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학과 주메뉴
전체메뉴
조회 3
소프트웨어융합대학 2025-07-01 10:34
구분 | 내용 |
추진 배경 | □ GPT-4나 DeepL 등 LLM·NMT 기반 번역이 보편화되었지만 관용구 등에서 여전히 오역 발생함. □ 기존 연구는 프롬프트 불투명성, 평가 지표 신뢰성 부족 등의 한계가 있음. □ 실제 품질 향상 여부를 객관적으로 비교 가능한 구조적 재현과 평가가 필요함. |
목표 및 내용 | □ 선행 연구를 재현하면서도 새로운 아키텍처를 제안하여 번역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탐구함. □ LLM 후처리 에이전트에 원문, 번역문, LLM 가이드라인을 동시에 입력하여 품질 개선을 유도함. □ 다양한 LLM(GPT-4o, LLaMa 등)과 NMT 모델을 조합하고 평균값 기반 성능 비교 수행함. |
| □ 제안 아키텍처가 단순 LLM이나 단순 NMT보다 일관된 품질을 보였으며 품질 안정성이 더 높음. □ 문장 단위보다 문서 단위의 번역에서 더 뚜렷한 성능 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있음. □ 여러 모델 조합 실험 결과를 통해 실질적인 모델 비교 자료로 활용 가능성 확보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