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2001. 2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학사)
2007. 8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박사, 석박사통합과정)
경력
<교내>
2022. 9 ~ 2022. 12 사회과학대학 학장
2020. 8 ~ 2022. 8 사회복지학부/계열 학부장
2015. 2 ~ 2017. 8 학생상담센터 센터장
2011. 7 ~ 2015. 2 사회복지학과 학과장
2008. 9 ~ 사회복지학과 교수(~2010. 9 전임강사/ ~2014. 9 조교수/ ~2021. 9 부교수/ 2021. 10~ 정교수)
<교외>
2023. 1 ~ 2024. 2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장관급)
2022. 12 ~ 2023. 1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상임위원(차관급)
2022. 12 ~ 2024. 12 국무총리직속 사회보장위원회 민간위원, 제도통합전문위원회 위원
2023. 1 ~ 2025. 1 기획재정부 재정정책자문회의 민간위원
2022. 8 ~ 2023. 8. 여성가족부 정책자문위원회 여성정책분과위원회 위원
2022. 7 ~ 2023. 12 주택도시보증공사 양성평등위원회 외부위원
2022. 3 ~ 2022. 4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사회복지문화분과 자문위원
2021. 7 ~ 2022. 12 부산광역시 일생활균형지원센터 운영위원장
2021. 6 ~ 2023. 6 경북人(인구정책) 포럼 자문위원
2021. 6 ~ 2023. 6 부산여성가족개발원 비상임 이사
2021. 3 ~ 2023. 3 부산광역시 양성평등위원회 위원
2020. 11 ~ 2022. 11 부산광역시 정책연구용역심의위원회 위원
2020. 5 ~ 2022. 5 부산광역시 사회보장위원회 위원
2020. 1 ~ 2022. 8 부산일보 중앙로365 고정칼럼 게재
2020. 1 ~ 2021. 12 부산광역시 여성가족국 공적심사위원회 위원
2019. 6 ~ 2021. 6 부산광역시 일생활균형지원센터 운영위원
2019. 1 ~ 2022. 1 부산복지개발원 간행물발간위원회 위원
2017. 4 ~ 2018. 3 부산광역시 사상구 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
2015. 9 ~ 2017. 8 부산광역시 사상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2007. 9 ~ 2008. 8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연수연구원(박사후연구원)
<학회>
2022. 1 ~ 2022. 12 한국사회보장학회 이사
2022. 1 ~ 2022. 12 한국사회보장학회 학술분과 위원
2022. 1 ~ 2022. 12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연구분과 위원
2021. 7 ~ 2022. 7 한국사회정책학회 편집위원
2020. 1 ~ 2020. 12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편집위원
2019. 9 ~ 2021. 6 한국사회정책학회 편집위원
2017. 1 ~ 2017. 12 한국사회보장학회 편집위원
2015. 7 ~ 2017. 6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편집위원
2015. 7 ~ 2017. 6 한국사회정책학회 편집위원
2013. 7 ~ 2014. 6 한국사회정책학회 편집위원
2012. 7 ~ 2013. 12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분과 위원
2011. 7 ~ 2012. 6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편집위원
연구활동
<논문>
2021. 6. 스웨덴 인구담론 전환이 한국 저출산 정책에 주는 함의 : 뮈르달 부부의 인구정책 구상을 중심으로, 여성연구, 제 109권 2호, pp. 101-131.
2021. 3. 한국인의 복지태도 : 균열 구조의 형성과 변화. 보건사회연구, 제 41권 1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 42-60. 공저
2021. 2 대학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문사회21, 제 21권 1호, 아시아문화학술원, pp. 3063-3073.
2020. 9 한국의 아동정책은 젠더를 고려하고 있는가? 아동정책 기본계획에 대한 젠더분석. 여성연구, 제 106권 3호. pp. 33-61. 공저
2019. 12 한국사회 젠더갈등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제26권 제4호, 한국사회정책학회, pp. 131-160. 공저
2018. 11 기본소득, 누가 왜 지지하는가?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축소 담론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34권 4호, 한국사회보장학회, pp. 1-31. 공저
2018. 5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 대한 젠더 분석 – 저출산 담론의 재구성을 위하여, 비판사회정책, 제59호, pp. 103-152.
2018. 5 한국 2030세대의 청년정책에 대한 태도와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한국콘텐츠학회, pp. 386-396.
2016. 5 한국인의 보육정책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국가책임성, 정책선호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제 32권 2호, 한국사회보장학회, pp. 31-59.
2016. 5 남성의 성역할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요인에 대한 다층분석 : 26개 국가 비교, 사회과학연구, 제32집 2호, 경성대 사회과학연구소, pp. 271-299. 공저
2014. 11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의 양육 형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주관적 인식과 객관적 환경의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89 : 215-236. 공저
2014. 3 복지국가 제도와 남녀의 무급노동시간의 관계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사회정책, 21(1), 143-177.
2013. 8 복지국가와 일에 대한 태도 : 노동시장 제도와 일 몰입의 관계에 관한 비교연구, 사회보장연구, 29(3), 81-112. 공저
2013. 6 젠더레짐에 따른 성역할태도 결정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 – 스웨덴, 독일, 한국 비교-, 가족과 문화, 25(2), 90-128. 공저
2013. 3 보육서비스 행위자 분석을 통한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사회 연구, 33(1), 78-121.
2013. 3 복지국가의 제도와 기혼여성의 가족 내 경제적 지위의 관계에 관한 비교 분석, 사회복지정책, 40(1), 61-94. 공저
2012. 12 복지국가의 젠더격차와 성역할 인식차이의 관계에 대한 비교연구, 사회복지정책, 39(4), 175-203.
2012. 9 Static Numbers to Dynamic Statistics : Designing a Policy-Friendly Social Policy Indicator Framework. Social Indicators Research 108(3) : 387-400. 공저
2012. 5 복지국가의 가족정책이 성역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분석. 사회보장연구 28(2) : 211-241.
2012. 2 사회적 시간체제의 재구축 : 노동세계와 생활세계의 변화를 위하여. 비판사회정책 34: 237-289. 공저
2012. 2 한국 복지정치의 연결망 분석 : 18대 국회의 사회보험 입법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8(1) : 23-51. 공저
2010. 12 한국의 복지지표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0(2), 209-253. 공저
2009. 11 한국의 복지체제와 젠더 : 일가족양립정책 개혁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5(4), 281-305.
2009. 8 복지국가의 일가족양립정책 개혁과 여성 사회권 : 영국, 독일, 네덜란드의 개혁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5(3), 1-27.
2008. 3 기혼여성의 경제적 의존과 복지국가, 사회복지연구 36, 55-80.
2007. 12 복지국가의 정치·경제·문화·제도적 조건이 여성 노동시장 참가수준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35, 191-214.
2005. 8 세계화와 국민국가의 복지정책 자율성 : 다국적 제약자본이 우리나라 제약정책 결정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7, 5-30. 공저
2003. 9 아동양육 문제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여성의 근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남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여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2, 201-227. 공저
<저/역서>
가족복지론 : 정책과 실천의 통합적 이해, 신정 출판사. 2021. 공저
한국 사회의 이중구조와 생애주기적 불평등. 집문당. 제4장 “성인기 젠더 불평등과 이중구조”. 2015
끝나지 않은 혁명 : 성역할의 혁명, 고령화에 대응하는 복지국가의 도전. 나눔의 집. 2014. 공역(Esping-Andersen(2009), Incomplete Revolution : Adapting Welfare States to Women’s New Roles)
노르딕 모델 : 북유럽 복지국가의 꿈과 현실. 삼천리. 2010. 공역(Mary Hilson(2008), The Nordic Model : Scandinavia since 1945)
분배의 재구성 : 기본소득과 사회적 지분 급여. 나눔의 집. 2010. 공역(Bruce Ackerman, Anne Alstott and Philippe Van Parijs(ed)(2003) Redesigning distribution : Basic Income and stakeholder grants as Cornerstones for an Egalitarian capitalism)
<정책연구보고서>
2022-2026 국가재정운영계획 지원단 보고서 – 보건·복지 분야. 제6장 아동·가족 및 저출산 대책 개편 방안, 기획재정부·KDI, 2022.
청년정책 기본계획 특정성별영향평가, 여성가족부·한림대 산학협력단. 2021.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정책 전문영향평가, 보건복지부·아동권리보장원·협성대 산학협력단. 2021.
삶의 질/사회통합지수 및 보건복지 정책 지원을 위한 미래예측 모델 개발 – 사회통합지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1.
저출산 대응정책 패러다임 전환 연구(Ⅱ) : 저출산 대응 담론의 재구성,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0.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시안마련 지원 연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20.
중장기 저출산 대책 수립 연구 : 함께 일하고 함께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0.
성평등 관점에서의 저출산 대응 가족정책 과제 발굴. 여성가족부. 2019.
가족평등수준 측정을 위한 지표검토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여성가족부. 2019.
성평등 관점의 영유아 돌봄정책의 진단과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2019.
아동정책기본계획 특정성별영향평가. 여성가족부. 2019.
사회복지 분권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재정립 방안. 부산복지개발원. 2019.
4차 산업혁명과 복지국가 : 이론동향과 국민인식. 강남대학교 미래복지융복합연구소. 2018.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여성가족부. 2017.
사회적기업 성과분석. 고용노동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7.
복지국가로의 전환기, 사회지출의 성과는?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제3장 “청년정책, 평가와 과제”. 2017.
사회정책에 대한 국민 욕구 인지 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7.
지능정보사회 대비 사회정책 방안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나눔을 둘러싼 사회경제적 환경변화와 모금회의 대응,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17.
조선업 실업대책 모니터링 및 산업구조 개편에 따른 고용정책 개선방안 검토. 한국노동연구원, 고용노동부. 2016.
사회보장제도 장기정책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제5장 “한국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의 방향과 정책개선 과제”. 2016.
교육‧보육 지원방식 다양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원. 2015
복지정책에 관한 국민인식 조사 및 분석연구. 국민경제자문위원회, 강남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제3기 부산광역시 지역사회복지계획(2015-2018년). 부산복지개발원. 2014.
복지사각지대 발굴방안 연구. 경기복지재단. 2014.
사회보장 대상자별 심층조사 및 통계화 방안. 보건복지부. 2014.
여성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정책 개선과제 및 노사정의 역할.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2014.
맞춤형 고용·복지 전달체계 해외사례연구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Koreatech HRD 연구센터. 2014.
미래지향적 보건복지정책 추진 방향연구. 보건복지부. 2013.
지속가능한 맞춤형 복지전략 도입방안. 보건복지부. 2013.
고용보험 장기재정 전망 추계.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2013.
고용-복지 통합형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12.
제5차 남녀고용평등 및 일·가정양립지원 기본계획(안). 고용노동부. 2012.
고용복지 연계형 사회정책 개혁전략 : 공정사회를 위한 비전과 원칙. 고용노동부. 2011.
고용친화적 복지전략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1.
부산지역 공동모금회 의제설정을 위한 조사연구.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10.
새로운 복지지표체계 발굴 및 정책과의 연계방안. 보건복지부,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0.
일가족양립정책의 국제비교연구 및 한국의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 수행>
2013. 9 – 2014. 8 욕구 다변화에 대응하는 사회통합적 복지전략 비교연구 3차년도 (SSK 소형단계). 공동연구원. 한국연구재단.
2013. 7 – 2014. 6. Static numbers to dynamic statistics: Designing a policy-friendly social policy indicator framework. 공동연구원. 한국연구재단 우수논문사후지원.
2011. 9 – 2012. 8 욕구 다변화에 대응하는 사회통합적 복지전략 비교연구 1차년도 (SSK 소형단계). 공동연구원. 한국연구재단.
2011. 6. - 2012. 6. 한국 사회의 이중구조와 생애주기적 불평등. 공동연구원. 아산사회복지재단.
2011. 5 - 2012. 4. 복지국가 정책이 남녀의 노동시간 차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연구책임자. 한국연구재단 신진교수연구지원.
2010. 9 - 2011. 8 사회통합을 위한 대안적 복지전략 1차년도. 공동연구원.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지정주제연구.
2010. 5 - 2011. 4 기혼여성의 경제적 지위에 관한 다층분석. 연구책임자. 한국연구재단 신진교수연구지원.
2010. 7 - 2011. 6 복지정치의 메커니즘과 새로운 거버넌스 2차년도. 공동연구원.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
2009. 7 - 2010. 6 복지국가의 가족정책이 성역할 태도와 여성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분석. 연구책임자. 한국연구재단 신진교수연구지원.
2007. 9 - 2008. 9 한국 복지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비교사회정책연구 3차년도. 박사후 연수연구원.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
언론활동
<언론 기고>
2024. 9. "인구 대전환 시대, 도서관의 역할", 도서관 398호, 국립중앙도서관.
2024. 7. "인구위기의 현상, 본질, 해법 : 소멸과 재도약의 갈림길에서 우리의 선택은?" 지역사회 제5권 2호.
2024. 6. "지역의 인구정책, 그 대안은 청년에 있다", 2024년 18호 With U, 기획특집 기고, 울산광역시 복지가족진흥사회서비스원.
2024. 2. “초(超)정부 저출산 위기 대응이 필요하다”, 2024년 2월호 국회보 특집 기고
2024. 1. 16. “초저출산 위기 극복, 어떻게 할 것인가?”, 세계일보 특별기고
2023. 9. 27. “출산·양육이 행복한 선택될 수 있는 사회환경 만들기 위해 노력”, 조선일보 기고
2023. 6. “대한민국의 미래를 좌우할 일·육아 병행 지원의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포럼 제 76호 권두언.
2023. 3 “저출산고령사회 정책의 평가와 발전 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2023년 3월호 기고
2022. 7. 28. “뉴노멀 시대, 고령화 정책”,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2. 6. 16. “영화 ‘브로커’가 던지는 질문들”,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2. 5. 5. “돌봄서비스, 기본과 혁신의 콜라보”,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2. 3. 24. “죽음에 무뎌진, 고립에 무심한 사회”,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2. 2. 8. “지방소멸 위험의 허와 실, 그리고 대안”,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1. 12. 23. “간병 비극 막기 위한 돌봄 사회 전환의 과제”,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1. 11. 9. “한국에서 이주 아동·청소년으로 사는 것”,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1. 10 “청년을 위한 진정한 뉴딜”, 정책과 도서관 제10월호 고수의 한마디, 국립세종도서관.
2021. 9. 23. “1인 가구 시대, 필요한 대책과 인식 전환”,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1. 8. 10. “홈루덴스 시대, 필요한 주거복지권 보장”,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1. 6. 29. “청년을 지원하는 촘촘한 사회안전망이 시급하다”,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1. 5. 18. “뉴노멀 시대, 가족정책의 발상 전환이 필요하다”,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1. 4. 6. “부산 복지혁신 위해 공공성 강화 필요하다”,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1. 2. 23. “미래 전략 없는 출산장려금 지급 경쟁 막아야”,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1. 1. 12. “아동 인권, 새로운 인식과 해법이 필요한 때”,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0. 12. 3. “절망 속 조용한 아우성, 청년 여성을 구하라”,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0. 10. 22. “방역, 복지시설 폐쇄와 격리를 넘어”,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0. 9. 8. “의료서비스 공공재 논쟁이 던지는 과제”,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0. 7. 28.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진짜 필요한 뉴딜”,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0. 6. 16. “아이들의 수난사, 끝내지 않으면 미래는 없다”, 부산일보 [중앙로365]
2020. 4. 30. “미투 후 2년,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 부산일보 [중앙로 365]
2020. 4. “감염병이 던진 일·생활 균형에 대한 단상”, 여성우리, 63호, 2020. 4. 부산여성가족개발원.
2020. 4. “코로나19 재난이 드러낸 한국의 일·가족 양립 현실 : 위기로 끝낼 것인가, 변화의 기회로 만들 것인가?” 월간 공공정책 174호, 2020. 4. 한국자치학회.
2020. 3. 24. “코로나19 재난, 복지국가의 역할을 묻다”, 부산일보 [중앙로 365]
2020. 2. 11. “저출산 대응, 새로운 관점과 전략이 필요하다”, 부산일보 [중앙로 365]
2019. 3 “저출산, 진정 해법은 없는가”, 월간 공공정책 2019년 3월호, 통권 161호, pp. 11-14, 한국자치학회.
2017. 4 “저출산과 고령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복지이슈 Today 2017년 4월호, 서울시 복지재단.
2016. 2 “보육의 공공성 확보 위한 협의 정치 필요”, 월간 공공정책 2016년 2월호, 통권 제124호, pp. 11-14, 한국자치학회.
2015. 11. 24. “청년실업, 교육·고용 연계 해결을”, 서울신문 [이슈 & 논쟁] 청년수당
2015. 1. 14. “가부장 사고가 빚은 비극... 부인·자녀는 남편 소유물 아니다”, 여성신문 오피니언 기고.
2013. 10 “일·가정 양립지원정책의 방향과 과제“. 지역사회 2013 가을호(10월), 통권 제69호, pp. 88-94, 한국지역사회연구소.
2013. 5 “한국의 일·가정 양립 현실과 대안 : 우리, 행복하기 위한 조건“. 월간 복지동향 2013년 5월호.
2011. 3 “한국의 보육정책에 대한 비판과 대안 : 정책 개선의 문제인가? 패러다임 전환의 문제인가?“ 황해문화 2011년 3월호, 통권 제70호, p. 85-110, 새얼문화재단.
수상
2007. 10.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우수논문상
2012. 2. 동서대학교 총장상 (우수연구상)
2020. 5. 2020년 1학기 우수 영상콘텐츠강의 교원 선정
2020. 8. 2020년 1학기 인문사회계열 우수강의교원 선정
2021. 8. 2021년 1학기 인문사회계열 우수강의교원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