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소개

    박성미

    박성미

    • 직위/보직사회과학대학 상담심리치료학과 교수/ 민석교양대학 학장
    • 연구실글로벌빌리지 V515호
    • 연락처051)320-1866,2151
    • 이메일psm1994@dongseo.ac.kr
    • 학력부산대학교(교육학 석사-교육학), 부산대학교(교육학 박사-교육학)
    • 경력(현) 한국교양교육학회 감사(2023.01~현재)
    • 주요활동(KCI등재지, SCOPUS 이상)], 생성형 인공지능의 활용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2024, 단독)

    학력

    부산대학교(교육학 석사-교육학)
    부산대학교(교육학 박사-교육학)

    경력

    [교외 경력]
    (현) 한국교양교육학회 감사(2023.01~현재)
    (현) 교육부 ○○○○○○○○○ 위원회 위원(2023.06~2025.05)
    (현)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운영이사(2024.03~2026.02)
    (현) 전국대학상담학과협의회 이사(2022.03~현재)
    2023.01-2023.12 전국대학교양교육협의회 회장
    2023.03-2024.02 한국교양교육학회 상임이사
    2022.03-2023.02 한국교양교육학회 지역이사
    2021.03-2022.02 한국교양교육학회 일반이사
    2019.03-2022.12 한국상담학회 법인이사
    2015.03-2016.02 한국상담학회 부산울산경남상담학회장
    2014.03-2016.02 전국대학상담학과협의회 학술분과위원장
    2013.03-2015.02 한국상담학회 기획위원장
    2011.03-2013.02 한국학교상담학회 학교정책위원
    2011.03-2013.02 한국상담학회 학생위원장
    2011.03-2012.03 한국다문화상담학회 이사
    2010.03-2015.02 전국대학상담학과협의회 이사
    2010.03-2012.02 한국진로상담학회 부회장
    2009.09-2010.08 한국상담학회 연차학술대회준비위원장
    2009.04-2011.03 부산광역시 청소년상담지원센터 운영협의회 위원
    2008.06-2010.05 부산광역시 청소년상담지원센터 자문위원
    2008.04-2010.03 부산광역시 청소년육성위원회
    2007.09-2009.08 부산광역시 청소년통합지원체계 운영협의회 위원
    2007.04-2008.03 한국청소년상담원 청소년동반자 수퍼바이저
    2006.08-2008.07 부산광역시 청소년상담지원센터 위기사례자문위원
    2004.03-2006.02 부산시교육청 부산교육발전 자문위원
    2005.03-2007.02 부산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진로정보개발센터 고문위원
    2003.09-2006.02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교수(부산교육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교내 경력]
    (현) 동서대학교 민석교양대학 학장
    (현) 동서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장
    동서대학교 교양교육원장
    동서대학교 교무제1부처장
    동서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장
    동서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소장
    동서대학교 청소년상담심리전공 책임교수

    [대외 평가위원 경력]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지원사업 평가위원
    한국연구재단 학술지평가 평가위원
    한국연구재단 국책사업 평가위원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평가인증 평가위원
    한국교육개발원 교원양성기관 평가위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평가위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평가위원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자격증 출제위원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자격증 면접위원
    부산광역시 위탁기관 심의위원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과제 평가위원

    연구활동

    [연구실적(KCI등재지, SCOPUS 이상)]
    생성형 인공지능의 활용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2024, 단독)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 자기주도 학습을 측정하는 도구 개발 및 타당화(2024, 단독)
    블렌디드러닝에서 재미를 발생시키는 심리적 요소의 탐색(2023, 단독)
    비대면수업에서 ‘재미’요소를 측정하는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2023, 공동)
    재미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 연구(2022, 단독)
    대학생의 창의융합 역량을 측정하는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2022, 공동)
    캡스톤 디자인 수업의 성과지표에 대한 델파이 연구(2022, 공동)
    Z세대 학습자의 딥러닝 메카니즘 연구(2021, 단독)
    K-Pop기반 대안교육의 효능성에 관한 델파이 연구(2020, 공동)
    X세대가 바라본 Z세대 청소년의 특징에 관한 연구(2020, 단독)
    ISO기반 캡스톤 디자인 수업 운영에 대한 탐색(2020, 공동)
    협업에 대한 한·중 대학생의 비교 연구(2019, 단독)
    대학생의 인성교육 성과준거에 관한 델파이 연구(2018, 단독)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Rhizomatic Structure for the Engineering Students(2018, 공동)
    초연결사회, 집단지성의 기본 단위로서 ‘협업’을 측정하는 도구 개발(2017, 단독)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Program for Engineering (2017, 공동)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edictors of Collective-creativity in Communities of Convergence (2016, 공동)
    A Delphi Study on the Convergence Program based on Rhizome Thinking and Expression in Engineering (2016, 단독)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convergence thinking” in engineering(2016, 단독)
    다학제간 지식융합을 위한 ‘융합동기’ 척도 개발 연구(2015, 공동)
    아동용 통합적 인성 척도 개발(2015, 공동)
    공학분야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지식융합 변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2015, 공동)
    공학분야의 학문융합교육 가능성 분석(2014, 단독)
    A Delphi Study on the Collaboration Motive for Knowledge Fusion Engineering (2014, 단독)
    공학․과학․미학․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간 지식융합을 위한 수렴영역 분석(2013, 단독)
    다학제 교육의 근간으로서 ‘디자인 사고’에 대한 연구(2013, 공동)
    공감인재 육성을 위한 초중등 인성교육 프로젝트(2012, 단독)
    청소년용 통합적 인성척도 개발(2012, 공동)
    사회복귀시설 종사자의 직무형태 분석을 통한 직무교육 방향성 연구(2012, 공동)
    학습전략 이러닝 콘텐츠 개발 :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2012, 단독)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직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분석(2012, 공동)
    정신건강예방관리 전문직 직무교육 프로그램 컨텐츠 개발(2012, 공동)
    직업능력의 요소로서 핵심역량 분석(2011, 단독)
    학습자 중심의 교수역량에 근거한 교수행동 분석(2011, 공동)
    생태학적 체계에 근거한 청소년의 인성 프로그램 개발(2011, 단독)
    학습자 중심의 ‘강의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2011, 단독)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욕구형태에 따른 진로행동 분석(2010, 단독)
    청소년의 비인간화 유형에 따른 청소년 문제 분석(2010, 단독)
    Job Satisfaction of Industrial Women Specializing in Stem in The Busan-Ulsan-Gyeongnam Region(2010, 공동)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문화접근적 상담 프로그램 개발(2009, 단독)
    초등학교 폭력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Ⅱ): 피해성향 아동을 대상으로(2009, 공동)
    전문대학생을 위한 학습전략 진단 도구의 개발(2009, 단독)
    기업에서 요구하는 직무수행 능력에 대한 델파이 분석(2008, 단독)
    중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요구분석(2008, 공동)
    초등학교 폭력 유형별 가해 및 피해자의 가해․피해 이유에 대한 지각 분석(2007, 공동)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위한 팀-멘토링 개발(2007, 단독)
    청소년의 ‘삶의 양식’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2007, 단독)
    사회문화적 관점에 근거한 청소년 문제의 이해(2007, 단독)
    디자인 진로 및 전공선택을 위한 수행능력 측정:디자인 ‘실기능력’과 ‘기초소양’ 척도 타당화 연구(2007, 공동)
    디자인 적성 로드맵: 디자인 진로적성검사 개발에 따른 사용자 매뉴얼 제작(2007, 공동)
    디자인 적성 로드맵 : 디자인 진로적성검사의 개발(2007, 공동)
    청소년을 위한 문화접근적 상담 모듈 개발(2007, 단독)
    이공계 출신 여성의 취업과 현장적응에 관한 조사연구 보고서(2007, 공동)
    청소년의 문제 조력을 위한 검사상담과 면담상담 비교(2006, 단독)
    초등학교폭력의 양상 및 과정 분석(2006, 공동)
    교대생의 초등교원 역할정체감 형성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2006, 단독)
    대학생을 위한 멘토링 기능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2006, 단독)
    교대생의 초등교사 역할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멘토링 기능 분석(2005, 단독)
    전문대학생의 학과적응 증진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2005, 공동)
    예비 초등교사의 역할정체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2005, 단독)
    초등학교 상담교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학부모, 교사 및 학교행정가의 요구분석(2005, 공동)
    초등학교 상담교사의 역할 모형 구안(2004, 공동)
    초등학생의 진로지도 내용 개발을 위한 진로발달 지표 분석(2004, 단독)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과정에 영향을 주는 진로결정장애 분석(2004, 단독)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상태에 따른 진로탐색 및 진로결정 분석(2004, 단독)
    전문대학생의 학과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경로 및 인과관계(2004, 공동)
    고등학교 3학년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경로분석(2003, 단독)

    [박사학위논문] 구조적 및 적응적 일치이론에 근거한 학과적응 분석(2001)
    [석사학위논문] 고등학생들의 위기사건 경험에 따른 인지왜곡의 분석(1995)

    [국제/국내등재학술지, 주제발표]
    (국내) 디자인사고 함양을 위한 메이커 교육 연구-교양필수 교과에 적용(2020, 공동)
    (국내) 사회복귀시설 종사자의 직무형태분석과 직무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2012, 공동)
    (국제) Survey of occupation status and job satisfaction of women in Busan region specializing in STEM(2008, 공동)

    저서

    청소년문화(공저, 2015, 동문사)
    인간관계의 심리 : 행복의 열쇠(공저, 2012, 학지사)
    다문화 상담의 새로운 접근: 자기심리학적 상담의 과정(2011, 공동역서, 시그마프레스)
    초등학교 상담(공저, 2009, 학지사)
    질적연구 실천방법(공저, 2008, 교육과학사)
    심리검사의 이론과 실제(공저, 2007, 서현사)
    대학생을 위한 직업준비교육(저, 2006, 서현사)
    정서와 교육(공저, 2005, 학지사)
    전문대학생의 학습력 증진을 위한 LSC(Learning Strategy Coaching) 제작(2007, 공동)
    울산지역 경력단절여성 일자리창출을 위한 요구조사(2008, 공동)

    수상경력, 실적 및 자격증

    수상경력
    2023년 12월 29일, 교육부 장관상(대학혁신지원사업 공로 표창)
    2022년 12월 10일, 한국상담학회 공로상
    2019년 1월 24일,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ACE+) 우수교원상
    2017년 2월 14일, 동서대학교 총장상 (우수연구상)
    2013년 5월 15일, 교육부 장관상(교과지도 부문)
    2011년 2월 10일, 동서대학교 총장상 (우수교원상)


    정부기관 연구수혜 실적
    2024.09-2024.12 부산광역시교육청 연구용역(글로벌 K-POP 스쿨 설립 타당성 검토를 위한 연구), 연구책임자
    2023.07-2033.06 한국연구재단 중견자연구지원사업, 연구책임자
    2012.05-2014.04 한국연구재단 중견자연구지원사업, 연구책임자
    2011.09-2014.08 보건복지부 국립서울병원학술연구용역사업, 연구책임자
    2009.05-2010.04 한국연구재단 신진교수지원사업, 연구책임자
    2006.05-2007.04 한국학술진흥재단 신진교수지원사업, 연구책임자
    2008.11-2008.12 울산광역시 여성회관 2008년 경력단절여성 일자리 창출을 위한 요구조사, 책임연구원
    2003.09-2006.08 한국학술진흥재단 지방대육성지원사업, 공동연구원
    2003.09-2006.02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연구교수지원사업, 연구책임자


    자격증
    정신보건상담사 1급(한국상담학회, 2014년 03월 01일)
    전문상담사 1급(한국상담학회, 2002년 2월 01일)
    진로상담심리전문가(한국진로상담학회, 2001년 2월 28일)
    직업상담사 2급(한국산업인력공단, 2000년 09월 20일)
    진로상담심리사(한국진로상담학회, 1999년 4월 09일)
    신은규

    신은규

    • 직위/보직바이오헬스융합대학 보건행정학과 교수/민석교양대학 교학부장/자유전공학부 학부장
    • 연구실보건의료관 3층 3304호
    • 연락처051)320-2680,2732
    • 이메일shine@dongseo.ac.kr
    • 경력1998. 03 - 1999. 02 경희대학교 의료경영학과 연구조교 , 2000. 03 - 2004. 05 (주)페이지원 및 (주)유비케어(양사 합병) 기획팀장 및 선임연구원
    • 주요활동1998. 06 - 1999. 02 [연구보조원] 호발암 조기진단의 경제성 평가(보건복지부), 1998. 03 - 1999. 06 [연구보조원] Cancer Screening(학술진흥재단)

    학력 및 학위

    1988. 03 - 1991. 02 서울 개포고등학교
    1992. 03 - 1997. 08 경희대학교 경영학과 - 경영학사
    1998. 03 - 2004. 02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경영학석사 (전공: 재무관리)
    2005. 03 - 2009. 02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경영학박사 (전공: 의료경영)

    경력

    1998. 03 - 1999. 02 경희대학교 의료경영학과 연구조교
    2000. 03 - 2004. 05 (주)페이지원 및 (주)유비케어(양사 합병) 기획팀장 및 선임연구원
    2004. 06 - 2009. 02 경희대학교 의료산업연구원 연구실장
    2007. 03 - 2009. 02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및 경영대학원 의료경영학 강사
    2009. 03 - 2010. 02 고려대학교 의무산학협력실 연구교수
    2010. 03 - 2012. 02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전임강사
    2012. 03 - 2016. 02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조교수
    2016. 03 - 현 재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부교수
    2017. 02 - 2019. 02 동서대학교 Honor Society 책임교수
    2019. 02 - 2020. 02 경희대학교 Blue Planet 21 방문교수
    2020. 09 - 현재 동서대학교 민석교양대학 교학부장, 달란트개발센터 센터장

    학회 및 대외활동

    2007. 09 - 2009. 02 삼일회계법인 의료분야 자문위원
    2009. 03 - 현 재 한국병원경영학회 이사
    2011. 02 - 현 재 대한경영학회 이사
    2019. 02 - 현 재 한국사회보장학회 이사
    2009. 07 - 2010. 02 고려대학교 U-Healthcare 사업단 기획관련 실무위원
    2009. 09 - 2010. 02 고려대학교 세종Campus 약학대학 및 Bio-의과학 연구중심병원 설립추진위원회 실무위원
    2009. 10 - 2010. 02 국무총리실 세종시 설립추진위원회 자문위원
    2009. 11 - 2010. 02 교육과학기술부 첨단의료복합단지내 바이오신약센터 설립지원위원회 자문
    2011. 06 - 2012. 05 비트컴퓨터 u-health system 개발자문위원
    2010. 01 - 2015. 12 지식경제부 강원도 광역경제권 의료관광 선도사업단 자문위원 및 평가위원
    2010. 03 - 2015. 12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교육/의료분야 자문
    2011. 01 - 현 재 보건직 지방공무원 선발시험 출제위원
    2013. 12 - 현 재 부산진구 의료관광 자문위원
    2014. 01 - 현 재 부산산업클러스터 산학관협의회 간사/바이오헬스산업 분과위원
    2014. 02 - 2017. 02 산업통산자원부 스마트헬스 정책자문단 자문위원
    2014. 03 - 2017. 02 대한한의학회 보험위원회 자문위원
    2015. 03 - 현 재 부산광역시 의료관광추진협의회 위원
    2016. 01 - 현 재 제주특별자치도 의료관광지원협의회 위원
    2017. 03 - 현 재 법무부 부산지방검찰청 시민검찰위원회 위원

    연구활동

    1998. 06 - 1999. 02 [연구보조원] 호발암 조기진단의 경제성 평가(보건복지부)
    1998. 03 - 1999. 06 [연구보조원] Cancer Screening(학술진흥재단)
    1999. 10 - 2000. 02 [연구보조원] KyungHee Vision2000 Project(경희대학교)
    1999. 08 - 2000. 02 [연구보조원] 병원 도산에 관한 연구(보건복지부)
    1999. 10 - 2000. 09 [연구보조원] 보건의료 정보화 비젼 및 정책수립(보건복지부)
    2001. 12 - 2002. 03 [공동연구원]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전자건강보험증 추진 사업(보건복지부)
    2002. 01 - 2003. 02 [공동연구원] 연세대학교 원주기독병원 의료정보시스템 구축 제안 작업
    2002. 03 - 2003. 07 [세부연구책임자]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건강정보 전달에 관한 특허 획득 업무
    2004. 08 - 2004. 11 [세부과제책임자] 경제자유구역내 보건의료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재정경제부)
    2004. 09 - 2004. 10 [세부과제책임자] 경제자유구역내 외국병원 수용도에 대한 내,외국인 및 의료전문가 여론조사
    2005. 04–2005. 08 [연구실장] BJFEZ내 외국의료기관 투자유치 계획수립(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2005. 04–2005. 08 [연구실장] BJFEZ내 외국교육기관 투자유치 계획수립(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2005. 08–2006. 06 [연구실장] 외국인 학교 및 병원 설립 마스터플랜 수립(전라남도)
    2005. 10. 05 - 2006. 02. 17[연구실장] East Asia Bio-Medical Hub in IFEZ(인천경제자유구역청)
    2005. 11. 05 - 2006. 03. 31[연구실장] 경제자유구역내 의료허브 구축전략 연구(재정경제부)
    2006. 02. 01 - 2006. 06. 30[연구실장] 외국인 학교 및 병원 설립 마스터플랜 수립(전라남도)
    2006. 04. 10 - 2006. 10. 10[연구실장] 민영건강보험 활성화 방안(손해보험협회)
    2006. 05. 01 - 2006. 10. 30[연구실장] 의료산업육성에 관한 연구(한국개발원)
    2006. 07. 01 - 2006. 10. 31[연구실장] 의료산업화론의 이론적 배경 연구(재정경제부)
    2006. 08. 01 - 2006. 11. 15[연구실장] 2020의료서비스분야 비전 및 발전전략(산업연구원)
    2006. 11. 01 - 2006. 12. 31[연구실장] 인제대학교 해운대 백병원 건설 민간투자사업 타당성 분석(인제대학교/서희건설)
    2006. 11. 15 - 2007. 02. 28[연구실장] 서남권 원자력의학원 타당성 조사(과학기술부)
    2006. 05. 01 - 2007. 04. 30[연구실장] The Differencein Timing of Drug Approval between Korea and the U.S.(MSD Korea)
    2007. 04. 02 - 2007. 06. 30[연구실장] 경희대학교 의학계열 연구역량 강화방안(경희대학교)
    2007. 01. 29 - 2007. 09. 31[연구실장] 의료서비스 및 의약품 부문의 규제개혁 방안(전국경제인엽합회)
    2007. 02. 05 - 2008. 02. 25[연구실장] 민영건강보험 실증분석 및 공사보험 연계방안 연구(손해보험협회)
    2007. 08. 15 - 2008. 02. 11[연구실장] 2007 복지정보통신 인프라 구축사업(이용형태 분석조사)(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7. 10. 26 - 2008. 11. 20[연구책임자]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 기본계획 수립(전남생물산업연구센터)
    2008. 09. 01 - 2009. 02. 23[연구실장] 제약산업의 윤리경영 확산 정책에 관한 연구(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
    2009. 03. 17 - 2009. 05. 16[연구총괄] 해외환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사전조사 및 대응방안 연구(국무총리실)
    2009. 05. 21 - 2009. 07. 31[연구총괄] 해외 의료서비스 산업화 시대의 고대의료원 대응방안 연구(고려대학교 의료원)
    2009. 04. 28 - 2009. 11. 24[세부연구책임] 신성장동력 융합산업 선진화 전략 연구(교육과학기술부)
    2009. 07. 01 - 2009. 12. 31[세부연구책임] 경찰병원 경영쇄신방안 연구(행정안전부)
    2009. 03. 08 - 2010. 01. 31[연구관리] 병원국제마케팅 전문가 양성교육(보건복지인력개발원)
    2010. 04. 29 - 2010. 08. 27[연구총괄] 강남구 의료관광 중장기전략 연구(강남구청)
    2010. 04. 08 - 2010. 11. 30[연구원] 근골격계질환 예방제도 효과분석 연구 (1차년도)(산업안전보건공단)
    2010. 06. 04 - 2010. 10. 31[연구책임자] 본인부담 진료비 적정화 방안(국민건강보험공단)
    2011. 03. 14 - 2011. 09. 20[공동연구원] 대구 성서산업단지 노․사의 안전행태와 산재예방 접근방안에 관한 연구
    2013. 07. 08 - 2013. 12. 05[연구책임자] BJFEZ 활성화를 위한 의료서비스산업 외국인 투자유치 프로젝트(KOTRA)
    2014. 08. 26 - 2014. 12. 10[연구책임자] 의료관광글러스터 구축 추진계획(부산발전연구원)
    2015. 01. 01 - 2015. 12. 05[연구책임자]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사업(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2017. 03 – 2017. 04[연구책임자] 해외진출 보건의료인력 국가별 진출 가이드북 제작(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7. 03 – 2017. 05[연구책임자] 보건의료인력 국제화를 위한 인력양성 방안 연구(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7. 09 – 2017. 11[연구책임자] 중남미 6개국 보건의료인력 면허정보 및 수요조사(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학술논문목록(등재후보지이상)

    2006. 12 [공동저자] 민영건강보험과 도덕적 해이에 관한 실증연구(보험학회지)
    2008. 09 [교신저자] 입원기간에 따른 의료서비스 품질요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병원경영학회지)
    2009. 04 [제 1저자] 재방문 및 재입원 여부에 따른 의료서비스 품질요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고객만족경영연구)
    2009. 06 [교신저자]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대형병원에 대한 신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의료경영학연구)
    2010. 06 [교신저자]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에 대한 진료비 중심 대안의 비교 및 실증 연구, 의료경영학연구, 4권 1호, P.75-85
    2010. 06 [교신저자] 민영건강보험하에서 의료수요의 가격탄력성에 대한 실증분석(법정본인부담금 보장금지 정책을 중심으로), 의료경영학연구, 4권 1호, P.1-7
    2011. 06 [제 1저자] 도시 농어촌 복합형 U-Healthcare sysytem 구축사업의 이용행태 분석,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지, 12권 1호
    2011. 06 [교신저자] AHP를 이용한 부산지역 네트워크 치과의원 브랜드 이미지 선호요인에 관한 연구, 의료경영학연구, 5권 1호
    2011. 09 [공동저자] 건강보험환자의 고액 본인부담 진료비 지출에 관한 연구,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7권 3호
    2012. 04 [교신저자] AHP를 이용한 네트워크 치과 의원의 브랜드 이미지 선호도 평가요인별 중요도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5권 2호, P655-673;
    2012. 09 [제 1저자] 해외환자유치 전담인력과 리더의 관계증진이 조직적응력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의료경영학연구, 6권 3호,
    2013. 06 [제 1저자] 위험균등화(Risk Equalization) 도입을 위한 건강보험 위험요인 평가모형 비교 연구, 의료경영학연구, 7(2), pp.47~55
    2013. 12 [제 1저자] 청구자료를 활용한 A보험사의 건강보험상품 위험요인 비교 연구, 의료경영학연구, 7(4), p.43~49
    2015. 09 [제 1저자] 해외환자의 질환별 의료관광 선호국가에 대한 연구-인도네시아의 잠재적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경영학연구, 9(3), p.15~24
    2015. 12 [제 1저자] AHP를 이용한 의료관광 대상국가의국가 이미지 선호 및 평가요인별 중요도에 관한 연구- 인도네시아의 잠재적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경영학연구
    2016. 03 [제 1저자] 방한 중국 관광객의 뷰티 관광 구매형태 및 인식 연구-화장품과 뷰티 서비스를 중심으로-, 대한미용학회지
    2016. 12 [제 1저자] 간호대학생의 진로 정체감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및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의료경영학연구

    ▶ 학술대회 발표 목록 [제 1저자만 발췌]
    2004. 11. 14 시장개방에 따른 경영환경 변화와 한의계의 대응전략(전국한의학학술대회)
    2005. 10. 28 경제자유구역내 외국병원 진출에 관한 인식 및 수요도(병원경영학회)
    2005. 12. 02 민영건강보험의 정책과제와 발전방향(한국보험학회)
    2007. 10. 29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과 의료복합단지(BJFEZ 세미나)
    2008. 11. 21 건강보험 보장성강화 정책에 대한 진료비 중심 대안의 비교 및 실증연구(보건행정학회)
    2008. 11. 28 재방문 및 재입원 여부에 따라 의료서비스 품질요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차이에 관한 연구(고객만족경영학회)
    2009. 07. 16 Analysis on Efficiency of management & opera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NHI)(i-HEA)
    2010. 04. 16 네트워크 병, 의원의 이미지가 고객의 병원선택에 미치는 영향(대한경영학회)
    2010. 11. 04 선진국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 외국의 건강관리 서비스(Korea Healthcare Congress)
    2010. 11. 26 법정본인부담금 보장 제한의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대한경영학회)
    2011. 04. 28 도시농어촌 복합형 U-헬스케어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의 이용행태 분석(대한경영학회)
    2012. 05. 25 사회복구시설 서비스품질과 이용자 만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대한경영학회)
    2012. 06. 17 글로벌헬스케어 현황과 전략(한국의료QA학회)
    2012. 10. 18 해외환자유치 전담인력과 리더의 관계증진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대한경영학회)
    2013. 06. 18 한국 건강보험시장의 위험균등화를 통한 시장효율화 방안 연구(대한경영학회)
    2013. 11. 18 건강보험 위험요인 평가모형 비교 연구(대한경영학회)
    2014. 11. 18 A사의 민영건강보험 청구자료에 근거한 건강위험요인(비급여항목) 분석(대한경영학회)
    2015. 11. 18 인도네시아 잠재적 환자의 질환별 해외진료 선호국가에 대한 연구(대한경영학회)
    2017. 05. 14 의료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료인직무역량에 대한 의료서비스 이용자 판단(한국취업진로학회)
    2017. 05. 21 의료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진료시스템에 대한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판단(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7. 07. 27 보건의료인력 국제화를 통한 세계진출 전략과 Networking 방안(부산대병원 의생명연구원)

    ▶ 연구비 수탁실적(1억원 이상)
    07. 10 - 08. 09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 기본계획 수립(전남생물산업연구센터)
    13. 07 - 13. 12 BJFEZ 활성화를 위한 의료서비스산업 외국인 투자유치 프로젝트(KOTRA)
    17. 09 - 17. 11 중남미 6개국 보건의료인력 면허정보 및 수요조사(한국보건산업진흥원)

    ▶ 포상 및 훈장
    2006. 10. 27[훈장] 헌혈유공 은장(대한적십자사)
    2009. 08. 20[포상] 강의우수상(경희대학교 경영대학)
    2013. 06. 14[표창] 세계헌혈자의 날 공로자 표창(대한적십자사)
    2014. 11. 27[훈장] 헌혈유공 금장(대한적십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