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에너지전공교수소개

교수소개

    이정훈

    이정훈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전자정보관 2607호실
    • 연락처051-320-2620
    • 이메일junghoonlee@gdsu.dongseo.ac.kr
    • 학력UNIST (공학박사-에너지공학)
    • 경력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UCSB)
    • 주요활동Large Transconductance of Electrochemical Transistors Based on Fluorinated Donor–Acceptor Conjugated Polymers.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023, 15, 1629 (I.F = 10.4)

    학력

    UNIST (공학박사-에너지공학)

    경력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UCSB)

    연구활동

    -최근논문-
    1. Large Transconductance of Electrochemical Transistors Based on Fluorinated Donor–Acceptor Conjugated Polymers.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023, 15, 1629 (I.F = 10.4)
    2. Utilizing a Siloxane-Modified Organic Semiconductor for Photo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ACS Energy Lett. 2023, 8, 2595 (I.F = 24.0)
    3. A Semi‐Crystalline Polymer Semiconductor with Thin Film Stretchability Exceeding 200%. Advanced Science 2023, 10, 2302683 (I.F = 17.5)
    김정숙

    김정숙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밀레니엄관(NM) 1008호
    • 연락처051-320-1788
    • 이메일jkim28@gdsu.dongseo.ac.kr
    • 학력부경대학교 (공학박사 - 환경공학)
    • 경력부산연구원 연구원
    • 주요활동상하수도공학, 동화기술, 7인 공저

    학력

    - 부경대학교 (공학사 - 환경공학)

    - 부경대학교 (공학석사 - 환경공학)

    - 부경대학교 (공학박사 - 환경공학)

    - The University of Alabama, Tuscaloosa, 미국 (연구교수)

    경력

    - 부산연구원 연구원

    - 일본국립환경연구소 연구원

    - 일본 이바리끼현 과학기술진흥재단 연구원

    - 환경부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 연구원

    - 계명문화대학 환경공학과 교수

    - 동서대학교 스마트모빌리티학부 교수

    연구활동

    [단행본]

    - 상하수도공학, 동화기술, 7인 공저

    - 수환경 보전을 위한 생물학, 동화기술, 4인 공저


    [논문]

    - 김정숙 외 3인, Effect of the Operating Conditions on Methane Gas Hydrate Formation to Separate CH4 in the Bio-gas,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echnology, Vol. 17, No. 6, 570~578(2016.12.)

    - 김정숙 외 5인, 반류수 처리를 위한 완속교반/침전 그물망 압착식 섬유여과장치 개발, 한국수처리학회지, Vol. 22, No. 2, 89~97(2014.4.)

    - 김정숙 외 3인, The Effect Analysis of Climate and Watershed Characteristics on Precipitation Partitioning in Nacdong River Bain, Journal of KOSHAM, Vol. 13, No. 6, 1~6(2013.12.)

    - 김정숙 외 4인, A Study on Applicability of SUSTAIN in a Korean Urban Catchment,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9, No. 6, 730~738(2013.11.)

    - 김정숙 외 3인, Real-Time Drought index for Determining Drought Conditions in Natural Water Supply System Communities,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3, No. 5, 365-373(2013.10.)

    - 김정숙 외 3인, Development of Water Reusing System by Using Net3FM(Net Fit Fiber Filter Module), Journal of the EnvironmentalSciences, Vol. 21, No. 12, 1523~1528(2012.12.)

    - 김정숙 외 3인, Mass Balance-Based Model for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 from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0, No. 1, 11-19(2012.1)

    - 김정숙 외 2인, Estimation of Urban Nonpoint Pollution Source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 Ⅰ. The parameter estimation of SWMM for the calculation of influents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 at rainy seas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Science andTechnology, Vol 19, No. 4, 19-30(2011.8)

    - 김정숙 외 2인, 해조류 바이오매스로부터 고부가 유용물질 회수 및 청정연료 생산기술, 촉매학회지, 27(2), 10-30(2011.6)

    - 김정숙 외 2인, Control of residual organic matter to reduce bacterial regrowth potential for wastewater reuse, The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 24, No. 6, 1042-1046(2007.11)

    - 김정숙 외 2인, Parameter Estimation of Activated Sludge Model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15, No. 4, 11-18(2007.8)

    - 김정숙 외 1인, Electrolysis Characteristics of Shipboard Wastewater to Manage the Marine Pollu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15, No 1, 17-24(2007.3)

    - 김정숙, A study on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using the Rotifer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Vol. 16, No. 2, 227-232(2007.2)

    - 김정숙 외 1인, Rejection of Endocrine Disrupters Contained in Biologically Treated Sewage by using Nanofiltration Membrane Process, The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 23, No. 5, 1797-1810(2006.9)

    - 김정숙 외 1인, Effect of pH on the Rejection of Inorganic Salts and Organic Compounds using Nanofiltration Membrane, The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 23, No. 1, 28-33(2006.1)

    - 김정숙 외 3인, Effect of Influent Concentration in SBR Process using Activated Algae, Journal of Korean Technological Society of Water and Waste Water Treatment, Vol. 12, No. 3, 63-72(2004.12)

    - 김정숙, Improvement of Septic Tank by Immobilized Cell,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Vol. 21, No. 5, 393-400(2004.9)

    - 김정숙 외 2인, Effect of Alcaligenes faecalis on nitrous oxide emission and nitrogen removal in three phase fluidized bed process,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Health, Part A-Toxic/Hazardous Substances &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A39, No. 7, 1797-1810(2004.7)

    - 김정숙 외 1인, Improvement of Activated Sludge Process by Immobilized cell Ⅰ,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25, No. 10, 1233-1237(2003.10)

    - 김정숙 외 1인, Analysis of Estrogen Activity that contained in a Biologically Treated Sewage using ELISA and Estrogen Receptor Competition Assa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25, No. 4, 407-411(2003.4)

    - 김정숙 외 2인, Characteristics of N2O Production and Nitrogen Removal by Alcaligenes faecalis in Three Phase Fluidized Bed Proces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23, No. 8, 1295-1303(2001.8)

    - 김정숙 외 1인, Estrogenic Activity Assay of Endocrine Disruptors by Fluorescence Polarization System,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17, No. 1, 47-52(2001.1)

    - 김정숙 외 2인, Aquaculture Wastewater Treatment by Using Three Phase Fluidized Bed Process with Draft Tube, Jap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3, No. 2, 101-107(2000.4)

    - 김정숙 외 2인, Application to Microfiltration Process with Activated Sludge in Landfill Leachate Treatment,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15, No. 4, 535-541(1999.12)

    - 김정숙 외 4인, Biofilm Processes for Volume Decrease in Recirculating Water Treatment Systems for Aquaculture, J. Fish. Sci. Tech., Vol. 1, No. 2, 242-249(1998.12)

    - 김정숙 외 3인, Comparison of Al(Ⅲ) and Fe(Ⅲ) Salt Coagulants for Improving Water Treatment Process,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0, No. 7, 1005-1014(1998.7)

    - 김정숙 외 2인, Utilization of Organic Polymers for Improvement of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Vol. 7, No. 2, 217-221(1998.2)

    - 김정숙 외 1인, Investgation of Coagulation mechanism with Fe(Ⅲ) Salt Using Jar Tests and Flocculation Dynamics, Korean Society of Enviromental Engineers, Vol. 3, No. 1, 11-19(1998.1)

    - 김정숙 외 2인, A Study of Attached Biomass Back Washing in Fixed Film System,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Vol. 6, No. 3, 219-224(1997.11)

    - 김정숙 외 3인, Nitrifying Characteristics of Upflow Biofilm Processes i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13, No. 1, 35-42(1997.6)

    - 김정숙 외 2인, The Nitrate-nitrogen Removal by using Two Phase-Fluidized Proces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4, No. 4, 95-102(1996.12)

    - 김정숙 외 2인, Water Treatment of Aquaculture by using Two Phase Fluidized Bed Reacto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Science and Technology, Vol. 4, No. 3, 25-33(1996.9)

    - 김정숙 외 3인, Retrofit of Municipal Wastewater Plants for Nutrient Remov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4, No. 2, 37-47(1996.3)

    - 김정숙 외 1인, Recycling Water Treatment of Aquaculture by using Trickling Filter Process,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Vol. 29, No. 2, 230-237(1996.3)

    - 김정숙 외 1인, Comparative Study on Suspended Growth Activated Sludge vs Fixed Media Activated Sludg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9, No. 1, 23-30(1993.1)

    외 국내·외 학술 및 세미나 발표 수십여편


    [연구실적] (2008년 이후)

    - 터널 오탁수 처리수의 환경위해성 검토, (주)대우건설, 공동연구원(2008)

    - 해양환경기준설정 및 개선방안 연구, 국립수산과학원, 공동연구원(2008)

    - 하수슬러지 개질을 통한 지렁이 사육 및 분변토 활용의 활성화, 중소기업청, 공동연구원(2009)

    - 공극제어형 그물망 압착식 섬유여과장치 상용화, 중소기업청, 공동연구원(2009)

    - 유기산 제조 공정 연구, 농림수산식품부, 연구책임자(2010)

    - 해조류 바이오매스 통합공정 및 제품개발, 농림수산식품부, 연구책임자(2010)

    - 바이오매스용 해조류 대량생산 기술개발연구, 농림수산식품부, 공동연구원(2010~ 2011)

    - 그물망 압착식 섬유여과장치를 이용한 물 재이용 시스템 개발, 공동연구원(2011)

    - 반류수 인 제거를 위한 그물망 압착식 응집-고속 섬유여과시스템 개발, 중소기업청, 공동연구원(2011)

    - 메탄하이드레이트 고속 생산 기술 및 시스템 개발, 세진테크, 공동연구원(2012~2013)

    - 크러스레이트 하이드레이트화 기술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로부터 CH4, CO2 및 VOCs의 분리 및 저장기술 개발, 지식경제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공동연구원(2012~2014)

    - 일체형 완속교반침전조와 섬유여과기를 이용한 고농도 인 및 SS 함유 하폐수 처리시스템 개발, 중소기업청, 공동연구원(2014~2015)

    - 수산자원보호구역 이용실태조사,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책임자(2016~2017)

    - 고점도 푸룬 건과의 낱알 자동 포장기술개발, 중소기업청, 연구책임자(2016)

    - 엄궁유수지 비점오염저감시설 모니터링 연구용역, 부산시 사상구, 연구책임자(2017)

    - 부산시 사상구 엄궁유수지 내 인공습지의 수질 및 악취 개선에 관한 연구,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 연구책임자(2018)


    [특허 및 신기술, 실용신안]

    - 공극제어형 그물망 압착식 섬유여과장치, 특허 제 10-0938216호(2010.1.14)

    - 스크린을 이용한 섬유여과장치, 특허 제 10-1059410호(2011.8.19.)

    - 공극제어형 그물망 압착식 2단 섬유여과장치, 특허 제 10-1088059호(2011.11.23)

    - 상하 좌우로 움직임이 유연한 섬유여과장치용 여재걸게, 특허 제 10-1222638호(2013.01.09)

    -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 함유 하폐수처리용 교반, 침전 및 여과 일체형 하이브리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폐수처리 방법, 특허 제 10-2013-0128612(2013.10.28.)

    - 고속 교반을 이용한 가스 하이드레이트 연속 생성장치, 특허 제 10-2014-0113834(2014.08.29.)

    - 크러스레이트 하이드레이트 연속 생성을 위한 펠릿타이저 일체형 고속 교반 반응기, 특허 10-2014-0113836(2014.08.29.)

    - 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 함유 하폐수처리시스템, 특허 제 10-2015-0068227(2015.05.15.)

    - 에너지 효율 분석 시스템, 그리고 에너지 효율 분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특허 제 10-2015-0186828(2015.12.24.)

    - 전자석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특허 제 10-2016-0088294(2016.07.12.)

    - 하폐수처리 시스템용 완속교반 침전조, 특허 제 10-2017-0021094(2017.02.16.)
    김학민

    김학민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전자정보관 2603-1호실
    • 연락처051-320-4612
    • 이메일hakminkim@gdsu.dongseo.ac.kr
    • 학력연세대학교 (공학박사-환경공학)
    • 경력24.09 ~ 현 재 동서대학교 스마트모빌리티학부 조교수, 20.03 ~ 24.08 국립창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원 연구교수
    • 주요활동논문 게재 (SCI: 38건 , KCI: 8건), - Optimization of biogas-reforming conditions considering carbon formation, hydrogen production, and energy efficiencies, Energy, 265 (2023) 126273 (IF: 9.0, Rank: 3.9%)

    학력

    • 연세대학교 (공학박사-환경공학)

    경력

    • 24.09 ~ 현 재 동서대학교 스마트모빌리티학부 조교수
    • 20.03 ~ 24.08 국립창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원 연구교수
    • 22.09 ~ 24.08 국립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강사
    • 19.03 ~ 20.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박사후 연구원

    연구활동

    • 논문 게재 (SCI: 38건 , KCI: 8건)
    - Optimization of biogas-reforming conditions considering carbon formation, hydrogen production, and energy efficiencies, Energy, 265 (2023) 126273 (IF: 9.0, Rank: 3.9%)
    - Synthesis gas production from carbon dioxide reforming of methane over Ni-MgO catalyst: Combined effects of titration rate during co-precipitation and CeO2 addition, Fuel Processing Technology, 219 (2021) 106877 (IF: 7.1, Rank: 11.5)
    - Optimization of a renewable hydrogen production system from food waste: A combination of anaerobic digestion and biogas reforming, Waste Mangement 144 (2022) 272-284 (IF: 7.1, Rank: 11.5)

    • 연구과제 수행 (연구책임 2건)
    - 유기성폐자원 유래 바이오가스 및 소화잔재물로부터 수소생산을 위한 고성능 촉매 개발 및 공정 최적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세종과학펠로우십)
    - 유기성 폐자원의 수소화를 위한 맞춤형 공정 설계 및 촉매 개발 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박사 후 국내연수)

    • 특허 실적
    금속유기구조체 적용 수성가스 전이반응용 촉매의 제조방법 (등록, 10-2574101-0000)

    장은성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전자정보관 2604호실
    • 연락처051-320-4610
    • 이메일ces96@gdsu.dongseo.ac.kr
    • 학력University College London Engineering (Chemical) MSc
    • 경력2024 ~ 현재: 동서대학교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 연구교수
    • 주요활동3D microstructure design of lithium-ion battery electrodes assisted by X-ray nano-computed tomography and modelling

    학력

    University College London Engineering (Chemical) BSc
    University College London Engineering (Chemical) MSc

    경력

    2024 ~ 현재: 동서대학교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 연구교수

    연구활동

    3D microstructure design of lithium-ion battery electrodes assisted by X-ray nano-computed tomography and modelling

    장정국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응용공학관 4606호
    • 연락처051-320-1792
    • 이메일 jgjang@gdsu.dongseo.ac.kr
    • 학력부경대학교 - 환경공학 박사 : 연소 및 대기오염제어(1995)
    • 경력- 동서대학교 교수 에너지환경공학전공(현), - 부산시 교통공사 환경위원(현)
    • 주요활동<저서>, - 연소공학 장정국 외 2인 - 동화기술

    학력

    부경대학교 - 환경공학 박사 : 연소 및 대기오염제어(1995)

    경력

    - 동서대학교 교수 에너지환경공학전공(현)
    - 부산시 교통공사 환경위원(현)
    - 부산시 녹색성장위원회 위원(현)
    - 환경부 교육홍보위원
    - 낙동강 유역청 환경영향 평가위원
    - 수원시 RDF 발전시설 심의위원
    - 부산시 환경보전자문위원

    연구활동

    <저서>
    - 연소공학 장정국 외 2인 - 동화기술
    - 유체역학실험 장정국 외 2인 - 도서출판 구덕

    <논문>
    - 2단 선회류 유동층 연소장치의 성능에 대한 설계 및 조작변수의 영향(1991.02)
    - Effect of Parameters on Performance of Two-Stage Swirl-Flow Fluidized Bed Combustors(1991.04)
    - 소화 하수슬러지의 유동층 소각(I)-단단유동층 소각 특성(1992.04)
    - 재순환이 있는 2단 선회류 유동층 연소로에서 무연탄의 연소특성(1992.04)
    - Sulfur Oxide Emission and Limestone Utilization in Two-Stage Swirl-Flow Fluidized Bed Incineration of
    Sewaqe Sludge(1992.04)
    - 소화 하수슬러지의 2단 선회류 유동층 소각 특성(1992.04)
    - 소화 하수슬러지의 유동층 소각특성(1992.11)
    - 소화 하수슬러지의 유동층 소각시 석회석 주입에 의한 황산화물의 저감특성(1992.11)
    - Sulfur Oxide Emission and Limestone Utilization in Two-Stage Swirl-Flow Fluidized Bed Combustion of
    Sewaqe Sludge(1993.04)
    - 도시폐기물 소각공정에서 다이옥신류 생성에 관한 연구(1994.04)
    - 도시폐기물 소각공정에서 다이옥신류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1994.04)
    - 폐기물 소각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 방지설비의 성능평가 연구(1994.04)
    - 부산환경시설의 소각재 및 비산재에 대한 성분분석 연구(1994.08)
    -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nthracite and Bituminous Coal in a Two-Stage Swirl-Flow Fluidized
    Bed Combustor(1994.11)
    - 염색폐수 슬러지의 유동층 소각특성(1994.11)
    - 유동층 소각로에서 폐유-하수슬러지의 혼합소각특성(1994.11)
    - 유동층 소각에 의한 특정유해폐기물 소각설비 및 폐열 회수기술 개발(1994.11)
    - 상온 2단 선회류 유동층 연소로에서 미세입자의 비산유출 속도에 대한 상단 가스공탑속도의 영향 (1995.02)
    - 2단 선회류 유동층 연소로의 연소특성 및 대기오염물질 제어에 관한 연구 (1995.02)
    - 소각공정에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농도 예측에 관한 연구 (1996.10)
    - 산업폐기물 소각잔류물의 용융 고형시 첨가제 주입에 따른 용융 특성 (1996.09)
    - 상온 2단 선회류 유동층에서 상단으로의 입자 유입속도 (1996.06)
    - Fate of Gaseous Pollutants and Heavy Metals during Fluidijed Bed lncineration of Dye Sludge (1996.12)
    - 음식물 발효퇴비 내 염분의 용출 특성 (1997.10)
    - 2단 선회류 하수슬러지 유동층 소각로에서 단계적 공기주입에 의한 질소산화물 저감특성 (1998.04)
    - 선회용융로에서 용제주입에 따른 산업폐기물 소각잔류물의 용융고형화 특성 (1998.09)
    - 모세관 사이폰 현상을 이용한 부유물질 제거-상수처리공정 적용 가능성 평가- (2000.07)
    - Prediction of Gaseous Pollutants and Heavy Metals during Fluidijed Bed lncineration of Dye Sludge (2001.07)
    - 유동층 연소로에서 유-무연탄 혼합연소시 유연탄혼합비에 따른 연소효율 증진에 관한 연구 (2001.12)
    - 목재 건조공정 배기가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 (2001.12)
    - Enhancement of Combustion Effciency with Mixing Ratio during Fluidized Bed Combustion of Anthracite
    and Bituminious Blended Coal (2002.11)
    - , Effect of Cl/S Molar Ratio on Theoretical Partitioning of Heavy Metals under Waste Combustion Conditions (2002.11)
    - 폐기물 유동층 소각시 회재구성성분이 탈황에 미치는 영향예측 (2002.04)
    - 도시폐기물 소각재 용융공정에서 용융분위기에 따른 중금속거동 (2004.07)
    - A Mechanism of lnhibition of CaO-SO2 Reaction during Fluidized Bed Sludge lncineration (2005.11)
    - Effect of Ash Compositions on Air Pollutant Emissions during Fluidized Bed Sludge lncineration (2005.02)
    - 합판제조용목재 건조공정에서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배출특성 (2008.12)
    - Prediction of Bed Agglomeration Potential in Fluidized Bed Combustion Processes (2008.07)
    - Correlation between the Ash Composition and Melting Temperature of Waste Incineration Residue (2010.05)
    - A Study on the Operating Conditions to Eliminate Feepipe Backmixing for Fast Competitive Re (2011.08)
    - 그물망 압착식 섬유여과장치를 이용한 물 재이용시스템 개발 (2012.12)
    - 반류수 처리를 위한 완속 교반/침전 그물망 압착식 섬유여과장치 개발 (2014.04)
    - 푸룬 주스 생산 수율에 미치는 추출 기술의 영향 (2014.12)

    <발표논문>
    - Fate of Gaseous Pollutants and Heavy Metals during Fluidijed Bed lncineration of Dye Sludge (1996.10)
    - 발표음식물 쓰레기를 사용한 토양의 염분거동 (1997.11)
    - 선회용융로에서 용융첨가제 주입에 따른 산업폐기물 소각잔류물의 용융고형화 특성 (1997.05)
    - 2단 선회류 유동층 하수슬러지 소각로에서 석회석 주입에 따른 탈황특성(1997.05)
    -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에 관한 시민의식조사 (1998.05)
    - 모세관 사이폰 현상을 이용한 부유물질제거 (1998.10)
    - 부산시 음식물 쓰레기 발생의 특성조사 (1998.10)
    - 모세관 사이폰 현상을 이용한 부유물질제거-응집제 투여량에 따른 제거특성 (1999.05)
    - 모세관 사이폰 현상을 이용한 생물학적 하수처리수의 부유물질 제거 가능성 평가 (1999.05)
    - 섬유여재 여과장치를 이용한 부유물질 제거 (2001.11)
    - Prediction of Gaseous Pollutants and Heavy Metals using Thermodynamic Equilibrium Model dur (2001.02)
    - 섬유여재에 의한 부유물질 제거특성(섬유사 종류 및 충전밀도) (2002.05)
    - Effect of Ash Compositions on Gas Emission during Fluidized Bed lncineration (2002.11)
    - Effect of Chlorine Contant on Evapora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Waste lncineration (2002.09)
    - 폐기물 소각재 매립시 운전조건에 따른 중금속 용출특성 (2002.11)
    - 하수슬러지의 유동층 소각공정에 관한 경제성 평가 (2002.05)
    - 폐기물 유동층 소각시 알칼리 금속과 층응집 형성과의 상관관계 (2003.11)
    - 주물공정에서 화학사 사용에 따른 페놀 발생 특성 (2003.11)
    - TBP 용매추출법을 이용한 산세폐액 내 철 및 아연성분의 분리특성 (2003.11)
    - 회재중의 알칼리 금속성분의 응집특성에 미치는 영향 (2003.11)
    - 목재 건조공정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에 관한 연구 (2003.05)
    - 유기성폐기물의 자원화시설로부터 발생되는 VOCs/악취물질의 정성 및 정량분석연구 (2003.11)
    - Assessing Criteria on the Bed Agglomerate Formation during Fluidized Bed lncineration of Various Fuels (2003.10)
    - Biotrickling filter 장치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제거에 관한 연구 (2004.11)
    - 선회용융시스템에서 폐기물소각재의 용융에 따른 중금속거동 (2004.05)
    - 회재구성성분중 염기성산화물의 함량과 소각재 용융온도와의 상관성 (2004.05)
    - Characteristics of Toluene Removal in a Biotrickling Filter with Zeolite-Contained Polyethylene Media (2004.11)
    - 음식물쓰레기 사료화시설로부터 VOCs 및 악취물질의 배출특성 (2006.05)
    - 오징어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사료화공정으로부터 발생하는 냄새성분에 관한 연구 (2006.05)
    - 하수슬러지 소각재를 이용한 경량골재의 성형공정 최적화 (2006.05)
    - Preverting Bed Agglomeration by Adding lron Oxide during Fluidized Bed lncineration of Refused (2006.11)
    - Prediction of Bed Agglomeration Potential in Fluidized Bed Combustion Processes (2006.11)
    - EMBC 공법으로 처리된 피혁폐수처리장 방류수가 하수처리에 미치는 영향 (2007.05)
    - Correlation between the Ash Composition and Melting Temperature of Waste lncineration Residue (2008.08)
    - 하수슬러지 개질을 통한 지렁이의 사육 활성화에 관한 연구 (2010.11)
    - 그물망 압착식 섬유여과장치를 이용한 물 재이용 시스템 개발 (2012.05)
    - A Study on Effect of Adsorbent Addictives on Gas Hydrate Formation (2013.12)
    - Effect of Operating Temperature and Mixing Rate on the Productivity of the Methand Gas Hydrate (2013.12)
    - Effect ot Chemical Additives on the Behavior of Methane Gas Hydrate Formation (2013.12)
    - Characteristics of Methane Hydrate Formation with Subcooling Temperature (2013.12)

    <보고서>
    1. 장정국 외 5인, 청정소각 및 대기오염방지기계 기술개발-(난연성 폐기물 유동층 소각기술) (1995.05)
    2. 장정국 외 3인, 청정소각 및 대기오염 방지기계 기술개발(3)-난연성 폐기물 유동층 소각기술 (1996.12)
    3. 장정국 외 2인, 부산시 음식물 쓰레기의 최적 관리방안 (1997.09)
    4. 장정국 외 2인 , 발전소의 대기오염물질 배출패턴 모델 정립 (1997.09)
    5. 장정국 외 2인, 부산시 북구 화명소각장 쓰레기 성상조사 (1999.02)
    6. 장정국 외 2인, 배가스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배출농도 현황조사 (2001.11)
    7. 장정국 외 2인, 목재건조시설 배기가스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기초자료조사 (2001.10)
    8. 장정국 외 4인, 폐 수용성 절삭유의 재생가공 기술 개발 (2002.03)
    9. 장정국 외 1인, ㈜경개색소 폐수처리시설 진단 (2002.04)
    10. 장정국 외 1인, 공극제어형 여과장치 개발 (2002.06)
    11. 장정국 외 7인, 국대도 건설에 따른 강동2통 피해조사 보고서(환경분야) (2002.08)
    12. 장정국 외 2인, 다대소각장 소각시설 현대화 타당성 조사 (2005.11)
    13. 장정국 외 2인,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제거를 위한 biotrickling filter 장치 개발 (2005.04)
    14. 장정국 외 8인, 하수슬러지 개질을 통한 지렁이 사육 및 분변토 활용의 활성화 (2010.06)
    15. 장정국 외 3인, 그물망 압착식 섬유여과장치를 이용한 물 재이용 시스템 개발 (2012.06)
    16. 장정국 외 1인, 반류수 인제거용 응집-섬유여과공정에 적합한 응집게 개발 (2012.12)
    17. 장정국 외 6인, 크러스레이트 하이드레이트화 기술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로부터 CH4, CO2 및 V (2013.09)
    18. 장정국 외 2인, 메탄 하이드레이트 고속생산기술 및 시스템 개발 (2013.05)
    19. 장정국 외 7인, 하수처리장 방류수 내 인 농도 관리를 위한 반류수 최적 처리 방안 (2014.01)
    20. 장정국 외 6인, 반류수 인 제거를 위한 그물망 압착식 응집-고속 섬유여과시스템 개발 (2014.10)
    21. 장정국 외 6인, 크러스레이트 하이드레이트화 기술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로부터 CH4, CO2 및 V (2014.09)
    22. 장정국 외 8인, 푸룬 주스 생산을 위한 추출 효율 증진법 및 잔사의 사료첨가제 개발 (2014.06)
    23. 장정국 외 4인, 저온 유연성이 뛰어난 건설용 Waterproof sheet 개발 (2014.06)

    <특허>
    1. 휴대용 정수장치 (1999.11) -19990424
    2. 오폐수중의 부유물질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2000.07) -20000184
    3. 공극제어형 여과장치 (2002.11) -20020636
    4. 공극제어형 여과장치 (2002.11) -20020637
    5. 심층여과카트리지 (2003.10) -20031050
    6. 공극제어형 그물망 압착식 섬유여과장치, 특허 제 10-0938216호(2010.1.14)
    7. 스크린을 이용한 섬유여과장치, 특허 제 10-1059410호(2011.8.19.)
    8. 공극제어형 그물망 압착식 2단 섬유여과장치, 특허 제 10-1088059호(2011.11.23)
    9.상하 좌우로 움직임이 유연한 섬유여과장치용 여재걸게, 특허 제 10-1222638호(2013.01.09)
    10.크러스레이트 하이드레이트 연속생성을 위한 고속 교반반응기 (2013.09) -20130794
    11.고농도 인 및 부유물질 함유 하,폐수처리용 교반,침전 및 여과 일체형 하이브리드형 섬유여과장치 (2013.10) -20130792
    12.고속 교반을 이용한 가스 하이드레이트 연속 생성장치 (2014.08) -20140249
    13.크러스레이트 하이드레이트 연속 생성을 위한 펠릿타이저 일체형 고속 교반 (2014.08) -201402350
    조명찬

    조명찬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응용공학관 4층 4406호
    • 연락처051-320-1785
    • 이메일mccho@gdsu.dongseo.ac.kr
    노병일

    노병일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응용공학관 4층 4411호
    • 연락처051-320-1784
    • 이메일binoh@gdsu.dongseo.ac.kr
    김규현

    김규현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응용공학관 4층 4414호
    • 연락처051-320-1800
    • 이메일guehyun@gdsu.dongseo.ac.kr
    송승환

    송승환

    • 직위/보직교수
    • 연락처051-320-2016
    • 이메일shsong@gdsu.dongseo.ac.kr
    장민정

    장민정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응용공학관 2층 4203호
    • 연락처051-320-4809
    • 이메일mjang@gdsu.dongseo.ac.kr

    경력

    1. 동서대학교 화장품신소재학과 학과장 2022.03~
    2. 대구한의대학교 2009.03-2021.02
    3. 동서대학교 겸임교수 2008.09-2021.02
    4. 일학습병행제 전담인력-화장품제조 Level 3 학습프로그램 개발
    5. 중소벤쳐기업부기술개발사업 평가위원 2014~
    6. 농림부 기술개발평가위원 2016~
    7. KIAT기술개발 평가위원 2015~

    특허등록

    1. 도인피 추출물 및 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00891734
    2. 발효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101541842
    3. 발효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방지 및 항균 조성물 101541843
    4. 발효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 101685121
    5. 발효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주름 방지 및 항균조성물 101627242
    6.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방지를 위한 조성물 101936175
    7.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101904215
    8.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을 위한 조성물 101904216
    9.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산화 및 자외선차단을 위한 조성물 PCT/KR2016/015026
    10. 프로비타민 D3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01975387
    11. 저근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튼살예방 및 개선, 또는 항염용 조성물 102078736

    자격증

    1. ARC RA (미국아로마테라피스트자격증)
    2. 국제미용자격증(CIDESCO)

    연구활동

    1. 국책연구과제
    2. Elaeagnus multiflora 를 활용한 탈모완화 및 모발개선 제품 개발
    3. 찔레꽃을 이용한 열노화방지소재 및 제품개발
    4. 유색미를 이용한 맘&베이비용 고보습 화장품개발
    5. 이팝나무 유용성분과 종자유를 이용한 영유아용 화장품 개발
    6. 문제성피부를 위한 1,7-헵탄디카르복실산(아젤라산)을 대체하는 여드름균 억제 원료개발 및 제품 리뉴얼
    7. 적과복숭아를 활용한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원료 사업화 및 제품화
    8. 블루베리 잎을 활용한 다기능성 항노화 화장품 개발
    9. 예비맘 맞춤형 튼살 기능성화장품개발
    10. 활성형 비타민D를 함유한 투명한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 차단제 개발
    11. 곤충펩타이드를 활용한 피부친화성 화장품 개발
    12. 의성 한지형 생물자원의 고부가가치화 사업
    13. 섬오갈피 유산 발효물의 복합노화기전 연구 및 이를 활용한 생체유사막 화장품 개발
    14. 지역 농업 부산물(포도가지)을 활용한 피부장벽 회복 기능성 자외선차단제 개발
    15. 바이오전환기술을 이용한 유실수 부산물의 산업화 연구
    16. 친환경 사과 적과를 활용한 복합기능성 소재 개발 및 제품화
    17. 경북 화장품산업 육성사업
    18. 여주추출물을 첨가한 특수제형 (Liquid crystal) 기능성 바이오 신소재 개발
    김동원

    김동원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응용공학관 4412호
    • 연락처051-320-1972
    • 이메일dwkim@gdsu.dongseo.ac.kr

    학력

    1. 2003 고려대학교 생물공학과 학사
    2. 2005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석사
    3. 2014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세포발생학 박사 (Dr. Alan Johnson Lab)

    경력

    1. ㈜펩트론 연구원
    2. 존스홉킨스 의과대학교 피부과 박사후 과정 (Dr. Luis Garza Lab)

    연구활동

    1. 2014 – 2019 Stem cell clinical trial for conversion of stump skin to palmo-plantar type skin as a means of enhancing prosthetic use (Department of Defense, USA)
    2. 2017 – 2019 Testing fibroblasts stem cell to convert skin identity (2017-MSCRFF-3905; Maryland Stem Cell Research Funds, USA)
    3. 2020 – 2024 엑소좀 (exosome)의 생합성 및 조직재생능에 미치는 TLR3 활성화 기전 연구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신진연구)

    논문

    1. Specimen Collection for Translational Studies in Hidradenitis Suppurativa.
    Byrd AS, Dina Y, Okoh UJ, Quartey QQ, Carmona-Rivera C, Williams DW, Kerns ML, Miller RJ, Petukhova L, Naik HB, Barnes LA, Shipman WD, Caffrey JA, Sacks JM, Milner SM, Aliu O, Broderick KP, Kim D, Liu H, Dillen CA, Ahn R, Frew JW, Kaplan MJ, Kang S, Garza LA, Miller LS, Alavi A, Lowes MA, Okoye GA. Sci Rep. 2019 Aug 21;9(1):12207. doi: 10.1038/s41598-019-48226-w

    2. Noncoding dsRNA induces retinoic acid synthesis to stimulate hair follicle regeneration via TLR3. Kim D†, Chen R, Sheu M, Kim N, Kim S, Islam N, Wier EM, Wang G, Li A, Park A, Son W, Evans B, Yu V, Prizmic VP, Oh E, Wang Z, Yu J, Huang W, Archer NK, Hu Z, Clemetson N, Nelson AM, Chien A, Okoye GA, Miller LS, Chiaur G, Kang S, Jones JW, Kane MA, Garza LA†. Nature Communications 2019; 10(1): 2811-2824. (†First author and Co-corresponding author; IF 12.35)

    3. Hypothesis Letter: Wound-induced TLR3 activation stimulates endogenous retinoic acid synthesis and signaling during regeneration. Kim D and Garza LA. Exp Dermatol 2019; 28(4): 450-452.

    4. Simple cell culture media expansion of primary mouse keratinocytes. Kim S, Kim BW, Prizmic VP, Oh E, Yu V, Kim D†, Garza LA†. J Dermatol Sci. 2019;93(2):135-138. (†Co-corresponding author; IF 3.67)

    5. dsRNA sensing induces loss of cell identity. Zhou R*, Wang G*, Kim D*, Kim S, Islam N, Garza LA. J Invest Dermatol 2019; 139(1):91-99. (*Co-first author; IF 6.45); Commentary paper on this: J Invest Dermatol 2019; 139(1):17-19

    6. Injury, dysbiosis, and filaggrin deficiency drive skin inflammation through keratinocytes IL1-α release. Archer NK, Jo JH, Lee SK, Kim D, Smith B, Ortines RV, Wang Y, Marchitto MC, Ravipati A, Cai SS, Dillen CA, Liu H, Miller RJ, Ashbaugh AG, Uppal AS, Oyoshi MK, Malhotra N, Hoff S, Garza LA, Kong HH, Serge JA, Geha RS, Miller LS. J Allergy Clin Immunol. 2018; 6749(18):31295-8.

    7. Differentiation of Hen Granulosa Cells from Prehierarchal Follicles Following the Initiation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Signaling. Kim D and Johnson AL. Mol Reprod Dev 2018;85(8-9):729-737. (First author; IF 3.11)

    8. Regulation of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receptor (VPAC) signaling in undifferentiated hen granulosa cells. Kim D and Johnson AL. Mol Reprod Dev 2018;85(12):890-892. (First author; IF 3.11)

    9. Commentary; The negative regulator CXXC5: Making WNT look a little less disheveled. Kim D and Garza LA. J Invest Dermatol 2017; 137(11): 2248-2250.
    10. To control site-specific skin gene expression, autocrine mimics paracrine canonical Wnt signaling and is activated ectopically in skin disease. Kim D, Hossain MZ, Nieves A, Gu L, Yang NB, Oh SM, Park A, Han S, Ratliff TS, Qi J, Taube JM, Kang S and Garza LA. Am J Pathol 2016; 186(5):1140-50. (First author; IF 4.06)

    11.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angiopoietins during hen ovarian follicle development. Kim D, Lee J, Johnson AL. Gen & Comp Endocrinology 2016; 232:25-31. (First author; IF 2.58)

    12.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promotes differentiation and clock gene expression in granulosa cells from prehierachal follicles. Kim D, Johnson AL. Mol Repro Dev 2016; 83(5): 455-63. (First author; IF 2.32)

    13. TLR3 activation links tissue damage to epimorphic regeneration in the skin. Nelson AM, Reddy SK, Ratliff TS, Zhu AS, Hossain MZ, Kateseff AS, Chang E, Resnik SR, Page C, Kim D, Whittam AJ, Miller LS, Garza LA. Cell Stem Cell 2015; 17(2):139-51.

    14. Commentary; A new target for squamous cancer cells? Kim D, Garza LA. Exp Dermatol 2015; 24(1): 1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