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된 인성을 갖춘 국제 건축기술자 양성
학과소개교수소개

교수소개

    전대한

    전대한

    • 직위/보직전임교수
    • 연구실그린홀 R205
    • 연락처051) 320-1814
    • 이메일jdh@dongseo.ac.kr

    학력

    -동아대학교 공과 대학 건축공학과 ( 공학사-1979.3~1984.2)
    -(일본)동경 대학교 공학계 대학원 건축학과 ( 공학석사-1986.4~1988.3)
    -(일본)대판 대학교 공학계 대학원 건축공학과( 공학박사-1989.4~1992.3)

    경력

    -삼성건설 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1993.5~1994.2)
    -동서대학교 건설공학부 건축공학전공(1994.3~현재)
    -미국 California Polytechnic State University 방문연구 교수(2006.7~2007.8)

    연구활동

    [논문]
    -"Seismic Response of R/C Structures Subjected to Simulated Ground Motions Compatible with Design Spectrum"
    Joint Conference Proceedings,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rban Earthquake Engineering(7CUEE) &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5ICEE), March 3-5, 2010,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Tokyo, Japan [2010-1, Dae-Han Jun]

    -설계용 스펙트럼에 적합한 인공지진동을 입력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진응답 특성의 고찰
    Seismic Response of R/C Structures Subjected to Artificial Ground Motions Compatible with Design Spectrum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제12권 제 1호(통권59호), 2008. 02. pp. 1-9

    -복합구조물의 전이층의 크기 변화에 따른 비선형 정적 응답특성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 논문집, 제8권, 제4호, pp.73~80, 2006년 12월.

    [저서]
    -구조역학입문(강병두, 전대한, 김재웅,)구미서관, 2010년 2월
    이동운

    이동운

    • 직위/보직전임교수/학과장
    • 연구실그린홀 R203
    • 연락처051) 320-1931
    • 이메일ldu21@dongseo.ac.kr

    학력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졸업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과정 졸업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졸업

    경력

    -육군 공병대 시설장교
    -Pro-CM 대표이사
    -현) 대한건축학회 부울경지회 부회장
    -현) 부산광역시 중구 건축위원 외 다수

    연구활동

    1)해외논문
    -Durability of latex-modified concrete carried by ready-mix truck for concrete rooptop (SCI,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16권 2호)
    -Development of Hybrid Model for Estimating Construction Waste for Multifamily Residential Building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Ant Colony Optimization(SSCI, Sustainability 870권 2호)
    -Evaluating feasibility of modified drilling waste materials in flexible base course construction(SCI,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79권 86호)
    -Freezing and thawing resistance of cellular concrete containing binary and ternary cementitious mixtures(SCI,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68호)
    -Sequential dependency structure matrix based framework for leveling of a tower crane lifting plan(SCI,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45권 6호) 외 다수

    2)저서
    -수경재배와 식물공장기술 (책상)
    -건축과 창의성 계발 (굳디자인)
    -관광도시탐험 (굳디자인)
    -트리즈를 활용한 창의공학 설계(지플러스)

    3)지적재산권
    -특허출원·등록 100여건 (태양광 발전식 창문 융합형 식물공장 시스템 외)

    자격증

    -건축기사
    -건축시공기술사
    김대건

    김대건

    • 직위/보직전임교수
    • 연구실그린홀 R202
    • 연락처051) 320-1735
    • 이메일gun43@dongseo.ac.kr

    학력

    <건축공학박사 / 과학기술학박사 / 건축공학석사 및 학사>
    ∙ Doctor of Science & Technology (고려대학교)
    ∙ Master of Engineering (부산대학교)
    - 주요전공 : 건축시공 및 스마트 융복합기술, 초고층건축, 글로벌건축기술경영, 과학기술 미래혁신분야

    경력

    <기업경력>
    ∙ 삼성물산 건설부문 R&BD 기술개발 – 건축 IoT 미래혁신기술
    ∙ 삼성물산 건설부문 기술연구소 – 글로벌 건설프로젝트 (싱가폴, 베트남 외) 기술지원
    ∙ 삼성물산 건설부문 기술연구소 – 프로젝트 (초고층/원자력/반도체/아파트)
    ∙ 삼성물산 건설부문 E&C 그룹 – 3D_BIM 및 4D 건축시공 및 공정시스템 개발
    ∙ 삼성물산 건설부문 E&C 그룹 – BIG DATA 기반 인공지능(AI) 품질예측 및 분석
    ∙ 삼성물산 건설부문 E&C 그룹 – 초고강도 콘크리트 및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적용
    ∙ POSCO 연구그룹 – POSCO GREEN BUILDING 친환경 기술개발
    ∙ POSCO 연구그룹 – POSCO 기술경영 R&BD시스템 기획 및 프로세스 개발
    ∙ POSCO A&C 기술개발실 – 모듈러 건축 및 ROBOT 자동화 시공기술 개발
    ∙ POSCO A&C 기술개발실 – 글로벌(독일 외) R&D 플랫폼 기반 신재생에너지 연구

    <수상경력>
    ∙ 국토교통부 장관상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
    ∙ 환경부 장관상
    ∙ 대한민국 국회 표창
    ∙ 건설교통부 장관상
    ∙ SAMSUNG 글로벌 우수 인재상
    ∙ 건설신기술 최우수상 외 2건
    ∙ 기술경진대회 대상 외 5건 (국가주무부처 주관)
    ∙ 국제학술대회 Certificate of Best Paper Award 우수논문상 외 4건
    ∙ 국내학술대회 우수논문상 12건
    (한국건축시공학회, 대한건축학회, 한국콘크리트학회, 기술경영경제학회 외)
    ∙ 동서대학교 우수강의 교원상

    <자격사항>
    ∙ 기술사, 국제프로젝트전문가(PMP), CAD & BIM, 정보검색사, 경영빅데이터분석가, 기술지도사 외

    <특허>
    ∙ 초고층 건축로봇시스템, 인공지능 기반 건설플랫폼 외 94건


    <저서>
    ∙ 한국 제 4차산업혁명 연구 –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
    ∙ 창의융합 건축론, 저탄소기술지도
    ∙ 건설안전 외 다수

    <학회>
    ∙ 한국건축시공학회 전문기술위원 (초고층건축 및 재료부문)
    ∙ 대한건축학회 전문기술위원 (신재생에너지 기술부문)
    ∙ 한국콘크리트학회 전문기술위원 (초고강도 및 친환경콘크리트부문)
    ∙ 인문사회기술융합학회 (기술경영부문)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친환경재료부문)
    ∙ 기술혁신학회 (4차산업혁명 전문위원)

    연구활동

    <해외 논문, SCI급>
    ∙Simulation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of renewable energy for eco-friendly 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es
    ∙Convergence IT Technology in Connection with Concrete Filled Steel Tube Development of Building Safety
    ∙Structure maintenance technology using unmanned equipment based on building ICT convergence
    ∙Structure stability evaluation technology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uilding simulation
    ∙Determination of air-void system and modified frost resistance number for reeze-thaw resistance evaluation of ternary blended concrete made of ordinary Portland cement/silica fume/class F fly ash
    ∙Impact of Construction IT Technology Convergence Innov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Development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mobile linking technology based on construction IT convergence
    ∙Durability of latex-modified concrete carried by ready-mix truck for concrete rooftops
    ∙Smart construction robot technology to improve construction and safety in outer walls of high-rise buildings
    ∙Development of Construction Process by Analysis of Overseas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Efficient Construction Process and Distribution through Construction IT Convergence based on 4th Industrial Revolution
    ∙Effect of Cement on Strength Development of Concrete
    ∙Improvement for Construction of Concrete-Wall with Resistance to Gas-Explosion
    ∙Evaluation of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Unreinforced Concrete using Fiber
    ∙Freeform Architecture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ss using Construction IT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University-Industry Collraboration's Competence
    ∙How Resources of Universities influence Industry Cooperation
    ∙Geen Construction Technologies for Building
    ∙Manufacturing Zero-Cement Bricks by Replacing Cement with Recycled Aggregates and Blast Furnace Slag
    ∙A Study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CFT Column with Inner-sided Corrugated Rib
    ∙A Study on the Improving of CFT Column’s Structure and Durability Performance

    <국내 논문>
    ∙습윤양생 장치를 이용한 아파트 측벽 균열제어에 관한 연구
    ∙섬유를 혼입한 지하층 누름콘크리트의 균열저감을 위한 연구
    ∙품질향상재 종류 및 치환율 변화에 따른 순환잔골재 사용 고로슬래그 모르타르의 품질향상
    ∙고로슬래그 미분말 기반 순환골재 모르타르의 품질에 미치는 미분시멘트의 영향
    ∙기술경영(MOT) 기반의 건설기술부문 최적화 기획 및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에 대한 연구
    ∙기술사업화를 위한 과학정책 프로세스 구축에 관한 연구
    ∙혼합 섬유를 사용한 FRC의 펌프압송 전·후의 공학적 특성 분석
    ∙폐양모 양모섬유의 재활용 성능시험을 통한 자원순환 친환경 고성능 콘크리트
    ∙고성능 방호방폭콘크리트 현장적용에 따른 품질특성 분석
    ∙혼화재를 다량 사용한 저탄소 80 MPa 고강도 콘크리트의 기초물성
    ∙고강도 콘크리트 충전강관구조(CFT)내 Paper drain을 이용한 고내구성 콘크리트의 특성
    ∙장스팬 슬라브 콘크리트의 열화저감에 대한 연구
    ∙외기조건이 개질된 라텍스 혼입콘크리트 슬래브 표면에 미치는 영향
    ∙권역별 골재 입도보정 사용에 따른 고품질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
    ∙무근콘크리트 균열저감을 위한 배합설계 및 시공프로세스 수립에 대한 연구
    ∙콘크리트 내구성 증진을 위한 3성분계 결합재 및 수축저감제의 배합특성
    ∙그린빌딩의 품질향상을 위한 공정관리매뉴얼 개발
    ∙그린빌딩의 품질향상을 위한 친환경 시공프로세스 개발
    ∙고층구조물 외벽 유지관리용 지능형 로봇시스템을 이용한 중성화 외벽 제거 장치
    ∙고층구조물 외벽 유지관리용 지능형 로봇시스템을 이용한 외벽 콘크리트 균열관리방안
    ∙폐식용유 혼입 및 양생방법에 따른 순환잔골재 사용 고로슬래그 벽돌의 품질특성
    ∙결합재 종류 및 치환율 변화가 순환잔골재 사용 고로슬래그 모르타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순환잔골재 사용 고로슬래그 모르터의 미분시멘트 치환율 변화에 따른 경제성 분석
    ∙옥상 무근콘크리트 복합열화 방지를 위한 시공 프로세스 구축 및 배합 설계에 관한 연구
    ∙철골형 CFT 프레임을 활용한 내진보강 복합공법 개발
    ∙환경 개선을 위한 친환경 건축물 패션 스킨공법 및 레이져 IT융합기술 프로젝션 맵핑 개발
    ∙도시재생 지역사회공헌을 위한 IT융합기술프로세스 조립식 모듈러 주택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화재안전을 위한 BIM기술과 드론 및 IT융복합 기술을접목시킨 소방안전시스템 구축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4차산업혁명 IT융합기술기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개발
    ∙4차산업혁명 건설 및 기계 융합기술기반 CFT 중심축 구조체의 회전형 모듈러주택
    ∙옥상 무근콘크리트 복합열화 방지를 위한 시공 프로세스 구축 및 배합 설계에 관한 연구
    ∙4차산업혁명 건설IT융합기술기반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Bridge System CFT 개발 및 드론을 이용한 건축물 성능검토
    ∙친환경적 주택 마감재료와 프린팅 공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R&BD 프로젝트

    <국가 및 기업 연구 프로젝트 (최근 10년)>
    ∙ 인공지능 기반 드론을 활용한 3D레이져 스캔 및 센서융합 구조물 형상계측 관리시스템 개발 (중소기업청)
    ∙ IoT를 활용한 스마트 건축재료의 인공지능기반 배합설계 개발 (연구재단)
    ∙ AI 배합설계 기반 저탄소 Smart 건설재료 개발 (연구재단)
    ∙ 4차산업혁명기반 초고층빌딩 유지보수 건설IT 융합기술개발 (연구재단)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차양장치 원격 제어 플랫폼 개발 (중소기업청)
    ∙ 드론시스템 기반 영상기술을 활용한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개발 (연구재단)
    ∙ 빅데이터 기반 그린뉴딜 신재생에너지 수열시스템 동적모델링 프로그램 개발 (과학기술부)
    ∙ IT융합기반 건물 경사 자동화 계측장치 기술개발 (과학기술부)
    ∙ 4차산업혁명 건설IT융합 기반 하이브리드 자연채광 및 배연 시스템 기술 개발 (연구재단)
    ∙ 바탕콘크리트의 균열 및 복합열화 30% 저감을 위한 최적 배합설계 모델에 관한 연구 (연구재단)
    ∙ 건설환경개선을 위한 자동화시스템 기술개발 (연구재단)
    ∙ 초고층 핵심요소기술 개발 (포스코 연구그룹)
    ∙ 안드로이드 충격감지 시스템이 부착된 안전장비 (연구재단)
    ∙ 싱가포르 지하구조물 방수공법 개발 (삼성물산 건설부문)
    ∙ 스마트 건축현장관리 프로세스 구축 (삼성물산 건설부문)
    ∙ 3D 프린트를 이용한 건설자동화 시공법 개발 (삼성물산 건설부문)
    ∙ 드론을 활용한 공정 및 안전관리 (포스코 연구그룹)
    ∙ BIG DATA기반 건축품질관리 및 하자요인 분석 (삼성물산 건설부문)
    ∙ 제로에미션 건축재료 친환경 기술 개발 (포스코 연구그룹)
    ∙ 아파트 시공 효율화를 위한 IT융합 신기술 개발 (삼성물산 건설부문)
    ∙ 200MPa 초고강도 콘크리트 배합설계 및 유동성 증진에 대한 연구 (삼성물산 건설부문)
    ∙ 국가재난안전 대응을 위한 건축 4D 홀로그램 시스템 개발 (행정안전부)
    ∙ 4차산업혁명 건축 융복합 기술요소 연구 (삼성물산 건설부문)
    ∙ 대한민국 국가 부처별 성과지표 연구 (교육부)
    ∙ ESI지표 개발에 대한 정량 및 정성평가 개발 (연구재단)

    네트워크

    -연구계-
    KAIST,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서울대학교, 세종대학교, 부산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서강대학교, 단국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아주대학교, 한밭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중부대학교, 인천대학교, 충남대학교, 청주대학교, 계명대학교, 건설기술교육원, 국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녹색기술센터, 부산산업과학혁신원,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연구재단,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정보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문화재단, Fraunhofer Institute for Silicate ResearchISC(독일), 일본연구센터 외

    -산업계-
    포스코,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대우건설, GS건설, 삼성물산 건설부문, 삼성엔지니어링, 대림산업, 롯데건설, 한화건설, SK건설, 현대산업개발, 코오롱건설, 두산건설, 한진중공업 건설부문, 한국수자원공사, LH공사, SH공사, 효성중공업 건설부문, 쌍용건설, 우미건설, 한미파슨스, 삼우CM, Gansam, 공간, SKANSKA(미국), 쌍용양회, 성신양회, 삼표, 한일시멘트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