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학위논문박사논문(PhD Theses)

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NO.D.2021.08_04

공공 문화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현황분석 및 이용 행태 연구 - 부산시 박물관 및 미술관을 중심으로 - 公共文化空间的通用设计现状分析及使用行为研究 -以釜山市博物馆和美术馆为中心-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Use Behavior of Universal Design in the Public Cultural Space - Focusing on the Museums and Art Museums in Busan City -

  • Name : 왕단 (王丹)/WANG DAN
  • Info : 박사학위논문/博士学位论文/Doctor's thesis/ 2021.08
  • Adviser : 윤지영/尹知映/Yoon, Ji-Youn
192.168.95.172

초록

사람들의 의식수준과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사람들은 생활의 물질적인 조건과 삶의 질을 중시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쾌적하고 편리한 생활에 대한 욕구를 비롯해 문화생활의 욕구 등 여러 방면에 변화가 생겼다. 여가생활과 문화, 예술을 즐길 수 있는 전시공간을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적극적 참여공간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박물관과 미술관은 법의 최소한의 조건을 만족하는 편의시실로 불특정 다수에게 동등한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다. 노령화 등의 사회변화에 따라 문화공간의 개선이 더욱 중요하다는 인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니버설디자인의 필요성과 법 적용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시민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공공문화공간을 연구대상으로 여겨 유니버설디자인의 적합성 실태를 파악하고, 공공 문화공간 사용자의 시설별 이용실태 분석을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부산의 대표적 문화공간인 부산시립박물관, 부산시립미술관, 부산현대미술관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 여부 및 현황을 파악하고, 시설별 문화공간 사용자들의 행태를 조사하여 유니버설디자인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문화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에 있어서 정밀한 현황 파악과 이용 행태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이는 추후 박물관과 미술관 같은 공공문화공간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의 디자인 및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서 문화공간의 개념 및 정의, 구성 및 기능,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 및 원칙,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법률의 현황, 적용 공간 분류 등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환경심리행태의 정의 및 유형, 분석 방법(행태관찰조사법, 심층인터뷰조사법)등을 전반적으로 고찰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유니버설디자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용성, 사용 편의성, 안전성, 정보·인지성, 접근성, 쾌적성의 6가지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세부평가 기준을 토대로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항목들을 선정하여 ‘문화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평가요소 및 세부항목’에 관한 분석의 틀을 개발하였다[표 21].
둘째, 현장조사를 통해 본 연구에 제시된 각 문화공간과 시설별의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 전시시설, 기타시설 등을 6개 영역인 유니버설디자인 세부항목별로 적용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셋째, 이용 행태 실험 조사를 통해 부산시립박물관과 부산시립미술관 그리고 부산현대미술관을 현장 방문하여 그 실험조사자의 이용 행태를 구체적으로 관찰하고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그룹으로 분류하여 일반인, 휠체어장애인과 시각장애인의 문화공간 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여섯 분야의 시설별에 대한 체험을 진행하였다.
넷째, FGI를 통해 설문조사 항목을 추출한 항목 중 실험조사자(일반인, 휠체어장애인과 시각장애인) 및 직원이 문화공간을 관람하는데 있어 불편한 상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문화공간을 20년 차이로 설립 되었는데 최근 개관한 부산현대미술관(2018)은 부산시립박물관(1978)과 부산시립미술관(1998)과 비교해보면,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성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이는 개관 연도 및 리모델링 시점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018년 개관한 부산현대미술관의 경우에는 3곳의 공공 문화공간 가운데 가장 최근에 오픈하였으며 비교적 유니버설디자인이 잘 적용됐다고 할 수 있다. 부산시립박물관은 1978년 개관한 가장 오래된 문화시설로 2012년에 노후시설을 리모델링하여 2017년 7월 재개관하였다. 바닥재를 바꾸고 점자 전시안내서를 제작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유니버설디자인 측면을 강화하였다. 그에 비해 1998년 개관한 부산시립미술관은 가장 표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부산시립박물관은 2012년에 공간 리모델링을 실시했지만 더 세밀한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했을 때 시설물의 리모델링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공공시설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관련 조사 및 관련 시설의 리모델링을 정기적으로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 휠체어 사용자와 시각장애인의 이용편의성 요구에는 차이와 모순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휠체어 사용자는 방향 전환을 위해서 비교적 넓은 공간이 필요하지만, 시각장애인은 넓은 공간에서 공간을 식별하기가 어려워 방향을 잃을 수 있다. 이외에도, 시각장애인은 공간 내 이동 관람 시 점자블록이 필요하지만, 휠체어 사용자는 점자블록 설치로 인한 높이차 문제로 휠체어를 이용할 때 이동에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점자블록의 설치와 전시공간 관람 유도표지 디자인 등 일부 공간에서 눈에 띄는(고채도, 고명도) 색상을 사용해 점자블록 지면표시를 대체하는 것은 비교적 좋은 개선방향이 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사용자의 이용 요구를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유니버설디자인을 진행함에 있어 새로운 절충 방안을 고려해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저시력을 가지고 있거나 시력을 모두 잃은 시각 장애인들이 실내 환경의 각종 안내 정보를 분명하고, 간단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색채, 글씨의 크기, 문자의 난이도, 정보의 표현방식인 점자, 간단한 도형 등을 통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또한 시각예술을 위한 전시문화공간에서 음성 안내 및 해설에 더욱 활성화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리고 유니버설디자인은 단순히 물리적 측면만을 디자인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공공문화공간과 교류하고, ‘모든 사용자’와 교류하며, 사회문화 관점과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으로 종합적인 논의가 진행되어야 한다.

摘要

随着人们的意识水平和生活水平的提高,人们开始重视生活的物质条件和生活质量。因此,包括对舒适、便利的生活的需求在内的文化生活的需求等各方面都发生了变化。有必要将可以享受休闲生活、文化、艺术展示空间打造成任何人都可以自由靠近和利用并积极参与的空间。现在的博物馆和美术馆是满足法律最低条件的便利设施,不能充分为非特定多数人提供同等的机会。随着老龄化等社会变化,有必要认识到改善文化空间的重要性。因此,在通用设计的必要性和适用法律范围增加的情况下,有必要把市民最常利用的公共文化空间作为研究对象,把握通用设计适合性的实际状态,进行公共文化空间使用者各设施的利用情况分析。
本论文选择釜山代表性的文化空间-釜山市立博物馆、釜山市立美术馆、釜山现代美术馆为研究对象,了解通用设计是否适用及现状,调查各设施文化空间使用者的行为,提出了通用设计中存在的问题和考虑事项。本论文试图分析公共文化空间通用设计中的精密的现状掌握和利用行为,这对今后在博物馆和美术馆等公共文化空间的通用设计及设计应用的考虑事项具有重大意义。
本论文的研究方法及内容如下。
第一,通过文献考察,对文化空间的概念及定义、构成及功能、通用设计的概念及原则、通用设计相关法律现状、适用空间分类等进行了全面的研究。全面考察了环境心理行为的定义及类型、分析方法(行为观察调查法、深层采访调查法)等。通过对先行研究的分析,考虑到通用设计的特性,得出了接受性、使用便利性、安全性、信息·认知性、接近性、舒适性的6个评价要素。另外,以先行研究和《关于保障残疾人、老年人、孕妇等便利性的法律》规定的详细评价标准为基础,选定适合本研究的项目,开发了如[表21]的"文化空间的环球设计评价要素及详细项目"的分析框架。
第二,通过现场调查,对本研究中提出的各文化空间和设施的媒介设施、内部设施、卫生设施、介绍设施、展示设施、其他设施等6个领域的环球设计细节项目进行了适用性比较评价。
第三,为了使用行为的实验调查,访问了釜山市立博物馆、釜山市立美术馆和釜山现代美术馆,具体观察和记录并分析了被实验调查者的利用行为,并分为小组,为掌握普通人、轮椅残疾人及视觉残疾人的文化空间使用情况,对6个领域各设施进行了体验。
第四,通过FGI掌握了问卷调查项目中的被实验调查者(普通人、轮椅残疾人和视觉残疾人)及职员在使用文化空间时不方便的情况和问题点。
研究结果表明,三个文化空间相差20年,最近开馆的釜山现代美术馆(2018)与釜山市立博物馆(1978)和釜山市立美术馆(1998)相比,通用设计的适用性最高。据判断,这与开馆年度及改造时间有关。以2018年开馆的釜山现代美术馆为例,在3处公共文化空间中,是最近开业的,可以说是比较适用通用设计。釜山市立博物馆是1978年开馆的最老的文化设施,2012年改造老旧设施,2017年7月重新开馆。通过更换地板材料、制作盲文展示指南等努力,强化了通用设计。 与此相比,1998年开馆的釜山市立美术馆被调查为最不达标的美术馆,釜山市立博物馆虽然在2012年实施了空间改造,但使用更细致的通用设计时设施改造并不充分。因此,我认为有必要定期进行公共设施的通用设计适用相关调查及相关设施的改造。
尽管如此,本研究结果显示,轮椅使用者和视觉残疾人的使用便利性要求存在差异和矛盾。轮椅使用者为了转换方向,需要比较宽阔的空间,但是盲人在宽阔的空间里很难识别空间,因此可能会迷失方向。此外,盲人在空间内观看时移动需要盲人砌块,但轮椅使用者因盲人砌块设置导致的高度差问题,在使用轮椅时难以移动。因此,在盲人砌块的设置和展示空间参观引导标识的设计等部分空间使用显眼(高彩度、高明度)颜色代替盲人砌块地面标识可能会成为较好的改善方向。这意味着,为了有效改善各种用户的使用要求,在进行通用设计的过程中,有必要考虑新的折中方案,改善环境。
同时,为了让具有低视力或失明的盲人能够明确清晰地识别室内环境的各种提示信息,应通过色彩、字体大小、文字难度、信息的表达方式盲文、简单的图形等容易识别。另外,在视觉艺术的展示空间,有必要在展示文化空间中更加活跃地进行语音引导和解说。此外,通用设计应摆脱单纯从物理层面设计的方式,与公共文化空间进行交流,与"所有用户"进行交流,并以社会文化观点和通用设计观点进行综合讨论。

Abstract

People begin to pay attention to the material conditions and quality of life with the improvement of people's consciousness and living standards. As a result, there have been changes in all aspects of cultural life, including the need for a comfortable and convenient life. It is necessary to turn the exhibition space of leisure life and enjoying culture and art into an active participation space that anyone can freely approach and utilize. At present, museums and art galleries are convenient facilities that meet the minimum conditions of law but cannot fully provide equal opportunities for the unspecified majority. With the aging and other social changes, gett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mprovement of cultural space is imperative. Therefore, with the necessity of universal design and the increasing application of laws, it is suitable to take the public cultural space most commonly used by citizens as the research object, understand the applicability of universal design, and try to analyze the classification and use patterns of facilities by users of public cultural space.
By selecting a few representative cultural spaces of Busan - Busan Museum, Busan Museum of Art, and Busan Museum of Modern Art - as the research objects,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whether the universal design is applicable and master its current situation, investigate the user forms of cultural spaces in various facilities, and put forward the existing problems and considerations of universal design. In the universal design of public cultural space, this paper tries to make a precise analysis of the status quo and the use of forms. It is of great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in public cultural spaces such as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the future.
Firstly,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writer comprehensively studied the concept, definition, composition, and function of cultural space, the concept and principles of general design, the status quo of laws related to general design, the classification of applicable space, and so on, as well as the definition, types, and analysis methods (morphological observation survey method, deep interview investigation method) of environmental psychological for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ior research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al design, six evaluation elements of acceptability, convenience of use, security, information cognition, accessibility, and comfort were obtained. Moreover, based on the prior study and the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stipulated in the Relevant Laws on Facilitation and Protection of Disabled Persons, the Elderly and Pregnant Women, this study selected the project suitable for this research and developed the analysis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Evaluation Elements and Detailed Projects of Cultural Space”.
Secondly, the author conducted a field survey of the three cultural spaces proposed in this study and compared the applicability of universal design details in six areas: additional facilities, internal facilities, sanitary facilities, guide facilities, display facilities, and other facilities.
Thirdly, by using the morphological observation survey method, the author visited Busan Museum, Busan Museum of Art, and Busan Museum of Modern Art on the spot, and observed, recorded, and analyzed the utilization patterns of experimental investigators. The specific method was dividing ordinary people, wheelchair disabled people, and visually disabled people into groups and experienced various facilities in six fields to master their cultural space usage.
Fourthly, through FGI, the author extracted and grasped the inconveniences and problems of the experimental investigators (ordinary people, wheelchair disabled people, and visually disabled people) and staff in the questionnaire survey project when viewing the cultural spa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due to a 20-year gap between the three cultural spaces, the recently opened Busan Museum of Modern Art (2018) has the highest applicability of universal design compared with Busan Museum (1978) and Busan Museum of Art (1998). This is related to the opening year and the reconstruction time. Specifically, the Busan Museum of Modern Art, which opened in 2018, is the newest cultural space and is more suitable for universal design. The Busan Museum is the oldest cultural facility since it opened in 1978. It was reopened in July 2017 after renovating old facilities in 2012, such as replacing flooring materials and making Braille display guides to strengthen the universal design. In contrast, the Busan Museum of Art, which opened in 1998, had the least usable universal design. Although the Busan Museum underwent a spatial renovation in 2012, the facility project renovation was inadequat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application of a more detailed universal design. Therefore, this study believes tha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gular surveys on the applicability of the universal design of public cultural facilities and the transformation of related facilities.
The results of a field survey in cultural space show that wheelchair users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have differences and contradictions in the accessibility requirements. Especially, although there are factors to take care of wheelchair users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use cultural space conveniently. Therefore, the design should not only consider the security methods suitable for improving convenience, but also consider the users’ needs and abilities to improve the environment. For example, wheelchair users need wide spaces to change direction, but visually impaired people can become disoriented in wide spaces because they have difficulty identifying the direction. Additionally, the visually impaired need to set up Braille blocks when moving and viewing in space, but wheelchair users will have the problem of height difference, as well as encountering some problems such as difficulty in moving when using wheelchairs. Therefore, eye-catching (high chroma, high brightness) colors can be used to replace the ground signs of the Braille blocks in areas such as guiding signs for the display space viewing directions. This means that to effectively improve the usage needs of various users, new compromises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to improve the environment during the general design process.
In addition, to make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identify all kinds of guide information simply, directly, and conveniently in the indoor environment, the design should consider making simple and easy-to-underst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color, font size, the difficulty of words, information expressions such as Braille, simple graphics, phonetic explanation, and voice guide. Universal design should get rid of the thinking mode of purely physical design, communicate more with the public cultural space and “all users”, and conduct comprehensive discussion through the social-cultural point of view and the general design point.  

키워드

  • #공공 문화공간
  • # 박물관
  • # 미술관
  • # 유니버설디자인
  • # 현황분석
  • # 이용 행태

  • #公共文化空间,博物馆,美术馆,通用设计,现状分析,使用行为

  • #Public cultural spaces
  • # museums
  • # art museums
  • # universal design
  • # current status analysis
  • # use behavior

참고문헌

[Book]

1. 고영준, 안상락, 김원섭, 윤흥순, 김자인, 『문화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길잡이』, 문화체육관광부, 2013
2. 고영준, 『사용자 중심의 유니버설디자인 방법과 사례』, 서울: 이담북스, 2011
3. 나카가와 사토시, 『Textbook for Universal design』, 서울 : 디자인 로커스, 2004
4. 박순희, 『시각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서울: 학지사, 2005
5. 얀겔, 『삶이 있는 도시디자인』, 푸른솔, 2003
6. 유종주, 『사회조사』, 개문사, 1995
7. 이연숙, 『유니버설디자인 2』, 미세움, 2016
8. 임승빈, 『환경심리·행태론』,보성 문화사. 2001
9. 임승빈, 『환경심리와 인간행태』, 보문당, 2007
10. 임안수, 『설계자를 위한 장애인 편의시설 표준도』, 한국맹인복지연합회, 2000
11. 자배근, 『사회과 연구방법』, 세영사, 1981
12. 조성모, 김영일, 이창석, 이춘, 『장애인 복지 활동과 시설 계획』, 서울학문사, 1997
13. 최령, 변혜령, 김선대, 이준민, 김지연, 김태경, 이율화, 양승화, 김세린,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사단법인 생활환경디자인연구소, 2011
14. 홍철순, 양성용, 『유니버설디자인 사례집 100』, 미진사, 2007
15. John Zeisel, 조대성 외 옮김, 『사용자를 위한 환경디자인 연구방법』, 누리에, 1996
16. Porteous J.D., 송보영 역, 『환경과 생태』, 명보문화사, 1993
17. Roberta L. Null, 『유니버설디자인』, 태림문화사, 1999

[Dissertation]

1. 고광필, 「유니버설디자인에 기초한 웹 인터페이스 개인화의 사용자 만족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 고애경,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자기 유치원 물리적 환경 점검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일반유아의 이해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 권빛나, 「문화예술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현황 연구-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4. 금현준(金鉉峻), 「지역문화예술공간 사용자의 인식과 태도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 김광희, 「사용자 행태가 반영되는 가변형 의자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2011
6. 김명중, 「국내 Museum의 Visual Communication에 관한 연구 :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사례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06
7. 김미경, 「장애인 복지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8. 김범중,「사용자 행태 관찰법에 의한 공용공간의 디자인 방법 연구-철도역 대합공간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9. 김보일,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기초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 평가지표 개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0. 김성훈, 「휴대전화 설계를 위한 고령화 나이대별 인간공학적 사용특성 및 선호도 분석」, 한양대학교, 2008
11. 김준교, 「소통의 일반성에 근거한 패키지디자인의 가이드라인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2. 김지현, 「도시복합소비공간의 이용행태분석을 통한 공간특성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06
13. 노영주, 「초기 모성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14. 류미라, 「지방 자치단체 구축 공공환경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5. 민동원, 「의복의 상징적 소비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16. 민진홍, 「시각장애인박물관의 전시유형과 공간구성 분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19
17. 박영아, 「국내 Arts Complex운영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8. 부경돈, 「청소년 행동 특성을 고려한 유니버설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9. 서미진,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인천시 노인보호구역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2020
20. 송기옥, 「저소득 중증 장애인의 특별교통 서비스 이용 실태 및 활성화 방안」,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1. 신미선, 「환경심리행태를 고려한 청소년문화의 집 공간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 지역 단독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12
22. 심인숙, 「공공문화시설 대상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기준에 관한 계층적 분석 연구 : 고령자와 장애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18
23. 오정하, 「문화공간을 통한 문화공간을 통한 발레의 통한 발레의 대중화 발레의 대중화 방안 모색」,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4. 윤계영, 「지역별 문화시설의 분포 및 규모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 문화 시설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5. 윤미경, 「지역문화시설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6. 이선향,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본 한밭수목원 공공시설물에 관한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7. 이양병,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 방법론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2011
28. 이연주, 「사인환경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연구」, 동아대학교, 2001
29. 이은신, 「사용자 행태정보의 구조 분석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델링 방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2007
30. 이정우, 「미술관, 박물관 전시실 환경 및 시설 조성에 관한 고찰」, 동국대학교. 2013
31. 이종진, 「고령자를 배려한 스트레칭기구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2008
32. 이지은, 「전시공간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16
33. 이지현, 「관찰법을 활용한 사용자 니즈 분석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대학원 석사논문, 1999
34. 이혜정, 「박물관의 실내공간에 있어서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5. 장소율, 전시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16
36. 정영득,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이동권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2016
37. 조석현, 「지역문화시설의 계획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38. 조창완, 「Time-Lapse 활영기법을 사용한 도심광장의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서울시킬대학교, 1998
39. 최다미, 「민간위탁 지역 공공문화시설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2011
40. 최승철, 「배리어프리 인증 건축물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41. 최영실,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 융합에 의거한 라키비움 공간 기획 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2. 최인규, 「도시디자인에서 역사․문화 생태적 맥락의 수용체계 및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4
43. 하승아, 「공공문화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예술의전당과 국립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44. 한은숙, 「환경디자인 개념으로서 유니버설디자인의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 1999
45. 황완주, 「공공도서관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46. 황원경, 「유니버설디자인 측면에서의 지하철 역 환경평가와 개선방안」, 한양대학교, 2002
47. 황치남, 「부산시 스트리트퍼니쳐 디자인에 관한 연구」, 부산산업대학교, 1987
48. 高森, 「现代博物馆中的无障碍设计」, 西南交通大学, 2010

[Academic Journal]

1. 강병근, "각국의 편의시설 관련 법규집(일본)”, 『보건복지부』, 1999, Vol.14
2. 김경미, 임경란, 고은정, "박물관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용자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4, vol.30(2)
3. 김민주, 이연숙, 김윤수, "유니버설디자인 이론을 통한 일본 장애인복지시설 사례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Vol.2016(5)
4. 김성희, 이연희, 오욱찬, 황주희, 오미애, 이민경, 이난희, 오다은, 강동욱, 권선진, 오혜경, 윤상용, 이선우,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Vol.17
5. 문화체육관광부, "2019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Vol.19(12)
6. 변용찬, 김성희, 윤상용, 강민희, 최미영, 손창균, 오혜경. "장애인 실태조사 정책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Vol.11732
7. 오찬옥, "지역문화시설의 공용공간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평가: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한국실내디자인학회』,2011, Vol.20(6)
8. 윤원중, 김민경, 금요찬, 박용환, "시각장애인에 대한 주거공간내의 동작·행위·행동 특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2004, Vol.24(1)
9. 이규일, 김인순, 이기정, 이태은, "전시시설의 정당한 편의 제공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Vol.17(4)
10. 이미영, 박길룡, "시각장애자를 위한 미술관 기획”,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2004, Vol.24(1)
11. 이범재, "문화공간의 효율적 화용 및 사용 극대화 방안에 관한 연구: 주요 문화공간의 운영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91, Vol.91(1)
12. 이정은, 최희원, 이현수,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실버타운 내 식음 공간 사례 분석”,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Vol.13(2)
13. 전윤진, "평생교육과 문화예술 사회교육", 『문화예술』, 1987, Vol.110
14. 정승우, 김주현, 이정호, 하재명, "도시 가로 공간 사용자 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9, Vol.25(11)
15. 정지영, 박영기, "종합문화공간으로서 지역 문화예술센터가 가지는 의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지』, 1993, Vol.13(1)
16. 조영행, "대학도서관의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따른 적용성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008, Vol.24(10)
17. 조태호,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관의 전시 및 편의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실태 조사,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학술저널』, 2015, Vol.54(1)
18. 최정아, "박물관 전시디자인에 있어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방안”,『한국디자인학회』, 2009, Vol.22(5)
19. 하미경, 제해성, "유니버설디자인 보급을 위한 기존 시설물 평가 연구”, 『대한건축사학회논문집』, 1997, Vol.13(5)
20. 황동호,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정책분석”, 『2019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019, Vol.14(4)
21. 王毅勃, "浅谈城市公共设施中的通用设计”, 『现代交际』, 2012, Vol.6(1)
22. 张东辉, 李珂, "通用设计与无障碍设计辨析”, 『建筑设计研究』, 2009, Vol.27(1)

[Website]

1. 국제박물관협회 (ICOM), “문화공간의 개념 및 정의”, https: //terms.naver. com/entry.nhn? docId=2272671&cid=51299&categoryId=51304
2. NAVER 지식백과, “박물관의 정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28738&cid =43112&categoryId=43112 968(4)
3. NAVER, “부산시립박물관 개요”, http://museum.busan.go.kr/busan/index
4. NAVER, “부산시립미술관 개요”, https://art.busan.go.kr/07_info/info01.jsp
5. NAVER, “부산현대미술관 개요”, https://art.busan.go.kr/07_info/info01.jsp
6. 네이버 백과사전, “ 배리어프리(barrier free)”,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 =1221802&cid=40942&categoryId=31638
7. 네이버 지식백과, “인클루시브 디자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4992 &cid=43667&categoryId =43667
8. 부산일보, “부산시립박물관 리모델링”,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 0170709000136
9. 통계청, "인구통계학적 관점", www.kostat.go.kr/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