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상학과 주메뉴
전체메뉴
조회 1,888
2025-06-09 20:00
그러나 1990년대 중반에 WTO가 출범하고 무역대상이 상품 이외에 서비스, 지재권 등으로 확대되자 무역이라는 용어를 대체하여 '통상'이라는 용어가 많이 쓰이게 되었습니다.
이때 통상의 의미는 무역보다 조금 넓은 개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무역이 기업중심의 사이간 거래라면, 통상은 무역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부의 노력을 포함하고 있으며, 무역에 수반되는 금융, 투자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배우는 과목도 전통적인 무역과목 이외에 통상, 협상, 규범, FTA활용실무, 서비스마케팅, 다문화경영전략, 무역비즈니스모델과기획과 같은 교과목들을 추가적으로 배우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