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ㆍ자기주도ㆍ미래기술 역량을 갖춘 전자공학 기술리더 양성
입학&취업입학 FAQ

입학 FAQ

Total : 6 (1 / 1 Page)

  • 답변
    전자공학과는 동서대학교 이공대학의 핵심전공입니다. 더불어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있으며 많은 인재들을 배출하였습니다.
    [전자공학과 연혁]
      · 2022~ 전자공학과 모집정원 80명
      · 2020~2021융합전자공학과 모집정원 80명
      · 2015~2019 메카트로닉스융합공학부 전자공학SDC 모집정원 160명
      · 2004~2014 정보시스템공학부 전자공학과 모집정원 80명
      · 1992~2004 전자공학과 모집정원 120명
  • 답변

    전기전자공학 기반의 전자공학과는 지능형 로봇, 무인 자동차, 인공지능, 드론 및 항공우주, 유무선 통신, 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에너지, 3D 프린터, 사물인터넷과 같은 혁신기술이 중심인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 갈 공학도를 양성합니다.

    이를 위해 혁신기술 제품을 기반으로 회로설계, 프로그래밍 중심의 공학 기초교육을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아이디어 도출부터 제품의 설계 및 제작, 특허출원까지의 창의적 ICT 융합제품의 R&D 전 과정을 스스로 수행하게 함으로써,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을 보유한 실무적인 인재를 양성합니다.

    특히, 미래기술 기반의 교육과 더불어 학생의 꿈과 적성에 따라 자신만의 커리큘럼(SDC설계)을 구성하도록 하고, 세분화되고 특성화된 심화교육을 실시하여 미래기술 산업분야별 핵심지식을 습득하도록 합니다.

  • 답변

    전자공학과에서는 학생들의 자발적인 비교과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각종 스터디 그룹이나 연구회 활동공간을 팀별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전자정보관 6층에 마련된 학생 자율공간과 연구회 공간은 벤처기업 스타일의 멋진 곳이며, 세미나 및 토론을 위한 브레인 스토밍실도 바로 옆에 따로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공간들은 모두 카드키 등록만 하면 24시간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으며 BDAD 사업을 통해 각 연구회의 교재 구입이나 특강, 운영비 일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 참조 : http://uni.dongseo.ac.kr/ee/index.php?pCode=MN8000032

  • 답변

    전자공학과의 관련자격증에는 전기, 전자, 자동차 및 기계, 안전관리 및 생산관리, 에너지, 정보기술, 통신 분야로 나뉘며 각 분야의 관련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전자공학과 홈페이지(http://uni.dongseo.ac.kr/ee/index.php?pCode=MN8000042)와 자격의 모든 것(Q-Net, www.q-net.or.kr),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www.kca.kr), 한국산업인력공단(www.hrdkorea.or.kr)을 참고하면 됩니다.

  • 답변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동남권 기계벨트에는 기존의 조선, 해양, 기계 분야의 기업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으나 최근의 4차산업혁명 시대의 미래기술 이슈를 따라잡기에는 각 기업들의 기술역량이 많이 부족하며, 특히 전기전자공학에 기반을 둔 융합기술 인력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자공학과에서는 산업계의 미래기술 이슈를 잘 분석하고 교육과정에 적절히 반영한 새로운 창의주도 교육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므로 졸업생들이 기업현장에서 실무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여 기업의 발전과 자아실현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주도면밀하게 교육 플랫폼을 구축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 학과에서 배우는 교육내용은 프로젝트 위주의 실험실습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접목한 제품기반(PBL: Product Based Learning) 교육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 스스로의 잠재능력을 발견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을 거치면서 혁신적인 미래기술 공학리더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본 학과를 졸업하게 되면, 동남권을 포함한 전국의 융합 ICT 기계부품업체, 로봇관련업체, 자동화장비업체, 전기전자관련업체, 정보통신관련업체, 자동차, 조선 관련업, 보건·의료장비업체,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공기업, 연구소, 공무원, 대학원, 창업 등의 진로를 가지게 됩니다.

  • 답변

    팹랩(FabLab)은 제작 실험실(Fabrication Laboratory)의 약자이며, 메이커 스페이스(Maker Space)또는 테크숍(Tech. Shop)이라고도 합니다. 이 공간에서 활동하는 메이커(Maker)는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창의적인 만들기 활동을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즉, 팹랩 공간을 활용하여 스스로 또는 협력하여 제작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그 결과물과 지식, 경험을 공유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또한 이러한 최근 경향을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이라고 하며, 교육ㆍ체험 등을 통해 학생과 지역사회 시민들의 참여를 확대하여 다양한 융합기술 메이커의 저변 확대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동서대학교 전자정보관 2층에 위치한 팹랩은 융합전자공학과 학생들의 교육혁신을 위해 교과 및 비교과 제작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반인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전문 융합기술 제작교육을 통해 미래기술 융합인력을 양성하고, 메이커 인적 네트워크 구축을 활성화하여 아이디어가 비즈니스로 이어지는 창의적인 융합기술기반 제품구현을 위한 공간이자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