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물 제품 디자이너, 디지털 제품 디자이너, 생활용품 비즈니스 메이커, 버츄얼 디자인 크리에이터

담당교수

    고정욱

    고정욱

    • 직위/보직교수/ 학과장
    • 담당과목제품아이디어발상, 메카니컬디자인, CX제품디자인, 창의통합디자인1, 창의통합디자인2/대학원:산업디자인프로세스기획, 제품경험디자인
    • 연구실디자인홀 9510호
    • 연락처051-320-2659
    • 이메일gjw@dongseo.ac.kr
    • 학력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제품디자인 전공 석사, 건국대학교 예술대학 산업디자인학과 졸업
    • 경력Practical Product Design Methodology

    학력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제품디자인 전공 석사
    건국대학교 예술대학 산업디자인학과 졸업

    경력

    □ 연구 분야
    Practical Product Design Methodology
    Product Design Structure

    □ 주요협회 참여활동사항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제품디자인부문 초대디자이너 & 심사위원
    대한민국 Good Design 선정 심사위원
    한국기초조형학회 정회원
    한국 산업디자인 협회 정회원

    □ 실무경력
    1991.01~1999.08 : 대우전자 상품디자인 연구소 재직
    1999.09~2002.03 : ㈜HUTEL Design team 팀장
    2002.04~2004.05 : VK주식회사 Design team 팀장
    2004.05~2006.02 : GMD Technology Design team 팀장

    □ 수상경력
    2019.11 : 2019 D2B디자인페어 - 공로상 (특허청장상/ 대상작 배출 지도교수상)
    2017.12 : 2017 한국디자인진흥원 Good Design(GD Mark) KIDP원장상 수상
    2016.06 : 2016 RedDot Design Product Design Award winner
    2015.12 : GD (Good Design) Mark 선정
    2015.09 : 34회 대한민국미술대전 구상(조각)부문 특선
    2015.02 : (사)한국기초조형학회 2014년도 최우수논문상
    2010.05 : 국제 디자인권 D2B공모전 (특허청) 지도교수상
    1999.05 : 34회 대한민국 산업디자인전람회 제품디자인부문 상공회의소 회장상
    1998.05 : 33회 대한민국 산업디자인전람회 제품디자인부문 산업자원부 장관상
    1997.11 : 대우전자 생활가전사업부장 공로상.


    □ 산학프로젝트
    2023.03~2023.07 : 주) 프리젠트 유아용 약병디자인 클래스샐링 프로젝트
    2022.07~2023.02 : 주) 베라캠프 산학공동기술개발
    2010.02~2010.08. : 김해 경전철 사인&시설물 design Identity 개발 프로젝트 참여
    2009.07~2009.08. : Happycall 디자인 프로젝트
    2008.10~2009.06. : CRC 부산국제영화제 문화상품 디자인개발 프로젝트 총괄

    연구논문

    □ 연구논문(단독)
    2024.08 : 산업제품디자이너의 실무역량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al Competencies of Industrial Product Designers _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5권 4호(통권124호)

    2023.02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산업제품디자인 실무프로세스 연구 -ICT 활용에 따른 효율성과 효과성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actical Process of Industrial Product Desig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ed on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ICT utilization
    _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4권 1호 (통권115호)

    2016.10 : 조립식 블록완구의 형태 결정 요인
    Factors determining the form of Prefabricated block toys _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2014.04 : 製品디자인을 위한 造形思考力 學習프로그램 開發 硏究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formative thinking ability learning program for product design _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2011.10 : 제품디자인 창의성 기초 교육을 위한 형태 발상의 유형화 연구
    A Study on Types of Form's Ideas for Basic Education of Creativity in Product Design _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5

    2010.06 : 제품디자인의 창의성 증대를 위한 디지털 2D렌더링 활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 2D Rendering Utilization for increase of Creativity of Product Design _ 한국디자인지식산업포럼 Vol.14, p11~20

    저서

    2010.12 : 제품디자이너를 위한 IDEA 발상
    장주영

    장주영

    • 직위/보직교수/학장
    • 담당과목제품디자인프로세스, 한국예술과 디자인, 조형, 디자인역사, 대학원 디자인문화 관련 이론 과목 등
    • 연구실디자인홀 9511(학장실)
    • 연락처051-320-1841
    • 이메일jychang@gdsu.dongseo.ac.kr
    • 학력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공예과 (미술학사)
    • 경력아시아미래디자인연구소 소장, 한국지속가능발전학회 부회장
    • 주요활동지역문화 기반의 디자인 실천을 위한 문화 해석의 방법론 연구와 디자인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 수행

    학력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공예과 (미술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금속공예전공 (공예·디자인학 석사)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학 박사)

    경력

    아시아미래디자인연구소 소장
    한국지속가능발전학회 부회장
    일본 죠사이국제대학 국제문화학과 객원교수
    SDGs Design International Awards 심사위원

    연구활동

    <주요 연구 분야>
    지역문화 기반의 디자인 실천을 위한 문화 해석의 방법론 연구와 디자인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 수행
    한국과 아시아에 기반한 비교문화연구, 
    지역문화의 지속가능성 연구 및  디자인윤리
    지역문화에 기반한 미래 시나리오, 퓨쳐씽킹 및 스페큘러티브 디자인
    문화맥락에서의 사용자 리서치 및 제품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연구 프로젝트>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사업 (교육연계형 2 19~2 25, “한국문화기반의 창의적 디 자인교육 콘텐츠개발 및 게이미피케이션 연구”), 책임연구자
    한국연구재단 학술·인문사회사업 일반공동연구 지원과제 (2 22~2 25, “지역역사문화 유산의 보존과 가치화를 위한 디지털전환(DX)과 디자인주도형 문화콘텐츠 개발 연구” ), 책임연구자

    <연구 논문>
    (2 24). Framework for Digital Transform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chives of Design Research, 37(1), 43-59
    (2 2 ). 문화융합의 시대에 ‘문화지향의 디자인’을 위한 교차문화적 디자인 방법론의 이론 적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8(3), 3 5-317.
    (2 19). 인류세에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기초로서 동양적 자연관에 기반한 생태소양. 한국 디자인문화학회지, 25(4), 461-471.
    (2 21). Enhancing User Enjoyment in e-Learning System through Gamification -A Theoretical Framework for Designing an Enjoyment Journey.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9(3), 3 3-315. 외 다수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
    (2 23). Media art creation process using the digitized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archetype, Cumulus Conference Antwerp 2 23. April.
    (2 21). Community Life Project Platform (CLPP) for Collective Impact. In: Bruyns, G., Wei, H. (eds) [ ] With Design: Reinventing Design Modes. IASDR 2 21. Springer, Singapore.
    (2 21). Gamified e-learning approached through Emotional Design in the post-COVID-19 era, Cumulus Conference Proceedings Roma 2 21. Design Culture(s). 8-11 June 2 21, Roma, Italy 외 다수

    <저서>
    『창의성과 디자인씽킹』, 아시아미래디자인연구소 (공저)
    『한국의 일상문화1: 식_부산의 맛과 멋』, 아시아미래디자인연구소 (공저)
    『디자인사고와 창의성』, 미세움 (공저)

    <국내외 초청 강연>
    ADIC2 24(Design Society Asia Chapter), Keynote Speaker, “Designing the Future: Bridging Tradition and Innovation for Meaningful Connections”. 2 24-12-6, Tongji University, China
    부산연구원 개원 32주년 기념, 제 6회 부산이니셔티브 포럼, 주제발표, ‘디자인도시 부산을 위한 새로운 모색”, 벡스코, 부산
    DBEW2 23(Design Beyond East and West), Invited Speaker, “Designing with Meaningful Relationships“ 2 23- 4-19, ADI Design Museum, Milano, Italy
    Italian Design Day Seminar, Invited Speaker, “The quality that lights up: the energy of design for the people and the environment”, High Street Italia, Seoul, 2 23- 3- 9
    XI International Scientific Conference on Social Innovations (SOCIN'22) , Invited Speaker, 2 22-1 -2 , “Design with Social Impact: Relationship- Centered Design in the Posthuman Era”, Vilnius, Lithuania 외 다수
    김형우

    김형우

    • 직위/보직교수
    • 담당과목피지컬 컴퓨팅, 인터랙션 디자인, PID 융합 프로젝트, 창의 통합디자인 1∙2, 미래콘셉트 디자인, 포트폴리오 퍼블리싱
    • 연구실디자인홀9307호
    • 연락처051-320-2614
    • 이메일soundorange@dongseo.ac.kr
    • 학력1998년 부산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과 졸업(미술교육학 학사), 2002년 동서대학교 디지털디자인대학원 멀티미디어 디자인 석사과정 졸업(디자인학 석사)
    • 경력2001년 ~ 2003년 부산교대, 동주대학, 동서대학 등 출강, 2003년 ~ 2007년 디지털영상디자인혁신센터 연구원(중국 상해분원)
    • 주요활동2010년 A study on GUI development using RIA for eco-monitoring system / 18th WSC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Graphics, Visualization and Computer Vision, 2011년 문화인터페이스로서의 스마트폰에 대한 재매개론적 고찰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학력

    1998년 부산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과 졸업(미술교육학 학사)
    2002년 동서대학교 디지털디자인대학원 멀티미디어 디자인 석사과정 졸업(디자인학 석사)
    2007년 동서대학교 디지털디자인대학원 멀티미디어 디자인 박사과정 졸업(디자인학 박사)

    경력

    2001년 ~ 2003년 부산교대, 동주대학, 동서대학 등 출강
    2003년 ~ 2007년 디지털영상디자인혁신센터 연구원(중국 상해분원)
    2007년 ~ 현재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디자인학부 교수

    연구활동

    2010년 A study on GUI development using RIA for eco-monitoring system / 18th WSC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Graphics, Visualization and Computer Vision
    2011년 문화인터페이스로서의 스마트폰에 대한 재매개론적 고찰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013년 Interactive Virtual Physical therapy system using Kinect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3년 창의력 향상을 위한 아동 미술 교육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3년 체현 인지에 기반한 개념 메타포에 관한 연구 / 한국멀티미디어 학회
    2013년 스마트폰 UX에서 개념 메타포의 재매개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디지털 콘텐츠 학회
    2014년 An Experience-Based Chinese Opera Using Live Video Mapping / HCII 2014
    2014년 입체변환 영화의 스테레오 윈도우 위반 사례분석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5년 오프라인 방식의 입체 변환에 있어서 Depth map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5년 스마트폰 인터페이스의 어포던스 맥락에 관한 연구 / 한국 멀티미디어학회
    2015년 오프라인 방식의 입체 변환에 있어서 Depth map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6년 iOS GUI 디자인의 변화에 대한 어포던스 관점의 고찰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17년 Interface Assessment를 통한 액티브 시니어의 사용자 경험 분석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0년 오픈소스 하드웨어와 이벤트 기반 논 블로킹 I/O 알고리즘을 활용한 음성송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0년 인터넷 의료 애플리케이션 사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2년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위챗 홍바오를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년 오마주를 통한 르네 마그리트 가상전시 콘텐츠 제작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4년 Z세대의 SNS 사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요소에 관한 연구 / 한국콘텐츠학회
    정지욱(鄭志旭)

    정지욱(鄭志旭)

    • 직위/보직부교수 / 기획연구처 부처장
    • 담당과목서피스&패턴, 리빙&스타일굿즈, 웨어러블제품디자인, 미래콘셉트디자인, 포트폴리오퍼블리싱
    • 연구실디자인홀 9209호
    • 연락처051-320-1872
    • 이메일hotchung@gdsu.dongseo.ac.kr / doma24@naver.com
    • 학력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직물디자인 석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섬유미술과 학사

    학력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직물디자인 석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섬유미술과 학사

    연구분야

    Homeware & object Design
    Cultural Product Design
    Textile, Surface & Pattern Design

    □ 현재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초대 디자이너 / 심사위원
    우수디자인[GOOD DESIGN] 심사위원
    한국청소년디자인전람회 심사위원

    실무경력

    For&By Studio 대표-패턴코디네이터
    ㈜리베로시스템 디자인연구소 수석연구원
    ㈜Leegeonmaan ANF 디자인연구소 책임연구원

    □ 프로젝트
    2023. 친환경 생분해 바이오 신소재를활용한 유아용 식기 제품디자인 개발
    2021. 오프라인 의류매장 코디/매칭 서비스 플랫폼 스타일 매치
    2016. 부산시어 고등어패턴을 활용한 디자인 용품 개발
    2015. 사상구 패션지역특성에 맞춘 일자리 창출[사상구 미래형 희망인재양성 프로젝트]
    2013. 글로벌 문자패턴 디자인을 적용한 스타일 제품 디자인개발
    2013. 친환경 소재를 접목한 오리가미 기법의 멀티형 스타일 디자인개발
    2012. 패션디자인과 산업디자인 융합형 가방 디자인 산학연계프로젝트

    전시

    개인전 : 정지욱 Textile Design Episode(2012,서울)

    저서

    2018.02. 융합디자인 교육을 위한 기초조형 워크북 [구조와 반복](공저)
    2017.02. 디자인사고와 창의성(공저)
    이성필

    이성필

    • 직위/보직교수
    • 담당과목서비스디자인
    • 연구실디자인홀 9213
    • 연락처051-320-1846
    • 이메일sungplee@gdsu.dongseo.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