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소개

    배수한

    배수한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국제관 7515호
    • 연락처051)320-1616
    • 이메일soonhanbae@hanmail.net
    • 학력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과 학사 , 세계경제 국제관계연구소(IMEMO, 러시아 모스크바) 박사
    • 경력1998 - 2000 부산대학교 국제지역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 주요활동국제관계, 한-러관계 , 담당교과목 : 국제정치의 이해, 국제관계의 이해, 초급러시아어, 국제비즈니스환경의 이해, 기업과 문화조직, 해외취업과 창업 등

    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과 학사
    세계경제 국제관계연구소(IMEMO, 러시아 모스크바) 박사

    경력

    1998 - 2000 부산대학교 국제지역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2000 - 2004 서라벌대학교 관광러시아어통역과 교수

    2005 - 현재 동서대학교 국제학부/민석교양대학 교수

    2005 - 2011 동서대학교 글로벌인력개발센터 소장

    2013 - 2014 동서대학교 종합인력개발원장

    2004 - 2011 국가정보원 한-러포럼 자문 교수

    2009 - 2010 부산일보 독자위원

    2008 - 2020 국제신문 매니패스토 교수평가위원(단장)

    2014 – 2015 한국시민윤리학회 회장

    2015 – 2018 동서대학교 학생처장

    2019 – 2021.동서대학교 총장비서실장

    2020 - 2021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회장

    2021 - 2022 사)21세기정치학회 회장

    연구활동

    연구분야 : 국제관계, 한-러관계
    담당교과목 : 국제정치의 이해, 국제관계의 이해, 초급러시아어, 국제비즈니스환경의 이해, 기업과 문화조직, 해외취업과 창업 등

    <주요 저서 및 논문>

    저서 : 한국과 러시아 관계, 경남대극동문제연구소, 공동저자, 2001
    21세기 유라시아 도전과 국제관계, 한울아카데미, 2006

    논문 : 러시아극동지역 에너지자원을 활용한 북핵문제해결방안, 2004
    세계한상대회 개최 파급효과, 2005
    통일한국을 위한 러시아 극동지역 거주 고려인 지원 및 활용방안, 2005
    남-북-러 3국 경제협력 방안, 2006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해외동포들의 인식과 역할, 2006
    정부-기업-한인네트워크를 활용한 Korea-Brand 증진방안 2007
    한-러관계 회고와 전망, 2007
    국내대학들의 해외인턴 현황과 발전방안, 2008
    부산 중소기업 - 한인기업 네트워크 모형개발과 실헌방안, 2008
    한-러관계 전망 및 발전방안, 2009
    한-미-일 학술윤리규정 고찰, 2008
    북핵 6자회담에 참여하는 러시아의 역할변화, 2010
    중앙아시아 물류시장 진출방안(공동연구), 2010
    영주귀국 사할린 동포의 실태와 개선방안, 2010
    연구윤리 확립을 위한 예방교육 시스템 구축방안, 2011
    19대 총선의 논문표절 문제와 세계 각국의 연구윤리, 2012
    2012 블라디보스톡 APEC정상회의 이후 한-러관계, 2013
    정택진

    정택진

    • 직위/보직명예교수
    • 연구실국제협력관 1507호
    • 연락처051)320-1672
    • 이메일tjjung@dongseo.ac.kr
    • 학력U.C Berkeley 사회복지학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학 석사
    • 경력1999-현재: 동서대 민석교양대학 교수 , 1999-2018: 대한상사중재위원
    • 주요활동English Conversation 1, 2 , Ubiquitous Business English 1, 2, 3

    학력

    U.C Berkeley 사회복지학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학 석사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 박사수료
    미국 ACCS M.Div 목회학 석사
    미국 ACCS D.Min 상담학 박사

    경력

    1999-현재: 동서대 민석교양대학 교수
    1999-2018: 대한상사중재위원
    2014-2016: 울산CBS방송 영어프로그램 방송출연 매주 월요일
    2011-2013: 동서대 미주분교장
    2009-2011: 동서대 학생복지부처장
    2003-2011: 동서대 동서글로벌프로그램 책임교수
    동서대 대학협력실장
    2003-2006: 부산CBS방송 영어프로그램 진행
    2006-2008: 부산시 영어마을 운영위원
    2003-2004: 경찰대학 외래교수
    2003-2005: APEC Cyber Education Consortium 사무국장
    2002-2005: 교육부 APEC 자문위원
    2001-2003: 동서대 한국학교육원 원장,
    1995-1999: 부경대 영어과 외국인교수
    1994-1995: 부산신학대학 (현 경성대 신학과) 외국인교수
    1987-1992: 미국 경찰 (Berkeley, California)
    1991-1992: 미주 동아일보 샌프란시스코 컬럼니스트
    1985-1987: Alameda County 청소년 보호관찰관 및 카운셀러
    1983-1985: 미주한인 TV 북가주 방송 기자

    사회봉사

    북가주한인체육회 사무총장역임
    U.C Berkeley 한인학생회장역임
    북가주한인대학생연합회장역임

    연구활동

    저서
    English Conversation 1, 2
    Ubiquitous Business English 1, 2, 3
    Comprehensive English 1, 2
    Youth Sunday School English 1, 2, 3, 4, 5
    Character Building 1, 2
    Understanding English speaking countries, 2019
    International Societies & Law, 2018
    American Society & Law, 2018
    Coexistense of multi-culture in Korean society, 2019

    주요논문
    영어말하기 능력평가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언어가 재미한국인의 민족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대학의 국제관광사업 참여의 타당성
    단순한 조건 영어학습 방법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
    이성수

    이성수

    • 직위/보직조교수
    • 연구실국제관 7210호
    • 연락처051)320-4264
    • 이메일seongsoo@dongseo.ac.kr
    • 학력1988. 03. 04 - 1992. 02. 21 부산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 문학사 , 1992. 08. 31 - 1995. 02. 24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 경력 2021. 03. 01~현재 동서대학교 민석교양대학 조교수
    • 주요활동2024. 12. 레바논의 정치변동과 내부 갈등 - 레바논에 대한 외부 세력 개입을 중심으로 , Political Change and Internal Conflicts in Lebanon: “Focusing on External Intervention in the Political Changes”

    학력

    1988. 03. 04 - 1992. 02. 21 부산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 문학사
    1992. 08. 31 - 1995. 02. 24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2000. 08. 28 - 2005. 02. 25 부경대학교 대학원 국제지역학 박사

    경력

    <교육경력>
    2021. 03. 01~현재 동서대학교 민석교양대학 조교수
    2015. 03. ~ 2020. 12.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부산대 교양교육원 초빙외래교수
    2005. 09. ~ 2021. 02.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부경대 교양교육원 초빙외래교수
    2006. 08. ~ 2017. 03. 동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겸임조교수
    2006. 03. ~ 2021. 02. 동서대학교 국제학부, 민석교양대학 강사
    2006. 03. ~ 2019. 06. 동아대학교 교양교육원 동아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사
    1997. 07. ~ 2014. 06. 부산외국어대학교(한국연구재단지원) 학술연구교수
    1997. 09. ~ 2021. 02. 부산외국어대학교 강사
    2006. 03. ~ 2007. 12. 부산외국어대학교 아시아지역연구소 연구원
    1997. 12. ~ 2004. 07.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연구원

    <사회단체경력>
    2025. 3. 24~ 현재 부산 MBC 라디오 자갈치 아지매, 자갈치일보 뉴스해설 담당 고정출연(매주 화, 목, 금)
    2025. 01. ~ 현재 '포럼 신사고' 대표
    2024. 06. ~ 현재 'SJ사회적 협동조합' 이사장
    2024. 08. 01. ~ 현재 부산광역시 중구 의회 정책연구용역 심의위원
    2024. 1. ~2024. 12 부산 cbs 라디오 국재일의 매거진B 고정 게스트
    2011. 03. 01. ~ 현재 부산선거관리위원회 선거방송 토론위원
    2021. 01. 01. ~ 현재 (사)21세기정치학회 연구이사
    2016. 01. 01. ~ 2023. 12. 31. 포럼신사고 사무총장
    2020. 01. ~ 2020. 12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총무이사
    2017. 01. ~ 2019. 12. (사)21세기정치학회 총무이사
    2018. 01. ~ 2018. 12.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총무이사
    2018. 04. ~ 2018. 05. 부산KBS 선거방송 토론위원
    2023. 01. ~ 2023. 12. 21세기정치학회 총무이사
    2023. 01. ~ 2023. 12.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연구이사

    <공무원-기업 및 기관 특강 경력>
    2011-2020 경남 공무원 교육원 -글로벌문화이해, 중견리더과정 공무원교육
    2018-2020 대구 공무원 교육원 공무원교육
    2011-2016 한국수력원자력교육원(고리) 아부다비 파견직원 교육 및 해외 파견신입사원 교육
    2012-2017 부산 교육청 <고교 글로벌 어학캠프>(하계, 동계) 아랍어 담당교수 (고등학생 아랍어 교육)
    2010-2018 경주 박물관 대학 <이슬람문화와 한국 문화> 특강, 국립 김해도서관 <이슬람 문화 강좌> 특강, 해군작전사령부 해군대상 특강, 금정문화회관, 정관도서관, 금정도서관 등 다수 특강

    연구활동

    1. 논문
    2024. 12. 레바논의 정치변동과 내부 갈등 - 레바논에 대한 외부 세력 개입을 중심으로 - Political Change and Internal Conflicts in Lebanon: “Focusing on External Intervention in the Political Changes”
    2022. 12. A Study on a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Biden Administration's Policy on JCPOA: A Constructive Perspective on Iranian Nuclear Issues, JCPOA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변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란 핵 문제에 대한 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KCI, 중동문제연구 제21권 3호] (단독)
    2022. 12. A Study on Political Changes in Syria, 시리아의 정치변동에 관한 연구 [KCI, 지역과정치 제5권 2호] (단독)
    2022. 08.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성공전략: 경쟁도시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의 유치전략 분석 비교” (사)한국지방정부학회 2022년 하계학술회의 자료집
    2021 까다피 이후 리비아의 정치변동[KCI: 국제정치연구] "A Study on political Change in Libya after Gaddafi " (단독)
    2019. 02. ISIS이후아랍세계의 변화와 이슬람포비아(Islamophobia) 현상에 대한 고찰[KCI: 한국이슬람학회] (단독)
    2018. 12. ISIS가 아랍민주화 및 아랍세계에 끼친 영향[KCI: 국제정치연구]An Influence of ISIS on the Process of Arab Democratization: the Rise of ISIS in Iraq and Syria (단독)
    2018. 06. 부산의 지역 거버넌스와 지역발전-부산정치지형의 변화와 부산신공항 논쟁을 통한 굿 거브넌스:  Local Governance and Regional Development of Busan [전문학술지: 지역과 정치] (단독)
    2017. 02. 아랍민주화가 걸프왕정국가들에 끼친 정치적⋅사회적 영향[KCI: 지중해지역연구] (단독)
    2016. 02. 아랍민주화 이후의 아랍사회 - 이슬람식 민주주의 적용 방안 -[KCI: 지중해지역연구] (단독)
    2016. 02. 타밈 안사리의 "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 -이슬람세계에 대한 진실과 오해사이에서--[KCI: 지중해지역연구]-북리뷰 (단독)
    2014. 06. 정치종교적 관점에서 본 아랍이슬람권에서의 한국인에 대한 테러 분석 The Study on Terror on S. Koreans in Arab & Islamic World Focussed on Political and Religious Viewpoints [KCI: 한국시민윤리학회보] (단독)
    2013. 02. 이슬람식 민주주의 모델과 아랍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리비아와 이라크를 중심으로-(The Model of Islamic Democracy & Democracy After Pro-democracy Movement in Arab Countries: focused on Libya & Iraq) [KCI: 한국중동학회논총] (단독)
    2012. 02. 이슬람의 '정치관'이 아랍사회에 미치는 영향-아랍국가의 민주화시위와 '이슬람식 민주주의'논의를 중심으로-(The Effect of Islamic Politics on Arab Society-Focused on Pro-democracy Movement in Arab Countries and Islamic Democracy-)[KCI: 한국중동학회논총] (단독)
    2010. 01. 이라크의 민주화에 관한 연구: 이라크전후 정치상황과 3번의 총선분석을 중심으로(Study on Democracy in Iraq: Focusing the Political Situation before and after American Attack in 2003 and Three Parliamentary Elections)[KCI: 국제정치연구] (단독)
    2009. 10. 한국의 중동정책-역사적 조망과 대중동정책의 비판을 중심으로-South Korea's policy to the Middle East -Focusing on the historical and critical perspectives to South Korea's policy to the Middle East-[KCI: 한국이슬람학회논총](단독)
    2009. 06. 이슬람의 인간권리와 정치관에 관한 연구[일반학술지: 국제지역학논총] (단독)
    2009. 02. 이란핵문제와 북한핵문제 비교연구 -미국의 대북-대이란 핵문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The Comparative Study on the Nuclear Issues of Iran and that of North Korea)[KCI: 한국이슬람학회논총] (2인 공동)
    2008. 06. 미국의 대외정책으로 본 중동정책과 한미동맹(The Middle East policy & Korea-US Alliance policy in the US foreign policy)[KCI: 국제정치연구] (단독)
    2008. 02. 미국의 대 '중동관' 및 '이슬람관'에 대한 연구(A Study on the US's Viewpoints in Middle East and Islam)[KCI: 한국이슬람학회논총] (단독)
    2007. 12. 두바이와 부산의 국제화 역량비교 연구[일반학술지: 국제지역논총] (단독)
    2007. 04. 이슬람교가 중앙아시아 전통문화에 끼친 영향 -중앙아시아 토속신앙과 샤머니즘을 중심으로(Influence of Islam on Central Asia's Traditional Culture)[KCI: 지중해지역연구] (단독)
    2007. 02. 제국주의로 본 미국의 중동정책(US Policy towards Middle East on View of Imperialism) [KCI: 한국중동학회논총] (단독)
    2006. 12.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과 미국의 중동전략[일반학술지: 국제지역통상연구] (단독)
    2006. 12. 이라크 딜레마에 빠진 미국의 선택 - 무엇을 선택하더라도 제국주의 전쟁 실패, 책임 인정해야(전문지-민족 21) (단독)
    2006. 09. 레바논 사태와 미국의 중동전략(전문지-이론과 실천) (단독)
    2005. 12. 아랍민족주의의 재고찰[일반학술지: 국제지역통상연구] (단독)
    2005. 08. 미국의 대 이슬람권에 대한 인식 연구 [KCI: 한국중동학회논총] (단독)
    2004. 12. 클린턴 행정부와 조지 W. 부시행정부의 중동인식과 중동정책 비교연구(United States Policy Towards Islam and Middle East)[KCI: 국제정치연구] (단독)
    2004. 12. 조지 W. 부시행정부의 이슬람 인식과 중동정책[일반학술지: 국제지역통상연구] (단독)
    2004. 10. 근대화의 시각에서 본 무슬림 여성과 유대여성(Muslim Women and Jewish Women in view of Modernization)[KCI: 지중해지역연구] (단독)
    2003. 12. 이슬람교가 아프리카토속문화에 끼친 영향(Influence of Islam in the Africa)[KCI: 종교연구] (단독)
    2003. 10. 이슬람주의로 본 아랍근대화와 여성(Modernization of Arab States and Muslim Women)[KCI: 지중해지역연구] (단독)
    2003. 03. 아랍-유대문화의 갈등과 공존(한국자유총연맹-자유공론) (단독)
    2002. 02. 중동문화속에서의 3대종교-이슬람교, 유대교, 기독교-비교연구(A Comparative study of Islam, Judaism, Christianity in Middle East Culture)[KCI: 지중해지역연구] (단독)
    2001. 07. 팔레스타인-이스라엘 갈등의 구조적원인과 해결방안(평화문제연구소-통일한국)
    2000. 01. 꾸란과 성경에 나타난 예수연구(A Study on the Jesus Christ in Quran and Bible)[KCI: 지중해지역연구] (단독)
    1998. 07. 팔레스타인-이스라엘 경제구조에 관한연구(A Study on Economic Structure of Palestine-Israel)[아시아지역연구소-아시아지역연구] (단독)

    2. 저서
    2025. 평화 Omnibus-전쟁, 공포·허위·진실(도서출판 뉴-워드사)-공저
    2020. 세계이슬람을 읽다. (출판사: 경진출판)-공저
    2018. 아랍과 이슬람 : 그 문명의 역사와 사상(출판사:모시는 사람들)-공저
    2018. 세계의 이슬람(출판사: 청아출판사)-공저
    2011. 지중해 무형문화재-(출판사: 한국학술정보)-공저
    2008. 세계변화속의 갈등과 분쟁(출판사: 세종출판사)-공저
    2007. 이슬람아랍중동(출판사: 부산외대출판부)-공저
    2005. 지중해의 근대화와 여성(출판사: 부산외대출판부)-공저
    1999. 중동지역학총론(출판사: 부산외대출판부)-공저

    3. 연구수행
    정부기관-한국연구재단 연구수행
    연구기간: 2020. 7. 1-2030. 6. 30 아랍세계의 정치변동에 대한 국가별연구-아랍주요 10개국 정치변동의 양상추적 (개인연구-단독)
    연구기간: 2019. 7. 1-2020. 6. 30 까다피이후 리비아의 정치변동에 관한 연구 (개인연구-단독)
    연구기간: 2015. 6. 1-2017. 5. 30 IS가 아랍민주화 및 아랍세계에 끼친 영향 (개인연구-단독)
    연구기간: 2014. 9. 1-2015. 8. 30 아랍민주화가 걸프왕정국들에게 끼친 정치적 사회적 영향(개인연구-단독)
    연구기간: 2011. 7. 1-2014. 6. 30 아랍시회의 민주화에 관한 연구-튀니지, 이집트, 리비아, 이라크의 민주화와 이슬람식 민주주의를 중심으로(개인연구-단독)
    연구기간: 2009. 7. 1-2010. 6. 30 동서양 영화속에 나타나는 영화민족주의 연구 (공동연구-연구책임)
    연구기간: 2004. 9. 1-2005. 8. 30 이슬람교가 중앙아시아 전통문화에 끼친 영향(개인연구-단독)
    연구기간: 2002. 8. 1-2005. 6. 30 지중해의 근대화와 여성 (공동연구)
    연구기간: 2001. 9. 1-2002. 8. 30 이슬람교가 아프리카 토속문화에 끼친 영향(개인연구-단독)
    연구기간: 2000. 9. 1-2001. 8. 30 중동문화속에서의 3대종교: 이슬람, 유대교, 기독교 비교연구(개인연구-단독)

    Post-Doc 연구수행
    연구기간: 2007. 4. 1-2008. 2. 30 미국의 중동관과 이슬람관
    김애진

    김애진

    • 직위/보직조교수/국제처 제2부처장
    • 연구실국제관 7101호
    • 연락처-
    • 이메일estherkim737@gmail.com
    • 학력2000 – 2002 경북예술고등학교(작곡 전공), 2002 - 2007 계명대학교 음악대학(오르간) 학사
    • 경력現, 동서대학교 학생취업·지원처 부처장, 現, 동서대학교 학생생활관 관장
    • 주요활동학술연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개발협력 교육,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김애진, 2016. 08

    학력

    2000 – 2002 경북예술고등학교(작곡 전공)
    2002 - 2007 계명대학교 음악대학(오르간) 학사
    2014 - 2016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국제지역⦁협력 국제학 석사
    2016 - 2019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국제지역⦁협력 국제학 박사

    경력

    現, 동서대학교 학생취업·지원처 부처장
    現, 동서대학교 학생생활관 관장
    現, 동서대학교 사회봉사센터장, 장애학생지원센터장
    現, 동서대학교 ESG 위원회 위원

    現, 한국동남아학회 교육협력위원회 위원(이사)
    現, 국제개발협력학회 국제교육개발협력분과 위원
    現, 국제정치학회 동남아분과 위원
    現, 글로벌지역학회 국제이사
    現, 한국국제협력단(KOICA) ODA 교육원 위촉 강사
    現, 울산, 대구, 광주 국제개발협력센터 세계시민교육 및 ODA 교육 전문가
    現, 한국국제협력단(KOICA) ODA 교육원, 대구, 울산, 대구, 광주 국제개발협력센터 세계시민교육 및 ODA 교육 전문가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아세안 법 아카데미 교육 전문가 과정 수료

    2007 – 2009 한국국제협력단 코이카 이집트 파견(음악교육 봉사단원)
    2009 – 2011 현대중공업 현대예술관 평생 교육사
    2011 – 2012 한국국제협력단 코이카 스리랑카 파견(봉사단 관리요원)
    2013 – 2013 한국전력 국제원자력 대학원대학교
    2013 – 2016 울산교육 문화재단 강사
    2016 – 2018 EBS 미디어 강사
    2017 – 2017 구미대학교 외래 교수
    2014 – 2021 한국국제협력단 ODA 교육원 강사
    2014 - 2021 한국국제협력단(KOICA) 대구국제개발협력센터 ODA 강사
    2018 - 2020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상경대학 경영학부 강사
    2019 - 2020 동국대학교 글로벌 융합연구소 연구원
    2019 – 2020 코이카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 동국대(경주) 강의 전담 교수
    2019 - 2021 한국해양대학교 계약 교수(교육혁신원, 기획처, 홍보담당관)
    2021 – 동서대학교 민석교양대학 조교수

    연구활동

    1. 학술연구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개발협력 교육,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김애진, 2016. 08
    - An Analysi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s ODA to Myanmar and Macroeconomic Factors in Myanmar: A Time Series Analysis using ARDL Approach, 세계지역연구논총, 한국세계지역학회, 딴툿우·김애진, 2019. 10
    - 한국-CLMV(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교육분야 ODA 분석 및 글로벌화 전략: 직업기술교육훈련을 중심으로, 인문사회21, 아시아문화학술원, 이현정·김애진, 2019. 10
    - 한국 교육발전경험을 통한 캄보디아 직업교육훈련의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평생교육⦁HRD 이현정·김애진·조흥국, 2019. 11
    - 지역연구 기반의 개발효과성을 위한 시론적 연구: 미얀마 달라(Dala), 흘라잉따야(HlaingTharyar)에 대한 교육개발협력,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김애진, 2020. 02
    - 미얀마의 재난관리와 인도적지원의 선택적수용에 대한 외부적 관찰, 아시아연구, 한국아시아학회, 김애진·구보경, 2020.12
    - Consideration of domestic expans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cusing on case studi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structors. 아시아연구, 한국아시아학회, 김애진, 2024.05
    - 교양수업 수강생의 세계시민성 변화,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인문사회과학연구, 김수정, 김민경, 김정선, 김애진, 2024.08

    2. 연구보고서
    - 베트남(호치민)의 민관협력 사례연구 및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 ODA 활성화 방안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GPAS, 김애진, 2017. 01
    - 민간협력에 기반한 개발협력모델 수립 연구, 한국수출입은행(EDCF), 김장생·박선희·김애진·편지은, 2018. 05
    - 미얀마(양곤)의 교육 현황 분석 및 한국형 교육 사업 진출 방안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KEEP, 김애진·조흥국·구보경·김세인, 2019. 10

    3. 학술대회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개발협력 교육의 국내 확산 방안 연구 : 세계시민교육을 중심으로, 국제개발협력학회 동계 학술대회, 김애진, 2016. 06
    - 한국-CLMV(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교육분야 ODA 분석 및 글로벌화 전략: 직업기술교육훈련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학술원, 김애진, 2019. 10
    - 동남아시아 지역연구 포럼, 미얀마 교육 ODA,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윤리경영전략센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02

    4. 단행본
    - 이기적인 NCS 직업기초능력평가 취업 활용 가이드, 영진출판사, 장민영·김애진
    - 이기적 NCS(국가직무능력표준) 직업기초능력평가, 영진출판사, 장민영·김애진
    - 묻고 쓰다. (자기계발 동기부여의 새로운 라이팅북), 한국캘리그라피센터, 김애진·김서영

    5. 출판물
    - 지속가능발전(SDGs)를 위한 세계시민 환경교육, 울산대학교 출판부
    - 모두의 미래를 위한 탄소중립교육(에너지편), 지식과감성 출판
    - 모두의 미래를 위한 기후대응 환경교육, 인디펍 출판사
    - 모두의 미래를 위한 탄소중립교육(생태편), 범고래마루 출판사

    수상

    - 2019년 1학기 우수 교과목 CQI 보고서 경주캠퍼스 총장상, 동국대학교(경주)
    - 우수 논문상, 아시아문화학술원(인문사회21), KCI 등재 학술지
    - 동서대학교 우수교원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