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부산대학교(교육학 석사-교육학)
부산대학교(교육학 박사-교육학)
경력
[교외 경력]
(현) 한국교양교육학회 감사(2023.01~현재)
(현) 교육부 ○○○○○○○○○ 위원회 위원(2023.06~2025.05)
(현)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운영이사(2024.03~2026.02)
(현) 전국대학상담학과협의회 이사(2022.03~현재)
2023.01-2023.12 전국대학교양교육협의회 회장
2023.03-2024.02 한국교양교육학회 상임이사
2022.03-2023.02 한국교양교육학회 지역이사
2021.03-2022.02 한국교양교육학회 일반이사
2019.03-2022.12 한국상담학회 법인이사
2015.03-2016.02 한국상담학회 부산울산경남상담학회장
2014.03-2016.02 전국대학상담학과협의회 학술분과위원장
2013.03-2015.02 한국상담학회 기획위원장
2011.03-2013.02 한국학교상담학회 학교정책위원
2011.03-2013.02 한국상담학회 학생위원장
2011.03-2012.03 한국다문화상담학회 이사
2010.03-2015.02 전국대학상담학과협의회 이사
2010.03-2012.02 한국진로상담학회 부회장
2009.09-2010.08 한국상담학회 연차학술대회준비위원장
2009.04-2011.03 부산광역시 청소년상담지원센터 운영협의회 위원
2008.06-2010.05 부산광역시 청소년상담지원센터 자문위원
2008.04-2010.03 부산광역시 청소년육성위원회
2007.09-2009.08 부산광역시 청소년통합지원체계 운영협의회 위원
2007.04-2008.03 한국청소년상담원 청소년동반자 수퍼바이저
2006.08-2008.07 부산광역시 청소년상담지원센터 위기사례자문위원
2004.03-2006.02 부산시교육청 부산교육발전 자문위원
2005.03-2007.02 부산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진로정보개발센터 고문위원
2003.09-2006.02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교수(부산교육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교내 경력]
(현) 동서대학교 민석교양대학 학장
(현) 동서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장
동서대학교 교양교육원장
동서대학교 교무제1부처장
동서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장
동서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소장
동서대학교 청소년상담심리전공 책임교수
[대외 평가위원 경력]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지원사업 평가위원
한국연구재단 학술지평가 평가위원
한국연구재단 국책사업 평가위원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평가인증 평가위원
한국교육개발원 교원양성기관 평가위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평가위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평가위원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자격증 출제위원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자격증 면접위원
부산광역시 위탁기관 심의위원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과제 평가위원
연구활동
[연구실적(KCI등재지, SCOPUS 이상)]
생성형 인공지능의 활용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2024, 단독)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 자기주도 학습을 측정하는 도구 개발 및 타당화(2024, 단독)
블렌디드러닝에서 재미를 발생시키는 심리적 요소의 탐색(2023, 단독)
비대면수업에서 ‘재미’요소를 측정하는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2023, 공동)
재미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 연구(2022, 단독)
대학생의 창의융합 역량을 측정하는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2022, 공동)
캡스톤 디자인 수업의 성과지표에 대한 델파이 연구(2022, 공동)
Z세대 학습자의 딥러닝 메카니즘 연구(2021, 단독)
K-Pop기반 대안교육의 효능성에 관한 델파이 연구(2020, 공동)
X세대가 바라본 Z세대 청소년의 특징에 관한 연구(2020, 단독)
ISO기반 캡스톤 디자인 수업 운영에 대한 탐색(2020, 공동)
협업에 대한 한·중 대학생의 비교 연구(2019, 단독)
대학생의 인성교육 성과준거에 관한 델파이 연구(2018, 단독)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Rhizomatic Structure for the Engineering Students(2018, 공동)
초연결사회, 집단지성의 기본 단위로서 ‘협업’을 측정하는 도구 개발(2017, 단독)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Program for Engineering (2017, 공동)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edictors of Collective-creativity in Communities of Convergence (2016, 공동)
A Delphi Study on the Convergence Program based on Rhizome Thinking and Expression in Engineering (2016, 단독)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convergence thinking” in engineering(2016, 단독)
다학제간 지식융합을 위한 ‘융합동기’ 척도 개발 연구(2015, 공동)
아동용 통합적 인성 척도 개발(2015, 공동)
공학분야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지식융합 변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2015, 공동)
공학분야의 학문융합교육 가능성 분석(2014, 단독)
A Delphi Study on the Collaboration Motive for Knowledge Fusion Engineering (2014, 단독)
공학․과학․미학․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간 지식융합을 위한 수렴영역 분석(2013, 단독)
다학제 교육의 근간으로서 ‘디자인 사고’에 대한 연구(2013, 공동)
공감인재 육성을 위한 초중등 인성교육 프로젝트(2012, 단독)
청소년용 통합적 인성척도 개발(2012, 공동)
사회복귀시설 종사자의 직무형태 분석을 통한 직무교육 방향성 연구(2012, 공동)
학습전략 이러닝 콘텐츠 개발 :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2012, 단독)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직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분석(2012, 공동)
정신건강예방관리 전문직 직무교육 프로그램 컨텐츠 개발(2012, 공동)
직업능력의 요소로서 핵심역량 분석(2011, 단독)
학습자 중심의 교수역량에 근거한 교수행동 분석(2011, 공동)
생태학적 체계에 근거한 청소년의 인성 프로그램 개발(2011, 단독)
학습자 중심의 ‘강의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2011, 단독)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욕구형태에 따른 진로행동 분석(2010, 단독)
청소년의 비인간화 유형에 따른 청소년 문제 분석(2010, 단독)
Job Satisfaction of Industrial Women Specializing in Stem in The Busan-Ulsan-Gyeongnam Region(2010, 공동)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문화접근적 상담 프로그램 개발(2009, 단독)
초등학교 폭력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Ⅱ): 피해성향 아동을 대상으로(2009, 공동)
전문대학생을 위한 학습전략 진단 도구의 개발(2009, 단독)
기업에서 요구하는 직무수행 능력에 대한 델파이 분석(2008, 단독)
중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요구분석(2008, 공동)
초등학교 폭력 유형별 가해 및 피해자의 가해․피해 이유에 대한 지각 분석(2007, 공동)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위한 팀-멘토링 개발(2007, 단독)
청소년의 ‘삶의 양식’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2007, 단독)
사회문화적 관점에 근거한 청소년 문제의 이해(2007, 단독)
디자인 진로 및 전공선택을 위한 수행능력 측정:디자인 ‘실기능력’과 ‘기초소양’ 척도 타당화 연구(2007, 공동)
디자인 적성 로드맵: 디자인 진로적성검사 개발에 따른 사용자 매뉴얼 제작(2007, 공동)
디자인 적성 로드맵 : 디자인 진로적성검사의 개발(2007, 공동)
청소년을 위한 문화접근적 상담 모듈 개발(2007, 단독)
이공계 출신 여성의 취업과 현장적응에 관한 조사연구 보고서(2007, 공동)
청소년의 문제 조력을 위한 검사상담과 면담상담 비교(2006, 단독)
초등학교폭력의 양상 및 과정 분석(2006, 공동)
교대생의 초등교원 역할정체감 형성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2006, 단독)
대학생을 위한 멘토링 기능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2006, 단독)
교대생의 초등교사 역할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멘토링 기능 분석(2005, 단독)
전문대학생의 학과적응 증진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2005, 공동)
예비 초등교사의 역할정체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2005, 단독)
초등학교 상담교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학부모, 교사 및 학교행정가의 요구분석(2005, 공동)
초등학교 상담교사의 역할 모형 구안(2004, 공동)
초등학생의 진로지도 내용 개발을 위한 진로발달 지표 분석(2004, 단독)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과정에 영향을 주는 진로결정장애 분석(2004, 단독)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상태에 따른 진로탐색 및 진로결정 분석(2004, 단독)
전문대학생의 학과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경로 및 인과관계(2004, 공동)
고등학교 3학년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경로분석(2003, 단독)
[박사학위논문] 구조적 및 적응적 일치이론에 근거한 학과적응 분석(2001)
[석사학위논문] 고등학생들의 위기사건 경험에 따른 인지왜곡의 분석(1995)
[국제/국내등재학술지, 주제발표]
(국내) 디자인사고 함양을 위한 메이커 교육 연구-교양필수 교과에 적용(2020, 공동)
(국내) 사회복귀시설 종사자의 직무형태분석과 직무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2012, 공동)
(국제) Survey of occupation status and job satisfaction of women in Busan region specializing in STEM(2008, 공동)
저서
청소년문화(공저, 2015, 동문사)
인간관계의 심리 : 행복의 열쇠(공저, 2012, 학지사)
다문화 상담의 새로운 접근: 자기심리학적 상담의 과정(2011, 공동역서, 시그마프레스)
초등학교 상담(공저, 2009, 학지사)
질적연구 실천방법(공저, 2008, 교육과학사)
심리검사의 이론과 실제(공저, 2007, 서현사)
대학생을 위한 직업준비교육(저, 2006, 서현사)
정서와 교육(공저, 2005, 학지사)
전문대학생의 학습력 증진을 위한 LSC(Learning Strategy Coaching) 제작(2007, 공동)
울산지역 경력단절여성 일자리창출을 위한 요구조사(2008, 공동)
수상경력, 실적 및 자격증
수상경력
2023년 12월 29일, 교육부 장관상(대학혁신지원사업 공로 표창)
2022년 12월 10일, 한국상담학회 공로상
2019년 1월 24일,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ACE+) 우수교원상
2017년 2월 14일, 동서대학교 총장상 (우수연구상)
2013년 5월 15일, 교육부 장관상(교과지도 부문)
2011년 2월 10일, 동서대학교 총장상 (우수교원상)
정부기관 연구수혜 실적
2024.09-2024.12 부산광역시교육청 연구용역(글로벌 K-POP 스쿨 설립 타당성 검토를 위한 연구), 연구책임자
2023.07-2033.06 한국연구재단 중견자연구지원사업, 연구책임자
2012.05-2014.04 한국연구재단 중견자연구지원사업, 연구책임자
2011.09-2014.08 보건복지부 국립서울병원학술연구용역사업, 연구책임자
2009.05-2010.04 한국연구재단 신진교수지원사업, 연구책임자
2006.05-2007.04 한국학술진흥재단 신진교수지원사업, 연구책임자
2008.11-2008.12 울산광역시 여성회관 2008년 경력단절여성 일자리 창출을 위한 요구조사, 책임연구원
2003.09-2006.08 한국학술진흥재단 지방대육성지원사업, 공동연구원
2003.09-2006.02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연구교수지원사업, 연구책임자
자격증
정신보건상담사 1급(한국상담학회, 2014년 03월 01일)
전문상담사 1급(한국상담학회, 2002년 2월 01일)
진로상담심리전문가(한국진로상담학회, 2001년 2월 28일)
직업상담사 2급(한국산업인력공단, 2000년 09월 20일)
진로상담심리사(한국진로상담학회, 1999년 4월 0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