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학위논문박사논문(PhD Theses)

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NO.D.2021.08_03

역사·문화가로 경관색채 평가 지침 개발 및 적용 연구 -중국 카이펑시(中國 開封市)역사·문화가로를 중심으로 历史·文化街区景观色彩评价指南开发及应用研究 -以中国开封市历史文化街区为中心-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valuation Guidelines for Landscape Color in Historical · Cultural Streets - Focusing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of Kaifeng(開封), China -

  • Name : 손로 (孙路)/SUN LU
  • Info : 박사학위논문/博士学位论文/Doctor's thesis/ 2021.08
  • Adviser : 윤지영/尹知映/Yoon, Ji-Youn
192.168.95.172

초록

본 연구는 역사·문화가로의 경관색채 평가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현대사회의 도시화가 지속되면서, 도시의 전체적인 이미지에도 중요한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전통적인 역사·문화공간은 현대적인 건축물로 대체되고, 역사문화 유산을 둘러싼 건축물과 시설들은 각자의 상징성을 강조하면서 지역 고유의 색채 정체성이 약화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각 지방 자치 단체의 역사·문화가로의 복원적개발의 상당 부분은 가로 개선의 물리적인 측면에서만 한정되어 있었다. 색채는 역사·문화가로의 중요한 시각적 요소로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이지만, 역사·문화가로의 경관색채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중국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인 카이펑 시의 역사·문화가로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카이펑 시 옛 시가지의 리모델링은 다소 지체되어 부분적으로만 이뤄졌을 뿐만 아니라, 아직 도시 색채 디자인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여 카이펑 시 역사·문화가로 색채 연구는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역사·문화가로의 경관과 구성요소 색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역사·문화가로의 경관색채에 대한 평가요소를 도출하고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개발된 평가요소 및 기준을 바탕으로 중국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인 카이펑 시 네 곳의 역사문화·가로의 경관색채에 대한 평가 및 분석을 진행하여 역사·문화가로 경관색채 디자인을 어떻게 보존 및 발전시킬지에 대한 고려 사항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고찰 및 분석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고찰 및 분석 과정을 거쳤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역사·문화가로의 관련 개념과 전통 색채, 카이펑 시의 도시 색채 및 역사·문화가로의 경관 구성요소와 역사·문화가로 경관색채의 연구 방법에 대한 정리를 진행하였다.
둘째, 경관색채와 역사·문화 경관색채 평가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해 역사·문화가로 경관색채의 평가요소를 역사문화성, 지역성, 연속성, 조화성, 기능성, 통일성의 6개 평가항목과 9개의 평가요소, 21개의 세부 평가 내용으로 정리하였다. 델파이 기법을 통해 2차례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선정된 역사·문화가로 경관색채의 평가기준은 역사문화성(3), 지역성(2), 연속성(2), 조화성(2), 기능성(3), 통일성(2) 등 상위 평가 항목 6개와 세부 평가 내용 14개로 구성되었다.
셋째, 제3장을 통해 도출된 평가 지표를 통해 카이펑 시 역사·문화가로 네 곳의 경관색채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가로등, 보행 관련, 안내사인 등의 시설물은 제외하고 거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교통관련 대형 사인시설물 및 건축물에 부착된 상업 사인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가로와 주변 건축색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가로와 주변 대형 건축물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넷째, 본문의 연구사례에 대한 평가조사는 제3장에서 작성된 평가 지표에 따라 설문조사를 작성하였으며, 5년 이상 거주한 지역주민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역사·문화가로의 경관색채에 대한 평가의견을 취합하고, 조사결과에 대해서는 SPSS W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SD 분석과 평균값 등 기본적인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네 곳의 역사·문화가로 경관색채 계획 시 고려해야 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역사·문화가로는 서로 다른 역사·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재활성화 후 사용 기능은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도시의 현대화 발전 과정에서 역사·문화가로 주변을 둘러싼 건축물과 시설물이 고도로 현대화된 환경으로 대체되면서 지역 고유의 색채 정체성이 약화되었다. 그리하여 역사·문화가로 경관색채 계획 시, 각 가로의 역사·문화적인 시대적 배경과 조합하여 가로의 역사·문화적 건축물의 차별화 활용과 지역의 역사 상징성 색채의 활용을 확보해야 한다. 아울러 지역 환경 요소의 영향을 고려하면서 도시 전체의 색채 환경과 일치성을 유지해야 한다. 역사·문화가로 주변의 건축물과 시설물 및 내부 안내사인 등 시설물은 역사·문화가로의 경관색채를 기준점으로 삼아야 하며, 지속적인 색채계획의 수립은 지역 역사문화의 정체성과 지역 환경의 정체성 형성, 역사·문화가로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구현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摘要

本研究以评价历史文化街区景观色彩为重点进行。随着现代社会城市化的持续,城市的整体形象也发生了重要变化。传统的历史文化空间被现代建筑所取代,围绕历史文化遗产的建筑和设施强调各自的象征性,地区固有的色彩认同性减弱的情况频繁发生。另外,各地方自治团体复原性开发历史文化街区的相当一部分仅限于横向改善的物理层面。色彩是历史、文化街区上的重要视觉要素,是表现地区文化认同感的重要设计要素,但对历史、文化街区景观色彩的专门研究还停留在初期阶段。在此背景下,本研究选定了中国代表性历史文化城市开封市的历史文化街区为主要研究对象。开封市旧城区的改造多少有些滞后,不仅部分完成,而且尚未具备城市色彩设计系统,因此开封市历史文化街区色彩研究具有重大意义。
本研究通过对历史、文化街区景观和构成要素色彩的理论考察,得出对历史、文化街区景观色彩的评价要素,并提出了分析框架。同时,以开发的评价要素及标准为基础,对中国代表性历史文化城市开封市的4处历史文化、横向景观色彩进行评价和分析,提出了如何保存和发展历史文化街区景观色彩设计的考虑事项。为了达到这样的目的,经历了以下考察和分析过程。
第一,通过文献考察,对历史·文化街的相关概念和传统色彩、开封市城市色彩及历史·文化街区景观构成要素和历史·文化街区景观色彩的研究方法进行了整理。
第二,通过对景观色彩和历史文化景观色彩评价的文献考察,整理了历史文化街区景观色彩的评价要素,包括历史文化性、地域性、连续性、协调性、功能性、统一性的6个评价项目和9个评价要素、21个具体评价内容。通过德尔菲技法分2次进行问卷调查,最终选定历史·文化街区的景观色彩评价标准由历史文化性(3)、地域性(2)、连续性(2)、协调性(2)、功能性(3)、统一性(2)等6个上层评价项目和14个具体评价内容组成。
第三,通过第三章得出的评价指标,分析了开封市4处历史文化街的景观色彩现状。分析对象除路灯、步行相关、向导等设施外,以影响街道形象的交通相关大型标识设施及建筑物上的商业标识为中心选定。同时,为了掌握横向与周边建筑色彩的关系,将横向与周边大型建筑也选定为分析对象。
第四,对本文研究事例的评价调查是根据第3章制定的评估指标进行的问卷调查,以居住5年以上的地区居民为对象进行调查。通过问卷调查汇总了对历史·文化街区景观色彩的评价意见,对调查结果利用SPSS WIN 22.0统计项目进行了SD分析和平均值等基本统计分析。因此,四处历史、文化街区景观色彩规划时需要考虑的问题点。
虽然历史、文化有着不同的历史、文化背景,但搞活以后使用功能将发生变化。但在城市现代化发展过程中,围绕历史、文化街区周边的建筑物和设施被高度现代化的环境所取代,地区固有的色彩认同感减弱。因此,在规划景观色彩时,应与各街区的历史文化时代背景相结合,确保横向历史文化建筑的差异化利用和地区历史象征性色彩的利用。同时,要考虑地区环境因素的影响,保持与城市整体色彩环境的一致性。历史·文化街区周边的建筑物和设施及内部介绍师等设施应以历史·文化街区的景观色彩为基准,持续的色彩计划的制定对地区历史文化的特性和地区环境的特性形成以及再现历史·文化街区的历史·文化价值具有重要意义。

Abstract

The study focuses on the landscape color evalu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Along with the continuous undertaking of urbanization in modern society, there is a critical change in the entire image of urban. The traditional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is replaced by modern architecture. The architectures and facilities surround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emphasizes their own symbolism. The weakening of color identity inherent in a region is very frequent. All local government’s partial restorative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is only limited to improve the physical layer of streets. As an important visual shape factor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color is a critical design factor to show the regional cultural identity. However, the special study on the landscape color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is in an initial period. Under the background, the study makes the more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in China,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in Kaifeng City, as the main study object. There are certain hinders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old areas in the city, so there is partial reconstruction without an urban color design system. Hence, the study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in Kaifeng City is very significant.
Through the observation on the theory of the landscape and component of color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the study extracts the factors of the landscape color evalu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and proposes an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development evaluation factors and standards, there is an evaluation analysis on the landscape color of four major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in the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of China, Kaifeng. Finally, it is suggested with the precautions of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landscape color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To reach the target, it goes through the following observation and analysis process.
Firstly, through literature observation, it is carding with the study methods of relevant concepts of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and Chinese traditional color, urban color and components of landscape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of Kaifeng City and landscape color of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Secondly, through the literature’s observation on the landscape color and the landscape color evaluation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the evaluation factors of the landscape color are concluded to be historical and cultural, regionality, continuity, coordination, functionality, unity these 6 evaluation projects and 9 evaluation factors as well as 21 specific evaluation contents. Through the observation of two-stage questionnaire survey with Delphi skill, it is ultimately determined with the evaluation standards of landscape color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including two-stage questionnaire survey (3), regionality (2), continuity (2), coordination (2), functionality (3), unity (2) these 6 upstream evaluation projects and 14 specific evaluation contents.
Thirdly, it is analyzed with the present landscape color in 4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in Kaifeng City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dexes concluded in chapter three. Except for street lights, walking-related facilities, guides and other facilities, there is an analysis centered on the traffic-related large private architectures facilities that affect the street image and the business signature on the architectures. At the same time, the street and surrounding large architectures are deemed as analysis objects to know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et and the colors of the surrounding architectures.
Fourthly, there is evaluation research on the questionnaire for the study case in the paper.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dexes formulated in chapter three, a questionnaire is formulated and the objec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re the residents who have lived in Kaifeng for more than 5 years. The evaluation opinion of regional residents on the landscape color in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i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s for the survey result, there would be a basic statistical analysis of SD and average with SPSS WIN22. 0 statistics analysis. It is introduced with the problems that need to consider in the landscape color planning in the 4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There are different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in these streets, but they are equipped with various usage functions after activation. However, during the development of urbanization, the architecture and facilities surround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are replaced by a highly modernized environment, which causes the weakening of the color identity inherent in a region. Henc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all stree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landscape color planning of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to ensure the differentiated use of architectural color in the streets and the use of historical symbolic color of the region. At the same time, the impact of such factors as the regional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lor environment of the whole city. A sustainable color planning should be a mode for the architectures and facilities surround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and the facilities such as signboards and other facilities inside the street should with the landscape color of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as a reference standard, which means so much for the sense of identity of regional history and culture and the formation of the integrity of regional environment to show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키워드

  • #역사·문화가로
  • # 경관색채
  • # 가로 경관
  • # 색채 평가
  • # 중국 전통 색채

  • #历史文化街区,景观色彩,街区景观,色彩评价,中国传统色彩

  • #Seniors
  • # Consumer
  • # Korean market
  • # Cosmetics
  • # Industries

참고문헌

[Book]

1. 이석현, 『도시환경의 색채디자인』, 지구문화사 출판사, 2016
2. 이석현,『경관색채계획의 이론과 실천』, 미세움 출판사,2008
3. [日]芦原义信著,尹培桐 (译),『街道的美学(续一)』, 百花文艺出版社, 1984
4. 강정청(薑澄清),『중국안의 색채관(中國人的色彩觀)』,그이저우성대학출판사(貴州大學出版社),2013
5. 곽말약(郭沫若),『중국고대 사회 연구(中國古代社會研究)』, 인민출판사(人民出版社),1964
6. 郭黛姮.『中国古代建筑史(第三卷)』, 中国建筑工业出版社,2003
7. 傅熹年.『中国古代建筑史(第二卷)』,中国建筑工业出版社,2001
8. 梁思成, 『清式营造则例』, 中国建工出版社, 1981
9. 周俊, 『问卷数据分析 破解 SPSS 的六类分析思路』, 电子工业出版社,2017

[Dissertation]

1. 全正奎,「역사문화가로의 계획방법 및 조상방안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서학위논문, 2001
2. 반시영, 「근대 역사·문화가로 경관조명 연출에 관한 연구-중국 광저우시 사미엔(沙面)거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 이뭉려,「역사·문화가로 이미지 개선을 위한 옥외간판 디자인연구」, 동명대학교 석서학위논문, 2019
4. 왕이팡,「중국 역사·문화가로의 경관특성에 관한연구」,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20
5. 판위, 「차이나타운의 가로경관색채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6. SHIXUE,「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중국 전통‘오색(五色)’관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7. 진선희,「경관색채관련법에 근거한 도시경관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0
8. 김현정, 「경관색채를 통한 장소성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9. 오은경, 「역사경관 보전을 위한 가로경관 색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0. 양혜진, 「창의역량 증진을 위한 대학 강의실 모델 개발」,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1. 신동재. 「브랜드 가치 평가 지표 개발을 위한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활용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2. 박희경, 「도시 미관지구의 공공안내사인색채 평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19
13. 최영신,「도심가로변 건축물의 색채 환경평가를 통한 개선방안연구」, 홍의대학 박사학위논문, 2011
14. 허종화, 「상업가로 보행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가로환경설계」,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5. 손동승, 「특화거리 형성을 위한 환경색채계획 연구--서울 약령시 약전 2길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6. 박준수, 「신도시 중심상업지역 가로공간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7. 주정희, 「도시 색채 이미지 정체성 형성과 평가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2020.
18. 柴纪阳,「历史文化街区公共空间更新设计研究」,北京建筑大学 석사학위논문, 2018
19. 田惠娟,「河南开封地区近代公共建筑研究」, 湖南大学 석서학위논문,2008
20. 郭东萍,「苏州古城区城市景观色彩设计研究」,苏州大学 硕士学位论文,2008
21. 田惠娟.河南开封地区近代公共建筑研究[D].湖南大学硕士学位论文,2008
22. 常清华,「清代官式建筑研究史初探」, 天津大学 博士学位论文, 2012
23. 范宇,「清代官式建筑研究史初探」, 天津大学 박사학위논문, 2018
24. 胡珀,「中国传统建筑色彩的区域特征及其文化表征」, 哈尔滨工业大学 硕士论文, 2005
25. 吕英霞,「中国传统建筑色彩的文化理念与文化表征」,哈尔滨工业大学 硕士学位论文, 2008
26. 赵鹏飞, 「山东运河传统建筑综合研究」, 天津大学 박사학위논문,2013
27. 曹鹏,「明代都城坛庙建筑研究」,天津大学 박사학위논문 , 2011
28. 郭祉坚,「北京清代贝勒贝子府建筑形态研究」, 北京建筑大学 박사학위논문,2016
29. 邹羽佳, 「民国建筑风格在现代城市中的传承与发展」, 南京理工大学 석사학위논문, 2011
30. 程宇飞, 「南京民国历史街区环境改造设计研究」,南京林业大学 석사학위논문, 2012
31. 靳满, 「建筑色彩在塑造开封特色城市形象中的应用」,河南大学 석사학위논문, 2012
32. 成丽,「宋《营造法式》研究史初探」,天津大学 博士学位论文,2009
33. 史学明,The Research of Renewal Design and Regional Culture of Chongjang Commercial Street in The old zone of Kaifeng city and its regional culture,河南大学 석사학위 논문, 2010
34. 张倩,「城市地域特色塑造中的环境色彩设计研究」, 华中科技大学 석사학위논문,2010
35. 刘磊. 「北京什刹海历史文化保护区色彩管理研究」, 北京理工大学 석사학위논문, 2012
36. 赵艳红, 「洛阳城市历史街区街道景观设计研究」, 河北工业大学 석사학위논문, 2012
37. 李孟路, 「晋商文化街道景观形态设计研究」, 内蒙古师范大学 석사학위논문, 2017
38. 张地, Assessment and Optimization Research on Color Landscape of Shenyang Xita Street, Shenyang Jianzhu University 석사학위논문, 2017

[Academic Journal]

1. 안수미, 손광호, 최인영, "역사·문화가로의 구성요소 및 색채특성 분석 연구”,『한국 과학예술 융합학회 논문지』, 2015, Vol.20
2. 이석현,“도심 역사경관 자원 주변의 색채환경 평가”, 『디자인학연구』, 2010, Vol.23(4)
3. 이석현,“역사적 상징공간 주변경관의 색채 관계성 평가”, 한국색채학회, 2012, Vol.28(4)
4. 주희진,"재활용을 위한 근대 역사문화 경관색채의 연구”,『한국색채학회지』,2011, Vol.25(3)
5. 이진숙, 류지선, 김한나, 이희원, "실내 거주공간의 적용 색채에 따른 감성어휘의 평가분 석”,『한국색채학회』, Vol.28(2)
6. 원의삼(阮义三), "중국 역사문화가로 보호와 계획 관련 문제 연구”,『도시계획』, 2001, Vol.125(10)
7. 马达, 郑甲苏, "历史街区环境特色的维护方法”, 『城市更新』, 2015, Vol.20(1)
8. Meinig D.W, "The beholding eye: Ten versions of the same scene”,『Landscape
Architecture』,2016
9. 曽启雄, "中国五正色辨义与阴阳五行关系之研究 ”,『台湾国立云林科技大学』,2002
10. 王京红, "中国传统色彩体系的色立体—以明清北京城市色彩为例”,『ARTRESEARCH』, 2017
11. 曾超华,“秦汉色彩研究”,『北京服装学院』,2009,
12. 赵中枢. "从城市保护到历史文化名称保护”, 『城市规划』,2001
13. 田润禾,"开封城市色彩规划路径分析”,『建筑建材装饰』,2006
14. 周军,徐向明,陈继阳,"基于色彩主题的城市道路绿地景观设计研究”,『江苏农业科学』,2016 Vol.44(12)

[Report]

1. 바이두 바이크, “역사⦁문화가로 정의”,www.baike.com/wiki
2. 바이두 바이크,“역사⦁문화가로”, http://www.cas.cn/zt/jzt/ltzt/dqxdhshjjfzdbyzl/tjymb/200409/t20040906_2670814.shtml
3. 바이두 바이크,“역사⦁문화 가로”https://baike.baidu.com/item/
4. 바이두 바이크,“역사⦁문화 가로의 기본 특징”, www.jianshe99.com
5. 杨大禹. "历史文化名城的保护”, http://channelwest.com/news/list.asp?id=117
6. 바이두 바이크, “카이펑 시의 역사문화”,https://baike.so.com/doc/1952948-2066695.html
7. 카이펑 시 시청 홈페이지,https://kknews.cc/cultu re/amyvm6v. html
8. 네이버, “한국표준색”http://www.kats.go.kr/content.do?cmsid=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