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교수소개

교수소개

    하강진

    하강진

    • 직위/보직책임교수/교수
    • 연구실뉴밀레니엄관 NM309
    • 연락처051-320-1667
    • 이메일kgha@gdsu.dongseo.ac.kr

    학력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졸
    한국방송통신대학과 중어중문학과 졸업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석,박사)

    경력

    - 교내활동
    입시관리처장(2008.2~2013.1)
    입시홍보처장(2006.4~2008.1)
    종합홍보실장(2003.2~2008.1)
    입시홍보부처장(1999.2~2006.4)
    동서대학교 교수(1995.2~현재)

    - 교외활동
    티브로드 낙동방송 심의위원
    강서구청 심의위원
    부산시교육청 수석교사 역량평가위원
    부산일보 독자위원 등
    부산광역시교육청 수석교사 임용 심사 위원(2010~2011)
    부산광역시교육청 중등교장 중임 심사 위원(2011)
    부산광역시 문화예술위원회 위원(2013~ )
    사상구청 문화예술위원회 위원(2014~ )

    연구활동

    - 논문
    자전 체재에서 본 ‘국한문신옥편’의 한국자전사적 위상, 동양한문학연구 50집, 동양한문학회(2018.6)
    백산 안희제의 가학 전통과 유람시, 역사와 경계 102호, 부산경남사학회(2017.3)
    백산 안희제의 황계폭포 시 발굴과 그 의의, 근대서지 14호, 근대서지학회(2016.12)
    표제어 대역 한자어의 탄생과 한불자전의 가치, 코기토80집, 부산대 인문학연구소(2016.8)
    중국 자전의 수용과 그 의미, 동방한문학66집, 동방한문학회(2016.3)
    필화로 희생된 조선의 문인들, 월간문학 569호, 월간문학사(2016.7)
    다산 정약용의 시문학 공간으로서 진주(晉州), 영주어문 27집, 영주어문학회(2014)
    진주 남강 절벽의 바위글씨로 읽는 근대인물의 사회문화사, 근대서지 8호, 근대서지학회(2013)
    대학 홍보요인의 인식경로가 대학의 지원과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공동 집필 : 문재영), 품질경영학회지 41권 1호. 한국품질경영학회(2013)
    초엄선사 <삼화전>의 작중인물과 공간의 실체, 한국문학논총 59집, 한국문학회(2011)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제변화, 한국문학논총 56집, 한국문학회(2010)
    19세기말 오횡묵이 저술한 밀양 관련 시문과 그 의미, 밀양문학 22집, 밀양문학회(2009)
    진주 촉석루 제영시의 제재적 성격, 한국문학논총 50집, 한국문학회(2008)
    퇴계학파의 영남루 제영시에 대하여, 퇴계학논총 12집, 퇴계학부산연구원(2006)
    밀양 영남루 제영시 연구, 지역문학연구 13호, 경남부산지역문학회(2006)
    한국 최초의 근대자전 <국한문신옥편>의 편찬 동기(2005)

    - 학회 발표 및 기타
    이규보의 현실지향적 문학세계,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강화고려문학축전 학술세미나, 강화문학관(2018.7)
    영남루와 한시세계, 제28회 태화강 유역 역사문화알기 및 6월 문화가 있는 날 특강, 울산대곡박물관(2018.6)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의 독법-다산의 생애와 작품 연표, 부산대 논술지도자과정 특강, 울산 선바위도서관(2018.5)
    백산 안희제의 ‘황계폭포’ 시 발굴과 그 의의, 부산 퇴계학연구원(2017.12)
    영남루에 새긴 시간의 빛깔에 취하다 -진주 촉석루와의 비교를 겸해, 영남루 문화축전 특강, 점필재연구소(2017.12)
    돌에 새겨진 범어사(도록)-정희조/김태원 공덕비, 부산 범어사(2017.10)
    정익로의 국한문신옥편이 갖는 한국자전사적 위상, 경성대 한국한자연구소(2016.2)
    「백산 안희제의 가학 전통과 한시」(백산상회설립 100주년 학술대회), 백산안희제선생 독립정신 계승사업회, 2014.
    「한국 옥편의 효시, 정익로의 국한문신옥편」(초판본), 근대서지 10호, 2014.

    - 저서
    『실용한문』, 세종출판사(1997)
    『이규보의 문학이론과 작품세계』, 세종출판사(2001)
    『디지털시대의 생활한문』, 세종출판사(2001)
    『진주성 촉석루의 숨은 내력-선현들의 풍류와 기개를 기억하다-』, 경진(2014)
    하강진 외 공저, 『재미있는 부산진구 숨은 이야기-니 이 이바구 들어봤나?』, 부산진구(2016)
    하강진 외 공저, 『천년도시 진주의 향기-경남혁신도시 진주의 역사와 문화』, 한국토지주택공사(2018)
    이해년

    이해년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뉴밀레니엄관 NM310
    • 연락처051-320-1666
    • 이메일hnlee@gdsu.dongseo.ac.kr

    학력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경력

    - 교내활동
    동서대학교 교수 (1994.03~현재)
    동서대학교 입시홍보위원장 (1994.03~현재)
    동서대학교 입시홍보처장 (1991.01~2000.01)
    동서대학교 영상매스컴학부 영상문학전공 책임교수 (2000.03~2015)
    동서대학교 문학비평동아리 <한또바기>지도교수 (1994~현재)

    - 교외활동
    부산시 문화예술위원회 위원 (2009~2012)
    사사구정 <사상신문> 편집위원 (2000.04~현재)
    사상구 새주소위원회 위원 (2008.09~현재)

    연구활동

    - 논문
    1930년대 후기 신문 短評 연구 (석사학위논문, 1986)
    1930년대 한국행동주의 문학론 연구 (박사학위논문, 1994)
    한국문학에 나타난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연구 (2000)
    A Study of Korea Fantasy Literature in the Age of Cyber-Culture (2001)
    Postcolonialism in and by Chang-Rae Lee (2003)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Writer' Post-Colonialism by Jo, Jung-Rae & Lee, Chang-Rae (2008)

    - 저서
    영화 속 문학이야기(도서출판 동인, 2002) 공저
    정찬영

    정찬영

    • 직위/보직교수/입시처장
    • 연구실뉴밀레니엄관 NM308
    • 연락처051-320-1642
    • 이메일jcyhar@gdus.dongseo.ac.kr

    학력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경력

    동서대학교 국제교육센터 소장
    동서대학교 교양교육원장
    현 동서대학교 입시처장

    연구활동

    - 저서
    한국 증언소설의 논리 (2000)
    한국 근현대문학의 재인식 (2001)
    글쓰기와 의사소통 (2008)
    글말의 힘(2011)

    - 공저
    역사의 그늘, 문학의 길 (2008)
    유쾌한 한국어1-6 (2010)

    - 공편저
    김종출 문학전집 1-3 (2001)
    근현대 부산·경남 항쟁문학사료집1-5 (2003)

    - 논문
    3·1운동과 5·4운동의 문화론적 고찰
    A Study on the Cultural Ideology in 3·1 Movement in Korea and 5·4 Movement in China
    사실의 재현과 기억, 연대를 위한 조건
    현대소설과 탈윤리
    문화론적 시각에서 본 소설읽기의 경향과 전망
    외 다수
    최순식

    최순식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뉴밀레니엄관 3층 317호
    • 연락처051-320-1626
    • 이메일ssdrama@hanmail.net

    학력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과 졸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연극영화 석사

    경력




    연구활동

    - 작품
    199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나리오<고래의 꿈> 당선
    1991년 제1회 MBC 베스트셀러극본공모 <하얀집의천사> 당선
    2006년 SBS 최우수작품상 <돌아와요 순애씨>
    MBC 한지붕세가족 <피노키오의 장난으로 방송작가 데뷔
    KBS 주간단막극<도시인> 1년반 집필
    SBS 주말연속극<일과 사랑>
    KBS 미니시리즈<창공>
    MBC 미니시리즈<나는 천사가 아니다>
    MBC 일일연속극<행복>
    MBC 일일연속극<달콤한 인생>
    MBC 일일연속극<못잊어>
    KBS 일일연속극 <섹소폰과 찹쌀떡>
    SBS 수목드라마 <돌아와요 순애씨>
    SBS 특별기획드라마 <불량커플>
    SBS 주말드라마 <사랑은 아무나 하나>
    KBS 월화드라마 <울랄라부부>
    기타, 특집드라마 및 단막극 50여편 집필



    박미정

    박미정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뉴밀레니엄관 NM318
    • 연락처051-320-1709
    • 이메일pmjtree@hanmail.net

    학력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영상학 전공 박사수료


    경력

    부산 MBC 방송작가(1996~2005)
    (주) 마오필름 기획실장(2001~2006)

    - 교외활동
    (사) 부산영상포럼 이사(현)
    부산점자도서관 문화, 예술 운영위원(현)

    연구활동

    - 작품
    부산MBC TV : 시네마월드, 금요 부산문화, 생방송 TV닥터
    다큐멘터리 : 푸른 부산 독일에서 배운다, 도시의 미학-야경(제1부 밤이 아름다운 도시, 프랑스 제2부 부산의 야경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