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교수소개

교수소개

    박미선

    박미선

    • 직위/보직학과장/부교수
    • 연구실뉴밀레니엄관 NM303
    • 연락처051-320-1701
    • 이메일nanook@gdsu.dongseo.ac.kr

    학력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영상예술전공 (박사수료)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영상미디어학과 (석사)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문헌정보학과 (문학사)

    경력

    LG헬로비전 남부미디어국 지역채널 심의위원(2022)
    제13회 DMZ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2021 DMZ 인더스트리 심사위원(2021)
    부산MBC 프로그램 합평회 외부전문위원 (2018~현재)
    부산광역시 도시재생지원센터 제2기 도시재생 서포터즈 영상홍보단 지도교수 (2017)
    CJ헬로비전 부산방송 시청자위원 (2017)
    부산콘텐츠마켓(BCM) 조직위원 (2016)
    청주대, 한성대 겸임교수
    건국대, 공주대, 홍익대 강사
    ㈜한국씨네텔, 미디어 길 PD
    ㈜MBC 교양제작국, ㈜제일기획 Q채널 방송작가

    수상경력 :

    2008 볼리비아 인권국제영화제 RED EYE PRIZE (다큐영화 ‘초롤케의 딸’)
    2006 제11회 부산국제영화제 경성펀드 (다큐영화 ‘초롤케의 딸’)
    2006 한국독립제작사협회 (KIPA) 우수상 (KBS 수요기획 ‘소년광부 페드로’)
    2006 제7회 대한민국 영상대전 장려상 (16mm단편영화 I’m not sad)
    2005 방송위원회 우수프로그램 부문 최우수상 공동수상 (Q채널 ‘이것이 미래교육이다’)
    2004 방송위원회 11월 이달의 좋은 프로그램상 공동수상 (Q채널 ‘이것이 미래교육이다’)
    2002 제14회 한국방송프로듀서상 (EBS특집다큐 ‘아이스링크의 작은 거인들’)

    연구활동

    <논문>

    [Visible Evidence Conference를 통해 본 다큐멘터리 연구동향] 다큐멘터리연구 1호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 - 미학적 분석과 그 의미] 영화연구 53호
    [오디오비주얼 필름 크리틱: 학문적 영화비평으로서의 가능성에 관하여] 제2저자, 영화연구 82호


    <작품>

    TV

    EBS 세계테마기행, 다큐프라임, 똘레랑스, 하나뿐인 지구, 다큐매거진 현장
    KBS 수요기획 '세계의 아이들' 편, 세계는 지금
    MBC 포토에세이 사람 (사람, 사진으로 쓰는 이야기)
    Q Channel 아시아리포트, 이것이 미래교육이다
    채널CGV 영화의 힘
    tvN 리틀빅히어로


    영화

    장편 다큐영화 ‘초롤케의 딸(Daughter of Chorolque)’(84min.) 기획,구성,촬영,편집,연출

    -국내 영화제 초청 상영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07
    Gwangju Human Rights Film Festival 2007
    Film Festival for Woman Rights 2008
    ACF Showcase 2008

    -해외 다큐멘터리 영화제 초청 상영
    Black Movie Film Festival 2008
    DOK.FEST Munich 2008
    ONE WORLD International Human Rights Documentary Film Festival 2008
    The 9th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ONE WORLD 2008
    ONE WORLD Berlin 2008
    Bolivia Human Rights Film Festival 2008
    Delhi International Ethnographic Film Festival 2008
    Iran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2008
    Taiwan International Documentary Festival 2008
    Bigpond Adelaide Film Festival 2009
    57th Trento Film Festival 2009
    Parnu International Documentary and Anthropology Film Festival 2009

    그 외,

    장편 다큐영화 ‘미스터 컴퍼니’(85min.) 편집
    -제17회 부산국제영화제 비프 메세나상 수상작
    이자혜

    이자혜

    • 직위/보직교수/학생생활상담센터장
    • 연구실뉴밀레니엄관 NM311
    • 연락처051-320-1895
    • 이메일jhcybele@dongseo.ac.kr / jhcybele@nate.com

    학력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문학사)
    파리 3대학(SORBONNENOUVELLE)대학원 영화영상학과 (공연예술석사)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수료

    경력

    (현)부산MBC 사외이사

    (현)부산콘텐츠마켓 자문위원

    (현)부산광역시 사상구 정책실명제 심의위원회 위원

    (현)부울경언론학회 편집위원

    (전)부산광역시 지역방송발전위원회 위원

    (전)부산MBC 시청자위원

    (전)한국다큐멘터리학회 이사

    (전)MBC 교양제작국

    (전)제일기획 Q채널

    (전)창인사 <월간스크린> 취재기자

    논문

    Chris Marker 작품에서의 시간의 이미지 연구 (석사논문 / 2001)

    대안적 이미지로서의 기억이미지 연구 (아시아예술과학학회 / 2005)

    Diversification cf Digital Contents Genre Using Game World Design( 아시아예술과학학회 / 2006)

    다큐멘터리 표현방식의 다양화를 위한 연구 :불가시적 이미지의 가시화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 2007)

    영화와 게임의 호환 가능한 Story Value 분석 (한국HCI학회 / 2008)

    매체 상호간 공유 가능한 Story Value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2008)

    2010년 크리스 마커의 <태양 없이 Sans Soleil>에 나타난 시간의 재현 방식 연구(한국프랑스학논집)

    2012년 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의 동성애 재현과 담론(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3년 재창조로서의 리메이크, <현기증>의 계승과 변형으로서의 <환송대>

    2014년 TV 시청에서 기기에 따른 몰입(Flow) 경험의 차이(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2014년 들뢰즈의 예술론을 통해 성찰한 다큐멘터리의 미학적 방법론 : 프루스트와 기호들의 기호의 해독과 생산을 중심으로(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016년 <쇼아(Shoah)>를 통해 고찰한 다큐멘터리에서의 은유의 활용(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17년 에세이 영화의 사유의 형상화 방식 - 크리스 마커의 <미래의 기억>을 중심으로 -(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2019년 오디오비주얼 필름 크리틱: 학문적 영화비평으로서의 가능성에 관하여(영화연구)

    작품

    MBC 다큐멘터리 <한국의 일본 대중문화> 3부작 외 30여 편 기획/작가 (MBC, KBS, SBS, Q채널- 1989년~2004년)

    Q채널 개국특집 다큐 <제3의 전쟁, 이제는 문화다> 작가(1995) : 한국 언론학회 선정 기획보도부문 대상 수상

    영화진흥위원회 독립영화 제작지원 당선작 다큐멘터리 <금, 禁> 기획/연출 (2004)

    CBS 특집다큐멘터리 <바이블루트> 4부작 작가 (2005)

    장편영화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메이킹 필름 다큐 기획/연출 (2006)

    동서대학교 TV CF 기획/카피 (2007)

    공익광고협의회 한일공동캠페인 ‘에너지절약’ 편 기획 (2008)

    <불편한 진실, 빛공해의 악몽> 지획/프로듀싱 (한국콘텐츠진흥원 제작지원작/KBS 방영/2012)

    부산MBC 신년특집 다큐멘터리 <비푸드의 항해> 제작총괄(2025)

    저서

    시선과 담론(공저/2008)

    영상 이론과 실제(공저/2012)

    영상과 상호미디어성(공저/2013)

    방송 콘텐츠 기획(단독/2015)

    영상 아포리아(공저/2019)
    오종서

    오종서

    • 직위/보직교수/미디어센터장/학교기업 DSM&C 사장/교육방송국주간교수 및 대학신문사주간교수
    • 연구실뉴밀레니엄관 NM308
    • 연락처051-320-1542
    • 이메일johnsiroh@hanmail.net

    학력

    고려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
    영국 University of Brighton 디지털방송제작 및 경영학 석사
    고려대학교 언론학 박사(ABD)
    미국 University of Kentucky, School of Journalism and Media, 방문교수

    경력

    MBC 문화방송 교양제작국 프로듀서 (1994~1997)
    - 주요프로그램:
     <경찰청사람들>,<이야기 속으로>등 제작

    iTV 경인방송 예능제작국 4CP 책임프로듀서 (1997~2004)
    - 주요프로그램:
    <생방송! 모닝데이트>
    <김형곤 쇼>
    <김원희,손창민의 삼일간의 사랑>
    <최양락,이봉원의 소문 만복래>
    <으랏차차 아줌마(MC 홍서범,조혜련)>
    <유쾌한 쇼킹(MC 로버트할리, 이다도시, 티모시 등)>
    <만보! 지그재그(MC 지수원,윤정수,이동우)>
    <뮤직엔조이>,<영화가 좋다>, <오PD의 놀라운 발견> 등 기획, 제작

    영국 BBC R&D External Researcher (2005)

    인명사전 등재
    Who's Who of World's Leading Experts in IDTV, Media Management and Economics
    : 세계를 이끄는 IDTV, 미디어 경영과 경제학 분야 전문가 인명사전에 등재

    교내활동
    - 방송영상전공 책임교수(역임)
    - IPTV 교육방송국/신문사 주간교수
    - IDTV 연구회 지도교수
    - 영어성경공부반 지도교수

    교외활동
    - 부산일보 뉴미디어연구소 자문위원 (역임)
    - 부울경언론학회 연구이사 (역임)
    - 부산 콘텐츠마켓 자문위원
    - 고려대학교 교우회 제30대, 제31대,32대 상임이사
    - 한국음향학회 이사

    연구활동

    -논문 및 학술 발표
    Interactive Drama using PVR solution: New challenge to interactive revolution (EuroITV Forum, 2006)
    디지털방송의 양방향 콘텐츠 관리: 개인형 비디오레코더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07)
    디지털 양방향 방송의 장애 시청자 접근성 연구 (한국콘텐츠학술대회, 2008)
    양방향TV 프로그램의 사용성 평가: 스카이터치 채널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08)
    선거방송의 영상처리기법 분석: 2006년 5. 31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공동연구) (한국방송학회, 2008)
    디지털방송의 신문 콘텐츠 수용에 관한 연구 (동서논문집,2008)
    Scenario Planning after Digital Switchover in S. Korea (KCA, 2009)
    TV 매체를 통한 시청자의 사회적 커뮤니티 참여: 소셜TV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술대회, 2009)
    Mobile TV 3.0 : 디지털방송의 새로운 진화 (한국콘텐츠학술대회, 2010)
    Google and your friends, which of them do you believe?: New suggestion of social networking search (C&T 2011, Ambient Media Workshop, Brisbane, Australia)
    시청공간을 넘어 새롭게 소통하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1)
    아날로그 텔레비전의 메멘토 모리: 자기민속지학적 방법론을 통한 성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1)
    디지털 방송의 시청 접근성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2)
    서바이벌 음악 프로그램에 나타난 경쟁 담론 읽기: ‘나는 가수다’를 중심으로 (영상예술연구, 2012)
    인정투쟁의 관음적 수사 -마이클무어의 <자본주의 러브스토리> 엿보기(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3)
    1956년 서울, 벤야민과 마주치다 -영화 <서울의 휴일>과 대도시의 알레고리 (영상예술연구, 2013)
    음식으로 소통하기: 밥 권하는 미디어 (한국언론학회, 2014)
    공동제작 프로그램의 문화적 다양성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4)
    밥 권하는 미디어: 미디어의 음식담론을 중심으로(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17)
    Disciplinary,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Factors Affecting Researchers' Depositing Articles in Institutional Repository: An Empirical Analysis(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018, SSCI논문)
    Researchers’ article sharing through institutional repositories and ResearchGate: A comparison study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2020, SSCI논문)
    Remediated Food in Media : Revised model of Lévi-Strauss’ Culinary Triangl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2023)

    -저서
    방송연출과 프로듀싱(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고령사회의 행복상상(공저, 공동체출판사, 2016)

    - 리딩패킷
    편집의 미학(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텔레비전 스튜디오의 제작 핸드북(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제작(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김용성

    김용성

    • 직위/보직부교수
    • 연구실뉴밀레니엄관 NM316
    • 연락처051-320-1896
    • 이메일yskim1173@gdsu.dongseo.ac.kr

    학력

    고려대학교 사학과 졸업(문학사)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언론홍보학과 졸업(언론학석사)
    동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언론영상광고학과 졸업(언론학박사)

    경력

    부산MBC 사회부장,정경부장,보도제작부장
    부산MBC 보도국장,심의담당국장
    부산MBC 상무이사

    미주리주립대학교 방문연구원
    경성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누리사업교수
    동서대학교 영상매스컴학부 겸임교수
    BCU부산콘텐츠유니버시아드 집행위원
    부산광역시 개인정보보호 관계기관협의회 위원(현)
    부산영어방송 청취자위원회 위원장(현)

    수상
    제2회 방송문화진흥회 공익프로그램상(2004)
    제16회 봉생문화대상 언론부문(2005)
    제4회 방송문화진흥회 공익프로그램상(2005)

    연구활동

    TV다큐작품
    2부작 다가오는 중국(1992)
    3부작 임진문화전쟁(1994)
    4부작 세계의 자동차도시(1995)
    3부작 바다를 살리자(1996)
    2부작 전시컨벤션산업의 미래(2002)
    3부작 부산,부산사람들(2004)
    2부작 신조선책략(2005)
    2부작 신공항전쟁(2016)

    저서
    제국의습격-영화,역사를 말하다(2008)
    탐욕과생존(2012)

    논문
    보도제작 프로그램 제작을 통한 산학협력 운용과 문제점에 대한 연구보고서(언론학석사학위논문,2006)
    <진링의 13소녀>의 서발턴 서사의 스토리텔링(영상기술연구30집,2019)(공저)
    난징대학살의 영화적 재현 연구(언론학박사학위논문,2020)
    <모가디슈>의 탈이데올로기와 형제애 신화(영상기술연구 39집, 2023)
    <강철비>의 북핵 서사 연구(아태융합연구교류논문지9집,10권,2023년10월)
    김세환

    김세환

    • 직위/보직조교수
    • 연구실NM303
    • 연락처051-320-4615
    • 이메일sehwan@gdsu.dongseo.ac.kr

    학력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학사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

    독일 University of Mannheim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

    경력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강의교수(2022~2024)

    한국콘텐츠진흥원 주임연구원(2019~2022)

    교외활동

    한국소통학회 이사

    한국지역언론학회 이사

    서울장애인조정연맹 이사

    연구활동

    논문
    Prioritizing the effects of global OTT services on the local industry: key findings from korea(영상기술연구, 2024)

    캐릭터 앵커리지 효과의 구동 원리와 응용 연구(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24)

    친환경 영상제작의 제도적 방안 연구: 영국, 프랑스, 독일의 친환경 이니셔티브 비교분석을 중심으로(영상기술연구, 2023)

    넛셸테크닉을 활용한 원작과 리메이크작의 서사 비교연구: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과 <조제>를 중심으로(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23)

    영상콘텐츠 제작특화 탄소계산기 국제 비교연구(문화와 융합, 2021)

    친환경 영상콘텐츠 제작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해외 사례 비교 연구(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지, 2021)

    지역콘텐츠 제작지원 사업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이용만족, 재이용의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지역과 문화, 2021)

    지역콘텐츠 지원정책 개선을 위한 다학제적 접근: IPA 기법을 중심으로(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지, 2021)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framing nanotechnology: focus on clustering frame elements(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021)

    방송영상콘텐츠 제작스태프의 표준계약서 체결과 직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총 노동시간, 연속노동시간, 임금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20)

    가짜뉴스에 대한 한국과 EU의 비교정책 연구: 정책형성 담론을 중심으로(언론정보연구, 2019)

    연구활동

    저서
    마케터는 잘못이 없다: 초연결 시대의 설득전략은 무엇이 달라야 하는가(한국경제신문, 2021)

    기업 커뮤니케이션(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기업의 혁신커뮤니케이션(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추경엽

    추경엽

    • 직위/보직조교수
    • 연구실NM317
    • 이메일dpchoo@gdsu.dongseo.ac.kr

    학력

    서울예술대학 영화과 졸업

    한국영화아카데미 촬영과 졸업

    ASC MasterClass 수료

    FSO (Film Spring Open) 수료

    현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CGK) 7기 대표

    경력

    MBC <달가지가자> B unit 촬영/조명

    영화 <여름이지나가면> 촬영/조명

    웹드라마 <왜왔소> 연출/ 촬영

    나고야 TV 4부작 촬영,조명

    TVN 2부작 <아름다운우리여름> 촬영,조명

    TVN 1 부작 < 복숭아 누르지 마시오> 촬영,조명

    JTBC 2부작 <루왁인간> 촬영,조명

    JTBC 16부작 <그린마더스클럽> 촬영,조명

    Netflix <제8일의 밤> 촬영

    영화 <외로운 사람들> 연출, 촬영, 조명

    영화 <나를 죽여줘> 촬영,조명

    영화 <천화> 촬영,조명

    영화 <꿈의제인> 조명

    영화 <지술> 조명

    영화 <피에타> 조명

    영화 <초록밤> 촬영,조명

    영화 <경아의딸> 촬영

    영화 <나와 봄날의 약속> 촬영, 조명

    다큐멘터리 <이타미준의 바다> 촬영

    다큐멘터리 <두려워하지마라 / 평창패럴림픽 공식 다큐> 촬영

    M/V 예나 (Hate Rodrigo) 촬영,조명
    M/V 소녀시대 (Holiday) 촬영,조명
    M/V 우주소녀 (Happy) 촬영,조명

    연구활동

    출판 <불타는영화청춘> 2011

    출판 <촬영감독이묻고촬영감독이답하다> 2018

    출판 <천화:사진집> 2018

    Zurich University of Arts DOP talk 2019

    수상경력

    2021 <초록밤> 26회 부산국제영화제 CGK촬영상

    2023 <초록밤> 10회 들꽃영화제 촬영상
    황수연

    황수연

    • 직위/보직조교수
    • 연구실NM315
    • 이메일nitntie@gdsu.dongseo.ac.kr

    학력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예술전문사 극영화 시나리오 전공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연출제작과 예술사 영상제작전공 (편집)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예술전문사

    비디오아트 전공 (중퇴)

    경력

    시간강사
    2012 - 2019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시나리오 작가
    <신과함께 - 죄와벌> 각색 작가

    리얼라이즈 픽처스

    <로보트 태권브이> 각색 작가

    (주)로보트 태권브이

    편집
    <원경> 티빙 드라마 12부작

    <남남> 티빙 드라마 12부작

    <이두나!> 넷플릭스 드라마 9부작

    <괜찮아> 다큐멘터리 방송대학 TV

    <기름진 멜로> SBS 미니시리즈 16부작

    <초년의 맛> 넷플릭스 파일럿

    <우리 옆집에 엑소가 산다> SM엔터테인먼트 웹드라마 16부작

    <신의 선물 14일> SBS 미니시리즈 16부작

    <리셋> OCN 드라마 10부작

    <미스코리아> MBC 미니시리즈 23부작

    <골든 타임> MBC 미니시리즈 24부작

    <순환선> 65회 칸느 국제영화제 CANAL PLUS 상 수상

    <나의 지구를 지켜줘> 4회 미장센 단편영화제 스릴러 부문 대상

    <웃음을 참으면서> 57회 칸느 국제영화제 감독주간 초청

    <초겨울점심> 55회 칸느 국제영화제 씨네파운데이션 초청

    D.I 테크니션
    <입천장 까지도록 와그작> 환경부제작 웹드라마 7부작

    <빅이슈> SBS 미니시리즈 16부작

    <심판, 소송> 미디어아트

    <고비, 날다> MBC 경남 다큐멘터리 인트로 영상/CG /VFX 아티스트

    <인투더 북한> MBC 경남 다큐멘터리 인트로영상

    <철암계곡의 혈투> 부천 국제영화제 EFFFF상 수상

    <레인보우> 도쿄 국제영화제 아시아 영화상 수상 <불청객> 부천국제영화제 상영 및 국내 개봉작

    현장스탶
    헬스밸런스, 엘빈즈 CF 제작 및 연출 다수

    <한복 날아오르다> 연출 3D 입체 다큐멘터리

    <시크릿> 극영화, 비주얼 수퍼바이저

    극영화(미국독립장편), 조감독

    <웰컴투 동막골> 극영화, 현장편집

    <발레 교습소> 극영화, 현장편집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 극영화, 현장편집

    기타 - VR 관련
    CAN 파운데이션 후원 VR 작품 전시

    하남시 보건소 코로나 감염 클리닉 VR

    경기문화재단 제작 VR 영상

    한국전력 Energy of Future VR 영상

    한국 관광공사 평창 동계올림픽 홍보부스 드론 택시 VR

    연구활동

    아날로그 필름 사진촬영 및 현상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