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ㆍ자기주도ㆍ미래기술 역량을 갖춘 전자공학 기술리더 양성
학과소개학과소개

학과소개

전자공학과

Dept. of Applied Electronics Engineering

전자공학과

세계 경제는 기술 중심의 빠른 변화속에서 다양한 기술과 학문의 융합을 가속화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인공지능, 디스플레이, 로봇, 스마트폰의 기술과 제품은 전세계를 하나로 묶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핵심기술과 요소기술의 융합을 통하여 더욱 다양한 기능을 가진 미래형 기술과 혁신적인 제품들이 연구개발되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이러한 기술의 융합과 혁신이라는 요소가 국가와 기업 그리고 대학의 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것이며, 전자공학은 기술을 선도하고 가치를 창출하는 핵심학문으로서 미래를 선도할 것입니다.

전자공학과는 로봇, 반도체, 인공지능 분야의 핵심 기술 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더불어 다양한 요소기술과 제품설계 및 제작과정을 배움으로써 시대의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자공학과는 전기전자공학 및 컴퓨터 기술에 기반을 두며 지능형 로봇, 드론 및 항공우주기술, 자율주행 전기자동차, 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모빌리티 시스템을 설계·제작할 수 있도록 교육하며, 프로젝트 위주의 실험실습과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을 접목한 제품기반(PBL: Product Based Learning) 교육체계를 운영하여 학생 스스로의 잠재능력을 발견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혁신적인 미래기술 공학리더를 육성하고 있습니다.

전자공학과 미래기술교육

전기전자공학 기반의 전자공학과는 지능형 로봇, 무인 자동차, 인공지능, 드론 및 항공우주, 유무선 통신, 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에너지, 3D 프린터, 사물인터넷과 같은 혁신기술이 중심인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 갈 공학도를 양성합니다. 혁신기술 제품을 기반으로 회로설계, 프로그래밍 중심의 공학 기초교육을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아이디어 도출부터 제품의 설계 및 제작, 특허출원까지의 창의적 ICT 제품의 R&D 전 과정을 스스로 수행하게 함으로써,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을 보유한 실무적인 인재를 양성합니다.

미래기술 기반의 교육과 더불어 학생의 꿈과 적성에 따라 자신만의 커리큘럼(SDC설계)을 구성하도록 하고, 세분화되고 특성화된 심화교육을 실시하여 미래기술 산업분야별 핵심지식을 습득하도록 합니다.

메카트로닉스 교육의 목표

창의적 ICT 제품 R&DB 역량을 갖춘 메카트로닉스 전문인재 양성
  • 창의·융합·자기주도 역량을 갖춘 메카트로닉스 전문인재 양성
  • R&DB형 인력양성과 산학협력을 통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중심 산학동반성장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 01스스로 주도하는 미래, 자신만의 전공을 창조합니다.

    전자공학과는 개설되어 있는 다양한 교과목을 학생 스스로 적절히 조합하여 학문적인 자신만의 전공을 만드는 자기주도 교육과정 SDC(Self Development Curriculum)을 운영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화된 미래기업의 연구기획 및 경영자가 되고 싶은 학생은 전자회로 설계나 제어시스템 분야에 개설된 교과목을 학습하면서 학제간 융합 분야에 개설된 관리 및 경영기법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한두 분야를 집중적으로 학습하여 해당 분야의 전문기술자 또는 융합학문적인 경험을 통해 창의적 과학기술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 02능동적 참여를 통해 실력과 스펙을 UPGRADE시킵니다.

    전자공학과에는 각 분야의 특성을 살린 공학봉사 및 발명 동아리, 연구회가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관심분야가 비슷한 학생끼리 함께 공부하고 작품도 제작하면서 전공관련 심화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 학과과제만 수행하는 것을 넘어 관심 있는 동아리나 연구회에 소속되어 경진대회와 공모전 등 학내외 다양한 기회를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졸업 후 진로

· 기업 및 기관 : 전기전자, 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자동차, 로봇, 자동화장비, 정보통신 분야의 대기업, 중견기업, 공기업, 연구소, 공무원, 해외 유명기업
· 창업 : 전공분야 기반의 창업
· 해외 대학원 : 미국 KENT 주립대학교 컴퓨터 사이언스

학과 연혁

· 2022~ 전자공학과 (모집정원 37명)
· 2020~2021 융합전자공학과 (모집정원 80명)
· 2015~2019 메카트로닉스융합공학부 (모집정원 160명)
· 2004~2014 정보시스템공학부 전자공학과 (모집정원 80명)
· 1992~2004 전자공학과 (모집정원 120명)

인재양성체계

전공기반의 미래기술교육, 외국어 역량강화 교육, 기업연계산학협력, 평생지도교수체계로 창의·자기주도·미래기술 역량을 갖춘 전자공학 기술리더를 양성한다.

정부사업수주

전자공학과는 전기전자, 소프트웨어 및 로봇 관련 혁신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다양한 정부교육사업을 수주하여 학생들의 전공역량 강화와 취업준비 그리고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였다.

· LINC+ 사업
· 지역 이공계 여성인재 진출촉진 사업(R-WeSET)
· K-MOVE 사업
· IPP 사업
· 공학교육혁신센터 사업
· 지방대학 특성화사업(CK-I)
· 지방기업 주문형 인력양성사업
· 지능형 로봇제어 부품기술 지역혁신센터사업
· IT접목학과지원사업
· 발명교육 직무연수 지원사업
· 대학 IT전공 역량강화(NEXT)사업
· 공학교육과정개편지원사업

메카트로닉스 학부 교육목표

교육목표

창의적 ICT 제품 R&DB 역량을 갖춘 메카트로닉스 전문인재 양성

인재상(핵심역량)

Creative π형 인재
  • 창의 역량
  • 메카트로닉스 전문 역량
  • 학제간 융합 역량
  • R&DB역량

특성화 교육혁신

메카트로닉스 융합공학부

학과 통합 및 완전학부제를 통한 창의 융합 교육 : 전자공학과 + 메카트로닉스공학과 + 산업경영공학과

I2Biz(Idea to Business) 직무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 아이디어 도출
  • 아이디어 구체화
  • 시작품 제작
  • 특허출원
  • 개발제품 사업화

교과과정

창의공학설계 교과
  • SCOPE
  • 주제연계 교과목
공학기초 교과
  • PULSE
  • 공학 소양
창의·지식재산 교과
  • 창의성공학
  • 특허분석 및 설계
기계설계 교과
  • CAD
  • 기구동역학
  • 유공압 시스템
회로설계 교과
  • 전자회로
  • RF회로설계
  • 컴퓨터응용회로설계
학제간 융합 교과
  • 디자인
  • 소제공학
  • 마케팅
  • 관리공학
제어시스템 교과
  • 제어공학
  • 센서 및 액츄에이터
  • 전력전자
소프트웨어 교과
  • 알고리즘
  • 임베디드 S/W
  • 제어프로그래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