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학위논문박사논문(PhD Theses)

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2.02_07

한자의 심미적 특징과 중국 현대 시각디자인에서의 응용 고찰 关于汉字的审美特征和在中国现代设计中的应用考察 Research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ir application in contemporary visual design in China

  • Name : 치야쉔(齐娅璇)/QI YAXUAN
  • Info : 박사학위논문/博士学位论文/Doctor's thesis/ 2022.02
  • Adviser : 장주영/张洲宁/Chang,Ju-young
192.168.95.172

초록

한자는 중국 문명을 기록하고 전승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중국 문명이 형성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초기의 도형화된 갑골문(甲骨文)에서 금속 그릇에 주조한 금문(今文), 필기에 용이한 예서(隸書), 해서(楷書)에 이르는, 정사각형에 기반한 2차원 조합 구조로 변천하였다. 이후 예서와 해서를 기반으로 행서(行書), 초서(草書) 등의 글자체가 파생하였고, 획의 형태는 더욱 풍부해졌으며, 글을 적는 이에 따라 더 많은 변형된 형태들이 나타났다. 또한 글자체와 쓰는 형태마다 서로 다른 시대의 가치관 및 심미적 경향이 드러났다. 그러나 글자의 형태가 여러 차례 변화하는 가운데서도 한자 구조의 핵심 및 그 안에 함축된 심미적 특징은 변하지 않았다. 쓰기 도구는 날카로운 동물의 이빨, 석제 칼, 청동 도구, 철제 칼, 붓, 조판 인쇄, 활자 인쇄, 키보드를 이용한 타자 등의 변화를 거치며, 쓰기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한자의 표현 형식을 더욱 다양화하였고, 한자는 그 속에서 수천 년 중국 문화를 계승해 왔다.
본 연구는 한자의 심미적 특징과 현대 시각디자인에서의 응용 고찰에 관한 논문이다. 본문은 한자의 심미적 특징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한자가 지닌 심미적 특징의 가설 프레임을 설정하고, 델타이 조사법을 통해 전문가의 의견을 정리하고 가설 프레임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2차 조사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형태(形態)’, ‘구조(構造)’, ‘어의(語義)’, ‘매개체(媒介體)’의 4가지 차원에서 프레임을 확립하였다. 한자의 심미적 특징에 대한 구체적인 정리를 통해 프레임을 개선하고 풍부하게 하여, [표 18]의 형식을 작품의 분석 프레임으로 삼았다. 분석 프레임을 이용하여 현대 시각디자인 작품에서 볼 수 있는 한자의 심미적 특징의 응용 상황과 효과적으로 응용된 방식을 설명함으로써, 현대 디자인에 나타난 한자 디자인의 심미적 특징에 대한 이론적 지침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총 여섯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제1장 서론은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목표와 방법을 설명하였다. 연구 목적에 상응한 연구 방법으로는 주로 문헌조사, 델파이 기법, 사례 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제2장은 이론적 부분으로, 첫 번째 부분은 한자의 기원과 조자(造字) 방법, 중국의 심미이론, 한자 글자체 디자인, 한자가 중국 문화에 미친 영향 등 한자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였다. 한자의 기원에서는 한자의 글자 형태, 쓰기 방식, 전파 매체의 변천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한자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온 역사적 배경을 소개함으로써 한자 형태의 변화를 촉진한 핵심적 동력을 분석했다. 조자 방법에서는 전통적인 형태의 조자, 새로운 형태의 조자 방법을 소개하고, 표로 정리하였다. 심미적 이론에서는 중국의 심미이론을 간략하게 정리함으로써 한자의 심미적 특징을 형성한 배경을 살펴보고, 한자가 어의 표현 측면에서 나타낸 의경(意境) 등의 다원성을 설명하였다. 한자의 글자체 디자인에서는 글자체 디자인 개념, 발전 맥락을 고찰하고, 그 발전 및 변천 방향을 분석하였다. 한자가 중국 문화에 미친 영향에서는 한자가 민족문화 구축, 민족의 응집력 형성과 대외 교류에서 발휘한 역할을 설명하였다. 두 번째 부분은 선행연구 가운데 문헌 연구를 조사하여 한자의 서법, 한자 요소의 디자인 응용, 한자의 심미적 특징의 세 가지 차원과 연구 주제의 논리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중 18편의 문헌에서 키워드를 발췌하고 분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가설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제3장은 한자의 심미적 특징에 대한 조사로, 주로 가설 프레임에 대해 근거를 찾고 논증을 진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델파이 기법을 이용하여 가설 프레임을 토대로 구체적인 문제를 설계하고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전문가의 답변을 정리한 후 두 번째 설문조사를 통해 전문가의 공통된 인식을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연구 프레임을 구축하였다.
제4장은 한자의 심미적 특징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이다. 앞서 구축한 연구 프레임을 근거로 네 가지 차원에서 한자의 심미적 특징을 설명하였다. 형태 차원에서는 전체적인 형태, 필획 형태, 형태 변형 등 세 가지 심미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특징적 표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구조 차원에서는 구조 방식과 심미성 추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어의 차원에서는 주로 한자의 의경(意境)의 미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함축, 허와 실, 은유 등 세 가지 측면에서 한자가 나타내는 심미적 특징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 차원에서는 전각, 붓, 키보드의 세 가지 쓰기 차원에서 다르게 표현되는 한자의 다양한 조형적 특징과 한자의 심미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제5장은 현대 디자인에 나타난 한자의 심미적 특징에 관한 응용 연구이다. 본장은 주로 사례 분석 방식을 통해 한자를 전형적인 디자인 요소로 하는 시각디자인 작품을 분석하였다. 중국 논문 지식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률 및 인용률이 높은 디자이너의 작품을 선정하였는데, 디자이너 진유견(陈幼坚), 칸타이킁(靳埭强), 뤼징런(吕敬人), 쉬빙(徐冰)의 작품과 전통 민간 도안을 주요 사례로 삼았다. 한자의 심미적 특징이 이들 작품에서 응용된 상황을 살펴보고, [표 19]~[표 23]를 통하여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로써 현대의 시각디자인 작품에서 디자이너가 한자의 전형적인 심미적 특징을 선정하고, 이를 디자인에 절묘하게 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6장은 글 전체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전망하였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문은 한자의 전형적인 심미적 특징을 정리하고, 이것이 디자인 분야에서 구체적으로 응용된 상황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통해 한자의 심미적 특징이 내적인 형성 논리와 외적인 발전의 규율을 지녔음을 알 수 있었다. 한자의 심미적 특징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면서도, 연속적인 심미적 체계를 유지해왔다. 이는 주로 계승적 혁신으로 표현되며 완전한 내적 맥락과 동일한 심미적 이상을 담고 있다.
한자의 풍부한 함축적 의미, 완전하면서도 안정적인 심미적 특징은 한자 서법에서 구현될 뿐만 아니라 면면이 이어져 내려온 미적 추구를 통해 현대의 시각디자인 작품에서도 구현되고 있다. 아울러 중화민족의 세계관, 가치관을 심미적으로 드러낸다. 현대 디자인에 한자의 심미적 특징을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디자인 작품에 풍부한 문화적 의미와 우아한 심미적 체험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중화문화에 내재된 특성을 표현할 수 있다

摘要

汉字是记录和传承中国文明的重要媒介,对中国文明的形成起到了非常重要的作用。从初期图形化的甲骨文到金属器皿上铸造的金文、易于笔记的隶书、楷书,演变为基于正方形的二维组合结构。此后,以隶书和楷书为基础,衍生出了行书、草书等字体,笔画的形态更加丰富,随着写字,出现了更多的变形形态。另外,字体和写法的形态也体现了不同时代的价值观和审美倾向。但是,在文字形态多次变化的情况下,汉字结构的核心及蕴含在其中的审美特征并没有改变。书写工具经过锋利的动物牙齿、石制刀、青铜工具、铁制刀、毛笔、排版印刷、活字印刷、利用键盘打字等变化,在提高书写效率的同时,汉字的表现形式更加多样化,汉字继承了数千年的中国文化。
本研究是关于汉字审美特征和现代视觉设计中应用考察的论文。本文以汉字的审美特征为主要研究对象,通过先行研究设定了汉字所具有的审美特征的假设框架,并通过德尔泰调查法整理了专家的意见,提出了假设框架的具体依据。同时进行了第二次调查,最终从"形态"、"结构"、"语义"、"媒介"四个层面确立了框架。通过对汉字审美特征的具体整理,改善和丰富框架,以[表18]的形式作为作品的分析框架。利用分析框架,说明了现代视觉设计作品中可以看到的汉字审美特征的应用情况和有效应用方式,为现代设计中出现的汉字设计审美特征提供了理论指南。
本研究共分为六部分。
第一章序论说明了研究的背景、目的、研究的目标和方法。 与研究目的相对应的研究方法主要使用文献调查、德尔福技法、事例分析等。
第二章是理论部分,第一部分介绍了汉字起源和造字方法、中国审美理论、汉字字体设计、汉字对中国文化的影响等与汉字相关的理论背景。汉字的起源综合整理了汉字的文字形态、写作方式、传播媒体的变迁,并介绍了汉字不断变化和发展的历史背景,分析了促进汉字形态变化的核心动力。在造字方法中,介绍了传统形态的造字、新形态的造字方法,并用表格进行了整理。 在审美理论中,通过简单整理中国的审美理论,观察形成汉字审美特征的背景,并说明汉字在语义表现方面表现出的意境等多元性。在汉字的字体设计中,考察了字体设计概念、发展脉络,并分析了其发展及变迁方向。汉字对中国文化的影响说明汉字在构建民族文化、形成民族凝聚力和对外交流中发挥的作用。第二部分是先行研究中的文献研究,分析了汉字的书法、汉字要素的设计应用、汉字审美特征三个层次和研究主题的逻辑关系。其中,从18篇文献中摘录并分类了关键词,最终以此为基础提出了本研究的假设框架。
第三章是对汉字审美特征的调查,主要目的是寻找假设框架的根据并进行论证。 利用德尔福技术,以假设框架为基础设计了具体问题并进行了深入采访,整理专家的回答后,通过第二次问卷调查形成了专家的共同认识,最终构建了研究框架。
第四章是对汉字审美特征的具体研究。以之前构建的研究框架为依据,从四个层面说明了汉字的审美特征。在形态层面,综合整理了整体形态、笔画形态、形态变形等三种审美特征,具体说明了特征表现。从结构层面综合整理了结构方式和审美性追求。从语义的角度来看,主要以汉字意境之美为研究对象,从涵筑、虚与实、隐喻三个方面说明了汉字表现的审美特征。最后,从媒介的角度分析了篆刻、毛笔、键盘三种不同表现的汉字的多种造型特征和汉字的审美特征。
第五章是关于现代设计中出现的汉字审美特征的应用研究。本章主要通过案例分析方式分析了以汉字为典型设计要素的视觉设计作品。在中国论文知识搜索网站上选定了搜索率及引用率高的设计师的作品,主要事例是设计师陈幼坚、靳埭强、吕敬仁、徐冰的作品和传统民间图案。 观察汉字的审美特征在这些作品中应用的情况,通过[表19]~[表23]具体整理了其内容。由此可以看出,在现代的视觉设计作品中,设计师可以选定汉字的典型审美特征,并将其巧妙地应用到设计中。
第六章对整篇文章进行了综合梳理和展望。
综合以上内容,本文梳理了汉字的典型审美特征,并观察了它在设计领域具体应用的情况。通过分析可以看出汉字的审美特征具有内在的形成逻辑和外部发展的规律。汉字的审美特征相对稳定,但一直保持着连续的审美体系。这主要表现为继承性的革新,包含与完全的内在脉络相同的审美理想。
汉字的丰富内涵、完整而稳定的审美特征不仅在汉字书法中体现出来,还通过绵延各方面的审美追求,在现代的视觉设计作品中体现出来。同时,从审美角度体现中华民族的世界观和价值观。 通过在现代设计中有效利用汉字的审美特征,不仅可以赋予设计作品丰富的文化意义和优雅的审美体验,还可以表现中华文化内在的特性。

Abstract

As an important carrier of the record and inheritance of Chinese civilization, Chinese characters have played a vital role in the formation of Chinese civilization. In the long history, the shape of Chinese characters has undergone a series of evolution. From the first graphical inscriptions on bones or tortoise shells of the Shang Dynasty, to the later inscriptions on ancient bronze objects, and then to the later official script and regular script which are convenient for writing, Chinese characters have formed a two-dimensional combined structure based on square modeling. In the later historical development, the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official script and regular script have derived the running script, cursive script, and other fonts. In the overall shape, the stroke forms are further enriched. Then different fonts and different writers show more morphological deformation. These different writing forms of Chinese characters show the values and aesthetic tendencies of Chinese society at different times. Although Chinese characters have experienced many font changes, the core of Chinese character structure and the aesthetic features it contains have been passed down to this day in the form of shelf structure. Writing tools have undergone the changes of animal tines, stone knives, bronze casting, iron knives, writing brushes, block-printing, movable type printing, keyboard tapping, etc., which not only improved the writing style and efficiency of Chinese characters, but also enriched the expression forms of Chinese characters, making Chinese culture for thousands of years get a consistent inheritance.
This paper tak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as the main research object. First through the prior study to sort out the Chines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hypothesis framework, and then through the Delphi method to verify the hypothesis framework. By sorting out experts’ opinions and conducting a second survey, it could improve the analytical framework of constructing Chinese aesthetic characteristics. Through the exploration and sorting of the beauty of Chinese characters, this paper summarizes the specific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and enriches and improves the analysis framework (see Table 18). The application of these aesthetic features of Chinese characters in contemporary design works is observed with an analytical framework, and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typical design elements in contemporary design is expounded.
Furthermore, this paper is divided into six parts. In the first chapter,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research are put forward, and the corresponding research method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mainly using literature research, the Delphi method, case analysis, and other methods.
The second chapter is the theoretical overview. This chapter mainly expound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Chinese characters, including the origin of Chinese characters (ancient characters, modern characters, contemporary characters), the word-mak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aesthetic theory, Chinese font design, and the influence of Chinese characters on Chinese culture. In the part of the origin of Chinese characters, this paper summarizes the differences of writing methods and media in the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development and change (Table 1), and mainly observes the evolution of Chinese characters' glyphs,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Chinese characters' evolution and the core driving force of theirs shape change. In the part of the Chinese character-making methods, the single character-making method and the combined character-making method in the traditional character-making method and the social character-making method in the new character-making method are described in detail and illustrated with examples, and finally summarized in Table 7. The ancient and modern Chinese aesthetic theories are briefly reviewed in the part of China's aesthetic theory. This part is to observe the formation background of Chinese characters' aesthetic characteristics from the background of Chinese traditional aesthetic tendency and find the potential influence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n Chinese characters' aesthetic expression, in which the elaboration of artistic conception theory is strongly related to the semantic expression of Chinese characters. About the Chinese character font desig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cept of Chinese character font design and sorts out the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 font design, especially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Chinese character fonts closely related to the Chinese publishing industry after entering modern times. As for the influence of Chinese characters on Chinese culture, this paper summarizes the macro influence of Chinese characters on Chinese culture in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culture, the formation of national cohesion, and foreign exchanges. The second part is the prior research, which combs the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literature review mainly includes three dimensions: Chinese calligraphy, Chinese character element design and application, and Chinese character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extracting and classifying the research framework keywords extracted from 18 papers, the author puts forward the hypothesis of the research framework of Chinese character aesthetic characteristics to be used in this study.
The third chapter is the investigation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the main purpose of which is to verify and demonstrate the hypothesis framework. This chapter mainly uses the Delphi method, which is to design specific questions and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in the framework of assumptions. By recording the answers and questionnaire results of experts in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design, the text records are sorted out to construct the research framework.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chapter, the research framework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is finally drawn up into four dimensions: form, structure, semantics, and media, and the subsequent research is carried out based on this framework.
The fourth chapter is the concrete research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research framework formed abov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are expounded from four dimensions. In the morphological dimension, it is summarized into three specific aesthetic features: overall shape, stroke shape, and shape deformation, and its specific features are described. In the structural dimension, it can be summarized into two types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structural mode and aesthetic pursuit, in which aesthetic pursuit is divided into four types: uniformity and difference, balance and stability, symmetry and equilibrium, response and avoidance. In the semantic dimension, the beauty of the artistic conception of Chinese characters is mainly taken as the research object, 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at the semantic level are expounded from three aspects: implicature, virtual, and metaphor. Finally, it is the media dimension, observing different modeling features of Chinese characters from three different writing dimensions: seal cutting, brush, and keyboard, and analyzing different expressions of aesthetic features of Chinese characters in different dimensions. Through the analysis and summary of this chapter, a more specific aesthetic characteristic system of Chinese characters is formed in four aspects: form, structure, semantics, and media, which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s elements below.
The fifth chapter is the application research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in modern design. This chapter mainly analyzes the design works with Chinese characters as typical design elements through case analysis. Select the visual design works of designers with high search frequency and citation rate in CNKI, and take the works of designers Chen Youjian, Jin Daiqiang, Lv Jingren, and Xu Bing as the main cases. These works well interpre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show a high level of design ability, and are representative analysis objects. By observing and studying the application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in these works, and analyzing specific cases in Table 19-23, we can find that designers in modern design works can better grasp the typic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and skillfully apply them to design, and their design works can show the consistent aesthetic pursuit of Chinese civiliz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sixth chapter is the summary and prospect of the full text.
To sum up, through the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this paper summarizes the typic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and observes their specific application in the design field. Through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have their internal formation logic and external development law. Throughout Chinese history, Chinese characters are inextricably linked with the cultural development level, productivity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tendency of each period, and are a dynamic and comprehensive aesthetic system. Meanwhile, in the Chinese cultural system with a strong centripetal forc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have maintained a relatively stable and continuous aesthetic system. Unlike the subversive innovation of western aesthetics, China's aesthetic development is manifested as inherited innovation, with a complete internal context and the same aesthetic ideal. Therefore, in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 aesthetics, we should not only observe the differences caused by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Chinese characters in different periods, but also observe the internal logic of Chinese character aesthetics from a more macroscopic perspective, which is one of the reasons why this paper tries to summari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have formed rich, complete, and stable aesthetic characteristics over the years, which are not only reflected in Chinese calligraphy, but also in contemporary design works through its continuous aesthetic pursuit. Besides, it is also the aesthetic embodiment of the Chinese world outlook and values. In the application of modern design, the effective use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can not only enrich the cultural connotation and elegant aesthetic experience of design works, but also be an effective way to express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Chinese culture.

키워드

  • #한자
  • # 한자 심미특징
  • # 한자 요소
  • # 현대디자인
  • # 한자문화권

  • #汉字,汉字审美特征,汉字要素,现代设计,汉字文化圈

  • #Chinese characters
  • #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 # Chinese character elements
  • # Modern design
  • # Chinese character cultural circle

참고문헌

[Book]

1. 김병옥, 「델파이(Delphi) 분석방법」 킴스정보전략연구소, 2015.
2. 彭軍,『漢字的前世今生:漢字演進史趣說(한자의전세금생:한자발전사 이야기)』,中華工商聯合出版社, 2014
3. 沃興華, 『中國書法史 (중국 서예사)』, 上海古籍出版社, 2001, p178
4. 孟琢, 『漢字就是這麼來的·走進漢字世界(한자는 어디서 왔는가 ·한자의 세계를 가다)』, 湖南少年兒童出版社, 2001, p25
5. 努耿庵, 『篆書與隸書臨創祕籍(전서와 예서 실전 비법)』, 新華出版社, 2016, p16
6. 傅義春, 『漢字與傳統文化(한자와 전통문화)』, 南京大學出版社, 2019, pp36-37
7. 葛承雍, 『書法與文化十講(서예와 문화 10강)』,中華書局, 2019, p735
8. 邁克爾蘇立文, 『中國藝術史(중국예술사)』, 上海人民出版社, 2014, p253
9. 趙志強,『出版物印刷概論(출판물 인쇄 개론)』,文化發展出版社, 2018, p144
10. 關景新, 姜源,『人工智能導論(인공지능 입문)』, 機械工業出版社,2021,p33
11. 段繼魁,『圖說漢字與書法(한자와 서예 도해설명서)』, 新華出版社,2018
12. 李如龍,『漢語和漢字的互動與和諧發展(중국어와 한자의 상호작용 및 조화로운 발전)』,廈門大學出版社,2011
13. 葉郎,『美學原理(미학원리)』,北京大學出版社,2009, p70
14. 祁志祥,『中國現當代美學史(중국 현당대 미학사)』,商務印刷館,2018, p14
15. 葉郎,『中國美學通史.先秦卷(중국 미학통사 선진편)』,江蘇人民出版社, 2014, p196
16. 宗白華. 『美學與意境(미학과 의경)』, 人民出版社, 1987, p67
17. 胡廣翔,『中國哲學社會科學發展歷程回憶-綜合卷(중국 철학 사회과학 발전 과정 회고-종합편)』,中國社科出版社, 2014,p764
18. 朱立元,『美學(미학)』,高等教育出版社,2004
19. 黃德寬,『漢字理論叢稿(한자이론 총고)』,商務印書館,2006,p120
20. 李如龙,『汉语和汉字的互动与和谐发展(중국어와 한자의 상호작용 및 조화로운 발전)』,厦门大学出版社,2011, p51
21. 李泽厚,『李泽厚学术文化随笔(중국어와 한자의 상호작용 및 조화로운 발전)』, 国青年出版社,1984,pp209-210
22. 冯广艺,『语境适应论(언어환경 적응론)』, 湖北教育出版社, 1999.
23. 郑也夫,『造纸术的起源(제지술의 기원)』,北京社会科学,2015.
24. 柳宗悦,『民艺论(민예론)』,江西美术出版社,2002,p15
25. 徐利明, 『中国书法风格史(중국의 서예 풍격사)』,河南美术出版社 , 1997, p302-303

[Dissertation]

1. 김취령,「한자의 상형적 요소와 오행사상을 바탕으로 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18
2. 張琨,임미강, 「한자부호와 인간 정신의 관계를 표현한 도예작품 연구」,忠南大學校 大學院, 박사학위논문,2016
3. 왕효려, 「한, 중, 일 영화 색채미학에 대한 비교 연구 : <취화선 醉畫仙>, <붉은 수수밭 紅高粱>, <꿈 夢>을 중심으로」,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21
4. 홍도, 「동파문자(東巴文字)의 조형적 심미성에 관한 연구 : 신성문자, 갑골문자와의 비교」,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13
5. 한소윤, 「한글 宮體의 變貌 樣相에 관한 硏究」,圓光大學校, 박사학위논문,2014
6. 안일규, 「한글서예의 심미특징과 현대적 응용에 관한 연구」,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5
7. 임미숙, 「意境說의 形成過程과 美學特徵에 관한 硏究」,慶北大學校 大學院, 석사학위논문,2004
8. 이몽범,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Landscape Artistic Conception of Chinese Private Garden ; Focused on Yangzhou Private Gardens」,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21
9. 김서윤, 「意境繪畵 理論에 따른 張大千의 藝術世界 分析」,圓光大學校, 박사학위논문,2013
10. 柳昌徇, 「顔眞卿의 行·草書 硏究 : <祭姪文稿>를 中心으로」,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3
11. 諶方怡,「善其事,利其器 書寫工具的演進對字體發展的影響(자신의 일을 하고, 자신의 무기를 갈다. 서예 도구의 발전이 글자체 발전에 미치는 영향)」,후난사범대학 석사학위논문, 2016, p15
12. 자이즈, 「한∙중 베스트셀러 표지디자인의 시각 구성요소 연구 : 1990년~2010년 중심으로」, 嶺南大學校, 석사학위논문, 2014, p57
13. 邱進春,「漢字的形聲組合概論(한자의 형성조합 개론)」, 장시사범대학 석사학위논문, 2003, p44
14. 劉兵,「認知·文化機制視角下的網絡詞彙研究(인지·문화 메커니즘 관점에서 본 인터넷 어휘 연구)」,화중사범대학 박사학위논문, 2014
15. 李韜,「中國古代藝術理論範疇研究(중국 고대예술 이론범주 연구)」,둥난대학 박사학위논문,2016
16. 劉釗,「漢字印刷字體發展,設計與應用研究 (한자 인쇄체의 발전, 디자인과 응용 연구)」,중앙미술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7. 李航,「從漢字字體演變論數字化境遇中的漢字字體設計 (한자 글자체의 변화로부터 디지털화된 환경 속에서의 한자 글자체 디자인 연구)」,쑤저우 대학 석사학위논문, 2013
18. 趙欣悅,「民國時期(1912-1949)美術字造型研究 (민국시기(1912-1949) 미술자 조형연구)」,중국예술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2
19. 周佳楠,「中西字體設計風格比較研究 (중서 글자체 디자인 스타일 비교연구)」,화둥사범대학 석사학위논문, 2009
20. 喻蓉傑,「漢字字體設計造型及其情感分析研究 (한자 글자체 디자인 조형 및 그 안에 담긴 감정 분석연구)」,우한이공대학 석사학위논문, 2012
21. 謝建軍,「書法美學意象研究——以漢唐書論文獻爲中心 (서예의 미학 이미지 연구-한당 서론 문헌을 중심으로)」,화중사범대학 박사학위논문,2019
22. 範宇光,「書法美學範疇體系研究 (서예미학 범주체계 연구)」,허베이대학 박사학위논문,2019
23. 王毅霖,「當代書法美學的反思與建構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서예 미학에 관한 성찰과 구성)」,복건사범대학 박사학위논문,2013
24. 李逸峯,「文化傳承:書法教育的核心內容 (문화전승:서예교육의 핵심내용)」,서북사범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14
25. 裴蓓,「从认知的角度看汉字字形演变 (인지적 관점에서 보는 한자 자형의 변천)」, 상해사범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3
26. 程燕青,「高、低语境文化下的中美城市公园入口空间设计比较(고·저 언어환경 문화 속에서의 중미도시 공원 입구공간 디자인 비교)」,둥난대학 석사학위논문, 2017
27. 张靖,「传统文化语境下现代景观的传承与嬗变(전통문화 언어환경 하에서 현대 경관의 전승과 변천)」,텐진대학 박사학위논문, 2014
28. 周运会,「汉字构造的隐喻研究(한자구조의 은유 연구)」, 푸젠사범대학 박사학위논문, 2015
29. 王淑慧,「靳埭强设计思想与风格研究(진다이챵의 디자인 사상과 스타일 연구)」,시베이사범대학 석사학위논문,2012
30. 熊瑶,「中国传统园林的现代意义(The Modern Meaning of Chinese Traditional Gardens)」, 베이징 임업대학, 박사학위논문, 2010. p.117
31. 杨婷婷,「陈幼坚平面设计思想研究(진유견 평면 설계 사상 연구)」,허난사범대학, 석사학위논문,2013
32. 王淑慧, 「靳埭强设计思想与风格研究 (진다이챵의 디자인 사상과 스타일 연구)」, 시베이사범대학 석사학위논문, 2012
33. 周雯嘉, 「香港平面设计中中国传统元素的探析 (홍콩의 평면 설계 중 중국 전통 원소의 탐문 분석.)」, 쑤저우대학, 석사학위논문, 2011
34. 王丽, 「四水归堂——论吕敬人书籍设计的亚洲视觉特性 (사수귀당 -- 논려경인 서적 디자인의 아시아 시각 특성)」, 허난사범대학, 석사학위논문, 2011
35. 陈怀宇,「徐冰作品的审美性分析 (쉬빙 작품의 심미성 분석)」, 호남사범대학, 석사학위논문, 2017
36. 肖丽丽,「徐冰汉字装置艺术的文化意义研究 (쉬빙 한자 설치 예술의 문화적 의의 연구)」, 서북사범대학, 석사학위논문, 2017
37. 谭有进,「平面设计的民族化表现 (평면 설계의 민족적 표현)」, 중앙민족대학,석사학위논문, 2013

[Academic Journal]

1. 치야쉔, 장주영, "한자의 심미적 특징에 기초한 한자 디자인 응용 연구-근태강 (靳埭强)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한국디자인포럼』, 2019, p119.
2. 치야쉔, 장주영, "고맥락 문화 차원에서 한자 의미의 심미적 특징 연구”,『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21, pp487-501.
3. 이경숙. "한자구형요소(漢字構形要素)로 본 돈황사본(敦煌寫本)의 이체자(異體字) 유형(類型)과 연원(淵源), 그리고 그 특징(特徵) : 돈황(敦煌) 스타인본 묘법련화경(妙法蓮華經)를 중심으로”,『漢文學報』, 2009, pp545-573
4. 우야오, 박진숙. "중국 도시브랜드 로고디자인에 나타난 한자문화요인 분석”,『한국기초조형학회』, 2017,pp339-350.
5. 孫叡徹, "漢字의 造字法 「六書」 硏究”,『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985
6. 李運富, "“六書”本義及其在漢字教學中的應用”,『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7. 이봉만, 나건, "동서양 문화적 관점을 통한 광고디자인의 차이에 관한 연구”,『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8. 정경조, "한국 언어문화 속의 의사소통방식에 대한 고찰”,『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9. 이상아,홍성철, "동서양 웹 만화에 나타난 문화적 차이 연구 : 한국 웹툰 <미생>과 미국 웹코믹스 <배트맨>의 내용분석을 바탕으로”,『한국소통학』, 2016
10. 黨懷興, 陶生魁, "倉頡造字與漢字崇拜文化(창힐조자와 한자 숭배문화)”, 『섬서사범대학학보(철학사화과학판)』, 2011
11. 崔樞華, "漢字起於“一”論(한자의 일자 기원론)”, 『북경사범대학학보(사화과학판)』, 2003
12. 陳煒湛, "近二十年來的甲骨文研究 (근20년의 갑골문 연구)”, 『산두대학학보』, 2001
13. 周正康, "楷書發展敘論 (해서발전서론)”, 『전서과학기술사범대학학보』, 2018
14. 劉金榮, "論漢字的字體及其種類(한자의 서체와 그 종류 이론)”, 『紹소흥문리대학:철학사회과학판』, 2007, p81.
15. 鄭也夫, "活字印刷的起源(활자 인쇄의 기원)”, 『북경사회과학』, 2015
16. 郭柳,吳衛, "試論宋體字的發展源流及特徵(송체자의 기원과 발전의 특징)”,『디자인』, 2016
17. 於全有, "漢字簡化與文化傳承探討需要澄清的幾個問題(한자의 간체화와 문화 전승에 대해 밝혀야 할 몇 가지 문제)”, 『심양사범대학학보(사회과학판)』, 2019
18. 丁德惠, 孫寶民, "基於符號理論的建國後漢字簡化研究(기호 이론을 바탕의 건국 이후 한자 간체화 연구)”, 『염성공학대학학보(사회과학판)』, 2018
19. 孫建偉, "錢玄同對漢字簡化的理論闡述及實踐推進(전현동(錢玄同)의 한자 간체화 이론 논술 및 실천 추진)”, 『영하대학학보(인문사회과학판)』, 2021, pp96-103.
20. 蘇培成, "簡化字有利於中國社會的發展(중국사회 발전에 유리한 간체화)”, 『북화대학학보(사회과학판)』, 2015, p21.
21. 鍾舟海, "造字·造詞·造句-論網絡語言的要素及其嬗變(문자·단어·문장만들기 -인터넷 언어의 요소와 변천에 대해)”, 『강서이공대학학보』, 2013, pp98-102
22. 吳昉, "漢字象形造字法在視覺傳達中的設計應用(한자 상형 조자법의 시각 전달에서의 디자인 응용)”, 『포장 공정』, 2015
23. 朱志榮, "王國維基於意象的意境理論(왕국위(王國維)의 이미지 기반 의경 이론)”, 『학술계』, 2019
24. 毛宣國, "“意境”之爭:從理論迴歸藝術實踐(“의경”쟁탈:이론에서 예술 실천으로 회귀)”, 『중국 문학 비평』, 2018
25. 陳本益,楊曉瑞, "意境及其歷史命運(의경과 그 역사적 운명)”, 『학술월간』, 2014
26. 鍾寶, "中國古代山水畫的意境空間分析(중국 고대 산수화의 의경 공간 분석)”, 『중국 민족 박람』, 2021
27. 姚蘊華, "漢字字體設計的視覺形式新探 (한자 글자체 디자인의 시각적 형식 재조명)”, 『예술과 디자인 (이론판)』, 2008
28. 馮天瑜, “漢字文化圈”芻議(“한자 문화권” 추론)”, 『길수대학학보(사회과학판)』, 2004
29. 李開琴, 楊麒霖, "儒學視域下中國儒家文化圈的文化外交研究(유학 시야에서 중국 유교 문화권의 문화 외교 연구)”, 『산동행정학원』, 2019
30. 林龍飛, "東亞漢字文化圈及其形成論析(동아시아 한자 문화권과 그 형성 분석)”, 『동남아종횡』, 2006
31. 俞曉紅, "漢字在朝鮮半島的受容及其變遷(한반도에서의 한자의 수용과 변천)”, 『한자문화』, 2019
32. 馮天瑜, "中日漢字文化的互動歷程(중일 한자 문화의 상호작용 과정)”, 『학술월간』, 2003
33. 凌德祥, "共享漢字,同創和諧——“漢字語圈”漢字應用研究(한자 공유, 창조-“한자어권” 한자 응용 연구)”, 『호북경제학원학보(인문사회과학판)』, 2008
34. 左榮全, "傳播學視域下的漢字在越南的傳播史(미디어학 시각에서의 베트남에서의 한자 전파사)”, 『동남아 남아시아 연구』, 2018
35. 上官丽婉, "汉字形态在艺术设计中的美学审视 (예술 디자인에서 한자 형태의 미학 고찰)”, 『싼먼샤 직업기술대학』, 2018
36. 鲁馨遥, "汉字书法教学在对外汉语教学中的应用 (대외한어교학에서 한자서예 교학의 응용)”, 『중경공상대학교』, 2015
37. 杨晓辉, "中外文化背景下的中国书法之现状与反思 (중국과 외국 문화를 배경으로 한 중국 서예의 현황과 성찰)”, 『동남대학교』, 2014
38. 王颖, "汉字书法字体的数字化生存 (한자 서체의 디지털화 생존)”, 『汉字书法字体的数字化生存 (한자 서체의 디지털화 생존)』, 2018
39. 刘娟, 肖俊蓉, 周玟, "汉字在艺术设计中的审美特征 (예술 디자인에서 한자의 심미적 특징)”, 『과정교육연구』, 2019
40. 史兴海, "书法艺术的审美特征分析 (서예 예술의 심미적 특징 분석)”, 『정책결정탐색』, 2017
41. 尹贝贝, "浅析汉字书法艺术的审美特征 (한자 서예 예술의 심미적 특징을 분석하다)”, 『정책결정탐색』, 2014
42. 张婧, "论中国书法的审美特征(중국 서예의 심미적 특징을 논하다)”, 『미술교육연구』, 2017
43. 黄晓蕊, "解读书法艺术的审美特征(서예 예술의 심미적 특징 해석)”, 『예술교육』, 2016
44. 王花, "汉字书法艺术审美特征浅论 (한자 서예 예술의 심미적 특징 평론)”, 『상조』, 2011
45. 高聪蕊, "汉字书法艺术审美特征浅论 (한자 서예 예술의 심미적 특징 평론)”, 『포장 공정』, 2014
46. 寇彧, 王磊, "儿童亲社会行为及其干预研究述评(어린이 친사회 행위와 개입에 대한 논평)”, 『심리발전과 교육』, 2003
47. 孙鹏, "天圆地方造型意象的现代视觉重构——论中国标志设计的方圆形态(천원 지방 조형 이미지의 현대 시각 재구성 – 중국 로고 디자인 형태)”, 『화남사범대학학보(사회과학판)』, 2015
48. 钱雪, "汉碑隶书中的波磔美及其影响(한비 예서의 파바미(波磔美)와 그 영향)”, 『미와시대』, 2012. p64
49. 周春梅,颜真卿, "柳公权书法对比——以楷书为例(유공권(柳公权) 서예 대비 – 해서(楷书)를 사례로)”, 『미와시대』, 2018,p91
50. 尤晓蕊,《祭侄文稿》的书法艺术探究(<제질문고>의 서예 예술 탐구),『미와시대』,2017
51. 独雪梅, "Contrastive Study of the Communicative Differences Between High-context Culture and Low-context Culture”, Journal of Xidian University(Social Science Edition」, 2010
52. 郦全民, "A Discussion of the Representational Effect of Chinese Characters(论汉字的表征效应)”, 『Social Sciences in China』, p.150, 2015, 李泽厚, 「说文化心理」, p.118, 2012에서 재인용.
53. 罗钢, "关于“意境说”的若干问题(“의경설”에 관한 문제)”, 『청화대학학보(철학사회과학판)』, 2018
54. 肖鹰, "意与境浑:意境论的百年演变与反思(의(意)와 경혼(境浑) : 의경론의 백 년 변천사와 과정)”, 『문예 연구』, 2015
55. 陈桐生, "甲骨文影响中华思想文化的三大管道(갑골문이 중화 사상 문화에 미치는 3대 영향 경로)”, 『호북대학학보(철학사회과학판)』, 2019
56. 蒋书红, "金文研究分期述要(금문 연구 분기 개요)”, 『적적 정리 연구 학간』, 2011
57. 张高评, "宋代雕版印刷与传媒效应(송나라 조판 인쇄와 미디어 효과)”, 『섬서사범대학학보(철학사회과학판)』, 2011
58. 陈海燕, "汉末名士蔡邕家世及生平考述(한나라 후기의 학자 채옹 가족과 생활에 관한 문헌 연구)”, 『서남석유대학학보(사회과학판)』, 2010
59. 何林英, "汉代碑刻隶书笔形特点的动态考察(한나라 비각 예서의 필형 특징에 대한 동태적 고찰)”, 『중국 서예』, 2018
60. 海潮, "香港设计界“教主”——陈幼坚的设计理念(한나라 비각 예서의 필형 특징에 대한 동태적 고찰)”, 『미와시대』, 2010
61. 曹晓雪, "陈幼坚在设计作品中的创意思维(한나라 비각 예서의 필형 특징에 대한 동태적 고찰)”, 『대중 문예』, 2018
62. 白鹿, "艺术设计工作室访谈录:陈幼坚设计公司(예술 디자인 스튜디오 인터뷰 : 진유견(陈幼坚) 디자인 회사)”, 『장식』, 1999
63. 王蕾, "传统中国元素在现代视觉传达中的力量 (현대 시각 전달에서의 전통 중국 원소의 힘)", 『포장 공정』, 2011
64. 李婧, 吴卫, "香港平面设计大师陈幼坚的创作特色分析 (홍콩의 평면 설계 대가 천유견의 창작 특색 분석.)”, 『포장 학보』, 2015, p.88
65. 李沫, "靳埭强作品的东方文化意境 (칸타이킁의 동양 문화의 경지.)”, 『길림예술학원학보』, 2005, p.8
66. 徐艺恒, "汉字 “六书” 之法在银行标志设计中的运用与思考 (한자 "六書"의 방법의 은행 로고 디자인에서의 활용과 사고.)”, 『중국포장공업』, 2013, p.16.
67. 宋雪梅, "书籍设计的“五感.(책 디자인의 '오감')”, 『문예연구』, 2010, p.2.
68. 吕敬人, "吕敬人:书籍设计是一份导演的工作 (뤼징런: 책 디자인은 감독님의 작업입니다)", 『디자인』, 2019, p.6.
69. 王丽, "浅谈吕敬人书籍设计中的亚洲视觉表现 (뤼징런 서적 디자인에서의 아시아 시각 표현)", 『대중문예: 학술판)』, 2011, p22
70. 李碧菡, "基于设计艺术形态学的字体设计研究——以设计师徐冰为例(디자인예술형태학에 기반한 폰트디자인 연구-디자이너 쉬빙을 예로 들자)", 『디자인』, 2019
71. 冯博一, "徐冰文字的延续与延伸 (쉬빙 문자의 연속과 연장)", 『미술관찰』, 2002, pp.24-25.
72. 周星, "作为民俗艺术遗产的中国传统吉祥图案 (민속예술의 유산인 중국 전통 길상문양)", 『민족예술』, 2005
73. 罗礼平,邱志芳, "从象形到形象:汉字审美的意象化过程——兼谈民俗观念下的汉字及其装饰 (상형에서 형상까지 : 한자의 미적 의미화 과정 - 겸담 민속 관념에 따른 한자 및 그 장식)", 『문예평론』,2005.01.
74. 이주은, "漢字文化學을 통하여 살펴 본 漢字 字形의 의미 고찰”,『한국연구재단(NRF)』, 2015
75. 김태완, "漢字ROAD를 가다, 漢字와 文化”,『한국연구재단(NRF) 』, 2011
76. 이주은 , 장주영, "고맥락 문화 차원에서 한자 의미의 심미적 특징 연구”,『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21, pp487-501.
77. 陳春梅, "伏羲畫卦說的書學啓示(복희화괘설의 계시)”, 『발전』, 2012
78. 張再興, "從字頻看西周金文文字系統的特點(글자 빈도로 본 서주 금문 문자 시스템의 특징)”, 『어언 연구』, 2004
79. 馮印強, "中國隸書發展史的另一種詮釋 (중국예서발전의 다른 해석)”, 『서법감상과 평론』, 2008,p19
80. 蘇培成, "簡化漢字60年(한자 간체화 60년)”, 『어언 문학 응용』, 2009
81. 王震武, 林文瑛, 『迷信心靈的世界觀--它的隱喻與運作法則(매혹적인 마음의 세계관 - 은유와 운영 법칙)』, 2001
82. 吴青山, "新时期强化图书馆管理的思考(신시대 도서관 관리에 대한 사고의 강화)”, 『내몽고 도서관 공작』, 2002
83. 陈家聪, “浅谈高低语境下的跨文化交际策略(고저 언어 환경 하의 다문화 교제 전략 서술)”, 『Overseas English』, Vol.22, p.250, 2019.
84. 吴燕慧,“高低语境文化的成因及交际策略分析(고저 언어 환경 문화의 형성 원인과 교제 전략 분석)”, 『English Teachers』, 2018.
85. 黄文浩,“陈幼坚:我不是艺术家(진유경 : 나는 예술가가 아니다)”, 『가구와 환경』, 2004李文群, “李阳冰篆书特色及其对后人的影响(이양빙(李阳冰) 전서의 특징과 후세에 미친 영향)”, 『办公室业务』, 2016, p102
86. 严程, “清道光年间书法的北碑风尚——以张纶英《肄书图》题辞为例(청나라 도광 시대 서예의 북비 풍족 – 장륜영(张纶英)의 <수서도(肄书图)>를 사례로)”, 『艺术评论』, 2018/02,p179
87. 文师华,“美人婵娟 典雅华丽——褚遂良及其《雁塔圣教序》(미인의 아름다움과 우하함과 화려함 – 안수량(褚遂良)과 그의 <안탑성교서(雁塔圣教序)>)”, 『名作欣赏』, 2013,p101

[Website]

1. 한의 글자체, “글자체 목록“, http://www.hanyi.com.cn/font-album, 2021.11.09
2. 지부,“송체자 추천“, https://www.zhihu.com/question/20909010/answer/767066583, 2021.10.17
3. 바이두,“오필자형“, https://baike.baidu.com/item/%E4%BA%94%E7%AC%94%E5%AD%97%E5%9E%8B/145130?fr=aladdin, 2021.12.17
4. 바이두,“스마트ABC“, https://baike.baidu.com/item/%E6%99%BA%E8%83%BDABC/699625?fr=aladdin, 2021.12.17
5. 바이두,“판다 오피스체 다운로드“,https://www.tukuppt.com, 2021.05.12
6. https://www.tukuppt.com
7. www.alanchandesign.com
8. 바이두,“靳埭强“, https://baike.baidu.com/item/靳埭强/10299531?fr=aladdin
9. 바이두,“吕敬人", http://www.ideatom.com/show-819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