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연계전공클린에너지

클린에너지

전공 필요성
탄소중립 2050 구현을 위한 에너지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
지구 열대화(Global Boiling)에 원인으로 탄소 배출 저감의 관심 증대,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무탄소 에너지원의 관심 증대 (수소, 암모니아, e-에탄올, LNG w/ CCS등), 전기 자동차 시장의 확대에 의한 에너지저장, 전기 동력계통의 시장 증대
  • 클린에너지분야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기술/인재의 한계

    기존 전통 제조업 기업의 클린에너지 분야로의 확장에 기술적 어려움이 존재, 지역 인력 수급의 어려움으로 대부분의 신규 클린에너지분야 사업이 수도권에 집중, 클린에너지 분야의 기술은 대표적인 기술 융합 분야로 기존 전공 분야의 소요기술 매칭 비율은 약 30%

  • 기존 전통적인 대학교 학과 기반의 한계를 극복하고 클린에너지 융합형 인재 양성이 필요
  • 기존 전공을 탈피한 융합형 인재 양성, 지역대학의 특화분야를 활용한 교육/실습 인프라 구축 및 공유를 통한 인재 양성

  • 클린에너지 분야 거점 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인재 양성
전공 목표

- 학생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다 전공제도 운영 (나노디그리, 마이크로디그리, 부전공, 복수전공)

- 제조업의 클린에너지 분야 전환을 위한 특성화 기술이 교육과정에 반영된 혁신인재 양성 체계 구축

- DNA(Data⦁Network⦁AI) 기초역량을 갖춘 클린에너지분야 인재 양성

- 타 전공분야의 이해도를 가진 클린에너지분야 융합형 인재 양성

- 현장 전문가가 교육에 참여하고 재직자와 함께하는 비교과 과정 운영을 통한 실무형 인재 양성

- 기업의 소요기술을 캡스톤에 반영한 맞춤형 인재 양성

전공 목표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부터 모빌리티 산업분야까지 전 분야에 영항을 미칠 수 있는 국가 산업의 신성장 동력

생산/저장/이송/활용 등 수소 및 전기 시스템 관련 전주기 산업 진출 가능

- 수소 이송 관련 중공업/조선사, 수소발전 관련 중공업사

- 수소전기시스템 신뢰성/안정성 평가 분야

- 수소전기시스템 기자재 제조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