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교수소개동서대학교

동서대학교

    제점숙

    제점숙

    • 직위/보직부교수 / 학과장 / CAMPUS Asia사업단장 / International College 교학부장
    • 연락처051-320-1649
    • 이메일d61187@gdsu.dongseo.ac.kr
    • 학력• 동서대학교 : 문학사 -일어일문학과, • 동서대학교 대학원 : 문학석사 -일본지역학과
    • 경력• 2007~2008 / 일본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DC) , • 2008~2009 / 일본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PD)
    • 주요활동한일중 CAMPUS Asia 사업 Mode1 (12년~16년)

    학력

    • 동서대학교 : 문학사 -일어일문학과
    • 동서대학교 대학원 : 문학석사 -일본지역학과
    • 일본 리쓰메이칸대학(立命館大学) : 문학박사-일본사

    경력

    • 2007~2008 / 일본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DC)
    • 2008~2009 / 일본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PD)
    • 2012~2017 / 동서대 일본어학과 조교수
    • 2017~ / 동서대 동아시아학과 부교수
    동서대 동아시아학과 책임교수
    동서대 한일중 CAMPUS Asia 사업단장

    【대외활동】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재무이사
    대각사상연구원 편집위원
    한국신종교학회 섭외이사 및 편집위원
    한국종교학회 분과위원장 및 편집위원

    연구활동

    【정부사업수주】
    -한일중 CAMPUS Asia 사업 Mode1 (12년~16년)
    -한일중 CAMPUS Asia 사업 Mode2 (16년~20년)

    【연구과제】
    -한국내 일본계 종교의 유입과 토착화 과정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연구재단(일반공동)/2016-11-1~2019-10-30
    -한국불교의 ‘근대’와 재일조선불교유학생들의 국내외 동향 /한국연구재단(중견)/2016-06-1~2019-05-31
    -植民地朝鮮における朝鮮仏教の〈抗日―親日〉表象―その論理の再構築 /일본스미토모재단/2015-04-01~2016-03-31
    -근대문화유산의 문화관광콘텐츠 활용방안 /한국연구재단(신진)/2013-05-1~2014-04-30
    -植民地朝鮮における日本系新宗教の思想的研究 /일본스미토모재단/2011-03-01~2012-03-31

    【연구논문】
    -「日本新宗教の海外社会活動と宗教的アイデンティティの問題」『次世代人文社会研究』創刊号、347-363頁、2005年 3月。
    -「世俗化プロセスからみた日本新宗教の社会活動」『日本近代学研究』第10号、124-139頁、2005年 5月。
    -「植民地朝鮮における社会事業の成立と日本系宗教の社会事業活動に関する思想的考察」『東アジアの思想と文化』創刊号、38-53頁、2006年 5月。
    -「朝鮮(一八七七年~一九一〇年)における日本仏教の社会事業動向--真宗大谷派の活動を中心に」『日本思想史研究会会報』第24号、22-43頁、2006年 12月。
    -「植民地朝鮮における日本仏教の社会事業に関する一考察--真宗大谷派の『向上会館』を事例として」『立命館史学』第28号、51-81頁、2007年 11月 。
    -「東アジア植民地における日本仏教の『近代』」―植民地朝鮮における日本仏教(浄土宗)の社会事業を事例として―『日本近代学研究』第20号、135-155頁、2008年 5月。
    -「식민지 조선 일본불교의 사회사업동향’」-신슈오타니파(真宗大谷派)의 사회사업을 사례로-『차세대 인문사회연구』 제 6호, pp235-251, 2010. 03
    -「朝鮮(1897-1910)における浄土宗の動向」『日本硏究』 第14集, 539-558頁, 2010年 8月
    -「일본불교의 근대인식과 개항기 조선 ―정토종(淨土宗)의 교육사업을 중심으로―」『일본근대학연구』 제32집, pp.109-130, 2011.5
    -「개항기 부산 일본불교의 교육 사업에 관한 연구」 『비교일본학』 제 25집 pp.187-208, 2011.12
    -제점숙, 이원범, 김용민「일본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고찰」 『일본근대학연구』 제 35집 pp. 27-290 2012.02
    -「植民地朝鮮における日本佛敎の社會事業 -植民地公共性を手がかりとして-」 『일본근대학연구』제 36집 pp.279-291, 2012.05
    -「일본 천리교의 종교경관 형성에 관한 연구」『종교문화연구』 pp. 57-83, 2012.06
    -「구한말 부산지역 조선어, 일본어 교육의 전개- 이문화 ‘장(場)’으로서의 교육 공간-」『일본근대학연구』 제39집, pp. 193-214, 2013.02
    -「일제시대 허영호의 국내외 동향과 현실 인식」『만해학보』 2015.08
    -「근대문화유산의 활용과 역사인식 문제-‘근대’라는 역사인식의 행방」『비교일본학』 제 35권, pp63~86, 2015. 12
    -「근대 한국불교의〈친일-항일〉담론-한국불교의 ‘친일’의미의 다양성」『비교일본학』 37집, pp41~64, 2016. 09
    -「부산지역의 근대문화유산과 역사인식 문제-부산의 ‘등록문화재’를 중심으로-」『향도부산』 제 33권, pp141~172. 2017. 02
    -「일제하 효당 최범술의 일본유학과 교육활동」『만해학보』 2017. 07
    -「식민지 조선 재일불교유학생의 동향: ‘조선불교단’ 포교유학생의 “친일” 양상을 중심으로」『아태연구』 제 24권, pp39~69, 2017. 09
    -「1911년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조선 내 종교계 동향: 조선총독부 『사사종교(社寺宗敎)』 자료를 중심으로」『일본연구』 제 29권, pp207~230, 2018. 02
    -「한국통감부기 조선내 일본 불교계의 동향 : 『종교에 관한 잡건철』 사료를 중심으로」『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제76권, pp383~413, 2018. 06
    -「근대 불교잡지에 나타난 재일조선불교유학생들의 현실인식 - 재일불교청년단체의 기간지 『금강저(金剛杵)』를 중심으로 -」『비교일본학』 제 43권 1호, pp141~166, 2018. 09
    -「일본 신종교의 문화사업과 콘텐츠 -일본 창가학회(創價學會)의 활동을 중심으로」『신종교연구』
    제 39권, pp49~72, 2018. 10
    -「동본원사 부산별원, 그리고 대각사 - 100년을 통해서 본 한국과 일본불교의 ‘공간’의 역사 - 」『전자불전』 제 21권, pp103~135, 2019
    -「近代韓國佛敎の「親日-抗日」の言說-朝鮮仏教における「親日」をめぐる意味的多様性 (桂島宣弘教授退職記念論集)」『立命館文學』 第 660 号, 522-536頁, 2019. 02
    -「근대일본불교 사회사업의 '慈善'에 대한 고찰-정토진종본원사파의 사회사업을 사례로-」『대동문화연구』 제 108호, pp.337~362, 2019.12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日本新宗教の海外社会活動と宗教的アイデンティティの問題」日韓次世代研究フォーラム‘韓国東西大学校’、 2004.06
    -「世俗化プロセスからみた日本新宗教の社会活動」韓国日本近代学会‘韓国東亜大学校’、 2004.11
    -「明治期の朝鮮における真宗大谷派の社会事業動向―奥村五百子の活動を中心に―」韓国日本近代学会‘麗澤大学’、 2006.10
    -「植民地朝鮮における真宗大谷派による社会事業の動向」第29回立命館史学会‘立命館大学’、 2006.12
    -「일제시대 일본불교의 사회사업-진종대곡파(真宗大谷派)의 사회사업을 사례로-」제6회 한일차세대국제학술포럼, 큐슈대학, 2009.06
    -「식민지조선 일본종교의 활동-그 과제와 전망 –일본불교를 사례로-」동아시아종교문화학회 제1회 국제학술대회, 2009.08
    -「日本仏教の近代性と植民地朝鮮」国際日本文化研究センター、2011.09
    -「植民地朝鮮における日本仏教の社会事業」国際日本文化研究センター、2012.02 
    -「일본천리시의 종교경관」종교문화연구(한신인문학연구소) 2012.05
    -「韓国のメディアを通うじて見る「倭色」宗教」日本宗敎學會、 2012.09
    -「植民地朝鮮と仏教」日本近代佛敎史硏究會学術大会、2013.05
    -「근대기 대처승(帶妻僧) 문제를 둘러싼 한일 불교계의 동향」(대각사상연구원) 2014.07
    -「근대일본의 불교개혁과 신불교운동」(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5.05
    -「일제시대 허영호의 국내외동향과 현실인식」(만해학회) 2015.07
    -「일제하 효당 최범술의 일본유학과 교육활동」(만해학회) 2017.07
    -「1911년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조선내 종교계 동향」(한국종교학회) 2017.12
    -「일본 신종교의 문화사업과 콘텐츠-일본 창가학회의 활동을 중심으로」(한국신종교학회) 2018.05
    -「식민지 조선 일본불교의 사회사업에 대한 고찰-진종대곡파의 사회사업을 중심으로」(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9.11~

    【저역서】
    -이원범, 제점숙 외 『한일종교문화 교류의 최전선』인문사 2011년(편서)
    -제점숙, 이현경 외 『한일종교문화 교류의 최전선』인문사 2011년(역서)
    -磯前順一、諸点淑他、『植民地朝鮮と宗教』三元社、2013年(역서)
    -윤해동, 제점숙외 『식민지조선과 종교』책과함께, 2013년
    -제점숙, 『근대 일본의 종교 담론과 계보』, 논형, 2016(역서)
    -제점숙, 『植民地近代という経験ー植民地朝鮮と日本近代仏教』, 法蔵館, 2018(저서)
    이홍규

    이홍규

    • 직위/보직부교수 / 중국연구센터소장
    • 연락처051-320-1671
    • 이메일hujintao@gdsu.dongseo.ac.kr
    • 학력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 졸업, 서강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석사과정 졸업
    • 경력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아주지역팀, 북한연구팀, 해외경제팀 근무),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중국학과 대우교수
    • 주요활동연구분야 : 중국정치경제, 중국의 민주화, 동아시아지역주의, 담당교과목 : 현대중국의 이해, 중국 연구, 동아시아 국제협력과 시민, 동양사상입문 등

    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 졸업
    서강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석사과정 졸업
    중국사회과학원 대학원 법학과(정치학과 통합과정) 박사과정 졸업

    경력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아주지역팀, 북한연구팀, 해외경제팀 근무)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중국학과 대우교수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지역연구소 책임연구원

    연구활동

    연구분야 : 중국정치경제, 중국의 민주화, 동아시아지역주의
    담당교과목 : 현대중국의 이해, 중국 연구, 동아시아 국제협력과 시민, 동양사상입문 등

    <주요 저서 및 논문>

    【저서 및 역서】
    공저,『통일시나리오』(삼성경제연구소, 1996)
    공역,『후진타오시대 중국의 정책결정』(문화발전소, 2005)
    공편역, 『중국 제조업의 발전 전략』(산업기술재단, 2008)
    공저, 『중국모델론』(부키, 2008)
    공저, 『한-중 FTA와 동아시아 지역주의』(풀빛, 2009)
    공저, 『체제전환의 중국정치』(에버리치 홀딩스, 2010)
    공저, 『중국 경제성장에 있어서 중앙과 지방정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경기개발연구원 2011)
    공저, 『중국의 G2 부상과 한반도 평화통일 추진전략』(통일연구원 2011)
    공역, 『중국, 자본주의를 바꾸다』(미지북스, 2012)
    공저, 『民生視閾中的政府治理』(北京大學校出版社, 2013)
    공저, 『중국의 민주주의는 어떻게 가능한가 - 중국의 논의』(성균관대 출판부, 2013)
    공저, 『현대 중국의 진화와 지식네트워크』(길, 2013)
    공저, 『시진핑시대의 중국 정치경제 -정책동향·한중교류·도시정보』(인천발전연구원 2013)
    공저, 『중·일 경제리스크와 한국경제의 선택』(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3)
    공저, 『중국의 동북지역 개발과 신북방 경제협력의 여건』(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공편, 『전리군과의 대화 - 중국의 사회주의, 자본주의, 민주주의』(한울, 2014)
    공저, 『차이나 핸드북』 (김영사, 2018)
    공저, 『CHINA SOLUTION-중국솔루션』 (성균관대 출판부, 2018)
    공저, 『한중협력의 새로운 모색, 부산-상하이 협력』 (산지니, 2020)

    【논문】
    “企業集團化的政治分析-經濟體制改革中的中國企業集團化” 中國社會科學院 博士學位論文 (2005. 7)
    “중국 기업집단화의 정치경제: 배경, 동학, 함의” 『국제정치논총』제46집 제4호 (2006.12)
    “중국적 발전모델과 홍콩의 역할” 『중국연구』제40권 (2007. 6)
    “중국의 국가혁신시스템 구축: 실체와 함의” 『중소연구』제31권 제3호 (2007.11)
    “중국적 사유화의 역사적 경로와 함의”『한국과 국제정치』통권 59호 (2007.12)
    “중국식 민주주의와 정치참여: 기층선거의 성과와 한계” 『세계지역연구논총』제27집 1호(2009. 4)
    “중국 국유기업 지배구조의 역사적 형성: 경로와 동학” 『동아연구』59집 (2010.8)
    “중국 기업 연구의 또 다른 시각: 역사제도주의 정치학과 맞물림의 정치경제” 『현대중국연구』제12집 2호(2011.2)
    “중국 기업정책의 정책결정 메커니즘 - 중국 기업성장의 제도적 배경”『중국연구』제52권 (2011.7)
    “중국의 소프트 파워 평가에 대한 시론적 연구” 『중국학연구』제57집 (2011. 9)
    “Bo Xilai's Dismissal and the Future of Chongqing Model” 『Asiaitive』vol. 2 (2012, 7)
    “충칭모델의 등장과 성과 - 중국모델의 혁신의 관점에서 본 함의” 『국가전략』18권3호 (2012.8)
    “보시라이 숙청과 충칭모델의 미래” 『현대중국연구』제14집 1호 (2012, 8)
    “인터넷 시대의 중국 지식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영향” 『중국학논총』제40집 1호 (2013, 5)
    “중국 내 ‘사회주의민주’ 인식과 실천 구상의 다양성 - 중국 정치개혁 방향에 대한 함의” 『중소연구』제37권 3호 (2013.11)
    “중국의 국유기업 개혁, 민영화가 대세인가 - 역사적 경로의존성을 통한 전망” 『중국학연구』제66집 (2013.12)
    “추이즈위안의『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 선언』, 중국 체제의 미래를 묻다” 『중국현대문학』제69호 (2014. 6)
    “중국의 온라인 민족주의와 한국의 대응 -디지털 공공외교 전략 방안을 중심으로” (공저) 『동아연구』제63집 (2014. 8)
    “개혁개방 이전 중국의 민주주의 인식: 변화와 영향” 『중소연구』 제38권 3호 (2014. 11)
    “시진핑 시대의 국유기업 개혁 방향과 중국무델 - 혼합소유제 개혁을 중심으로” 『중국연구』 제66권 (2016. 3)
    “중국식 세계화와 중국의 국가정체성 변화” 『한중사회과학』 제14권 3호 (2016. 7)
    “'중국식 민주'의 역사적 형성과 의미: '사회주의민주'의 수용과 왜곡 사이에서” 『동아연구』 제36권 2호(통권 73집) (2017. 8)
    “중국의 전략적 신흥산업 정책과 지방정부 발전경쟁 - 산업발전과 생산능력 과잉의 딜레마” 『한중관계연구』 제4권 제3호 (2018.10)
    “1989년 천안문 운동의 성격과 그 역사적 의미-‘사회주의민주’의 구현을 위한 체제 내 민주화 운동” 『중국지식네트워크』 제14호 (2019.11)
    “동아시아지역주의와 평화: 역사, 구조, 함의” 『아시아연구』 23권 4호 (2020.11)
    신정화

    신정화

    • 직위/보직교수/일본연구센터 소장
    • 연락처051-320-2601
    • 이메일jungwha82@gdsu.dongseo.ac.kr
    • 학력일본 慶應義塾大学 法学部 정치학 박사 (2000년 취득), 한국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1990년 취득)
    • 경력- 2022.03~ 현재: 동서대학교 캠퍼스 아시아학과 교수/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소장, - 2006.03~ 2022.02: 동서대학교 국제학부 국제관계학 전공 교수
    • 주요활동- 2021. “센카쿠열도 갈등과 일본의 대중 안보전략: ‘실질적 위협’ 중국과 ‘자유롭고 , 열린 인도·태평양전략’,” 『대한정치학회보』 (제29집 3호).

    학력

    일본 慶應義塾大学 法学部 정치학 박사 (2000년 취득)
    한국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1990년 취득)
    한국 가톨릭 대학 사회학과 학사(1986년 취득)

    경력

    - 2022.03~ 현재: 동서대학교 캠퍼스 아시아학과 교수/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소장
    - 2006.03~ 2022.02: 동서대학교 국제학부 국제관계학 전공 교수
    - 2024.05~ 현재: 제22대(2024.05~ 2028.05) 국회 평화외교 자문위원회 자문위원 
    - 2024.01~ 현재: 부산일보 「중앙로 365」 고정 칼럼니스트
    - 2022.03~ 2023.02: 한국세계지역학회 회장/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회장
    - 2021.09~ 2023.08: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국제협력분과 상임위원
    - 2021.04~ 현재: 한반도 경제협력원 이사
    - 2021.03~현재: 한국정치학회 이사
    - 2021.03~ 2023.02: 통일부 통일교육위원 부산지역협의회 회장/ 부산시 남북교류위원회 위원/ (사) 한반도평화포럼 이사
    - 2020.03~ 2022.02: 대한민국 시도지사협의회 남북교류협력특별위원회 부산시 대표/ 부산시 평화통일교육위원회 위원
    - 2019.08~ 2021.07: 통일부 남북관계발전위원회 민간위원
    - 2019.03~ 2021.05: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RB)
    - 2018.03~ 2024.02: 현대일본학회 부회장
    - 2018.03~ 2023.02: 현대북한연구학회 부회장/ 『북한연구학회보』 편집위원
    - 2016.03~ 2018.02: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 2016.03~ 2018.02: 현대일본학회 『일본연구논총』 편집위원

    연구활동

    - 2021. “센카쿠열도 갈등과 일본의 대중 안보전략: ‘실질적 위협’ 중국과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전략’,” 『대한정치학회보』 (제29집 3호).
    - 2020. “한일 역사화해와 우호증진: 와카미야 도시후미(若宮 啓文)의 활동을 중심
    으로,” 『국제정치연구』 (제23집 3호).
    - 2019. “문재인 정권과 아베신조 정권의 ‘새로운 나라’만들기: 불신과 갈등의 확
    산,” 『日本硏究論叢』 (제50호).
    - 2018. “安倍政権の外交·安保政策と北朝鮮政策: 第1·2·3次内閣を中心に,” 『日本硏究論叢』 (제48호).
    - 2017. “일본의 센카쿠열도 정책의 내용과 변화: 현상 유지에서 전략적 대응으로,” 『日本硏究論叢』 (제46호).
    “동북아 질서제편과 한일관계,” 『JPI 정책포럼』 제주평화연구원.
    - 2016. “냉전 이후 북일관계의 시대별 주요 특징,” 『일본공간』 (19권)
    “동북아 안보구도와 한일관계 : 아베내각을 중심으로,” 『日本硏究論叢』 제44호.
    - 2015. “북한의 국가발전 목표와 대일정책: 김정일과 김정은 시대를 중심으로,”『북한연구학회보』 (19권 2호)
    ------. “과거사문제에 대한 한국 역대 정권의 대응- 관리에서 주도로-,” 『한일군사문화연구』 제20호.
    - 2014. “분단체제·제국주의체제의 극복과 한국·북한·일본 : 김영삼 정부기
    (1993.2~1998.2)를 중심으로,”
    조세영

    조세영

    • 직위/보직특임교수
    • 연락처051-320-4859
    • 이메일seicho84@naver.com
    • 학력- 1984 고려대학교 법학과 졸업(법학사)
    • 경력- 1984 제18회 외무고시 합격, 외무부(현재 외교부) 입부, - 1987-1989 일본 게이오대학 방문연구원
    • 주요활동[저서(단독)], - 『봉인을 떼려 하는가 : 미일동맹을 중심으로 본 일본의 헌법개정문제』,2004,도서출판 아침

    학력

    - 1984 고려대학교 법학과 졸업(법학사)

    경력

    - 1984 제18회 외무고시 합격, 외무부(현재 외교부) 입부
    - 1987-1989 일본 게이오대학 방문연구원
    - 해외근무 6회
    * 주일본 한국대사관 2등서기관(1990-1994)
    * 주예멘 한국대사관 1등서기관(1994-1996)
    * 주샌프란시스코 한국총영사관 영사(1999-2001)
    * 주일본 한국대사관 1등서기관(2001-2004)
    * 주중국 한국대사관 공사참사관(2006-2008)
    * 주일본 한국대사관 공사참사관(2008-2011)
    - 2011-2012 외교부 동북아시아국장
    - 2013 외교부 명예퇴직
    - 2013-2018 동서대학교 국제학부 특임교수, 일본연구센터 소장
    - 2018-2019 외교부 국립외교원장(차관급)
    - 2019-2020 외교부 제1차관
    - 2021.09~ 동서대학교 특임교수

    연구활동

    [저서(단독)]
    - 『봉인을 떼려 하는가 : 미일동맹을 중심으로 본 일본의 헌법개정문제』,2004,도서출판 아침
    - 『한일관계 50년, 갈등과 협력의 발자취』, 2014,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외교외전』, 2018, 한겨레출판
    - 『日韓外交史』(한일관계50년의 일본어번역판), 2015, 平凡社(일본)

    [논문]
    - 「한일관계50년의 분석과 대일외교의 과제」, 2015, ‘외교’, 외교부
    - 「일본 우경화와 중일관계」, 2014, ‘성균차이나포커스’, 성균중국연구소
    - 「일본의 집단적자위권과 한국의 대응」, 2014, ‘황해문화’, 새얼문화재단
    - 「동북아 영토마찰의 성찰과 교훈」, 2013, ‘영토해양연구’, 동북아역사재단
    - 그 외 다수
    황성기

    황성기

    • 직위/보직객원교수
    • 이메일marryyouinme@naver.com
    • 학력성균관대학교 국문학과 졸업
    • 경력1986.12~ 서울신문사 입사, 1998.12 서울신문 도쿄지국 특파원
    • 주요활동2005.5 '21세기 슈퍼파워 일본을 본다' 공저 출간

    학력

    성균관대학교 국문학과 졸업

    경력

    1986.12~ 서울신문사 입사
    1998.12 서울신문 도쿄지국 특파원
    2001.4 서울신문 도쿄지국 지국장
    2004.5 서울신문 편집국 사회부장
    2007.1 서울신문 논설위원
    2013.7 서울신문 일본현지법인 법인장
    2016.12 서울신문 논설위원 외교안보 전문
    2019.2~ 서울신문 평화연구소장
    2022.10~ 서울신문 논설고문/논설위원
    2008.1~12 국가인권위원회 조정위원
    2021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글로벌전략세미나 운영자문위원
    2021.6~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11기 정책위원(정치분야)
    2023.6~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
    2023.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자문위원
    2023.8~ 한일포럼 한국 대표단
    현재~ 한일의원연맹 사무총장

    연구활동

    2005.5 '21세기 슈퍼파워 일본을 본다' 공저 출간
    桜井 泉(사쿠라이 이즈미)

    桜井 泉(사쿠라이 이즈미)

    • 직위/보직객원교수
    • 이메일590801sakura@gmail.com
    • 학력가쿠슈인대학 법학부 정치학과 졸업, 가쿠슈인 대학 대학원 정치학 연구과에서「미국의 대일 점령 정책」을 테마로 정치학 석사 학위를 취득
    • 경력1984 朝日新聞社に記者として入社, 1991 延世大学語学堂で1年間、韓国語研修。
    • 주요활동「日本と朝鮮半島 100年の明日」「韓流ハンドブック」

    학력

    가쿠슈인대학 법학부 정치학과 졸업
    가쿠슈인 대학 대학원 정치학 연구과에서「미국의 대일 점령 정책」을 테마로 정치학 석사 학위를 취득

    경력

    1984 朝日新聞社に記者として入社
    1991 延世大学語学堂で1年間、韓国語研修。
    2024 朝日新聞社 定年退職 
    社会部、編集部、文化部、オピニオン編集部、ベトナム・ハノイ支局長など40年間に及ぶ新聞記者生活を終える。 
    在職中は、日韓関係や日韓文化交流、韓国大統領選挙などを取材。趣味は韓国旅行で、ほぼ全土を旅した。

    연구활동

    「日本と朝鮮半島 100年の明日」「韓流ハンドブック」
    이원범

    이원범

    • 직위/보직명예교수
    • 이메일wblee@dongseo.ac.kr
    • 학력일본 도쿄외국어대학 일본어학과 졸업(문학학사), 일본 히토츠바시대학대학원 사회학연구과 일본지역학전공졸업(사회학석사)
    • 경력일본 도쿄대학 현대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1989-1993), 동서대학교 일본어학과 교수(1999-2016)
    • 주요활동일본의 근대화와 민중종교, 일본 국립 도쿄대학대학원 박사논문

    학력

    일본 도쿄외국어대학 일본어학과 졸업(문학학사)
    일본 히토츠바시대학대학원 사회학연구과 일본지역학전공졸업(사회학석사)
    일본 도쿄대학대학원 인문사회연구과졸업(문학박사)

    경력

    일본 도쿄대학 현대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1989-1993)
    동서대학교 일본어학과 교수(1999-2016)
    한국일본근대학회 회장(2002-2004)
    한일인문학연합회 회장(2003-2005)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부소장(2004-2018)
    한일차세대대학술포럼 운영위원장(2004-현재)
    리츠메이칸대학 객원교수(2006-2007)
    총리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자문위원(2011)
    교육부 인문사회학술연구사업 추진위원(2011-2013)
    CAMPUS Asia사업 사업단장(2012-2020)
    UNESCO 세계인문학포럼 국내추진위원(2013)
    한국 CAMPUS Asia사업단 협의회 회장(2013-2016)
    동서대학교 동아시아학과 교수(2017-2020)
    동서대학교 캠퍼스아시아학과 명예교수(현재)
    동아시아 종교연구포럼 대표(현재)

    연구활동

    1. 논문
    ●「일본의 근대화와 민중종교」, 일본 국립 도쿄대학대학원 박사논문
    ●「일·러 전쟁 후의 종교정책과 천리교」, 일본종교학회, 『종교연구』 제294호, 1992
    ●「한국의 종교사정에 대해서 : 종교의 토착화와 관련하여」, 금광교학연구소, 『금강교학』 33호, 1993
    ●「근대 한일관계와 천리교 운동」, 금광교학연구소, 『금강교학』 35호, 1995
    ●「근대 한일관계와 천리교 운동」, 한국종교학회, 춘계학술대회발표, 1995
    ●「근대 일본민중종교의 식민지포교:식민지 조선에서의 천리교 운동을 중심으로」, 초당대학교, 『초당대논문집』 제2집, 1996
    ●「일본 신종교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종교사학회, 『한국종교사연구』 제5집, 1997
    ●「근대 일본의 천황제국가와 종교정책」, 일본어문학학회, 『일본어문학』 제4집, 1997
    ●「일본계 신종교 운동의 성립과 사상:천리교와 금광교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종교문제 연구소, 『한국종교』 제23집, 1998
    ●「근대 천황제국가의 「국민교화정책」과 종교」,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제12집, 1999
    ●「근대 신종교사상 연구의 제문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일본사상』 2호, 2000
    ●「근대 일본 신종교 사상의 연구: 「신신종교」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종교사학회, 『한국종교사연구』 제8집, 2000
    ●「일본의 제국주의와 종교정책」,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창간호, 2000
    ●「일본 종교 연구사의 현상학적 고찰」,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제15집, 2001
    ●「일본 신종교 연구의 사회사적 고찰」, 한신인문학연구소, 『종교문화연구』 제3집, 2001
    ●「한국의 대학 마케팅의 현상」, 칸사이국제대학, 『연구기요』 제3집, 2002
    ●「메이지정부의 「국민교화」와 민중종교: 「삼교회동」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제5집, 2002
    ●「일본의 우경화와 지식인사회:사상의 유형적 인식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제18집, 2002
    ●「한국의 종교교육」, 종교와 사회학회, 『종교와 사회』 제9권, 2003
    ●「21세기의 새로운 일한교류와 역사 문제」, 일본사상사연구회, 『일본사상사 연구회 회보』 제21권, 2003
    ●「대학 마케팅」의 한일비교」,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제7집, 2003
    ●「Religious Education in Korea: Comletition between Religious Institutions and the State」, The Japanese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Religion, 『Religion and Society』 10, 2004
    ●「불교계 일본신종교의 국내유입과 동향 : 역사적 개관을 중심으로」, 한국종교사학회, 『한국종교사연구』 제12집, 2004
    ●「근대 한일관계와 민중종교 운동 –개항기 천리교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2005
    ●「한국에 진출한 일본계 종교의 종교적 위치와 신자의 속성 : 천리교, 생장의 집, 세계구세교의 비교분석」, 대한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 2005
    ●「일본 인문학 진흥정책의 현황과 전망」,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2006
    ●「한국의 일본계 종교신자의 의삭과 태도에 관한 조사 : 한국 기성종교신자와의 비교분석」, 종교사회학회, 『종교와 사회』, 2006
    ●「일제하 일본 자생종교 운동의 사회사적 고찰 –천리교와 금강교를 중심으로-」, 규슈대학 한국연구센터, 『한국연구센터연보출판』, 2007
    ●「조직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일계신종교단의 소집단 활동 –소집단 활동으로서의 KSGI 좌담회 분석-」,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2007
    ●「한국인의 종교의식 -한국갤럽사「한국인의 종교와 종교의식」을 중심으로」, 21다문화세계시민의식, 『한국학회지』, 2008
    ●「패전 후 일본의 포스트모더니즘과 종교연구」, 한국신종교학회, 『신종교연구』, 2008
    ●「일본「한류」의 인문학적 이해」, 『일본근대학연구』, 2009
    ●「근대 일본의 「国民教化」와 종교」, 『한국일본근대연구』, 2010
    ●「근대 한일관계와 개항지 부산 -신흥종교의 포교활동을 중심으로-」, 『아태연구』, 2011
    ●「일본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고찰」, 『한국일본근대연구』, 2012
    ●「평생학습시대의 대학과 지역사회의 파트너십에 관한 연구 -일본 와카야마대학 지역연계·평생학습센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2013
    ●「평생학습사회의 실현을 위한 대학·지역 파트너십에 관한 고찰 -와카야마현「학교지원지역본부사업」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2013
    ●「韓国内における日本系宗教の流入や土着化過程に関する調査研究」, 『韓・日宗教研究SYMPOSIUM』, 2017
    ●「韓国創価学会(KSGI)の現況と分析」, 『第2回東アジア宗教研究フォーラム』, 2018
    ●「한국내 일본계 종교의 유입과 토착화 과정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SGI를 중심으로-」, 『2019 韓・日宗教研究者SYMPOSIUM』, 2019

    2. 저서
    ●『일본의 근대화와 민중종교 – 근대 천리교운동의 사회사적 고찰 -』,동경대학교 박사논문, 1995
    ●『何のための宗教か?』, (공저) 青弓社, 1994
    ●『한일 근현대와 종교문화』, (공저), 청년사, 2001
    ●『천황제 국가의 성립과 신흥종교』, (역서), 소화출판, 2002
    ●『宗教から東アジアの近代を聞く』, (공저), ベリカン社, 2002
    ●『두 얼굴의 조국』, (역서), 도서출판시대정신, 2002
    ●『「日本型社会」論の射程』, (공저), 文理閣, 2005
    ●『외국에서의 인문학 학제각 연구교육 및 인문진흥관련법 사례조사』, 경제·인문사회 연구회, 2006
    ●『한국 내 일본계 종교운동의 이해』, j&c출판, 2007
    ●『한국 속 일본계 종교의 현황』, 대왕사, 2008
    ●『越境する日韓宗教文化 韓国の日系新宗教日本の韓流キリスト教』, (공저), 北海道大学出版社, 2011
    ●『한일 종교문화 교류의 최전선 –일본의 한류와 한국의 일류』, (공저), 인문사, 2012
    ●『일본 제국주의와 민중종교』, 세종출판사, 2019
    Mark Schroeder

    Mark Schroeder

    • 직위/보직영어학과 조교수
    • 연구실국제관 7408
    • 연락처051-320-1935
    • 이메일schroedermark65@hotmail.com
    손주희

    손주희

    • 직위/보직초빙교수
    • 이메일letter1010@hanmail.net
    • 학력동서대학교 문학사 - 중어중문학과 , 부산대학교 대학원 한국어교육학 석사
    • 경력2008~ 부산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 강사, 2010~2016 부산대학교 국제언어교육원 시간강사
    • 주요활동한국어 성취도 평가에서의 교사와 학습자간 난이도 불일치에 대한 연구, 『교육혁신연구』 제22권 제3호, 1-23, 2012.11,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신임 한국어 교사의 초점집단면접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제56권 제3호, 279-291, 2017.09

    학력

    동서대학교 문학사 - 중어중문학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한국어교육학 석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한국어교육학 박사

    경력

    2008~ 부산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 강사
    2010~2016 부산대학교 국제언어교육원 시간강사
    2017~ 동서대학교 동아시아학과 시간강사
    2019 동서대학교 동아시아학과 초빙교원

    연구활동

    한국어 성취도 평가에서의 교사와 학습자간 난이도 불일치에 대한 연구, 『교육혁신연구』 제22권 제3호, 1-23, 2012.11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신임 한국어 교사의 초점집단면접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제56권 제3호, 279-291, 2017.09
    감건

    감건

    • 직위/보직중국어학과 조교수
    • 연구실어문관 6503
    • 연락처051-320-1697
    • 이메일jenney9988@gdsu.dongseo.ac.kr
    • 학력• 중국 중경쌴샤대학교 중문과(중국언어문학교육전공) 문학학사, • 중국 중경사범대학교 교육대학원(중국언어문학교육전공) 교육학석사
    • 경력• (전)중국 중경사범대학교 國際合作與交流處(對外漢語敎師), • (전)한국 조선대학교 외국어대학 중국어문화학과(外敎)
    • 주요활동《课外名篇解读与中学生的人文素养》(2004.9)

    학력

    • 중국 중경쌴샤대학교 중문과(중국언어문학교육전공) 문학학사
    • 중국 중경사범대학교 교육대학원(중국언어문학교육전공) 교육학석사
    • 한국 조선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

    경력

    • (전)중국 중경사범대학교 國際合作與交流處(對外漢語敎師)
    • (전)한국 조선대학교 외국어대학 중국어문화학과(外敎)
    • (현)한국 동서대학교 중국어학과(外敎)

    연구활동

    • 중국 •

    《课外名篇解读与中学生的人文素养》(2004.9)
    《阅读教学与审美超越》(2005.1)
    《维果茨基最近发展区及其对语文阅读教学的启示》(2005.3)
    《中学文学作品阅读教学的接受美学思考》(2006.6)

    • 한국 •

    한·중 어린이 동화책《神笔马良 마량의 신비한 붓》(2011.11)
    한·중 어린이 동화책《东郭先生和狼 동곽선생과 늑대》(2012.11)
    한·중 어린이 동화책《天狗吃月亮 해와 달을 삼킨 개》(2013.11)

    《再议徐志摩爱情诗之性灵美》(2017.8)
    《徐志摩诗歌中的主要意象》(2018.4)
    《小议汉语数字谐音》(2018.8)
    손현미

    손현미

    • 직위/보직초빙교수
    • 이메일hymes1008@gmail.com
    • 학력부산대학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박사
    • 경력2008~2020 동서대학교 외국어교육원 한국어 강사, 2011~2013 중국 우한 중남재경정법대학교 한국어 강의 전담 교원 (파견 근무)
    • 주요활동[연구논문], - 「한국어 교사의 디지털도구 활용에 대한 인식 연구」, 『교사교육연구』, 63(4), pp.393-412, 2024.12.

    학력

    부산대학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박사

    경력

    2008~2020 동서대학교 외국어교육원 한국어 강사
    2011~2013 중국 우한 중남재경정법대학교 한국어 강의 전담 교원 (파견 근무)
    2013~2016 동서대학교 민석교양대학 시간 강사
    2013~2016 부산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 강사
    2020~2022 동서대학교 International College 강사
    2023~ 동서대학교 International College 캠퍼스아시아학과 초빙교원

    연구활동

    [연구논문]
    - 「한국어 교사의 디지털도구 활용에 대한 인식 연구」, 『교사교육연구』, 63(4), pp.393-412, 2024.12.
    - 「한국어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TPACK(테크놀로지 수업 전문성)과의 관계 분석 연구」, 『Foreign Languages Education』 31(4), pp.155~177, 2024.12.
    - 「외국인 유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및 경험 분석 연구」, 『이중언어학』 97, pp.71~99, 2024.09.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민족문화연구』 80, pp.387~414, 2022.12.
    -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불안 요인 연구」, 『한국민족문화』 78, pp.235~259, 2021.03.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종성 발음 교육 연구」, 『문창어문논집』 제47집, pp.235~266, 2010.12.

    [저서]
    - 『날마다 한국어 초급 1』, 박영사, 2024.
    - 『날마다 한국어 초급 2』, 박영사,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