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대학교 입학
홈 로그인
Language
  • ENGLISH
사이트맵 검색
동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패션디자인학과 주메뉴

  • 홈
  • 로그인
  • Sitemap
전체메뉴
  • 학과소개
    • 학과소개
    • 연혁
    • 학과교과 이수체계
    • 교수소개
    • 교과내용
    • 찾아오시는 길
  • 인재양성
  • 산학연계
  • 학생작품
    • 졸업작품
    • 재학생 작품
  • 학과소식
    • 공지사항
    • 학과뉴스
  • 입학&취업
    • 입학 Q&A
    • 취업정보
    • 우수취업사례
  • Dept. of Fashion Design
    • Introduction
    • Faculty
    • Curriculum
    • Website (Korean)

입학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입학안내 자세히보기
산학연계
홈
산학연계
  • 학과소개
  • 인재양성
  • 산학연계
  • 학생작품
  • 학과소식
  • 입학&취업
  • 기타
  • Dept. of Fashion Design
산학연계

산학연계

상단이미지

1. 해외취업 : K-MOVE (2010 ~ 2023년 현재)

미국 최대의 의류시장인 LA지바시장에는 크고 작은 한인 의류업체가 천 여 개가 넘는다.

K-Move  프로그램을 통한  미국 패션디자이너, 패션 마케터 취업

▪ 1년간 미국 패션기업 인턴 근무로 취업 비자 전환

    - 취업비자 획득 후 2년 뒤부터 영주권 신청 자격 획득

    - 한인 경제 활동 중심지인 LA 시장을 거점으로, 글로벌 패션 디자이너로 발돋움

        

▪ 영어, Excel, Photoshop, Illustrator 등 실무 프로그램 집중 특강

 -  방학 중 집중 실무 특강을 통하여, 실무에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학습

▪ 교내와 국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혜택

 -  교육비 및 교재비 전액+자격증 응시료+해외 취업알선+비자수속비, 체재비 일부 지원 (과정별 상이)

 - 해외취업정착지원금(조건충족시), 국민취업지원제도(개별신청)

2. 2022년 의류 인식 AI를 이용한 제품 상세페이지 자동생성 솔루션 개발

인공지능 기업과 함께 Web/API 기반 패션 상품 상세페이지 자동생성 솔루션 개발 → 브랜드 및 개인 온라인 패션 쇼핑몰 사업자의 업무효율 및 경쟁력 강화에 기여

AI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디자인 코드 개선 및 데이터 셋 개발

 의류 image 인식 AI 개발 / 패션 속성 인식 AI 개발

 자동 문장 생성 알고리즘 개발 / Web-Solution의 상용화

3. 2021년 인공지능 기반 패션 스마트미러 개발 및 백화점 내 설치

- 인공지능 기업 ㈜서르 및 ㈜사맛디와 프로젝트 수업 진행
- (재)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 주최 지역현안해결 프로젝트 최우수팀 선정

AI 기반 패션 스마트미러’는 사용자의 의상을 촬영해 실시간으로 의상의 종류와 색상, 소재, 패턴 등 속성·감성을 분석한다.

    이어 제품에 내장된 카메라가 사용자의 패션 스타일을 파악한 후 고객 취향에 맞춰 쇼핑몰 내 판매 중인 상품을 추천한다.

    AI 패션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하는 셈이다.

4. 2021년 온라인 개인 옷장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출시

- 인공지능 기업 (주)사맛디와의 클래스셀링 수업을 통해 '옷똑' 앱 개발

기업의 요구를 바탕으로 결과물을 도출하는 PBL 수업으로 프로젝트 결과물은 ‘옷똑(OTTOK)’이라는 이름으로 iOS 버전과 Android 버전이 출시되었다.

'옷똑(OTTOK)'이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옷을 조합하여 코디해주는 '옷장 정리 서비스', '코디 분석 서비스', 같은 무드를 가진 타 사용자들의 옷장을 구경하고 소통할 수 있는 '취향 공유 서비스' 등이 있다.

5. 2019년~ 패션 브랜드 매장 VM(Visual Merchandising) 개선 작업 진행

- 패션 브랜드 오프라인 매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업연계 PBL 프로젝트 시행  

상품 유통 중심이 온라인으로 옮겨감에 따른 기존 오프라인 매장의 위기 직면. 적극적인 체질 개선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필요해졌다.

 수업참여 학생 및 지역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패션 소상공인의 현안을 파악하고 인공지능 및 비주얼머천다이징 전문가와 함께 매장 체질개선 프로젝트를 시행하여 매장 환경 개선 및 디지털화를 진행하였다.

6. 2013 융합형 패션 가방 디자인(Fashion Design Industrial Design)

패션디자인과 산업디자인 전공의 융합형 가방 디자인 산학 연계 프로젝트
-패션 및 산업 디자인학 전공 교수가 교육과정을 기획하고, 가방 디자인 및 제작업체와 산학 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학생들이 디자인한 가방 시제품 12건을 개발한다.

상단이미지

가방 디자인 및 시제품 제작 업체 : For & By, MKE corporation
가방 산업은 대량 생산 설비에 의존적인 여타 상품들에 비하여 독창적인 디자인 경쟁력은 물론 소비자의 니즈 파악을 통한 목표, 시장 중심의 유연한 마케팅이 요구되는 분야이다. 다품종 소량생산의 접근성이 높은 여건을 가지고 있으며, 디자이너의 다양한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새로운 디자인 교육 모델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는 사회 진출에 있어 새로운 경험과 다양한 진로의 가능성을 열어주고자 한다. 또한 학생들은 현직 가방 디자이너에 의한 교육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여 실제 사용 및 제작에 기반을 둔 시제품을 제작함으로써 완성도 있는 디자인 결과물을 창출하고 성취감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으며, 프로젝트 참여 기업체들과의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7. 2012 융합형 패션 구두 디자인(Fashion Design Industial Design)

패션 디자인과 산업디자인 전공의 융합형 패션 구두 디자인 산학 연계 프로젝트
-패션 디자인 전공과 산업 디자인 전공의 교수 및 학생이 구두 제작 업체와 산학 연계 진행 구두 디자인 12건 개발

상단이미지
2012 융합형 패션 구두 디자인 관련 이미지

시제품 제작업체 : 실비콜렉션
신발 관련 산업은 부산 지역의 전략 사업으로 한 때 호황을 누렸으나, 중국의 신발 제조기술 발전과 가격 경쟁력에 밀려 점차 침체 되고 있다. 이러한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역의 신발 산업은 대량 생산 설비 의존적인 경쟁력의 패러다임에서 소비자 및 틈새시장 중심 마케팅 경쟁력의 패러다임으로서 전환적 사고가 요구되는 시기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시기에 구두산업은 운동화에 비하여 다품종 소량 생산의 가능성이 높은 여건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구두 디자인과 같이 Item에 따른 디자인 전공 세분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분야에서 패션 디자인학 전공과 산업 디자인학 전공의 융합교육 가능성을 재발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새로운 교육모델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는 사회진출에 있어 새로운 진로의 가능성을 열어주고자 한다.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찾아오시는 길
구분
  • 교내사이트링크
  • 대학/학과
  • 대학원

분류를 선택하세요

관련사이트 바로가기
  • 동서대학교
  • 국제교류센터
  • 민석도서관
  • 산학협력단
  • 경남정보대학교
  • 부산디지털대학교
  • 병무청
  • 대학교회
관련사이트 바로가기
  • 임권택영화예술대학
  • 디자인대학
  • 미디어콘텐츠대학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글로벌관광대학
  • International College
  • 바이오헬스융합대학
  • 경영사회과학대학
  • 미래커리어대학
  • 민석교양대학
  • Q College
관련사이트 바로가기
  • 일반대학원
  • 경영대학원
  • 선교복지대학원
(47011)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로 47 동서대학교 뉴밀레니엄관 5층 TEL : 051-320-1876

Copyright © 2017 by Dongseo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