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활동학과활동그외 비교과활동

학과활동


2023 TCS 한일중 스피치 말하기 대회

조회 251

관리자 2023-02-22 17:21

TCS 한일중 스피치 말하기 대회

날짜 : 2023년 02월 10일
수상자 : 캠퍼스아시아학과 공*단, 왕*니

안녕하세요 캠퍼스아시아학과입니다!
2월 10일에 TCS 한일중 스피치 말하기 대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스피치 대회에서 저희 캠퍼스아시아학과 학생인 공*단 학생이 1등상을
왕*니 학생이 2등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너무 너무 축하드립니다:)

1등상 수상자 원고

Title: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중일 교육 협력 방안의 제안

后新型冠病毒代中日育合作方案的提案

ポストコロナ時代の日中韓育協力案の提案

 

안녕하십니까! 저는 동서대학교 캠퍼스아시아학과 소속 공*단입니다. 오늘 저는 한중일과의 교류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제가 계획해 본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중일 교육 협력 방안에 대해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한중일의 지속적인 평화와, 공동번영, 공통의 문화적 가치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젊은 세대들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저는 이 젊은 세대들을 양성해내는 가장 중요한 첫 단추가 바로 교육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2020 1월 중국에서 개최된 한중일 교육장관 회의에서는 3국 간 폭넓고 다양한 청소년 교류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캠퍼스 아시아' 사업 확대와 발전에 합의하는 등 교육과 관련한 교류를 촉진하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저도 협력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까 하고 고민하여, 이 협력 방안을 계획해보았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중일 교육 협력의 3가지 방안과 그 기대효과 대해 발표해 보려고 합니다.

 

第一,为新冠肺炎时期失去当地留学机会的中日韩学生提供当地体验项目。

新冠肺炎疫情肆虐全球,中日韩三国也纷纷采用了网上授课模式、云留学成为当时的热词。但是 根据早稻田大学进行的一项调查,调查人员中有三分之二以上的学生表示:不希望 "云留学",而且 发现了学业成就度也较低。因此, 如果以当时无法去留学的中日韩学生为对象,提供短期研修项目的机会等 扩大支援的话, 学生们可以品味三国各具魅力的智慧、独有的信念和情绪,也可以理解三国共同发展的必要性和重要性。

 

第二,构建中日韩独立、共同的在线教育网络与基础设施。

我从2020年 通过校园亚洲项目,经历了中日韩 网络课程。网络课程有各国时差不同、网络不稳定等存在一系列问题。而且与中国和日本学生进行分组活动的时候,因为使用的应用程序不同,所以学生们熟悉起来花了很多时间和努力。这甚至导致了国家之间学生学业成就的两极化现象。虽然今后疫情情况会逐渐缓解,但是为了未来教育的代表性方式--网络教育的顺利进行,中日韩合作构筑共同的在线教育网络与基础设施的话,就可以解决国家之间学业成就度的两极化问题,而且 中日韩 学生们也会更加活跃地相互连接。

 

最後に、脆弱階層の児童のために日中韓共同支援機構を設立することです。コロナによる最も直接的な変化は、学校の長期間の閉鎖だと言えます。この過程で最も大きな被害を受けた人々は結局、脆弱階層の児童たちです。教育の機会を失ったとともに給食の中断による栄養失調の問題、家庭内暴力の問題を悪化させたりもしました。これは個人間の問題でもありますが、国家間の問題でもあります。地域、そして文化的に接近しやすい日中韓の地域社会が相互協力して共同で支援できるシステムが構築されれば、コロナが引き起こした脆弱階層の教育および生活の困難という日中韓共同危機を共に改善できると考えます。

 

ポストコロナ時代に対する議論は未来に対する予測と展望に基づいており、不確実性の問題を避けることはできません。しかし、千年の歴史から見ると、日中韓のつながりは数多くの出会い、衝突、融合で鍛えられたものです。日中韓が互いのパートナーとして共同の危機に対応し、持続的な教育の発展のために進んでいけば、21世紀、宝物みたいな青年たちを養成することができると信じています。日中韓 3国がポストコロナ時代に教育協力の重要性を抱いて共に成長することを希望しながら、以上で発表を終わらせていただきます。ご清聴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2등상 수상자 원고

在亚洲校园的舞台上讲述中日韩与我的故事
皆さん、こんにちは。キャンパスアジアというプログラムに参加しているオウ*ジと申します。本日は日中韓3ヵ国と私のストーリーについて発表させていただきます。
日中韓3ヵ国と私のつながりは2019 年、キャンパスアジアというプログラムに参加したことがきっかけでした。ひらがなからハングルまで、伝統文化からポストコロナ時代の協力にいたるまで「東アジア」、「儒教文化圏」という言葉が私の学習生活のキーワードになりました。
首先想和大家分享一个小故事。在2020 年疫情首先肆虐中国之际,偶然一天我收到了一份漂洋过海的特别礼物。来自日本立命馆大学的芝华名前辈曾在我的学校交换,她发来一封邮件,邮件的照片里以书法的形式书写着“山川异域,风月同天。中国的朋友们加油!”想必这句话在当时也给在座的各位留下了深刻的印象吧。照片里也写着“我还想吃麻辣香锅”的字样。这样真诚的问候在疫情期间给了我们一份温暖,好像那个严寒的冬天也没那么冷了。而后,当日韩疫情爆发时,我们也没有忘记将这一份关怀传递回去。无论是录制慰问视频、还是从国内邮寄口罩赴日韩,我们也在用自己微小的行动使得中日韩这一区域的联结变得更加紧密。
时间来到2022 年,在中日韩“亚洲校园”的共同努力之下,我终于得以赴韩国釜山、日本京都进行为期一年的交换。
한국에 있었을 때 ‘동아시아 지역 세미나’ 라는 수업이 있었습니다. 이 수업에서저는 한일 친구들과 같이 여러가지 중요한 이슈에 대한 3 국 언론 기사를 토론하고 비교 발표를 해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도쿄 올림픽, 베이징 동계 올림픽, 그리고 한국 대선 등에 대한 주제가 있었습니다. 각국의 언론 기사를 비교하면서 일부 미디어가 여론을 왜곡하거나 과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이러한“미디어가 3 국 국민들의 감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갈등의 원인을 한중일 친구들과 같이 찾아보았고 그 과정을 통하여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중일 교류가 어떤 방향으로 나가야 하는가에 대해 제 의견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현재 인터넷 발전과 글로벌 민족주의 정서가 고조됨에 따라 한중일 교류는 많은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인터넷을 통해서만 한중일 관계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교류 속에서 상대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바로 ‘캠퍼스 아시아' 프로그램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죠. 또한 중국, 한국, 일본은 문화적으로 지리적으로 그리고 역사적으로도 많은 공통점을 가진 가까운 이웃입니다. 그러므로 동아시아라는 공동체 시각으로 한중일의 미래를 생각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캠퍼스 아시아' 프로그램이 한층 더 확대된다면 한중일 교류의 개선도 충분히 이루어질 수있다고 기대합니다.
東アジアの交流は大きなイシューに違いありません。では、未来を創る若者として、果たして私たちは具体的な生活の中で日中韓交流のために何ができるでしょうか。昨年開催されたTCS の活動の場で、私は欧事務局長にこのように尋ねました。事務局長からは「理
解と包容の心を持って交流するならば、既に十分であると言えます。今すぐに効果は見えないかもしれませんが、引き続き交流すれば、10 年後、20 年後にはどうなっているでしょうか」というお話をいただきました。
確かに、何よりも重要なのは人々、特に若い世代が開かれた心で互いに歩み寄り、相手を理解しようと努力することです。日中韓の交流を促進するために、これからもキャンパスアジアの舞台で頑張りたいと思います。
以上です。ご清聴どうも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