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교수소개

교수소개

    안정숙

    안정숙

    • 직위/보직부교수/일본어학과 학과장
    • 연구실어문관 6305
    • 연락처320-1657
    • 이메일ajk6148@gdsu.dongseo.ac.kr
    • 학력한남대학교 (문학석사- 일어일문학), 일본바이코오(梅光)여학원대학(문학박사-일본문학연구과)
    • 경력일본벳부대학 전임강사(1997.03~2002.02), 동서대학교 일본어학과 (2005.03~ )
    • 주요활동 안정숙,"사라시나일기의 밤"梅光女大/新樹 제10집(1995) , 안정숙,:사라시나일기에 있어서의 계절과 와카",梅光女大/일본문학연구 제31호(1996)

    학력

    * 한남대학교 (문학석사- 일어일문학)
    * 일본바이코오(梅光)여학원대학(문학박사-일본문학연구과)

    경력

    * 일본벳부대학 전임강사(1997.03~2002.02)
    * 동서대학교 일본어학과 (2005.03~ )

    연구활동

    - 논 문 -

    1. 안정숙,"사라시나일기의 밤"梅光女大/新樹 제10집(1995)
    2. 안정숙,:사라시나일기에 있어서의 계절과 와카",梅光女大/일본문학연구 제31호(1996)
    3. 안정숙,"사라시나일기의 연애의식",梅光女大/新樹 제11집(1996)
    4. 안정숙,"사라시나일기와 산",대한일어일문학회 제6집(1996)
    5. 안정숙,"사라시나일기의 자연-물의 풍경-" 梅光女大/新樹 제12집(1997)
    6. 안정숙,"사라시나일기의 연구-고독의 양상"-梅光女大/일본문학연구 제34호(1998)
    7. 안정숙,"사라시나일기의 연구-타카스에무스메의 불행의식-",別府大學紀要 제40호(1998)
    8.안정숙,"카게로오일기의 연구-카네이에의 방문에 관한 표현"-別府大學紀要 제41호(1999)
    9. 안정숙,"카게로오일기의 연구-카네이에의 매력-"別府大學紀要 제42호(2000)
    10.안정숙,"카게로오일기의연구-미치츠나하하의예감"-梅光女大/일본문학연구 제38호(2003)
    11. 안정숙,"카게로오일기의 연구-미유와 모노스를 중심으로"-,한국일본근대학회(2006)
    12. 안정숙,이즈미시키부일기의 연구-사랑의 형태-",한국일본근대학회(2006)
    13. 안정숙,이즈미시키부일기의 연구",한국일본근대학회(2008)
    14. 안정숙,카게로오일기에 보이는 한국의 [한]의 정서",한국일본근대학회(2008)
    15. 안정숙,카게로오일기의 연구-미치츠나하하의 [눈물]과[울음]",한국일본어교육학회(2010)
    16. 안정숙, "청령日記"考-兼家の目に映された道綱母像-, 한국일본어교육학회(2011)
    17. 안정숙, "청령일기"연구-戀(사랑)의 표현-, 한국일본어교육학회(2011)
    18. 안정숙, "蜻蛉日記"の「笑ひ」と「たはぶれ」, 한국일본어교육학회(2012)
    19. 안정숙, "가게로닛키"의 죽음의식-死ぬ(죽다)의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어교육학회(2013)
    20. 안정숙, "가게로닛키"에 그려진 미치쓰나-어린 아들의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어교육학회(2014)
    21. 안정숙, "가게로닛키"의 부모와 자식(1)-미치쓰나노하하와 부모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일본어교육학회(2014)
    22. 안정숙, "가게로닛키"의 부모와 자식(2)-어머니로서의 미치쓰나노하하-, 대한일어일문학회(2015)
    23. 안정숙, "가게로닛키"의 부모와 자식(2), 대한일어일문학회(2016)
    24. 안정숙, "가게로닛키"의 계절의식-사계절의 어휘를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2017)
    25. 안정숙, "가게로닛키"의 자연-비의 풍경-, 대한일어일문학회(2018)
    26. 안정숙, "가게로닛키"의 자연(2), 대한일어일문학회(2020)
    27. 안정숙, "가게로닛키"의 자연-달과 이슬-, 대한일어일문학회(2020)
    28. 안정숙, "가게로닛키"의 불행의식-미치쓰나 어머니의 심정표현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2021)
    29. 안정숙, "이즈미시키부닛키의 달", 대한일어일문학회(2022)
    30. 안정숙, "사라시나닛키"의 달-달의 장면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2023)

    - 연구보고서 -
    1. 안정숙외 공저,"여성CEO양성을 위한 전문가 Matching 창업교육 추진실적보고서".(2009)

    - 저 서 -
    1. 안정숙저,"사라시나일기의 연구",翰林書房(2007)
    이정수

    이정수

    • 직위/보직교수
    • 연구실어문관 6407
    • 연락처320-1670
    • 이메일jsl1598@gdsu.dongseo.ac.kr
    • 학력1982. 3-1986. 2 :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졸업, ․1988. 9-1990. 8 :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과정 졸업
    • 경력1995. 3-現 在 : 동서대학교 교수, ․2009. 2-2009. 8 : 중국 북경대학 역사과 객원교수
    • 주요활동≪테마가 있는 한국문화≫, 선인, 1999. 8 , ≪조선의 화폐와 화폐량≫, 경북대출판부, 2006. 10

    학력

    ․1982. 3-1986. 2 :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졸업
    ․1988. 9-1990. 8 :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과정 졸업
    ․1991. 3-1997. 2 :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과정 졸업

    경력

    ․1995. 3-現 在 : 동서대학교 교수
    ․2009. 2-2009. 8 : 중국 북경대학 역사과 객원교수
    ․1997. 4-2000. 7 : 동서대학교 중앙도서관 관장
    ․2001. 1-2007. 2 : 총장비서실장
    ․2007. 6-2010. 1 : 교양교육원장 겸 국제교육센터 소장
    ․2010. 2- 2011.1 : 교양교육원장 겸 외국어계열 학부장
    ․2011. 2- 현재 :교무처장

    연구활동

    ◆ 학술저서

    1. ≪테마가 있는 한국문화≫, 선인, 1999. 8
    2. ≪조선의 화폐와 화폐량≫, 경북대출판부, 2006. 10
    3. ≪조선시대 노비와 토지 소유방식≫, 경북대출판부, 2006. 11
    4. ≪경남의 서원≫, 선인, 2008. 4
    5. ≪Money, Prices, the Markets of Slaves and Land≫, LAP(Lambert Academic Publishing), 2010. 4. 外 다수

    ◆ 학술논문

    1. <朝鮮初期 功臣田의 운영양태 -조온 공신전권을 중심으로> 부산대 석사학위논문, 1990. 8
    2. <朝鮮初期 功臣田의 운영양태> ≪釜大史學≫ 15·16, 1992. 6
    3. <朝鮮前期의 米價變動> ≪釜大史學≫ 17, 1993. 6
    4. <조선초기의 도적발생과 국가적 대응> ≪韓國中世史硏究≫ 창간호, 1994. 2
    5. <朝鮮前期 常平倉의 展開와 機能> ≪釜山史學≫ 27, 1994. 12
    6. <16세기 黃海道의 米穀生産과 商品流通> ≪釜大史學≫ 19, 1995. 6
    7. <16세기 도적 발생과 그 사회․경제적 의미> ≪韓國史硏究≫92, 1996. 3
    8. <朝鮮前期의 物價變動> ≪國史館論叢≫ 68, 1996. 6
    9. <16세기 物價變動과 民의 動向> 부산대 박사학위논문, 1997. 2
    10. <16세기 土地價格의 變動 -경북지방의 田畓賣買 明文을 중심으로> ≪古文書硏究≫ 12, 1997. 12
    11. <15․16세기의 對日貿易과 經濟變動> ≪釜大史學≫ 22, 1998. 9
    12. <물가의 주기적 변동과 화폐의 초과수요: 1689~1821년 한국의 경우> ≪금융학회지≫ 제3권 제2호, 1998. 12
    13. <18세기-19세기 土地價格의 變動 -경북과 전남지방의 田畓賣買 明文을 중심으로> ≪釜大史學≫ 23, 1999. 6
    14. <1689-1821년간 地價와 物價 변화의 비대칭성> ≪釜山史學≫ 37, 1999. 12
    15. <中世 日本에서의 朝鮮通寶 流通 -日本의 出土備蓄錢을 중심으로> ≪釜山史學≫ 39, 2000. 12
    16. <中世 日本에서의 高麗銅錢 流通 -日本의 出土備蓄錢을 중심으로> ≪韓國中世史硏究≫ 12, 2002. 6
    17. <16세기 금주령과 검약령> ≪韓國中世史硏究≫ 14, 2003. 4
    18. <조선중기 전답매매 연구에 대한 서평> ≪農業史硏究≫ 2-1, 2003. 6
    19. <16세기 면포유통의 이중화와 화폐유통 논의> ≪朝鮮時代史學報≫ 25, 2003. 6
    20. <조선전기 면직업의 발전과 사회경제상의 변화> ≪경남문화연구총서≫ 5, 아세아문화사, 2003. 11
    21. <16세기 중반-18세기 초의 화폐유통 실태> ≪朝鮮時代史學報≫ 32, 2005. 3
    22. <『黙齋日記』를 통해 본 지방 匠人들의 삶> ≪지역과 역사≫ 18, 2006. 4
    23. <16세기 奴婢의 記上田畓과 性格> ≪역사와 경계≫ 59, 2006. 6
    24. <18세기 말〜19세기 초 資産家의 자산구조 변화와 地價의 변동> ≪역사와 경계≫ 64, 2007. 9
    25. <조선전기 부산지역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港都釜山≫ 23, 2007. 9
    26. <조선전기 서울의 경제기반과 경제생활> ≪향토서울≫ 70, 2007. 10
    27. <18〜19세기 流通資産의 매매를 통해 본 商業構造 변화> ≪朝鮮時代史學報≫ 43, 2007. 12
    28. <鹽浦의 倭人과 경제생활> ≪지역과 역사≫ 22, 2008. 4
    29. <조선후기 奴婢賣買 자료를 통해 본 奴婢의 사회·경제적 성격과 奴婢價의 변동> ≪韓國民族文化≫ 31, 2008. 4
    30. <조선전기사의 연구동향과 과제> ≪歷史學報≫ 199, 2008. 9
    31. <조선후기 奴婢價 변동의 원인 -생산성과 노비관리비용을 중심으로-> ≪지역과 역사≫ 23, 2008. 10
    32. <17-18세기 雇工의 노동성격에 대한 재해석> ≪經濟史學≫ 47호, 2009. 12
    33. <생태환경사의 관점에서 본 농지개간의 새로운 접근> ≪한국민족문화≫ 36호, 2010. 3 (서평)
    小笹克行(오자사 카츠유키)

    小笹克行(오자사 카츠유키)

    • 직위/보직부교수/일본연구센터 사무국장
    • 연구실일본연구센터, 국제협력관 1702실
    • 연락처320-1901
    • 이메일ozasa@gdsu.dongseo.ac.kr
    • 학력도시샤(同志社)대학 법학 학사, 난잔(南山)대학 일본어교육학 석사
    • 경력동서대학교 외국어계열 일본어학과 전임강사 2001.03 ,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사무국장 2004.03 -
    • 주요활동小笹克行, 「韓国語母語話者と中国語母語話者の聴解力-聴解力の差、聴解力と下位知識について-」, 대한일어일문학회 춘계 학술논문발표대회 요지집, (2001): 31-33

    학력

    도시샤(同志社)대학 법학 학사
    난잔(南山)대학 일본어교육학 석사

    경력

    동서대학교 외국어계열 일본어학과 전임강사 2001.03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사무국장 2004.03 -
    동서대학교 외국어계열 일본어학과 부교수 2005.03 -
    동서대학교 CAMPUS Asia 사업단 실무위원 2012.03 -
    동서대학교 외국어계열 일본어학과 부교수 2015.03 -

    연구활동

    - 발표 -
    1. 小笹克行, 「韓国語母語話者と中国語母語話者の聴解力-聴解力の差、聴解力と下位知識について-」, 대한일어일문학회 춘계 학술논문발표대회 요지집, (2001): 31-33
    2. 小笹克行, 「韓国語母語話者と中国語母語話者の聴解力-聴解力の差、聴解力と読解力の関連-」, 한국일본문화학회 추계 국제학술연구발표회 요지집, (2001): 36-39
    3. 小笹克行, 「韓国の大学における初級レベルの作文指導」, 한국일본근대학회 춘계국제학술대회 요지집, (2002): 5-8
    4. 小笹克行, 「初・中級レベルの日本語学習者が望む作文指導」, 대한일어일문학회 추계 국제학술발표대회 요지집, (2003): 1-5
    5. 小笹克行, 「日本語教育におけるウェブ授業の評価に関する一考察」, 日本語教育学世界大会 予稿集3, (2008): 395-398
    6. 小笹克行, 「韓国の大学における日韓交流プログラムの開発と運営-東西大学校外国語学部日本語学科での取り組みから-」, 한국일본근대학회 국제학술대회 요지집, (2009): 22-27
    7. 小笹克行, 「韓国語母語話者の誤用に関する分析-韓国の日本語教育の現場から-」大正大学SLA研究会シンポジウム 予稿集, (2010): 41-45
    . 小笹克行, 「韓国の大学における日本語教育ティーチングアシスタント制度導入の試み」, 대한일어일문학회 추계 국제학술발표대회 요지집, (2010): 83-87
    9. 小笹克行, 「韓国の大学での日本語教育ティーチングアシスタント経験を通じた実習生の成長-レポートに見られる本人の気づきを中心に-」, 한국일본근대학회 국제학술대회 요지집, (2012): 92-98
    10. 小笹克行, 「韓国の大学における日本語中級作文授業で取り扱うべき内容に関する一考察」, 대한일어일문학회 추계 국제학술발표대회, (2013)
    11. 小笹克行, 「ピア・レスポンスを取り入れた日本語中級作文授業の実践報告」, 대한일어일문학회, (2014): 60-63

    - 논문 -
    1. 小笹克行, 「韓国語母語話者と中国語母語話者の聴解力-聴解力の差、聴解力と下位知識について-」, 대한일어일문학회지, 『日語日文学』, 16輯(2001): 59-72
    2. 小笹克行, 「韓国語と中国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学習者の聴解力-聴解力の差、聴解力と読解力の関連-」, 한국일본문화학회지, 『日本文化学報』, 13輯 (2002): 27-43
    3. 小笹克行, 「初級レベルの学習者が望む作文指導-韓国の大学でのアンケート調査から-」, 한국일본근대학회지, 『日本近代学研究』, 7輯 (2003): 155-170
    4. 小笹克行, 「初・中級レベルの日本語学習者が望む作文指導」, 대한일어일문학회지, 『日語日文学』, 23輯(2004): 95-108
    5. 小笹克行, 「初・中級レベルの日本語学習者が望む作文指導」, 대한일어일문학회지, 『日語日文学』, 23輯(2004): 95-108
    6. 小笹克行, 「韓国の大学における交流プログラムの開発と運営-東西大日本語学科での取り組み-」, 한국일본근대학회지, 『日本近代学研究』, 31輯 (2011): 63-81
    7. 小笹克行, 「韓国の大学における日本語教育ティーチングアシスタント制度導入の試み」, 대한일어일문학회지, 『日語日文学』, 49輯(2011): 25-40
    8. 小笹克行, 「韓国の大学における日本語中級作文授業に関する一考察」, 대한일어일문학회지,『日語日文学』, 61輯(2014): 223-238

    - 저서 -
    1. 小笹克行외 8명 공저, 『NEW NETWORK 日本語1, 2』, 시사일본어사 (2005)
    2. 小笹克行외 6명 공저, 『NEW NETWORK 日本語3』, 시사일본어사 (2005)
    3. 小笹克行외 10명 공저, 『日本語教育入門』,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5)
    윤은혜

    윤은혜

    • 직위/보직조교수
    • 연구실국제관 7304
    • 연락처320-1659
    • 이메일eunhye04@gdsu.dongseo.ac.kr
    • 학력동서대학교 일본어학과 졸업,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일본지역학과 석사과정 졸업
    • 경력2022.3.1~ 현재 동서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대학 일본어학과 조교수
    • 주요활동『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활성화에 관한 연구-부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와 관광콘텐츠화-』 2018.

    학력

    동서대학교 일본어학과 졸업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일본지역학과 석사과정 졸업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일본지역학과 박사과정 졸업

    경력

    2022.3.1~ 현재 동서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대학 일본어학과 조교수

    연구활동

    <박사학위논문>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활성화에 관한 연구-부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와 관광콘텐츠화-』 2018.
    <석사학위논문>
    「일본계 신종교 여성신자에 관한 연구」 2011.
    엄필교

    엄필교

    • 직위/보직명예교수
    • 연락처320-1752
    • 이메일kpu6948@gdsu.dongseo.ac.kr/
    • 학력일본 埼玉大学(문학석사-일본어학),    学習院大学박사과정수료
    • 경력1999~2001년 책임교수, 대한일어일문학회 이사 및 회계
    • 주요활동江戸語・明治東京語에서의 待遇表現-命令表現을 中心으로-

    학력

    일본 埼玉大学(문학석사-일본어학)
       学習院大学박사과정수료
    경력 동서대학교 외국어계열 일본어학과 교수

    경력

    1999~2001년 책임교수
    대한일어일문학회 이사 및 회계
    한국일본어학회 이사
    일본 현대일본어 연구회 회원
    일본 근대어 연구회 회원
    부울경기독교수연합회 회계 2013.2.1~2014.1.31
    일본어학과 교수

    연구활동

    연구실적
    <논문>
    1. 江戸語・明治東京語에서의 待遇表現-命令表現을 中心으로-
    『日語日文學』제 8輯 大韓日語日文學會 1997.11
    2.『会話篇』『当世書生気質』における江戸語的特色-待遇表現上の諸特質-
    『日語日文學』제 10輯 大韓日語日文學會 1998.8
    3. 敬語の接頭辞「お」についての一考察-『浮世風呂』を資料に-
    『日語日文學』제 12輯 大韓日語日文學會 1999.9
    4.『夢酔独言』에 나타난 ハ(ワア)行四段活用動詞의音便形 에 관한 考察
         『日語日文學』제 16輯 大韓日語日文學會 2001.11
    5. 近世後期 江戸語에 나타나는 助動詞「う(よう)」「だろう」에 대하여
    『東西論文集』 제 8輯 東西大學校 2002.12
    6.『浮世風呂』에 나타나는「だろう」「う・よう」의 用法
    『日語日文學』제 19輯 大韓日語日文學會
    7. 전기(傳奇)적 세계를 통해 바라본 중국 민중의 에2003.5 네르기
    후지이쇼조 모옌 대담/ 엄 필교 김언하 공역 2003.12
    『中國現代文學』제 27號
    8. 幕府末・明治東京語에 나타나는 推量表現에 대하여
    『日語日文學』제 21輯 大韓日語日文學會 2004.2
    9. 近世後期江戸語から明治東京語にいたる命令表現
    『日本學論集』제20호 경희대학교 日本學硏究會 2005.12
    10. 近世後期から明治期にいたる「まい」の発達について
         『日語日文學』제 32輯 大韓日語日文學會 2006.11
    11. 에도 후기에서 메이지기에 나타나는 질문표현의 양상
    『비교문화연구』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8.6
    12. 江戸語における断定表現の男女差-断定の助動詞「ダ」と終助詞の連接について-
         『日本學硏究』제 30輯 檀國大學校 日本硏究所 2010.5
    13. 幕府末・明治期における断定表現の男女差 
    -断定の助動詞「ダ」と終助詞の連接について-
    漢陽大學校 日本學國際比較硏究所 2010.6
    14. 근세후기 에도어에 나타나는 断定表現의 様相
    『비교문화연구』제25집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1.12
    15.『牡丹灯籠』『会話篇』에 나타나는「だろう」「う」의 용법
    『日語日本文學』 第56輯 大韓日語日本文學會 2012.11
    16.近世後期江戸語における推量表現
      『比較日本學』第27輯 漢陽大學校 比較學國際比較硏究所 2012.12
    17.근세후기 江戸語의 명령표현에 나타나ㅑ는 대우표현과 사용 양상
    -『浮世風呂』와『春色梅暦』를 중심으로-
    『日語日本文學』 第61輯 大韓日語日本文學會 2014.02
    18.近代 東京語에 나타나는 「まい」에 관한 연구
    『日本文化學報』 第65輯 한국일본문화학회 2015.05

    <저서>
    1. 『ポケット国語辞典』
    日本集英社 德川宗賢編 執筆(공저) 1996.5
    2.『現代日本語』
    학사원 출판 엄필교외 3인 공저 1999.2
    3. 『현대생활일본어』
    도서출판 책사랑 엄필교외 4인 공저 2001.2
    4.『기초일본어문법』
    제이엔씨 출판 단독 2001.12
    5.『높임말이 욕이 되었다』
    일본문화총서005 한국일어일문학회지음 글로세움 공저2003.12
    6.『일본어고전문법』
    부경대학교 출판부 엄필교 외 1인 공저2009.8

    小出亜弥(코이데 아야)

    小出亜弥(코이데 아야)

    • 연구실어문관 6401
    • 연락처320-1752
    • 이메일koidea011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