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학과 학사
한국체육대학교 스포츠산업경영 석사
독일쾰른체육대학교(Deutsche Sporthochschule Köln) 올림픽전공 석사
독일쾰른체육대학교(Deutsche Sporthochschule Köln) 스포츠정책(레저스포츠) 박사
경력
현) 스포츠안전재단 강사
현) 한국체육사학회 편집국장
현) 한국체육학회 스포츠안전위원회 위원
현) 한국중독범죄학회 이사
전) 송파구수영연맹 이사
전) 대한체육회 교수자문위원회 위원
연구활동
(2025). 독일 엘리트 스포츠 잠재력 분석시스템 고찰: 포타스(PotAS) 도입과 발전 과정. 한국스포츠학회, 제23권 1호, pp. 239 ~ 249
(2024). Development of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rough the History of Elite Sports in South Korea.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History of Sport, 1-26.
(2024). 독일 베를린시 스포츠 정책, 시설 및 참여 실태 연구: 서울시와의 비교 분석. 한국스포츠학회지, 제22권 2호, pp. 255-266
(2024).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잉글랜드 수영배지제도의 국내 도입을 위한 정책 사례 연구. 한국체육정책학회지, 70(2), 19-34.
(2024). 스포츠와 지속가능한 경영: 스포츠 ESG의 현황과 정책적 고찰. 한국융합과학회지, 50(3), 93-113.
(2024). 텍스트 마이닝 및 CONCOR 분석을 기반으로 한 충청남도 스포츠 관광 트렌드 분석(2010-2023). 학습중심교과교육연구, 70(2), 595-609.
(2023). The Rising Sun Flag at the Olympics: Determining South Koreans’ Perspective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Sage Open, 13(2), 21582440231170722.
(2023). Revitalizing Sports Events for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National Sports Festival Venue.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50(3), 522-533.
(2023). 스포츠 클럽 시스템 도입을 위한 독일 사례 분석. 인문사회 21, 100(1), 3993-4006.
(2023). 해외 스포츠 구술채록 사례 분석 및 고찰. 한국체육사학회지, 70(2), 101-117.
(2023).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생존수영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분석 및 정책제안. 스포츠사이언스, 70(2), 275-283.
(2023). 스포츠산업의 한국 유입과정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인문사회 21, 50(3), 489-504.
(2023). 스포츠심판 개념 정립과 국내외 심판윤리강령 고찰. 한국스포츠학회지, 70(2), 691-704.
자격증
독일 수상인명구조요원 자격증
독일 응급처치요원 자격증
스포츠지도사 1급 (수영) 자격증
스포츠지도사 2급 (수영/스키) 자격증
스킨스쿠버 강사 자격증 (CMAS Korea)
스킨스쿠버 마스터 자격증 (CMAS Korea)
스킨스쿠버 구조다이버 자격증 (CMAS Korea)
스키 Level 2 강사 자격증
스키 패트롤(안전요원) 자격증
응급처치 강사 자격증
수상인명구조 강사 자격증
유도 1단 자격증
태권도 1단 자격증
윈드서핑 3급 지도자 자격증
수영 3급 심판 자격증
스키 알파인 3급 심판 자격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