008
35.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1975, Vol.28
36. Fornell, C. and D. F. La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81, Vol.18(1)
37. Geoghegan, T. and Y. Renard, Beyond Community Involvement: Lessons from the Insular Caribbean, Parks, 2002, Vol.12(2)
38. Thomas, I. G. and J. C. Day, The Theory and Practice of Collaborative Planning in Resource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Environments, 2003, Vol.31(2)
39. Hayes, A. F. and K. J. Preacher, Conditional Process Modeling: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xamine Contingent Causal Processes, 2013, APA Psyclnfo
40. Imperial, T. M., Using Collaboration as a Governance Strategy: Lessons from Six Watershed Management Programs, Administration & Society, 2005, Vol.37
41. Hox, J. J., An Introduction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amily Science Review, 1998, Vol.11
42. Kang, H. and J. Choi, A Critical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from the Public Values Perspectives, Journal of Business, 2018, Vol.18
43. Keith, S. T., The Use of Cronbach’s Alpha When Developing and Reporting Research Instruments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8, Vol.48
44. Emerson, K,, T. Nabatchi, and S. Balogh,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Collaborative Governanc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2011, Vol.22(1)
45. Lasker, D. R, and E. S. Weiss, Broadening Participation in Community Problem-solving: A Multidisciplinary Model to Support Collaborative Practice and Research, Journal of Urban Health: Bulletin of the New York Academy of Medicine, 2003, Vol.80
46. Lang, T., Insights in the British Debate about Urban Regeneration, Working Paper No.32, Erkner, Leibniz-Institute for Regional Development and Strategic Planning, 2005
47. Margerum, R. D., Collaborative Planning: Building Consensus and Building a Distinct Model for Practice,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2002, Vol.21
48. Merkhofer, W. M., R. Conway, and R. G. Anderson, Multiattribute Utility Analysis as a Framework for Public Participation in Siting a Hazardous Waste Management Facility, Environmental Management, 1997, Vol. 21
49. Murdock, B, S,, C. Wiessner, and K. Sexton, Stakeholder Participation in Voluntary Environmental Agreements: Analysis of 10 Project XL Case Studies,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30, 2005, pp.223–50.
50. Murry, W. J. and J. O. Hammons, Delphi: A Versatile Methodology fo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The Review of Higher Education, 1995, Vol.18(4)
51. Dalkdy, C. N., The Delphi Method: An experimental study of group opinion, Rand Corporation Memorandum, 1969
52. Peter, B. G. and J. Pierre, Governance Without Government? Rethinking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999, Vol.8(2)
53. Reilly, T., Collaboration in action: An uncertain proces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2001, Vol.25(1)
54. Rhodes, R., The New Governance: Governing without Government, Journal of Political Studies, Vol.44(4), 1996
55. Ricardo, M. and J. B. Stephens, Teaching Collaborative Governance: Phases, Competencies, and Case-Based Learning, Journal of Public Affairs Education, 2012, Vol.18(3)
56. Rogers, T., B. H. Pitney, E. C. Feighery, D. G. Altman, J. M. Endres, and A. G. Roeseler,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nt Perceptions of Tobacco Control Coalitions in California, Health Education Research, Theory & Practice, 1993,Vol.8
57. Rowe, G. and G. Wright, The Delphi Technique as a Forecasting Tool: Issues and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casting, 1999, Vol.15(4)
58. Rowe, G. and G. Wright, Expert Opinions in Forecasting: The Role of the Delphi Technique in J. Armstrong (ed.), Principles of Forecasting, Boston: Kluwer Academic, 2001
59. Saaty, T. 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 A New Approach to Deal with Fuzziness in Architecture, Architecture Science Review, 1982, Vol.25
60. Selin, S. and D. Chavez, Developing a Collaborative Model for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1995, Vol.19
61. Short, C. and M. Winter, The Problem of Common Land: Towards Stakeholder Governance, Journal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1999, Vol.42
62. Tett, L., J. Crowther, and P. O’Hara, Collaborative Partnerships in Community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Policy, 2003, Vol.18
63. Triantaphyllou, E., B. Kovalerchuk, M. Lawrence, and G. M. Knapp, Determining the Most Important Criteria in Maintenance Decision Making, Quality in Maintenance Engineering, 1997, Vol.3(1)
64. Vangen, S. and C. Huxham, Enacting Leadership for Collaborative Advantage: Dilemmas of Ideology and Pragmatism in the Activities of Partnership Managers, British Journal of Management, 2003, Vol.14
65. Vegas, L. G., An Overview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its Application, European Journal Operational Research, 1990, Vol.48
66. Warner, F. J., More Sustainable Participation? Multi-stakeholder Platforms for Integrated Catchment Management, Water Resources Development, 2006, Vol. 22(1)

[Website]

1. 도시재생사업단 홈페이지, http://www.kourc.or.kr
2. 도시재생 종합정보체계 홈페이지, https://www.city.go.kr
3. 네이버 지식백과, “분산분석”,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25384&cid=422 51&categoryId=42262
4. 네이버 지식백과, “합성점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24701&cid= 42125&categoryId=4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