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정보보안 전공정보보안 전공소개

정보보안 전공소개

개요

첨단 ICT 기술에 대한 사회적 수요 증대에 발맞춰, 사이버보안과 정보보안 분야의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해킹 대응, 네트워크 보안, 디지털 포렌식 등 실무 중심의 교육을 통해 안전한 디지털 세상을 이끌 정보보안 전문가를 양성함.

교육목표

· 세계수준의 정보보안 전문가를 매년 꾸준히 양성
· 정보보호·사이버보안 특성화 교육과정을 통해 국내 최고 수준의 실무 역량 확보
· AI 보안, 클라우드 보안, 디지털 포렌식 등 최신 기술 중심의 융합 보안 교육

정보통신보안트랙

실력 있는 화이트 해커 전문 인력 양성

정보보안 필요성

특성화분야/진로분야

  • 정보보안(해킹방어)
    •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회사 (200여개)
    • SIS / CISSP / CISA 자격증
  • 네트워킹(시스코)
    • 시스코 골드파트너 회사 (160여개)
    • CCNA / CCNP / CCIE 자격증

진로분야(직종)

  • 정보보안 직종
  • 네트워킹 직종

사회적 필요성 맞춤식 교육 (정보보안/물리보안/융합보안)

비전
ICT강국으로서 세계수준의 정보보안 창의인재양성
목표
2017년까지
  • 세계수준의 정보보안인력 매 40명 연간 배출
  • 국제자격증 : CISSP, CISA, CCIE
  • 국내 Top 수준의 정보통신 : 정보보안특성화
추진 전략
  • 전략 1. 실무 중심의 교육과정 파격 개편
  • 전략 2. 국내 정보보안/스마트 IoT 산업체 연계 확대
  • 전략 3. 국제자격증 과정 운영 : CISA, CISSP, CCIE
  • 전략 4. 부산경찰청과 협력에 의한 사이버 경찰 실무
  • 전략 5. 정보보안 업체와 산학협력네트워크 구축

교육내용

  • 정보보안과 네트워킹 실무교육을 통한 해킹 방어 전문가 양성(CISO)
  • 실력있는 화이트 해커 포렌식 실무교육(부산경찰청 연계)
  • 사회적 수요 반영한 맞춤식 교육과정(정보보안/물리보안/융합보안)
    • 최정예 정보보호 전문인력 5000명 양성(2013.7.19 최경환 산업자원부 장관)
    • 10대 세계일류 정보보호제품 개발(2013년 산업자원부/KISA 발

교육내용

산업체 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발

  •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실무 역량과 기술을 중심으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 과정을 구성하여 운영
  • 다양한 전공간의 연계 및 융합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정보보안/사이버보안/정보보호/모의해킹/포렌식 전문인력을 양성함

취업률 제고

  • 정보보안 분야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실무에 강한 인재를 양성하고, 높은 취업 경쟁력을 확보
  • 보안 산업체와의 산학 연계 교육으로, 현장 즉시 투입이 가능한 정보보안 전문가를 배출
  • 현장 실무 보안 실습, 인턴십, 기업 연계 프로젝트 등 산학협력 교육을 강화하여 실무형 인재로서의 성장 및 취업을 지원

산학협력 성과 창출

  • 정보보안 분야에서의 기술 상용화 및 지식재산권 확보를 통해 성과 중심의 산학협력을 실현
  • 미래 보안 기술 수요를 반영한 협력 프로젝트 발굴 및 실무 중심 교육과 연구를 연계

정보보안전공 교과목

2-1학기

  1. 네트워크 설계

2-2학기

  1. 광역네트워크 설계

3-1학기

  1. 정보보안 및 프로그래밍
  2. 네트워크 보안

3-2학기

  1. 사이버포렌식
  2. 시스템보안
  3. 운영체제
  4. 컴퓨터네트워크

4-1학기

  1. 해킹실무
  2. 보안 프로젝트
  3. 캡스톤디자인-1

4-2학기

  1. 캡스톤디자인-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