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ㆍ자기주도ㆍ미래기술 역량을 갖춘 전자공학 기술리더 양성
학과소개교육목표

교육목표

교육목표

동서대학교 건학이념에 근거한 전자공학과는 학생의 가치를 중요시 여기며, 학생 개개인이 지니고 있는 달란트(Talents)를 발굴하여 THe Only One의 자기 가치를 형성한 글로벌 창의인재 양성을 교육목표로 한다. 특히 로봇,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공지능 분야의 핵심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요소기술에 대해 제품기반(PBL: Product Based Learning)의 융합교육과정을 교육함으로써 시대의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한다.
전자공학과는 학생 개개인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개인역량과 진로에 대해 지속적인 관리와 개개인의 달란트(Talent)에 맞는 수준별 맞춤교육, 미래기술 분야에 따른 융합(Hybrid)교육과 개별화된 경험(Experiential) 교육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전공에 대한 꿈과 진로를 발견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개방형(Open) 교육체계와 학습과정에 대한 체계적 평가(Evaluation)와 글로벌 역량강화를 확립할 수 있는 인프라와 사회에 기여하는 선순환 시스템을 통하여 창의∙자기주도∙미래기술 역량을 갖춘 전자공학 기술리더 양성을 교육목표로 한다.

교육내용

전기전자공학 기반의 전자공학과는 지능형 로봇, 무인 자동차,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공지능, 드론 및 유무선 통신, 사물인터넷의 미래기술 시대에 필요한 핵심기술에 대해 교육하고, 제품 기반(PBL: Product Based Learning)의 회로설계, 프로그래밍 중심의 공학교육과 아이디어 도출부터 제품의 설계 및 제작, 특허출원까지의 창의적 ICT 융합제품의 R&D 전 과정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교육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PBL: Problem Based Learning)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과 학생의 꿈과 진로에 따라 자신만의 커리큘럼(SDC설계)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세분화되고 특성화된 심화교육을 통하여 미래기술 산업분야별 핵심지식을 습득하도록 교육체계를 구성하였다.

지능형 로봇, 무인 자동차,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공지능의 미래기술 분야의 전공교육
융합  교육
창의∙지식재산교육과 디자인, 경영 등 다양한 학제간 분야의 지식과 기술교육
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출, 전자제품의 설계∙제작 및
특허출원의 R&D 전체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배양

전공기반의 미래기술

회로설계 :

ㆍ전자기기 개발을 위한 하드웨어 회로소자    

ㆍ펄스성 파워 설계, 초저전력(나노파워) 설계

ㆍ회로/PCB 설계를 위한 노이즈 저감대책      

ㆍ차세대 소자의 적용기술 : GaN, SiC

ㆍ저전력 FPGA를 사용한 대용량 대역폭 메모리 솔루션 

ㆍ데이터 센터를 고속화시키는 FPGA 솔루션   

ㆍFPGA를 이용한 최신 레이더 시스템 및 신호처리

ㆍAC 및 무선 충전을 자동승강압으로 동시 제어하는, 배터리 충전 솔루션

로봇설계 :

ㆍCortex-M, -A Core 프로세서응용 

ㆍ밀리미터파(mmWave) 센서를 이용한 산업용레이더 설계 

ㆍ지능형 로봇 구현을 위한 머신러닝 

ㆍ임베디드 비전(Xilinx)

ㆍRTOS 소프트웨어    

ㆍ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    

ㆍ에지 컴퓨팅과 AI 반도체

AI :

ㆍAI통합을 위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가속화    

ㆍ머신러닝을 위한 라즈베리파이 병렬처리 모듈

ㆍ산업용 증강현실 솔루션을 통한 제조 공정의 디지털 혁신

ㆍAI와 IoT를 활용한 ‘인텔리전트 트랜스포메이션’ 디바이스

자율주행 :

ㆍIoMT를 위한 고성능 관성센서, Battery Fuel Gauge

ㆍMIPI(Mobile Industry Protocol Interface) 기술의 ADAS 적용    

ㆍ차량용 이더넷, 자동차 레이더 설계, 커넥티드카를 위한 V2X

ㆍ자동차용 LIDAR 기술, 자동차 ADAS 솔루션 

ㆍ자율주행 자동차를 위한 오픈 아키텍처의 병렬처리 프로세싱 비전 솔루션

모빌리티 :

ㆍ드론 탐지 기술, 군사용 스텔스 드론    

ㆍ자가용자율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