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출과 예술사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출과 전문사 (MFA 3년) 졸업
명지대학교 대학원 예술대학 영화뮤지컬학과 석사 (MA 2년) 졸업
명지대학교 대학원 예술대학 영화뮤지컬학과 박사 (Ph.D 3년) 과정 수료
경력
2009년 7월 제 3회 대구뮤지컬어워즈 창작뮤지컬상
2009년 10월 제 15회 한국뮤지컬 대상 극본상
2010년 4월 제 4회 뮤지컬어워즈 소극장 창작 뮤지컬상
2013년 4월 전국 뮤지컬, 연극 대본 공모전 우수상
2022년 한국콘텐츠진흥원 방송영상콘텐츠 기획안 공모전 당선 - 주식회사 헤븐
연구활동
2022년
뮤지컬 ‘엘리자벳’ 한국어 가사 – 블루스퀘어 신한카드홀
2021년
뮤지컬 몬테크리스토 한국어 가사 – LG 아트센터
2020년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 한국어 가사, 연출 - 샤롯데 씨어터
웹뮤지컬 '킬러파티' 각색, 한국어 가사
2018년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 한국어 가사, 연출 – 예술의 전당 CJ 토월극장
뮤지컬 ‘엘리자벳’ 한국어 가사 – 블루스퀘어 인터파크홀
뮤지컬 ‘로맨틱 팰리스’ 대본, 가사, 연출 – 소향 씨어터 신한 아트홀
2017년
뮤지컬 ‘히스토리’ 대본,가사 – 센텀 소향 씨어터 신한 아트홀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 한국어 가사, 연출 – 디큐브 아트센터
2016년
뮤지컬 ‘몬테 크리스토’ 한국어가사 –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 한국어 가사, 협력 연출 – 예술의 전당 CJ 토월극장
2015년
뮤지컬 ‘엘리자벳’ 한국어 가사 – 블루스퀘어 삼성전자홀
연극 ‘연애의 목적’ 각색 – 대학로 A 아트홀
연극 ‘연애를 부탁해’ 작, 연출 – 대학로 공간 아울
2014년
뮤지컬 ‘해를 품은 달’ 대본, 가사, 연출 - CJ 토월극장
뮤지컬 ‘마리 앙투아네트’한국어 가사 - 샤롯데 씨어터
세종문화회관 제야 콘서트 구성, 연출 – 세종문화회관
2013년
연극 ‘베토벤-엘리제를 위하여’작/연출 -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실험무대
뮤지컬 ‘몬테 크리스토’ 연출 - 충무 아트홀
뮤지컬 ‘엘리자벳’ 한국어 가사 - 예술의 전당 오페라 극장
뮤지컬 ‘해를 품은 달’ 대본,가사 -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
뮤지컬 ‘막돼먹은 영애씨’ 연출 - KT&G 상상 아트홀
뮤지컬 ‘해를 품은 달’대본, 가사, 연출 일본 공연- 도쿄 아오야마 극장
2012년
뮤지컬 ‘스페셜 레터’대본
뮤지컬 ‘엘리자벳’한국어 가사/협력연출
뮤지컬 ‘춤추는 바다’ 대본/가사 - 여수 엑스포 개막식 3부 축하 공연
뮤지컬 ‘호기심’ 각색/가사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뮤지컬 ‘정글피쉬’ 대본/가사 - 구세군 아트홀
2011년
뮤지컬 '몬테 크리스토' 한국어 가사/협력연출 - 충무아트홀 대극장
뮤지컬 '궁' 각색 - 극장 용
뮤지컬 ‘스페셜 레터’작/연출
뮤지컬 ‘바람의 나라’ 가사 -충무아트홀 대극장
뮤지컬 ‘햄릿’ 협력연출 - 유니버셜 아트센터
연극 ‘오픈 유어 아이즈’ 대본 - 대학로 SM 스타홀
옥주현의 1st Concert - 블루스퀘어 삼성카드홀
2010년
뮤지컬 ‘몬테 크리스토’ 한국어 가사/협력연출 - 유니버셜아트센터
뮤지컬 ‘모차르트!’ 한국어가사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뮤지컬 ‘스페셜 레터’ 뉴욕 공연 -Broadway 42dn street on Duke
뮤지컬 ‘스페셜 레터’ 작 연출 - 대학로 SM 아트홀
뮤지컬 '넌센세이션' 한국어 가사/ 각색 - 두산 아트센터 연강홀
연극 ‘오픈 유어 아이즈’ 작/연출 - 대학로 SM스타홀
콘서트D 연출 -숙명아트센터
2009년
뮤지컬 ‘싱글즈’ 연출 - 대구 봉산문화회관 외
뮤지컬 ‘스페셜 레터’ 작/연출 - 대학로 sm아트홀
뮤지컬 ‘싱글즈’ 소극장 버전 각색 - 대학로 PMC 자유 소극장
뮤지컬 ‘점점’ 대본/작사 - 충무아트홀 중극장 블랙
연극 ‘나쁜 자석’ 각색 외 - 악어 소극장
2008년
뮤지컬 ‘솔로의 단계’대본/작사 - 대학로 라이브 극장
2007년
CJ 뮤지컬 쇼케이스 공식 초청작 ‘에이틴’ 대본 외
2006년
연극 ‘죽도록 죽도록’ 연출 - 대학로 정보 소극장2007년
CJ 뮤지컬 쇼케이스 공식 초청작 ‘에이틴’ 대본 외
연구논문
창작뮤지컬의 극작과정 연구 - 뮤지컬 ‘스페셜 레터’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