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대학뉴스


[전공활동] 박상필 박사 특강 -도시를 바꾸는 새로운 패러다임, 하이퍼로컬 어바니즘-

조회 8

관리자 2025-10-02 14:36

[전공활동] 박상필 박사 특강 -도시를 바꾸는 새로운 패러다임, 하이퍼로컬 어바니즘-
환경디자인전공 CIC 특강
-박상필 박사 (부산연구원 책임연구원)-
도시를 바꾸는 새로운 패러다임,
하이퍼로컬 어바니즘
도시(공간) 디자인 및 도시재생 프로젝트 사례 : Hyperlocal Urbanism 탐색

일시                                           장소                                           대상
  2025.09.01 13:00                      동서대 디자인홀 9109호                   환경디자인전공 3학년
  •             ♦ PART 1 : 도시(공간) 디자인이란?
  •  
    • "도시 전체와 부분들 사이를 조화시켜 이용하는 사람들의 공간 환경 경험을 좋게 모양 짓는 모든 일"
     근경                                          중경                                          원경 
    개별적 공간 환경                          부분적 공간 환경                          전체적 공간 환경
                       (건물, 나무, 벤치)                       (주거지, 상업지, 가로)                   (스카이라인, 산과 하늘)               
    핵심은 정지된 그림이 아닌, 움직이며 마주하는 '연속적 경험'의 디자인입니다.

     

               ♦ PART 2 : 하이퍼로컬 어바니즘의 모든 것
    "다양한 삶의 가능체를 품는 도시를 향한 새로운 흐름"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 트렌드-
    슬세권                숲세권                스세권                역세권

    -하이퍼로컬 직주락 근접성의 5대 구성요인-
    기능적 복합성                물리적 근접성                심리적 경험성                사회적 다양성                환경적 지속성
                ♦ PART 3 : 세계의 하이퍼로컬 어바니즘 사례 연구
    구분사례핵심 내용
    기존 시가지 재생형[저감도] 스웨덴, 1분 도시
    "내 집 앞 1분을 바꾼다"
    · 스트리트 무브 : 주차 공간을 모듈형 '빌딩 키트'로 손쉽게 휴식/여가 공간으로 변신
    · **목표 : ** 2030년까지 모든 거리를 건강하고 활기차게 만드는 국가 프로젝트
    [중감도] 대전, 어궁캠퍼스
    "동네가 하나의 캠퍼스가 되다"
    · United Campus : 로컬 크리에이터, 창업팀, 주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실험과 배움의 장
    · 커뮤니티 주도의 도시재생 및 청년 창업 지원
    [중강도] 영국, 런던, 킹스턴
    "상인들이 직접 도시를 경영하다"
    · BID : 상인들이 재원을 모아 만든 자치 조짓이 거리 청소, 안전 관리, 축제 기획 등 중심지 활성화 활동을 주도
    [고강도] 싱가포르, 탄종파가 공원
    "도심 속 녹생 혈관을 잇다"
    · Park Connector : 상업업무지구에 부족한 녹지 공간을 선형으로 연결해 흩어진 공원과 보행길을 통합
    신시가지 개발형[통합개발] 중국 선전, 실크로드 회랑
    "하늘, 땅, 지하를 입체적으로 연결"
    · 3D 연결 : 지하(상업), 지상(공원), 공중(스카이데크)을 통합 개발하여 이동성과 공공공간 극대화
    [공동체지향] 독일, 바우반
    "자동차 없이, 이웃과 함께"
    · Car-Free District : 자동차 없는 주거단지를 목표로 트램 중심 교통 체계 구축
    · 주민 참여 : 계획 단계부터 주민이 참여해 에너지 자립, 공동체 활동이 활발한 지속가능 마을 조성

     

               ♦ PART 4 : 부산의 미래와 하이퍼로컬
    "성숙기에 접어든 부산, 더 매력적인 삶의 장소로 진화해야 할 때"
    -잘 디자인된 공간 환경의 5가지 가치-
    1. 원근감의 지속 : 정서적 안정감과 자유로움
    2. 상상력의 발현 : 미지의 세계를 꿈꾸게 하는 힘
    3. 망원감의 획득 : 내면의 깊이 회복
    4. 민주성의 학습 : 공간을 통한 민주적 감각 체득
    5. 장소 정체성 형성 : 고유하고 아름다운 장소와 기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