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법학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법학석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법학박사)
경력
- 전) 가톨릭대, 단국대, 상지대, 서울시립대, 숭실대, 연세대, 한국방송통신대, 한국체대 강사
- 전)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전문연구원
- 전) 단국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초빙교수
- 전) 상지대학교 미래인재대학 경찰법학과 초빙교수
- 전)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강사
- 전)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강사
- 전)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법무대학원 객원교수
- 전)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전문연구원
- 현) 대한교육법학회, 법과사회이론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연세법학회, 유럽헌법학회, 한국공법학회, 한국비교공법학회, 한국법철학회, 한국의료법학회, 한국헌법판례연구학회, 한국헌법학회, 헌법실무연구회 회원
- 현) 한국비교공법학회 홍보간사, 한국헌법판례연구학회 재무간사, 한국헌법학회 출판간사, 연세법학회 재무간사
- 현) 한국헌법학회 이사, 유럽헌법학회 이사
- 현) 유럽헌법학회 편집위원회 편집위원
- 현)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양성평등위원회 위원, 지방보조금관리위원회 위원, 공공디자인진흥위원회 위원
- 현) 부산사상경찰서 선도심사위원회 전문위원
- 현) 한국도로교통공단 북부운전면허시험장 청렴옴부즈만
연구분야
공법(헌법, 행정법), 헌법재판, 인권법, 기초법, 경찰법
연구활동
<도서>
- 「스마트 치료의 공법학」 (7인 공저, 박영사, 2024)
- 「현대사회와 권리실현의 문제: 갈등해결방법 모색을 중심으로」 (한국학술정보, 2009)
<논문>
- (2025.04) “현행 자치경찰제도에 대한 헌법적 소고”, 유럽헌법연구 제47호, 유럽헌법학회
- (2025.02) “개인정보 보호법과 가명정보 및 가명처리에 관한 헌법적 검토 - 헌법재판소 2023. 10. 26. 선고 2020헌마1476 결정을 중심으로 -”, 연세법학 제47호, 연세법학회
- (2024.12) “군 사법제도 개혁의 평가와 개선방안”, 헌법학연구 제30권 제4호, 한국헌법학회
- (2024.06) “출생등록제와 국가의 보호의무에 관한 헌법적 소고”, 법학연구 제34권 제2호,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 (2024.02)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in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 Cultural Criticism, vol.14, no.1,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 (2023.11) “다민족 사회에서 이주민의 법적 지위 및 기본권 주체성에 관한 헌법적 검토”, 연세법학 제43호, 연세법학회
- (2023.10) “생명과 헌법 – 정신건강을 위한 보건의료의 헌법이론적 기초 –”, 서강법률논총 제12권 제3호,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 (2023.09) “최근 혼인과 가족생활의 변화에 대한 헌법적 대응과 보장”, 헌법학연구 제29권 제3호, 한국헌법학회
- (2023.02) “다민족 및 다종교 사회에 있어 공휴일과 중립성에 관한 헌법적 연구”, 연세법학 제41호, 연세법학회
- (2023.02) “의료에서 메타버스 활용과 법적 쟁점”, 저스티스 제194-3호, 한국법학원
- (2022.12) “사법개혁과 개헌 방향에 대한 헌법적 관견”, 헌법학연구 제28권 제4호, 한국헌법학회
- (2022.10) “디지털 시대의 소외와 포용, 그리고 공법적 대응”, 법과사회 제71호, 법과사회이론학회
- (2021.12) “군 사법제도 개혁과 헌법적 의미에 대한 소고”, 연세법학 제38호, 연세법학회
- (2021.06) “성희롱의 법적 규제와 성적 표현의 자유의 관계에 대한 소고”, 법학연구 제31권 제2호,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 (2021.04) “교사의 정치적 기본권의 정당성에 관한 헌법적 고찰”, 미국헌법연구 제32권 제1호, 미국헌법학회
- (2021.03) “군사법원 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헌법적 소고”, 법학논총 제45집 제1호,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2020.12) “아동의 기본권 보장에 대한 헌법적 과제 - ‘노 키즈 존(no kids zone)’ 관련 정당성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논총 제37집 제4호,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 (2020.11) “지능정보사회의 입법과 기본권 보호의 상관관계에 대한 소고 - ‘데이터 3법’ 관련 개인정보 보호 논의를 중심으로 -”, 공법학연구 제21권 제4호, 한국비교공법학회
- (2019.12) “어린이집 CCTV 설치 및 운영에 대한 헌법적 쟁점과 과제 : 헌법재판소 2017. 12. 28. 2015헌마994 결정을 중심으로”, 법과사회 제62호, 법과사회이론학회
- (2019.08) “세속화과정으로서의 ‘종교와 헌법’ 간 조화로운 관계에 관한 일고찰”, 세계헌법연구 제25권 제2호,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 (2019.04) “종교와 국가의 미래적 상호관계에 관한 헌법적 소고 — 관용의 원칙을 중심으로 —”, 세계헌법연구 제25권 제1호,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 (2018.12) “다원주의적 정교분리 모델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미국헌법연구 제29권 제3호, 미국헌법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