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연계전공클린에너지전공

클린에너지전공

전공 필요성

  • ❍ (배경) 탄소중립 2050 구현을 위한 에너지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

    - 지구 열대화(Global Boiling)에 원인으로 탄소 배출 저감의 관심 증대

    -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무탄소 에너지원의 관심 증대 (수소, 암모니아, e-에탄올, LNG w/ CCS등)

    - 전기 자동차 시장의 확대에 의한 에너지저장, 전기 동력계통의 시장 증대

     

    ❍ (시장환경) 클린에너지분야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기술/인재의 한계

    - 기존 전통 제조업 기업의 클린에너지 분야로의 확장에 기술적 어려움이 존재

    - 지역 인력 수급의 어려움으로 대부분의 신규 클린에너지분야 사업이 수도권에 집중

    - 클린에너지 분야의 기술은 대표적인 기술 융합 분야로 기존 전공 분야의 소요기술 매칭 비율은 약 30%

     

    ❍ (필요성) 기존 전통적인 대학교 학과 기반의 한계를 극복하고 클린에너지 융합형 인재 양성이 필요

    - 기존 전공을 탈피한 융합형 인재 양성

    - 지역대학의 특화분야를 활용한 교육/실습 인프라 구축 및 공유를 통한 인재 양성

     

    ❍ (목적) 클린에너지 분야 거점 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인재 양성

전공 목표

- 학생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다 전공제도 운영 (나노디그리, 마이크로디그리, 부전공, 복수전공)

- 제조업의 클린에너지 분야 전환을 위한 특성화 기술이 교육과정에 반영된 혁신인재 양성 체계 구축

- DNA(Data⦁Network⦁AI) 기초역량을 갖춘 클린에너지분야 인재 양성

- 타 전공분야의 이해도를 가진 클린에너지분야 융합형 인재 양성

- 현장 전문가가 교육에 참여하고 재직자와 함께하는 비교과 과정 운영을 통한 실무형 인재 양성

- 기업의 소요기술을 캡스톤에 반영한 맞춤형 인재 양성

졸업 후 진로

가. 진로 분야

❍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부터 모빌리티 산업분야까지 전 분야에 영항을 미칠 수 있는 국가 산업의 신성장 동력

 

나. 주요 취업처

❍ 생산/저장/이송/활용 등 수소 및 전기 시스템 관련 전주기 산업 진출 가능

- 수소 이송 관련 중공업/조선사, 수소발전 관련 중공업사

- 수소전기시스템 신뢰성/안정성 평가 분야

- 수소전기시스템 기자재 제조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