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학위논문박사논문(PhD Theses)

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19.02_04

차이나타운의 가로경관색채에 관한 연구 -부산 상해거리를 중심으로- 关于唐人街街道景观色彩的研究 -以釜山上海街为中心- A Study on the color of streetscape in Chinatown -focused on Shanghai street in Busan-

  • Name : 판위ㅣFAN YU
  • Info : 박사학위논문ㅣ博士学位论文ㅣDoctor's thesisㅣ2019.02
  • Adviser : 장주영ㅣ张洲宁ㅣChang, Ju-Young
192.168.95.161

초록

본 연구는 차이나타운의 가로 경관 색채에 대한 연구이다. 차이나타운이 현대 도시 발전 방향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상업, 문화, 오락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춘 종합 상업지역으로 거듭나야 한다. 가로 경관 색채는 차이나타운 발전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된다. 본 연구에서는 차이나타운의 가로 경관 색채 설계에 있어 중국 고대 도시의 색채에서부터 현대 도시의 색채 두 방면에 대한 분석과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뉴(NEW) 차이나타운”의 개념을 제시하면서, 중국적 요소를 이용하여 경관 색채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통해 차이나타운의 중국 문화를 표현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청나라 도시의 색채와 현대 도시의 색채의 이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차이나타운의 경관 색채의 평가 방법 및 가로 경관 색채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청나라는 중국 역사의 가장 마지막 왕조로, 청나라의 색채는 중국 전통 색채 이론 체계 중 가장 마지막에 구현되었다. 청나라 색채의 역사문화성과 미학성은 본 연구의 연구 기준으로서, 뉴(NEW) 차이나타운의 경관 색채 설계에 근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미국 샌프란시스코 차이나타운, 미국 보스턴 차이나타운, 호주 시드니 차이나타운, 일본 요코하마 차이나타운 및 한국 인천 차이나타운에 대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부산 상해거리의 가로 경관 색채에 대해 현장 조사 및 분석을 진행하고, 상해거리의 경관 색채 가이드라인 제안을 제시하였다.
제1장은 본 논문의 연구 배경, 연구 목적, 연구 방법 및 내용, 중국 문화가 차이나타운에서 지니는 중요성을 논한다. 그 외 2000년 이후 차이나타운의 발전 현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제2장은 차이나타운의 개념과 발전 상황을 고찰하면서, 동시에 현대화된 신형 차이나타운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다. 중국 전통 색채 이론, 전통 건축 색채와 청나라 도시 색채 및 청나라 색채에 대한 미학적 분석을 진행한다. 현대 도시 색채를 연구하고 정리함과 동시에, 도시 색채의 연구 범위 내에서 가로 경관 색채의 평가 요소를 미학성, 역사문화성, 연속성, 전체성, 지역성, 기능성의 6가지 측면으로 정리한다. 이러한 6가지 색채 평가 요소를 본 연구의 색채 특징 분석의 기준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기준 색채 이론에 대해 설명한다.
제3장은 차이나타운의 경관 색채의 평가 요소 및 구성 요소에 대해 분석하고 정리한다. 차이나타운의 경관 색채의 평가 기준을 따라 미국 샌프란시스코, 미국 보스턴, 호주 시드니, 일본 요코하마 및 한국 인천 등 5개의 사례에 대한 색채 분석과 평가를 진행한다. 그 밖에도, 설문조사와 SPSS 분석 방법을 통해, 차이나타운 색채 선호도 및 색채 평가 요소의 중요 정도에 대해 분석한다.
제4장에서는 상해거리의 색채 연구를 진행한다. 우선 부산 상해거리의 색채 현황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진행한다. 연구를 통해 부산 상해거리의 가로 경관 색채에 대해 색채 조사 분석 및 색채 평가 분석을 진행한다. 중국 전통 색채 이론과 현대 도시 색채 및 가로 경관 색채의 이론 연구, 차이나타운 가로 경관 색채의 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색채 가이드라인 제안한다.
본 연구는 차이나타운이라는 특수 지역의 경관 색채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여, 색채 설계에 필요한 경관 색채의 구성 요소 및 평가 요소를 도출하고, 전세계를 대표하는 차이나타운의 색채 현황을 분석하였다. 한편, 평가 요소에서의 주요 요소인 역사문화성과 미학성의 개념을 규정하는 과정에서 청나라의 색채 개념 및 체계를 활용하였다. 그러나 청나라 관념의 색채 체계를 현대의 현실 색채에 응용하여 시도하는 것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관계로, 해당 연구를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동양 전통 색채 개념을 현대에 적용하는 방법 및 현대화에 관한 연구가 향후 더 심도 있게 이어 져야 할 것이다. 그 외 조사 대상이 부산 지역의 중국 유학생에 한정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 제한적인 측면이 있다. 추후 연구를 통하여 조사 범위를 확대하여 더 많은 차이나타운 방문객을 조사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본 연구가 부산 상해거리의 색채 개선안의 참고 자료가 되고, 부산 상해거리의 특성화 및 지역 명소화의 방안으로서 차이나타운 연구를 위한 지침서 되길 바란다.

摘要

本研究是对唐人街街道景观色彩的研究。唐人街为了符合现代城市发展方向,必须发展成为具备商业、文化、娱乐等多种功能的综合商业区。街道景观色彩被认为是唐人街发展的重要因素。本研究主张唐人街的街道景观色彩设计应对中国古代城市的色彩和现代城市的色彩两方面进行分析和研究。本研究提出"新唐人街"的概念,建议利用中国元素,通过改变景观色彩的方法来表现唐人街的中国文化。
本研究对中国清朝城市色彩和现代城市色彩理论进行了研究,提出了唐人街景观色彩的评价方法及街道景观色彩的指导方针。清朝是中国历史上的末代王朝,清朝的色彩是中国传统色彩理论体系中最后体现的。清朝色彩的历史文化性和美学性是本研究的标准,为新唐人街的景观色彩设计提供了依据。为此,我们对美国旧金山唐人街、美国波士顿唐人街、澳大利亚悉尼唐人街、日本横滨唐人街及韩国仁川唐人街进行了事例分析。对釜山上海街街道景观色彩进行现场调查及分析,并提出了上海街景观色彩指南提案。
第一章论述了本论文的研究背景、研究目的、研究方法及内容、中国文化在唐人街的重要性。此外,还将对2000年以后唐人街的发展现状进行研究。
第二章在考察唐人街概念和发展状况的同时,对现代化的新型唐人街提出了新的概念。主要对中国传统色彩理论、传统建筑色彩和清朝城市色彩以及清朝色彩进行美学分析。在研究和整理现代都市色彩的同时,在城市色彩的研究范围内,从美学、历史文化性、连续性、全体性、地域性、功能性的六个方面整理街道景观色彩的评价要素。将这6种色彩评价要素设定为本研究色彩特征分析的标准。接着说明本研究中使用的基准色彩理论。
第3章对唐人街景观色彩的评价要素及构成要素进行分析和整理。根据唐人街景观色彩的评价标准,将对美国旧金山、美国波士顿、澳大利亚悉尼、日本横滨及韩国仁川等5个事例进行色彩分析和评价。此外,通过问卷调查和SPSS分析方法,分析唐人街色彩偏好度及色彩评价要素的重要程度。
第四章 进行上海街的色彩研究,首先对釜山上海街的色彩现状进行调查和分析。通过研究,对釜山上海街的街道景观色彩进行色彩调查分析及色彩评价分析。以中国传统色彩理论和现代城市色彩及街道景观色彩的理论研究、唐人街街道景观色彩的调查分析结果为基础,提出色彩指导方针。
本研究为唐人街这一特殊地区的景观色彩,尝试了多种方法,引出了色彩设计所需的景观色彩的组成要素及评价要素,并分析了代表全世界的唐人街的色彩现状。另一方面,在规定评价要素中的主要要素—历史文化性和美学性的概念的过程中,应用清朝的色彩概念及体系。但是,由于未能对将清朝观念色彩体系应用于现代现实色彩进行充分研究,所以进行相关研究存在困难。将东洋传统色彩概念运用到现代的方法及有关现代化的研究今后应该更加深入地延续下去。此外,调查对象仅限于釜山地区的中国留学生,因此对本研究存在限制。今后将通过研究扩大调查范围,把更多的唐人街访客作为调查对象。
希望本研究成为釜山上海街色彩改善案的参考资料,作为釜山上海街特色化及地区名胜化的方案,成为研究唐人街的指南。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streetscape color of Chinatown. In order to achieve the development of Chinatown in accordance with modern development law, Chinatown must become a comprehensive commercial district with multiple functions involving commerce, culture and entertainment. Streetscape color is deemed to be an indispensable key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Chinatown.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color design of the horizontal landscape of Chinatown should start with the color of ancient Chinese cities to analyze and study the color of modern citie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New Chinatown" is proposed, and it is suggested to express the Chinese culture of Chinatown by changing the landscape color with Chinese elements.
In this study, the theory of city color in Qing Dynasty and modern city color is studied,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landscape color of Chinatown as well as the guidelines of streetscape color is put forward. Qing Dynasty is the last dynasty in Chinese history. The color of Qing Dynasty is the last embodiment in traditional Chinese color theoretical system. The historical, cultural and aesthetic features of Qing Dynasty color are the criteria of this study, which provide a basis for the landscape color design of New Chinatown. To this end, this study carries out case analysis of Chinatown in San Francisco, Chinatown in Boston, Chinatown in Sydney, Australia, Chinatown in Yokohama, Japan and Chinatown in Incheon, Korea. Then field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horizontal landscape color of Shanghai Street in Bushan are conducted, and orientation suggestions for the landscape color of Shanghai Street are put forward.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background, purpose, method and contents of this study,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Chinese culture in Chinatow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status of Chinatown after Year 2000 will be studied.
The second chapter introduce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situation of Chinatown, and puts forward the new concept of modern new Chinatown. Furthermore, an aesthetic analysis of traditional Chinese color theory, traditional architectural color, Qing Dynasty city color and Qing Dynasty color is conducted. While researching and sorting out modern city color, within the study range of city color, the evaluational factors of streetscape color are arranged into six aspects of aesthetics, history and culture, continuity, integrity, regionality and functionality. The above six evaluational factors of color are taken as the criteria for color feature analysis in this study. Then the base color theory applied in this study is explained.
The third chapter analyzes and sorts out the evaluational factors and components of the streetscape color of Chinatow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for landscape color of Chinatown, color analysis and evaluation of five cases including San Francisco, Boston, Sydney, Yokohama and Incheon are carried out. In addition,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nd SPSS analysis, the importance degree of color preference and color evaluational elements of Chinatown is analyzed.
The fourth chapter presents color study of Shanghai Street. Firstly, the color status of Shanghai Street in Busan i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rough the study, the streetscape color of Shanghai Street in Busan is investigated, analyz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studies of traditional Chinese color theory, modern city color theory and horizontal landscape color theory as well as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horizontal landscape color of Chinatown, this study puts forward the suggestions on color orientation.
This paper tries multiple methods to study the landscape color of Chinatown, a special area, and obtains the essential landscape color component factors and evaluational factors for color design. Besides,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atown color, which is representative in the world, is analyzed. Moreover, when defining the concepts of the main factors among the evaluational factors, namely, historical feature, cultural feature and aesthetic feature, the color concept and system in Qing Dynasty are applied. However, due to the lack of sufficient study on the attempt to apply the concept color system in Qing Dynasty to modern realistic color,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correlation studies. The method of applying traditional Chinese color concepts to modern times and modern research should be further deepened in the future. In addition, as the respondents are Chinese overseas students in Busan,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Through post-research, it is expected to expand the scope of the survey and make more Chinatown visitors the object of the respondent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some advisory opinions for the case of color improvement of Shanghai Street in Busan, be adopted as a scheme for making Shanghai Street in Busan special and a scenic spot, and act as a reference material for the study of Chinatown.

키워드

  • # 차이나타운 # 가로 경관 색채 # 중국 청대 색채 # 색채 분석 # 색채 평가

  • # 唐人街 # 街道景观色彩 # 中国清代色彩 # 色彩分析 # 色彩评价

  • # Chinatown # Horizontal landscape color # Color analysis of Qing Dynasty # Color evaluations

참고문헌

[Book]

1. 薑澄清, 『중국안의 색채관(中國人的色彩觀)』,貴州大學出版社, 2013
2. 郭沫若, 『중국고대 사회 연구(中國古代社會研究)』, 人民出版社,1964
3. 梁思成,『中国建筑史』,百花文艺出版社,2004
4. 梁思成,『清式营造则例』, 中国建工出版社, 1981
5. 苟爱萍,『从色彩到空间-街道色彩规划』,东南大学出版社, 2010.
6. 赵思毅,『城市色彩规划』, 江苏科学技术出版社, 2016
7. 尹思谨,『城市色彩景观规划设计』,东南大学出版社,2004
8. 吴松涛, 『Urban Color Planning Principle』, 中国建筑工业出版社, 2012
9. 宋建民, 『Color design in france』, 上海人民美术出版社,1999
10. 克里夫·芒福汀,『街道与广场』, 中国建筑工业出版社, 2004
11. 阿摩斯 拉普卜拉,『建成环境的意义—非言语表达方法』, 中国建筑出版社, 2003
12. Amos Rapoport, 『文化特性与建筑设计』, 中国建筑出版社, 2004
13. Kevin Lynch, The Image of the City, MIT Press, 1974
14. 박연선, 『색채용어사전』, 서울도서출판예림, 2007
15. 요시다신고, 『도시의 색을 만들자』, 이석현역 서울 도서 출판 미 세움, 2008
16. 박연선, 『색채용어사전』, 도서출판 예림, 2007
17. 崔唯, 『城市环境色彩规划与设计』, 中国建筑工业出版社, 2006
18. Philip Thiel, Paths and Purposese, People, 1997
19. 윤일주,『色彩學入門』, 서울민음사, 1975
20. 박연선, 『도시환경의 색채디자인』, 지구문화사, 2015
21. 요시다신고, 『환경 색채 계획』, 이석현역 서울 도서 출판 미 세움, 2007
22. 梅斌,『世界唐人街』,广东人民出版社, 2015
23. 박은주, 『색채조형의 기초』, 미진사, 1995

[Dissertation]

1. 熊开万, “The Space Produce and Ethnic Culture Communication in Chinatown of Bangkok”,「昆明学院社会管理学院」, 2011
2. 陈翔, "社会网络和海外华人族裔集聚区的功能分化:以米兰唐人街为例”,「经济地理」, 2017
3. 이현식, "인천 차이나타운의 조성 방향”, 「인천광역시 인천발전연구원」, 2001
4. 이광구, "부산 차이나타운 특성화를 위한 가로경관디자인 연구”,「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5. 박향화, “차이나타운의 경관이미지 재현 수법에 관한 연구—부산 상해거리를 대상으로”,「동아대학교」, 2010
6. 林美榮, "외국인 거주지 활성화를 위한 복합 문화공간으로서의 학교 디자인 연구 -인천 차이나타운을 대상으로”,「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7. SHI XUE,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중국 전통‘오색(五色)’관 연구”,「세종대학교」, 2018
8. 曽启雄, "中国五正色辨义与阴阳五行关系之研究”,「台湾国立云林科技大学」, 2002
9. 苟爱萍, "从色彩到空间-街道色彩规划”,「东南大学博士学位论文」, 2010
10. 曾超华,“秦汉色彩研究”,「北京服装学院」, 2009
11. 吕英霞,"中国传统建筑色彩的文化理念与文化表征”,「哈尔滨工业大学」, 2008
12. 李绪言, "魏晋南北朝色彩研究”,「北京服装学院」, 2009
13. 袁守愚,"中国园林概念史研究:先秦至魏晋南北朝”,「天津大学博士学位论文」, 2014
14. 刘钊,“西安‘新唐风’建筑色彩研究”,「西安建筑科技大学」, 2013
15. 公晓莺,“广府地区传统建筑色彩研究”,「华南理工大学博士学位论文」, 2013
16. 杨栩,“唐代建筑之琉璃瓦屋顶的色彩与构成意义初探”「广东工业大学」, 2010
17. 英卫峰,“唐代帝陵陪葬墓研究”,「西北大学博士学位论文」, 2011
18. 成丽,“宋《营造法式》研究史初探”,「天津大学博士学位论文」, 2009
19. 赵鹏飞, "山东运河传统建筑综合研究”,「天津大学博士学位论文」, 2013
20. 曹鹏,“明代都城坛庙建筑研究”,「天津大学博士学位论文」, 2011
21. 常清华,"清代官式建筑研究史初探”,「天津大学博士学位论文」, 2012
22. 郭祉坚,“北京清代贝勒贝子府建筑形态研究”,「北京建筑大学」, 2016
23. 王京红,“中国传统色彩体系的色立体—以明清北京城市色彩为例”,「ART RESEARCH」, 2017
24. 王京红,“紫禁城中轴线的色彩分析”,「DESIGN AND COLOR」, 2016
25. 洪华,“紫禁城建筑的文化内涵—阴阳五行学说”,「北京联合大学学报」, 2001
26. 方晓风,“清初四帝及其宫廷宗教建筑建设”,「DESIGN HiISTORY」, 2008
27. 何丽,“浅谈中国古代宫殿建筑紫禁城的色彩学”,「山西建筑」,2005
28. 咸康西,“浅析故宫建筑色彩的文化精神内涵”,「大众文艺」, 2017
29. 常清华,"清代官式建筑研究史初探”,「天津大学博士学位论文」, 2012
30. 肖瑞宁,"尘封雍容—北京清王府的建筑文化”,「档案文化」, 2017
31. Will JR Curtis.Le Corbusier, “Post-Modern Design”,「United States of America: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s」, 1989
32. Li mengmeng, "Study on the urban color management strategy of the historic conservation area in the old city of Beijing”,「Beijing university of civilengineering and architecture」, 2017
33. 김지혜, "특화가로 조성을 위한 환경디자인 구성 요소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과 대전의 가구, 한의약, 패션 특화거리를 중심으로”,「충남대학교」, 2009
34. 金孝贞,"도시상징가로의 색채적용평가에 관한 연구”,「충남대학교」, 2010
35. 정재훈, "주거지역 색채경관의 자율적 구성특성과 조형성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2017
36. 김용숙, 박영로, "색채의이해”,「윤희수역미술문화사」, 2016
37. 조현진,“인사동 가로경관 환경색채정비방안에 관한 연구”,「단국대학교」, 2003
38. 임선희, "보행 친화적 상업가로 유형별 활성화 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2018
39. 정가영, "도시 가로변 건축물 Facade의 색채이미지 평가 특성 연구”,「조선대학교」, 2009
40. 은경, "역사경관 보전을 위한 가로경관 색채에 관한 연구 - 중구 소공로 중심으로”,「이화여자대학교」, 2015
41. 이효연, "지역색 기반의 경관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 제주도 현대 주거경관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6
42. 정재훈, "주거지역 색채경관의 자율적 구성특성과 조형성에 관한 연구 -부산 해안산지권 경관사례를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43. 사영재, "보행자 이동과 시지각 시퀀스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홍대 석론”,「충남대학교」, 2002
44. 이정문, "가로공간에서의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감성평가 연구”,「호서대학교」, 2012
45. 박필제, "백숙자 공저, 칼라 코디네이터를 위한 색채학입문”,「형설출판사」, 1999
46. Moon P, Aesthetic Measure Applied to Color Harmony,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America, volume 34, no 4, 1944
47. 정재훈, "주거지역 색채경관의 자율적 구성특성과 조형성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2016
48. 이경미, "色彩調和論에관한比較硏究”,「숙명여자대학교」, 1987
49. 진로,"한국과 중국 상업지역 가로경관의 건축물 색채이미지분석에 관한 연구”,「충남대학교」, 2018
50. 이석현, "도시경관개선을 위한 환경색채가이드라인 적용에 따른 효과요인평가-남양주시를 대상으로”,「디자인학연구」, 2010
51. 俞孔坚, "新唐人街——波士顿的中国城公园”,「北京大学景观设计研究院」, 2008
52. 판위, "부산 상하이 거리에 대한 색채 현황 연구”,「한국색상학회 논문집」, 2017
53. 용익, "차이나타운 테마상가 투자 의사결정 요인 분석 : 한국 시장에서의 개발을 중심으로”,「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09
54. 임미영,"외국인 거주지 활성화를 위한 복합 문화공간으로서의 학교 디자인 연구-인천 차이나타운을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2007
55. 용익, "차이나타운 테마상가 투자 의사결정 요인 분석 - 한국 시장에서의 개발을 중심으로”,「건국대학교」, 2008
56. 유예지, "인천 차이나타운 경관의 상업화 - 주체별 역할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2011
57. 許裕敏, "한국 내 차이나타운 상업가로경관에 대한 화교들의 선호이미지 분석-인천 차이나타운로와 광진구 자양동 동일로 18길을 중심으로”,「한양대학교」, 2014
58. 왕소용, "차이나타운의 구조는 전통 풍수문화 개념의 계승을 투시 한다”,「천진대학교」, 2014
59. 임지원, "공업차이나타운: '일대일로'의 새로운 업무 경영 방식”,「중국사회과학원」, 2015
60. 리우바이, "일본 차이나타운 문화 및 이가 끼치는 영향”,「길림대학교」, 2013
61. 왕멍, "대도시화의 지역사회—뉴욕 차이나타운을 예로”,「사천대학교」, 2012
62. 장회이찡, "일본 나고야 화교지역사회의 변화와 재건—현대 지역사회이론의 각도에서 비롯한 연구”, 「일본 나고야 대학교」, 2011
63. 찡, "현대 '단일건축'의 지속 가능한 갱신 방법—밴쿠버 차이나타운을 예로”,「무한 대학교」, 2011
64. 이안칭, "베트남 호찌민시 차이나 타운의 도시유산보호”,「서남교통대학교」, 2010
65. 쉬스삔, "21세기의 '신 차이나타운'을 건설”,「중국과학기술디자인학원」, 2003
66. 짜오하이옌, "미국 뉴욕주 알바니의 현대화 차이나타운”,「북경디자인원」 , 2004
67. 김수한, "한국 차이나타운의 지역 명소화 (名所化) 전략 연구 -인천시 중화가(中華街)를 중심으로”,「영남대학교」, 2009
68. 문선욱, "차이나타운 테마상가 투자 의사결정 요인 분석 - 한국 시장에서의 개발을 중심으로”,「서울도시연구원」, 2010
69. 구지영, "동아시아 해항도시의 이문화 공간 형성과 변용 - 부산 초량동‘차이나타운’을 사례로”,「동아대학교」, 2011
70. 박향화, "부산 상해거리 상점 전면부 경관요소의 유형적 분석과 중국 전통 경관이미지의 재현 방법에 관한 역구”,「동아대학교」, 2012
71. 박규택, "전이공간으로서 차이나타운-부산광역시 상해거리의 사례”,「한국도시지리학회」, 2013
72. 이광국, "부산 차이나타운 특성화를 위한 가로경관디자인 연구”,「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73. 김유민, "이기동, 인천 차이나타운 리모델링 관련 이해관계자 관심 비교분석”,「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3
74. 정은주, "차이나타운 아닌 중국인 집거지- 근현대 동아시아 역학 속에 주조된 서울 화교 집단거주지의 지형”,「서울연구소」,2013
75. 이광국, "국가전략적 특화공간으로서 부산 차이나타운의 기능 부여에 관한 연구-법정계획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2013
76. 유입함, "한·중 관광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분석 - 인천 차이나타운을 대상으로”, 「학국디지털정책학회」, 2014
77. 김영국, "인천 차이나타운 방문객의 체험요소가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2015
78. 文丁昣, "사이버 인천 차이나타운의 공간서사와 장소기억 -대학교육현장에서의 인천 차이나타운 활용을 위한 제언”, 「중국문화역구학회」, 2016
79. 장은화,"재외 에스닉 타운이 국가 이미지 각인에 미치는 영향 고찰-서울시 대림동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턴츠학회」, 2016
80. Yisen Li, "도시 부흥의 도시 설계 - 위니펙 차이나타운의 주요 명소”,「Manitoba University phd, Canada」, 2002
81. Kimberly Anne Lee,"다중 회수 커뮤니티를 통해서 – 포틀랜드 차이나타운의 혼용 주택”,「Maryland School Phd, USA」, 2004
82. Nisha A. Fernando,"도시 거리의 문화와 인정 – 뉴욕 차이나타운을 예시로”, 「Wisconsin University Phd,USA」, 2007
83. Jen-Li Ko,"문화 표현 형식과 박물관 – 시카고 차이나타운에 민족 정체성을 세우다”,「Wisconsin University Phd,USA」, 2011
84. Rui Rence Guo, "친환경적인 차이나타운으로: 문화를 자세히 다시 살펴보다 - 보스턴의 반응과 포용적인 공공 공간 시스템”, 「Tufts University Phd, USA」,2013
85. 정희영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보행자 가로의 색채 계획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 2001
86. 임은영 ,"가로환경 색채계획방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색채학회 논문집」,2004
87. 손동승, "특화거리 형성을 위한 환경색채계획 역구”, 「상명대학교」,2008
88. 김성진, "입지와 환경특성에 따른 아파트 환경색채계획”, 「성균관대학교」,2010
89. 이정경, "지역색을 고려한 전원주택단지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 청도군 각북면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16
90. 이상대, "도심 전통 주거지역 가로환경색채 조사 분석에 관한연구”,「서울산업대학교」.2001
91. 조충현, "색채분석을 통한 도시가로경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2001
92. 최재원, "도시경관색채 조성을 위한 건물외장색채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충남대학교」,2005
93. 박희경, "삼청동 지역색 분석을 통한 도시 이미지 색채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2007
94. 유정윤, "가로의 색채특성분석을 통한 환경색채디자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강북지역 '걷고 싶은 거리' 3개 가로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2008
95. 이미선, "지역이미지 정체성 보존지역의 환경색채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종로구 옥인동 47번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2012
96. 민태규, "색채 종합분석을 통한 농촌경관 관리방안”,「경북대학교」,2017

[Website]

1. https://zh.wikipedia.org/wiki/唐人街
2. http://www.busanchina-f.com
3. http://www.usnyk.com
4. 한국색채학회, http://www.color.or.kr/
5. http://www.toshiseibi.metro.tokyo.jp
6. 서울특별시 디자인서울총괄본부,「자연, 문화 그리고 서울색」, http://www.seoul.go.kr. 2008
7. 한국표준색색채분석,「국가기술표준원」, http://www.kats.go.kr/content.do?cmsid=87, 2017
8. https://zh.wikipedia.org/wiki/旧金山唐人街
9. https://www.sfgate.com/neighborhoods/sf/chinatown/
10. Central Subway will move San Francisco in right direction. SF Examiner. October 14, 2012
11. http://www.chinatown.or.jp/
12. https://zh.wikipedia.org/wiki/横滨中华街
13. 부산발전연구원, https://bdi.re.kr/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