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교수소개

학과소개

    이경미

    이경미

    • 직위/보직학과장
    • 연구실어문관 6304
    • 연락처320-1656
    • 이메일jingmei@gdsu.dongseo.ac.kr
    • 학력이화여자대학교 (학사 - 중국문학) , 중국 북경대학교 (석사 - 중국문학)
    • 경력2000. 09 - 2006. 08 한동대학교 글로벌리더십학부 , 2006. 09 - 현재 동서대학교 중국어학과
    • 주요활동韓·中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반지(斑指) 『동아시아고대학』74, 2024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학사 - 중국문학)
    중국 북경대학교 (석사 - 중국문학)
    중국 북경대학교 (박사 - 중국문학)

    경력

    2000. 09 - 2006. 08 한동대학교 글로벌리더십학부
    2006. 09 - 현재 동서대학교 중국어학과
    2015. 01 - 2016. 01 - UC Berkeley 방문학자

    연구활동

    논문(최근 5년)
    1. 韓·中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반지(斑指) 『동아시아고대학』74, 2024
    2. 韓·中·日 고전문학 속 女性과 색채(色彩) - 백색(白色)을 중심으로 『중국학논총』82, 2024
    3.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음식 『中國學』86, 2024
    4.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女性과 추(醜)『東亞人文學』65, 2023
    5.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女性과 눈(雪) 『중국인문과학』85, 2023
    6.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女性과 춤 『중국학논총』79, 2023
    7.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女性과 노래 『中國學』83, 2023
    8. 韓·中 고전문학 속 악녀(惡女)들의 연대(連帶) 『中國學』82, 2023
    9. 韓·中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女性과 신(鞋) 『東方學』48, 2023
    10.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女性과 화장(化粧) 『東亞人文學』61, 2022
    11.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女性과 달(月) 『중국문화연구』58, 2022
    12.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女性과 거울 『한중언어문화연구』65, 2022
    13.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女性과 악기 『東方學』47, 2022
    14.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하녀(下女) -하녀와 여주인간의 서사 유형을 중심으로-『東亞人文學』59, 2022
    15.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女性과 의복 『中國學』78, 2022
    16.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女性과 맹세 『東亞人文學』57, 2021
    17.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女性과 향기 『中國學』76, 2021
    18. 韓·中·日 고전문학 속의 女性과 바다 『東方學』45, 2021
    19. 韓·中·日 고전문학 속의 ‘떠나가는 女性’ 『東亞人文學』54, 2021
    20. 韓·中·日 고전문학 속의 女性과 유언(遺言) 『한중언어문화연구』42, 2020
    21. 韓·中·日 고전문학 속 女性의 죄(罪)와 벌(罰) 『東方學』42, 2020
    박숙경

    박숙경

    • 직위/보직특임교수
    • 연구실국제관 7209
    • 연락처320-1663
    • 이메일skpark-1004@hanmail.net
    • 학력부산대학교 (문학사 - 중국문학) , 대만 정치대학교(문학석사 - 중국근대문법)
    • 경력2006.02 - 2008.02 동서대학교 외국어계열 학부장 , 2009.06 -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 주요활동‘許多’, ‘好多’, ‘很多’, ‘不少’, ‘很少’의 문법적 특징. 중국언어연구, 제25집( 한국중국언어학회 2007. 12).

    학력

    부산대학교 (문학사 - 중국문학)
    대만 정치대학교(문학석사 - 중국근대문법)
    대만 정치대학교(문학박사 - 중국근대문법)

    경력

    2006.02 - 2008.02 동서대학교 외국어계열 학부장
    2009.06 -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연구활동

    - 논문 -
    1. ‘許多’, ‘好多’, ‘很多’, ‘不少’, ‘很少’의 문법적 특징. 중국언어연구, 제25집( 한국중국언어학회 2007. 12).
    2. ‘VA’ 중 형용사의 동태성에 관한 연구. 중국언어연구. 제17집( 한국중국언어학회 2003. 12)
    3. ‘VC’ 중 형용사의 감정 색채와 ‘V得C’ 확장 여부. 중국연구. 제32권(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중국연구소 2003. 12)
    4. 漢語介詞的語法地位. 동서대학교 논문집 7권 (2001)
    5. 引進處所介詞之硏究. 인문과학논총 10권. 경성대학교( 1999. 12)
    6. 在NPV와 V在NPV의 비교. 중국언어연구 제7집. (한국중국언어학회 1998.12)
    7. 講經變文與有關佛經介詞硏究. 대만정치대학교. 중문연구소. 1997.02
    8. <老乞大><朴通事>에 보이는 접미사 ‘兒’과 ‘子’의 연구, 중어중문학. 제12집. (한국중어중문학회. 1996.12)

    - 역서 및 저서
    1. HSK실전어법. 2005. 10. 중문출판사
    2. 중국절기의 유래. 2003. 12. 중문출판사
    3. 초급중국어작문. 1999. 12. 중문출판사
    4. 박숙경외 11인 공저. 스타트캠퍼스중국어 2. 2005. 08 다락원
    5. 박숙경외 11인 공저. 스타트캠퍼스중국어 1. 2005. 02 다락원
    6. 박숙경외 11인 공저. 외국어회화집. 2000. 04 대원인쇄문화사.
    7. 박숙경외 10인 공저. 진명한중사전. 1998. 6. 진명출판사.

    - 연구보고서 -
    1. 박숙경외 1인, 한자고속입력법. 1999. 04. 서울시스템
    이웅길

    이웅길

    • 직위/보직명예교수
    • 연구실어문관 6207
    • 연락처320-1665
    • 이메일woong1959@gdsu.dongseo.ac.kr
    • 학력영남대학교(문학사 - 중국문학) , 영남대학교(문학석사 - 중국문학)
    • 경력2009. 02 ~ 2011. 02 중국어학과 책임교수, 2011.03-2015.01 외국어계열 학부장
    • 주요활동<<詩經>>15國風 陰聲韻 分部考, ‘중국어문논집’, 부산경남중국어문학회, 1995.12

    학력

    영남대학교(문학사 - 중국문학)
    영남대학교(문학석사 - 중국문학)
    영남대학교(문학박사 - 중국어학)

    경력

    2009. 02 ~ 2011. 02 중국어학과 책임교수
    2011.03-2015.01 외국어계열 학부장

    연구활동

    - 논문 -
    1. <<詩經>>15國風 陰聲韻 分部考, ‘중국어문논집’, 부산경남중국어문학회, 1995.12
    2. <<詩經>>15國風 [-n]韻尾 分部考, ‘어문학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외국어문학연구소, 1998.02
    3. <<詩經>>15國風 [-ng] 및 [-m]韻尾 分部考, ‘인문과학논총’,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9.12
    4. 用韻상으로 본 <<詩經>>15國風간의 상관 관계 고찰, ‘중국어문학’, 영남중국어문학회, 2000.12
    5. 北魏 北齊 詩韻 小考, ‘논문집’,동서대학교, 2001.12
    6. 劉宋시기 詩韻 小考, ‘중국어문학’, 영남중국어문학회, 2002.12
    7. 齊梁陳北周隋시기의 詩 韻部 合韻 현상 분석,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2003.12
    8. 北周시기 詩 韻部연구, ‘중국어문학’, 영남중국어문학회, 2004.12
    9. 魏晋시기의 詩 韻部 合韻 현상 분석, ‘논문집’, 동서대, 2006.01
    10. 魏晋시기 陰聲韻 詩韻部分論, ‘논문집’, 동서대, 2006.01
    11. 魏晋시기 入聲韻 詩韻部 分部考,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2006.12
    12. 魏晉시기 陽聲韻 詩韻 分部考,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2008.12
    13. 兩漢時期 詩歌 用韻硏究, ‘중국학’ 대한중국학회(2010.12)
    14. 兩漢時期 秦晉지역 之部 및 支部 分部考, ‘중국학’, 대한중국학회(2012.08)

    - 역서 -
    1. 고대중국어어법-개설편․품사론(1), 중문출판사(2001)
    2. 중국의 명신들, 중문(2005)
    3. 현대 중국의 사회계층, 연암서가(2015.06)
    김언하

    김언하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어문관 6205
    • 연락처320-1640
    • 이메일haihvo@dongseo.ac.kr haihuo@hanmail.net
    • 학력• 부산대학교(문학사 - 중국문학) , • 계명대학교(문학석사 - 중국문학)
    • 경력• 동서대학교 중국사업본부장(부총장) 2019.1-2022.2, • 동서대학교 중국어학과 교수 2017.4-
    • 주요활동김언하,〈단재와 루쉰의 자아 이상 비교〉,《중국학》(40집), 2011. pp.351-368

    학력

    • 부산대학교(문학사 - 중국문학)
    • 계명대학교(문학석사 - 중국문학)
    • 영남대학교(문학박사 - 중국현대문학)
    • 북경대학교(문학박사 - 중국현당대문학)

    경력

    • 동서대학교 중국사업본부장(부총장) 2019.1-2022.2
    • 동서대학교 중국어학과 교수 2017.4-
    • 중남재경정법대학교 한중뉴미디어대학 학장 2016.3-2022.2
    •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부회장 2016.3-2018.2
    • 동서대학교 중국어학과 부교수 2009.4-2017.3
    • 동서대학교 공자아카데미 원장 2007.4-2014.2
    •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영남지회장 2008.3-2010.2
    • 한국중어중문학회 편집위원 2008.3-2010.2
    • 대한중국학회 총무이사 2004.3-2006.2

    연구활동

    - 논문 -
    1. 김언하,〈단재와 루쉰의 자아 이상 비교〉,《중국학》(40집), 2011. pp.351-368
    2. 김언하, 〈《광인 일기(狂人日記)》와 《꿈 하늘(夢天)》 비교 연구-작가의 정신적 재탄생을 중심으로〉, 《중국학》(37집), 2010. pp.217-232
    3. 김언하,〈단재와 루쉰의 사상 비교--한국 3.1과 중국 5.4의 대표사상〉, 《중국학》(31집), 2009. pp.275-290
    4. 김언하,〈영화 《인생(活着)》: 중국현대사에 대한 준엄하고 따뜻한 통찰〉, 《중국학》(34집), 2008, pp.449-468
    5. 김언하,〈<아Q정전>: 일종의 광인으로서의 세인 형상〉, 《중국현대문학》(39호), 2006. pp.249-272
    6. 김언하,〈루쉰의 문학세계와 광기 주제〉, 《중어중문학》(35집), 2004. pp.487-518
    7. 김언하,〈루쉰 『야초(野草)』의 시 세계: 극단적 대립과 터무니없음의 미학〉, 《중국현대문학》(27호), 2003. pp.39-58
    8. 金彦河. 〈路翎的文学世界與疯狂主题〉, 《中國現代文學硏究叢刊》(92기), 2002. pp.65-92
    9. 金彦河, 〈飢餓的郭素娥:瘋狂與藝術的張力〉, 《中國文學硏究》(63기), 2001. pp.58-62
    10. 金彦河, 〈論《狂人日記》: 尋找"父親"〉, 《魯迅硏究月刊》(231기), 2001. pp.21-31
    11. 김언하, 〈신시기 주체론적 문예관의 성취와 한계〉, 《석당논총》(21집), 1995. pp.331-346
    12. 김언하,〈신시기 문예관의 변천〉, 《중국현대문학》(9호), 1995. pp.11-39
    13. 김언하,〈중국 신시기 문예연구의 성격전환〉, 《중국어문논집》(8집), 1993. pp.373-392
    14. 김언하,〈5.4 시기 노신 잡문의 현실인식과 가치 지향〉, 《중국어문논집》(6집), 1991. pp.373-392
    15. 김언하,〈혁명 문학 운동의 논리와 그 의의〉, 《중국어문학》(18집), 1990. pp.173-189
    16. 김언하,〈한비의 철학사상 연구〉, 《중국어문논집》(5집), 1989. pp.245-256

    -학술발표
    1. 金彦河,《寄生虫》:以反讽描绘的阶级和人,第四届中韩国际影视论坛,华中师范大学,2019.11.16-17.
    2.Unha Kim, A Comparative Study on Ex Machina and A Doll's House--Focusing on the extreme asymmetry in power relation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ulture Technology(ICCT) 2019,Pattaya Thailand,2019.8.13-16.
    3.Unha Kim, Zhang Yiqing’s Rosewood with Noble Character君紫檀 : From Zhouzhou to Gu Yongq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ulture Technology(ICCT) 2018, Shaoxing China, 2018.11.15-18.
    4. 金彦河,〈金基德的《阿里郎》:通过自我剖析和自我治愈的精神再诞生的记录〉,第三届中韩国际影视论坛,恩施 瑞享国际酒店,2017.8.11-14.
    5. 金彦河,丹斋与鲁迅的安那其主义思想比较,国际鲁迅研究会第六届学术论坛,德国,杜塞尔多夫,2015.7.1-3.


    - 저역서 -
    1.金彦河,《国际视野与本土表达: 第三届中韩影视国际论坛会议论文集》,彭涛、李三强主编,华中师范大学出版社,2018。(중국, 공저)
    2.김언하,《거친 들을 지나는 길손-루쉰의 정신세계 탐색》, 소명출판, 2017.(역서)
    孙玉石,《荒野过客:鲁迅精神世界探论》,安徽大学出版社,2013。
    3.김언하,《부산국제영화제에서 만나는 중국영화 2016》, 세움, 2016.(엮음, 공저)
    4.金彦河,《韓國魯迅硏究精選集》,中央編譯出版社,2016.(중국, 공저)
    5.김언하,《부산국제영화제에서 만나는 중국영화 2015》, 세움, 2015.(엮음, 공저)
    6.金彦河,《重回现场:五四与中国现当代文学》,王风、蒋朗朗、王娟编,北京大学出版社,2014。(중국, 공저)
    7.김언하,《부산국제영화제에서 만나는 중국영화 2014》, 호밀밭, 2014.(엮음, 공저)
    8.김언하,《부산국제영화제에서 만나는 중국영화 2013》, 중문, 2013.(엮음, 공저)
    9.김언하,《영화로 만나는 현대중국》, 산지니, 2011(공저)
    10.김언하,《수사고신록》, 한길사, 2009.(역서, 공역)
    11.김언하,《중국현대문학과의 만남》, 동녘, 2006.(공저)
    12.김언하,《중국 명시 감상》, 명문당, 2005.(공저)
    13.金彦河,《韓國魯迅硏究論文集》,鲁迅博物馆编,河南文藝出版社,2005。(중국, 공저)
    14.김언하,《문학이론 학습자료》(상,하), 친구, 1989.(공역)
    김영기

    김영기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어문관 6206
    • 연락처051-320-1664
    • 이메일lunyu@gdsu.dongseo.ac.kr
    • 학력1990. 06 대만 국립정치대학 중문연구소, 문학석사, 1996. 06 대만 국립정치대학 중문연구소, 문학박사
    • 경력1998. 03 동서대학교 외국어학부 중국어과 부임, 2004. 02-2008. 02 동서대학교 입시관리처 부처장
    • 주요활동<춘추삼전공즉위례석평(春秋三传公即位例析评)>,1995,中国语文论集,第10辑

    학력

    1990. 06 대만 국립정치대학 중문연구소, 문학석사
    1996. 06 대만 국립정치대학 중문연구소, 문학박사

    경력

    1998. 03 동서대학교 외국어학부 중국어과 부임
    2004. 02-2008. 02 동서대학교 입시관리처 부처장
    2008. 03-2009.12 동서대학교 외국어계열 학부장
    2014-2021.10 동서대학교 공자아카데미 원장

    연구활동

    주요논문:
    1. <춘추삼전공즉위례석평(春秋三传公即位例析评)>,1995,中国语文论集,第10辑
    2. <춘추시연구(春秋诗研究)>,1998,陶南学报,第17辑
    3. <춘추오례를 통해 본 춘추의 문학성 고찰(通过春秋五例考察春秋的文学性)>,1998,韩国语文论集,第12辑
    4. <공양삼세설에 따른 춘추필법에 관한 고찰(据公羊三世说考察春秋笔法的异同)>,1999,韩国中国学会报
    5. <기욕립이립인, 기욕달이달인 한역에 관한 고찰(对于论语"己欲立而立人,己欲达而达人"的韩译考察)>,2000,대한 중국학회보
    6. <최술의 춘추논설에 관한 재검토(检讨崔述的春秋论说)>,2005,中国学会研究报
    7. <공자 사후 공문 후계구도와 논어의 편찬(关于孔子死后孔门的《论语》编撰-以<学而>为主)>, 2011, 中国语文学, 第58辑
    8. <이색의 역사의식과 경세사상(高丽李穑基于《春秋》的理解探讨其历史意识和经世思想)>, 2012, 中国学, 第42辑
    9. <공자의 지향과 논어의 편차(从孔子的志向考察《论语》的编次)>, 2012, 东亚人文学, 第22辑
    10. <최술의 논어 학이편 고신에 관한 검토(对于崔述考信《论语·学而》第二章的检讨)>, 2012, 中国语文学, 第60辑

    저서 및 역서:
    1.《한자와 처세》,2005,中文出版社,大邱,韩国
    2.《누가 바람을 보았는가》,2005,中文出版社,大邱,韩国
    3.《디지털사회를 사는 지혜》,2008,张圣万著,金荣奇译,北京,红旗出版社
    정주연

    정주연

    • 직위/보직부교수/공자아카데미원장
    • 연구실국제관 7207
    • 연락처320-1669
    • 이메일dermut@gdsu.dongseo.ac.kr
    • 학력동서대학교 (문학사-중어중문학), 중국 산동대학(문학석사-漢語言文字學)
    • 경력2011. 03 ~ 2015.02 중국어학과 책임교수, 2016. 09 ~ 2017.02 중국어학과 책임교수
    • 주요활동정주연․ 진진우 공저, 變化動詞與"過", 『中國言語硏究』제 21집(2005):165-186, 2. 정주연, 現代漢語形容詞與"過", 『中國學硏究』,제 10집(2007):276-290

    학력

    동서대학교 (문학사-중어중문학)
    중국 산동대학(문학석사-漢語言文字學)
    중국 복단대학(문학박사-漢語言文字學)

    경력

    2011. 03 ~ 2015.02 중국어학과 책임교수
    2016. 09 ~ 2017.02 중국어학과 책임교수
    2021. 10 ~ 현재 공자아카데미 원장

    연구활동

    1. 정주연․ 진진우 공저, 變化動詞與"過", 『中國言語硏究』제 21집(2005):165-186
    2. 정주연, 現代漢語形容詞與"過", 『中國學硏究』,제 10집(2007):276-290
    3. 정주연, 의문사의 비의문용법 연구-'哪', '哪兒', '哪里'를 중심으로,『中國學』제34집(2009):1-16
    4.이수진․ 정주연 공저, 현대 중국어의 무표지 피동문에 대한 재고,『中國學』제34집(2009):17-36
    5. 정주연‧ 이수진 공저, ‘V得A了’구조에 대한 小考, 『中國言語硏究』제35집(2011):333-351
    6. 정주연, ‘不+Ax’에 대한 고찰, 『中國學』,제40집(2011):117~138
    7. 정주연, 특지반어문에 사용된 의문사의 비의문용법 연구, 『東亞人文學』제25집(2013):121~142
    8. 정주연, ‘程度副詞+不V(P)’연구,『韓中言語文化硏究』제33집(2013):123~145
    9. 정주연, ‘程度副詞+V得/不C+(O)’硏究,『中國學』제52집(2015):163~177

    역서 및 저서:
    1. 정주연. 『집중공략 중국어 문법 작문』, 2015, 중문출판사
    서선화

    서선화

    • 직위/보직조교수
    • 연구실국제관 7303
    • 연락처320-1683
    • 이메일xush1016@naver.com
    • 학력중국 동북사범대학교 중국어교육학과 문학학사, 한국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수료
    • 경력2005. 03 ~ 현재 동서대학교 중국어학과
    • 주요활동“한국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에 관한 연구보고서《韩国大学的学生社团状况研究》, (共靑團中央“靑少年和靑少年工作硏究規劃硏究課題” (2009) , (山東省共靑團重点課題에 선정)

    학력

    중국 동북사범대학교 중국어교육학과 문학학사
    한국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수료
    한국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 석사
    한국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 박사

    경력

    2005. 03 ~ 현재 동서대학교 중국어학과

    연구활동

    “한국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에 관한 연구보고서《韩国大学的学生社团状况研究》
    (共靑團中央“靑少年和靑少年工作硏究規劃硏究課題” (2009) , (山東省共靑團重点課題에 선정)
    "중국의 국가이미지 제고 전략에 관한 연구"(2013.02)
    “한·중 수교 30년, 인문교류의 전개와 방향”, 《대한중국학회》, Vol.80 No.- [2022], pp.1-20.

    저역서

    서선화, 『프렌즈 중국어1』, 동양북스, 2023.06.(공저)
    서선화, 『프렌즈 중국어2』, 동양북스, 2023.11.(공저)
    감건

    감건

    • 직위/보직조교수
    • 연구실어문관 6503
    • 연락처320-1697
    • 이메일jenney9988@gdsu.dongseo.ac.kr
    • 학력• 중국 중경쌴샤대학교 중문과(중국언어문학교육전공) 문학학사, • 중국 중경사범대학교 교육대학원(중국언어문학교육전공) 교육학석사
    • 경력• (전)중국 중경사범대학교 國際合作與交流處(對外漢語敎師), • (전)한국 조선대학교 외국어대학 중국어문화학과(外敎)
    • 주요활동《课外名篇解读与中学生的人文素养》(2004.9)

    학력

    • 중국 중경쌴샤대학교 중문과(중국언어문학교육전공) 문학학사
    • 중국 중경사범대학교 교육대학원(중국언어문학교육전공) 교육학석사
    • 한국 조선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

    경력

    • (전)중국 중경사범대학교 國際合作與交流處(對外漢語敎師)
    • (전)한국 조선대학교 외국어대학 중국어문화학과(外敎)
    • (현)한국 동서대학교 중국어학과(外敎)

    연구활동

    • 중국 •

    《课外名篇解读与中学生的人文素养》(2004.9)
    《阅读教学与审美超越》(2005.1)
    《维果茨基最近发展区及其对语文阅读教学的启示》(2005.3)
    《中学文学作品阅读教学的接受美学思考》(2006.6)

    • 한국 •

    한·중 어린이 동화책《神笔马良 마량의 신비한 붓》(2011.11)
    한·중 어린이 동화책《东郭先生和狼 동곽선생과 늑대》(2012.11)
    한·중 어린이 동화책《天狗吃月亮 해와 달을 삼킨 개》(2013.11)

    《再议徐志摩爱情诗之性灵美》(2017.8)
    《徐志摩诗歌中的主要意象》(2018.4)
    《小议汉语数字谐音》(20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