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학위논문박사논문(PhD Theses)

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2.02_02

도시재생관광지의 공공디자인 특성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关于城市再生旅游区公共设计特性对回访意图影响的研究 A Study on the Effects of Public Design Attributes of Urban Regeneration Tourism Destination on Revisit Intention

  • Name : 양멍 (杨猛)/YANG MENG
  • Info : 박사학위논문/博士学位论文/Doctor's thesis/ 2022.02
  • Adviser : 홍관선/洪宽善/Hong, Kwan-Seon
192.168.95.172

초록

쇠퇴하는 도시의 지속적인 증가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각 나라 정부는 재개발이나 리모델링 등의 사업, 특히 도시재생사업을 통한 해결방안에 주력해왔다. 도시재생사업은 이미 낙후된 도시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적 중요 정책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한국 정부는 그중 도시재생사업에 관한 명확한 정책적 지원을 펼치고 있다. 한국은 공공디자인의 진흥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으며 법률과 정책 방면에서 공공디자인이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에 관한 확신과 후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재생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는 있지만, 관광 재방문 의도와 지역 공공디자인, 장소애착, 사회적 자본을 디자인적으로 결합하는 연구는 미흡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도시재생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주체별 인식 차이,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사회자본의 변화, 도시자원으로써의 공공디자인을 통한 도시재생 관광전략 등을 주제로 하는 관련 개념의 연구와 지역 재방문 의사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는 있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현재 걸음마 단계로 도시재생관광지 사업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완전한 정부 주도형 도시재생사업은 관광지구 방문객의 방문 의도에 관한 문제와 해결을 위한 의견을 실제로 파악하지 못하고 특정 관광공간을 재생하려는 주민과 방문객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재생사업 효과에 한계성이 있다.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이 지배하는 주민 참여형 도시재생사업의 중요성이 작용하기 시작했다. 공공디자인은 도시재생관광지구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써 단순한 도시 생활의 편의 증진의 가치 구현뿐만 아니라 방문객의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디자인 요인으로써 지역사회의 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도구의 임무를 수행해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더욱 높은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고찰과 분석 과정을 거쳤다.
첫 번째, 도시재생에 관한 참고문헌의 조사를 토대로 도시재생사업의 목표와 추진 방향을 파악하고 지역의 활력을 고양하기 위해 지역 주민들은 공공디자인이 주도하는 재생 계획 및 재생 관광지 공공디자인의 구체적인 내용과 특징을 분석했다. 공공디자인은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도구로써 관광지 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따라서 그동안의 관련 분야의 학자들이 제시한 기초 모형을 살펴보고 종합적인 비교분석을 진행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관광지구의 공공디자인 특성이 관광객의 재방문 의도, 장소애착과 지역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검토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두 번째, 본 연구는 특정 지역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COVID-19의 영향으로 온라인 조사 방법을 통해 소셜네트워크 플랫폼 소프트웨어와 이메일 형식으로 설문지를 배포했으며 총 368명 가운데 340명이 응답했다.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해 COVID-19의 영향을 받은 특정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에 관한 일반적 특성과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AMOS 24.0과 MPLUS 7.0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진행했다.
세 번째,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관광지 공공디자인의 공공성, 심미성과 지역성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 검증을 통해 공공디자인의 심미적 요인과 지역적 요인이 재방문 의도에 현저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공공디자인의 공공성 요소와 재방문 의도의 영향 관계에 대해서는 뚜렷한 결과를 밝혀내지 못했다. 다음으로 도시재생관광지의 공공디자인 가운데 공공성, 심미성과 지역성이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 검증을 통해 공공디자인의 세 가지 요소가 장소애착에 현저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했다. 도시재생관광지의 장소애착은 재방문 의도에 현저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자본이 장소애착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 검증을 통해 지역사회자본이 현저한 조절작용을 하는 것을 발견했다. 공공디자인을 이용해 장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과정은 사회적 자본이 관광객의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토대이며 더 나아가 지역 사회적 자본이 도시재생관광지의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관계를 설명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네 번째,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공공디자인, 재방문 의도, 장소애착과 사회적 자본 사이의 영향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했다. 그중 도시재생관광지의 공공디자인 특성은 공공성 요인, 심미적 요인, 지역적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세 가지 디자인 요소는 방문객의 재방문 행동과 의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 공공디자인을 통한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 도시재생관광지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조직이 미래의 공공디자인 마케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위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공공디자인, 장소애착과 지역 사회적 자본의 구체적인 관계를 고려해 방문객의 향후 재방문 행위에 관한 의도를 파악하고 도시재생관광지의 다양한 공공디자인의 표현 형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연구와 진단을 시행했다. 특히 방문 및 재방문 의도가 있는 방문객의 공공디자인에 의한 장소애착과 사회적 자본에 의한 지역의 긍정적 이미지와 부정적 이미지에 대한 방문객의 감지 및 그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와 회상 의도 사이의 인과관계를 검증했다. 이 외에 본연구의 학술적 의의는 관련 학과의 이론을 융합하여 장소애착과 사회적 자본을 방문객의 재방문 행위와 의도에 영향을 주는 매개체로 삼았으며 더 나아가 공공디자인의 측면에서 방문객의 재방문을 끌어낼 디자인 요소를 디자인학적으로 논의했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COVID-19로 인해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은 관광지에 지방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써 공공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의 실증적 검증을 진행해 도시재생관광지의 방문객 유치에 관한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실무적 의미도 지니고 있다.

摘要

为了有效解决城市持续衰退的问题,各国政府一直致力于通过再开发或改造等事业,尤其是城市再生事业解决的方案。城市再生事业已成为解决落后的城市地区问题的国家重要政策之一。为此,韩国政府对城市再生事业展开了明确的政策性支援。韩国制定了公共设计振兴相关法律,在法律和政策方面对公共设计能够为城市的可持续发展创造价值给予了充分的确信和资助。通过本研究提出虽然人们对城市再生越来越关注,但再次访问的意图和地区公共设计、喜爱场所、社会资本与设计相结合的研究却不尽如人意的实际。
从城市再生相关的先行研究来看,虽然正在进行以主体认识差异、激活地区经济、地区社会资本的变化、通过城市资源的公共设计进行的城市再生旅游战略等为主题的相关概念的研究和地区再访问意向等相关研究,但与此相关的研究目前处于起步阶段,迫切需要研究城市再生旅游地事业的必要性。完全由政府主导的城市再生事业不能实际掌握有关旅游地区访客访问意图的问题和解决的意见,不能满足居民和访客想要再生特定旅游空间的需求,因此对再生事业效果具有局限性。地区社会的社会资本支配,居民参与型城市再生事业的重要性开始发挥作用。公共设计是城市再生旅游区的重要组成部分,不仅是单纯体现城市生活便利的价值,也要成为影响访客行动意图的重要设计要素,要履行激活地区社会经济的重要工具任务,为城市的可持续发展创造更高的价值。
本研究为了实现这一目的,经过了如下的考察和分析过程。
第一,以城市再生相关参考文献的调查为基础,把握城市再生事业的目标和推进方向,为了提高地区活力, 分析了地区居民主导的公共设计再生计划及再生旅游区公共设计的具体内容和特点。 公共设计是搞活地区经济的重要工具,是影响旅游景点访问意图的重要因素。因此,观察了此前相关领域学者提出的基础模型,并进行了综合性的比较分析。本研究对城市再生旅游区的公共设计特性对游客再次回访的意图、喜爱场所和对地区社会资本的影响进行了研究。
第二,本研究以访问过特定地区的游客为对象,受COVID-19的影响,通过在线调查方法,以社交平台软件和电子邮件形式发放了问卷,368人中340人回答。 使用SPSS 26.0统计程序,对访问受COVID-19影响的特定地区的游客进行了一般特点和人口统计学分析,并用AMOS 24.0和MPLUS 7.0进行了结构方程式模型分析。
第三,本研究通过对城市再生旅游区公共设计的公共性、审美性和地区性对再次访问意图影响的假设验证,发现公共设计的审美因素和地区因素对再次访问意图产生了显著的正(+)影响。 但是,对于公共设计的公共性要素和再次访问意图的影响关系,未能得出明确的结果。其次,通过对城市再生旅游区的公共设计中公共性、审美性和地区性对场所喜爱的影响的假设验证,发现了公共设计的三个要素对场所喜爱产生了显著的正(+)的影响。城市再生旅游区对场所的喜爱对再次访问的意图产生显著的肯定(+)影响。最后,通过对地区社会资本对场所喜爱和再次访问意图影响的假设验证,发现地区社会资本起到了显著的调节作用。利用公共设计对场所产生影响的设计过程是社会资本对游客再次访问意图产生影响的基础,进而明确说明地区社会资本对城市再生旅游区再次访问意图产生影响的相互关系。
第四,本研究验证了城市公共设计、再访意图、喜爱场所和社会资本之间影响关系的假设。 其中,城市再生旅游区的公共设计特性由公共性因素、审美因素、地区因素组成,这三种设计要素直接或间接地影响着访客的再次访问行动和意图。本研究结果为通过城市公共设计搞活地区经济提出了设计方向,并为城市再生旅游地的多种利害关系者和组织参与未来的公共设计营销提供了有意义的启示。如上所述,本研究考虑到公共设计、喜爱场所和地区社会资本的具体关系,把握了访客今后再访问行为的意图,并对城市再生旅游胜地多种公共设计的表现形态进行了更详细的研究和诊断。特别是验证了有访问及再访问意图的访客对公共设计的场所喜爱和社会资本对地区正面形象和负面形象的感知,以及对其形象的满意度和回忆意图之间的因果关系。此外,本研究的学术意义是融合相关学科的理论,将喜爱场所和社会资本作为影响访客再次访问行为和意图的媒介,进而从设计学的角度讨论了吸引访客再次访问的设计要素。另外,本研究还具有实际意义,即,对后新冠时代、因COVID-19而遭受经济巨大打击的旅游景点,作为激活地方经济的重要工具,可以适用公共设计的假设进行实证验证,为吸引城市再生旅游景点游客提供方向性和启示。

Abstract

In order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 of continuously increasing cities in decline, the Korean government has focused on solutions such as redevelopment and remodeling, especially throug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has established itself as one of the national important policies to solve the problems of already underdeveloped urban areas. The Korean government is providing clear policy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t is the only country in the world that has enacted a law on the promotion of public design, and in terms of laws and policies, it is not sparingly supported and convinced that public design can create valu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ies. Although interest in urban regeneration is increasing through this study, it is revealed that research that combines tourism revisit intention with local public design, place attachment, and social capital in design is insufficient. If we look at the preceding research on urban regeneration, we will look at the related concepts such as differences in perception by subject,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change of local community capital, urban regeneration tourism strategy through public design as urban resources,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region, etc. Although research on this is in progress, research related to this is currently in its infancy, a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research for urban regeneration tourism projects. The complete government-l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has limitation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regeneration project because it does not actually grasp the problems and opinio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visitors' intentions to visit the tourist area and does not satisfy the desires of residents and visitors to regenerate a specific tourist space. The importance of the resident participatory urban regeneration project dominated by the social capital of the local community began to play a role. Public design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tourism district, not only for realizing the valu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rban life, but also as an important design factor influencing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visitors. Higher value must be created for possible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went through the following consideration and analysis proces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goals and direc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reference literature on urban regeneration and to enhance the vitality of the region, local residents should study the specific contents of public design-led regeneration plans and regeneration tourism destinations.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Public design is an important tool for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and is a factor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visit tourist destinations. Therefore,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comparative analysis by looking at the basic models suggested by scholars in related fields.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public design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tourism districts on tourists' revisit intention, place attachment, and local community capital.
Second, this study distributed a questionnaire in the form of social network platform software and e-mail through an online survey method on the impact of COVID-19 among tourists who have visited a specific area, and 340 out of a total of 368 respond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 analysis of tourists who visited a specific area affected by COVID-19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MOS 24.0 and MPLUS 7.0.
Third, in this study, the aesthetic and regional factors of public desig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revisiting through hypothesis testing on the effect of publicity, aesthetics, and locality on revisit intentions of public design for urban regeneration tourist destinations. found to affect However, no clear results were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ity factor of public design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Next, through hypothesis testing on the effect of publicity, aesthetics, and locality on place attachment among public design of urban regeneration tourist destinations, it was found that three elements of public desig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lace attachment. Location attachment in urban regeneration tourist sites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visit intention. Finally, through hypothesis testing on the effect of community capital on place attachment and revisit intention, it was found that community capital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action. The process of designing a place to influence a place using public design is the basis for social capital to influence the revisit intention of tourists, and further explain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ocal social capital and the revisit intention of an urban regeneration tourist destination. show clearly that
Fourth, in this study, the hypothe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design of the city, revisit intention, place attachment and social capital was tested. Among them, the public design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tourist sites consist of public factors, aesthetic factors, and regional factors, and these three design factor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the behavior and intention of visitors to revisi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design direction for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through urban public design and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so that various stakeholders and organizations in urban regeneration tourism can participate in future public design marketing. As above, in this study,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public design, attachment to place, and local community capital, the intention of future revisiting behaviors of visitors was identified, and more detailed research and diagnosis were conducted on the expression forms of various public designs in urban regeneration tourist sites. did. In particula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isitor's percep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of the local area by social capital and satisfaction with the image and the intention to recall was verified. In addition,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by fusion of theories of related departments, place attachment and social capital are used as mediators that influence the behavior and intention of visitors to revisit. The elements were discussed from a design point of view.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that public design could be applied as an important tool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in the post-corona era, tourist destinations that have been economically hit by COVID-19, and visitors to urban regeneration tourist destinations. It also has a practical meaning of providing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attraction.

키워드

  • #도시재생관광지
  • # 공공디자인
  • # 재방문 의도
  • # 장소애착
  • # 사회적 자본

  • #城市再生旅游区,公共设计,回访意图,喜欢场所,社会性资本

  • #Residents Participation
  • # Urban Regeneration Project
  • # Collaborative Governance
  • # Model Development
  • # Empirical Research

참고문헌

[Book]

Law, C.M., Urban tourism and its contribution to economic regeneration, Urban studies, 1992, pp. 631-637
2. World Tourism Organization(UNWTO). Centre of Expertise Leisure,Tourism, Hospitality; NHTV Breda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and NHL Stenden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2018),‘Overtourism’? - Understanding and Managing Urban Tourism Growth beyond Perceptions,Executive Summary. Madrid: UNWTO,2018
3. Russo, A.P., Van Der Borg, J., Planning considerations for cultural tourism: a case study of four European cities, Tourism management, 2002, pp. 631-637
4. 조성룡, “공공디자인? 도시디자인?”, 『건축과 사회』, 2008, pp. 150-153
5. Kotler, P, Armstrong G, Harker M, Brennan R, Marketing: an introduc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90
6. 이동원, 정갑영, 『제3의 자본: 사회적 자본은 어떻게 증진되는가?』, 삼성경제연구소, 2009
7. Svendsen, The Creation and Destruction of Social Capital, Edward Elegar, 2004
8. Putnam, R. D,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Dissertation]

. 신주하, 「도시재생지역 방문객의 경험적 가치가 장소애착과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포 문화비축기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2. 조장현, 「지역주민이 인식한 관광형 도시재생사업의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 김흥수, 「한일 도시재생 비교연구를 통한 지방 중소도시 도시재생사업 추진체계구축에 관한 연구: 창원 TB지역을 대상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4. 정규식, 「도시재생사업에서 로컬 거버넌스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원시 마산합포구 원도심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5. 송상열, 「비 성장형 도시의 쇠퇴 원인 분석과 도시재생 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6. 하용성, 「도시재생과 생활 만족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7. 김형철,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특성 및 유형분석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8. 엄나너,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고려한 공공디자인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9. 조장현, 「지역주민이 인식한 관광형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0. 신은주, 「AHP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의 가치평가 연구: 목포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목포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1. 이소희,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뉴트로(New-tro) 관광 트렌드 및 이미지 인식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p. 13
12. 孙永生(손영생), 「以旅游发展为动力的旧城改造(관광 발전을 동력으로 하는 옛 도시의 리모델링)」, 华南理工大学, 博士論文, 2010.
13. 노현숙, 「공공디자인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분석을 통한 디자인 교육 프로세스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4. 박종희, 「공공디자인 개념의 도입을 통한 도시재생 방안 연구 : 의왕시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5. 길윤홍, 「도시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공공디자인의 효율적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p. 50
16. 노현숙, 「공공디자인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분석을 통한 디자인 교육 프로세스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p. 22
17. 최병길, 「슬로우 투어리즘의 만족과 재방문 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p. 39
18. 이금호, 「전통문화체험이 관광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흥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세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9. 증가형, 「중국인관광객의 문화친숙도, 관광만족도, 재방문 의도 간의 영향관계 연구: 관광지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20. 신지원, 「축제 방문동기가 축제이미지, 만족 그리고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도심축제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21. 이승준, 「시간적 초점이 도시재생관광지의 자아일치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립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22. 한지훈, 「여가활동 관여도와 장소애착, 만족도, 장소로열티의 구조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3. 진염염(陳艷艷), 「관광목적지 문화마케팅이 브랜드 자산, 장소애착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우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p. 5
24. 고진숙, 「도시관광 재생사업에서 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p. 3
25. 정균영, 「젠트리피케이션 관광지 선택속성, 장소애착, 관광태도와의 영향관계」, 호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p. 4
26. 이숙영, 「관광브랜드자산이 방문객의 도시이미지, 장소애착, 만족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p. 4
27. 문예림, 「세계 문화유산 관광지의 진정성이 관광 만족과 장소애착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28. 신주하, 「도시재생지역 방문객의 경험적 가치가 장소애착과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포 문화비축기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9. 오수진, 「공정여행객의 장소애착과 지역사회 협력 태도」,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0. 양정, 「중국 북부지역주민의 관광 개발영향 인식이 지역 애착 및 주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31. 최상규, 「문화관광축제가 도시재생에 미치는 영향인식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2. 박용순, 「사회적 자본이 농촌관광마을에서 주민통합과 삶의 질 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3. 박선희, 「문화관광개발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강릉원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34. 김기철, 「관광 이해관계자의 사회적 자본에 따른 관광개발 정책 수용 태도와 관광성과 인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5. 이수, 「중국 농촌 관광지역의 사회적 자본이 관광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문화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Academic Journal]

오은비, 송나영, 김태형, “도시재생관광지의 공공디자인 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전지식의 조절효과 분석”, 『관광학연구』, 2019, Vol.43(7), p.104
2. 이돈일, “도시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공공시설물 통합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11, Vol.12(5), pp. 383-394
3. 이윤주, 박창환, “여행을 통한 사회적 관계의 연구동향 분석 및 개념적 재구성: SSCI 학술지 논문의 내용분석”, 『관광학연구』, 2020, Vol.44, p.59
4. 장우진, 문수봉, “도시재생 참여 주체로서 사회적 기업의 가능성-연계사업 중요도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지적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0
5. 김주진, “도시재생선도지역의 사업추진유형과 성공전략”, 『국토』, 2014, pp. 16-24
6. 김태헌, 김주리, “도시재생이 관광수용태세와 도시관광활성화 및 관광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명동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2017, Vol.13(4), pp. 91-113
7. 우첸, 홍관선, “근대산업유산의 재활용과 도시재생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7, Vol.17(3), pp. 129-137
8. 정은혜,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관광 논의: 서울로 7017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Vol.21(1), pp. 53-64
9. 김주영, 허선영, 문태헌, “전주 한옥마을의 도시재생사업이 지역변화에 미친 영향”,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17, Vol.23(1), pp. 106-117
10. 윤희윤, 김경희, “공공도서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의 지역발전 기여: 부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019, Vol.53(2), pp. 29-48
11. 朱竑(주횡), 贾莲莲(고연연),"基于旅游城市化背景下的城市旅游化——桂林案例(관광도시화의 배경에 기초한 도시 관광화 – 계림의 사례를 중심으로)”,『经济地理』, 2006, pp. 151-155
12. Victor R. Savage, Shirlena Huang, T.C. Chang. The Singapore River thematic zone: sustainable tourism in an urban context. 『The Geographical Journal』, 2004, pp. 212-225
13. 都市とガバナンス, “における取組みと住民意識の変化について”, 『鹿児島県鹿屋市やねだん』, 2012
14. 内閣府経済社会総合研究所, “住民の参加意欲醸成による集落の活性化: やねだん 補助金に頼らない地域づくり”, 2012
15. 정지은, 김미정, 정다은, “문화적 도시재생을 활용한 문화관광지 사례 연구: 일본 야네단 마을을 중심으로”, 『문화산업연구』, 2020, Vol.20(3), pp. 11-21
16. 하혜영, 김유정, “일본 지방창생(地方創生) 정책의 의제 형성 과정과 정책 결정 내용에 대한 분석”, 『의정논총』, 2016, Vol.11(2), pp. 271-299
17. 진양명숙, 문보람, “주거지에서 관광지로 : 전주 한옥마을 관광지화의 명암”, 『지방사와 지방문화』, 2014, Vol.17(1), pp. 177-206
18. 최강림, “공공디자인을 통한 주거지 도시재생 사례연구: 부산시 공공디자인 관련 사업을 대상으로”,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011, Vol.24(4), pp. 23-34
19. 김세용, “공공디자인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건축』, 2010, Vol.54(5), pp. 63-66
20. 김정근, 김아람, “지자체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분석”,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010, Vol.23(5), p. 152
21. 최만진, “유럽 공공디자인의 특징과 경향”, 『건축』, 2010, Vol.54(5), pp. 48-51
22. 이상훈, 고동완, “생활공간의 관광지화에 따른 지역사회연대 변화 연구”, 『관광학연구』, 2017, Vol.41(2), p. 141
23. 김진범, 김인희, “기획특집: 독일의 도시재생 정책 사회통합도시와 도시재건축”, 『도시문제』, 2011, Vol.46(511), p. 39
24. Oppermann, M., Destination threshold potential and the law of repeat visitation. Journal of travel research, 1998, Vol.37(2), pp. 131-132
25. Patwary, A.K., Rashid, B., The impacts of hospitality services on visit experience and future visit intention of student travelers,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Technopreneurship, 2016, Vol.6(8), pp. 107-111
26. Moscardo, G. M., and Pearce, P. L., Historic theme parks: An australian experience in authenticity, Annals of Tourism Research, 1986, Vol.13(3), p. 467
27. Lewicka, M., Place attachment: How far have we come in the last 40 year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011, Vol.31(3), pp. 207-230
28. 장호찬, “관광지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장소애착 형성과 관광객으로서의 재방문 의사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2010, Vol.34(3), p. 34
29. Yuksel, A., Yuksel, F., Bilim, Y., Destination attachment: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gnitive, affective and conative loyalty, Tourism Management, 2010, Vol.31(2), p. 275
30. Brocato, E.D., Place attachment: An investigation of environments and outcomes in service context, Doctoral Thesis,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2006, p. 7
31. Scannell, L., Gifford, R., Defining place attachment: A tripartite organizing frame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010, Vol.30(1), pp. 2
32. Kyle, G. T., Mowen, A. J., An examination of the leisure in volvement-agency commitment relationship,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005, Vol.37(3), pp. 342-345
33. 吳麗敏(오여민), 黄震方(황진방), 王坤(왕곤), 張彬(장빈), “國內外旅游地地方依戀研究綜述(국내외 여행지의 장소애착에 관한 연구 총론)”, 『熱帶地理』, 2015, Vol.35(2), p. 275
34. Williams, D. R., Roggenbuck, J. W., Measuringplace attachment:Some preliminary results. Proceedings of the Third Symposiumon Social Science in Resource Management, College Station: Texas A & M University, 1989, pp. 70-72
35. Proshansky, H.M, Fabian, A.K., Kaminoff R., Placeidentity: Physical world socialization of the self,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983, Vol.3(1), pp. 57
36. Williams, D.R, Vaske, J.J., The measurement of place attachment: Validity and generalizability of a psychometric approach, Forest Science, 2003, Vol.49(6), pp. 830-840
37. Madgin R, Bradley L, Hastings A., Connecting physical and social dimensions of place attachment: What can we learn from attachment to urban recreational spaces?, Hous and the Built Environ, 2016, Vol.31, p. 692
38. 남윤희, 류시영, 이상경, “세계문화유산 관광지 장소애착과 방문만족 및 추천의도에 관한 연구: 수원화성 방문객을 대상으로”, 관광경영연구, 2018, Vol.22(6)
39. Williams, D. R., Roggenbuck, J. W., Measuringplace attachment:Some preliminary results. Proceedings of the Third Symposiumon Social Science in Resource Management, College Station: Texas A & M University, 1989, pp. 70-72
40. 贺琛(하침), 鲁逸楠(노일남), 付文婷(부문정), “社会资本研究综述(사회적 자본 연구 총론)”, 『湖北经济学院学报』, 2018, Vol.15(7), p. 19
41. Coleman, J. 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988, Vol.94, p.97
42. Fukuyama, F., Social capital, civil society and development, Third world quarterly, 2001, Vol.22(1), p.7
43. 최종덕, “사회자본 형성을 위한 시민교육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7, Vol.39(4), p. 135
44. 서순탁, “사회자본 접근방법의 정책적 함의: 도시계획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2001, pp. 99-109
45. 노정민, 구자훈, “주거지 재생사업에서 일상활동과 계획활동의 사회적 자본에의 영향관계 분석: 도시재생사업단 창원시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2013, Vol.48(6), pp. 308-310
46. Wolf, I. D., Stricker, H. K., Hagenloh, G., Outcome-focused national park experience management: Transforming participants, promoting social well- being, and fostering place attachment, Journal of Sustainable Tourism, 2015, Vol.23(3), pp. 369-371
47. Carmel, F. Hayllar, B., Freedom to be: Friendship and community at holiday parks. In S. Fleming (Ed.), Leisure and tourism: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cultural practice, Eastbourne: LSA, 2009, pp. 33-35
48. 양멍, 홍관선, “도시재생지역에서 형성된 사회적 자본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험적 가치와 장소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2021, Vol.21(6) p. 671

[Website]

중국 도시건설통계연감,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중국의 인구 밀도의 변화가 일으킨 중국 도시의 변화”, https://www.163.com/data/article/E4AP6FBA000181IU.html
2. 중국 주방(住房)도시농촌건설부, “중국의 제1차 도시재생의 21개 도시”,http://www. mohurd.gov.cn/gongkai/fdzdgknr/zfhcxjsbwj/202111/20211105_762839.html
3. 中國中央人民政府(중국 중앙 인민정부), “文化和旅遊發展統計公報(문화와 관광 발전 통계관보)”, http://www.gov.cn/shuju/2021-07/05/content_5622568.htm
4. 오진(烏鎭), “오진(烏鎭)국민 경제와 사회 발전 통계 공보”, http://www.tx.gov.cn/art/2021 /3/5/art_1229402868_4527674.html
5. 태극도 홈페이지, http://www.tgd.or.kr/view.asp?arcid=00 12023758&code=61122019&cp=nv
6. 국민일보, “한국의 마추픽추 부산 감천 문화마을 관광객 200만명 돌파!”, http://news. kmib.co.kr/article/view.asp?arcid=00 12023758&code=61122019&cp=nv
7. 오마이 뉴스, “열정과 진정성이 빚어낸 명품 도시공간”, http://www.ohmynews.com /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941742
8. 시나파이낸셜뉴스,"기업의 사회적 책임,"https://finance.sina.cn/, 2020
9. 인민정보,“공익예술전”,https://baijiahao.baidu.com, 2021.3.21
10. 소양교육신문,“798사랑의 바자”,https://baijiahao.baidu.com, 2021
11. 공식 웹사이트상해,“상해 8호교”,https://www.ulouban.com/8haoqi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