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2.02_09

압화 조형물 서비스 스케이프로서의 상호작용 및 고객의 감정반응에 관한 연구 压花雕塑服务场景的相互作用及顾客感情反应的研究 A Study on the Interaction and Emotional Responses of Servicescape Customers of Pressed Flower Sculptures

  • Name : 신주옥(陈涛)/Shin, Jung-Ok
  • Info : 박사학위논문/博士学位论文/Doctor's thesis/ 2021.08
  • Adviser : 이진호/李振镐/Lee, Jin-Ho
192.168.95.172

초록

오늘날 서비스 스케이프 상업 공간도 단순 구매의 목적이 아닌, 다양한 경험과 심리적 욕구를 충족 하고자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변화는 공간의 질적 향상과 인간과 공간이 서로 소통하는 상호보완적 관계를 형성하게 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공간을 필요로 함에 따라 소비자들이 자연 소재 쾌적한 공간의 단순 방문의 목적이 아닌, 다양한 경험과 심리적 감성을 충족하고자 변화하고 있다. 공간의 물리적 질적 향상과 인간과 공간이 서로 소통하는 상호 관계를 형성하게 하여 소비자의 감성 욕구를 충족시키는 공간이 필요하다. 인간은 평생 자연 친화적인 환경과의 지속적인 인간 관계 속에서 자연 모티브적 공간에 안정감을 느끼며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 기존의 서비스 스케이프 상업공간과 차별화된 방안으로 공간 연출시 유기체의 생명감을 주제로 압화 조형물이 가진 표현 특성 개념을 공간에 적용함으로서 효과적인 공간연출을 기대할 수 있다.
기존의 서비스 스케이프 공간에서 나타나는 단순한 디스플레이의 목적이 아닌, 자연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압화 조형물이 가진 자연 표현 특성 개념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인간과 자연 공간 사이의 상호관계성의 감성이 성립한다.
본 연구는 압화의 정의 그리고 역사와 제작방법, 종류 등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 공간 인테리어 조형물로서의 위치를 정립하였다. 또한 압화 조형물이 가지는 서비스차별화를 위한 접근 방안으로 인간과 자연 공간간의 소통 매개체가 되어 긴밀한 감성적 상호작용의 발전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가설로 첫째, 자연 소재 압화 조형물 서비스 스케이프는 소비자의 취향과 사용 용도에 따라 사용자의 긍정적 감정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색과 형태를 재구성, 획일화되지 않은 선 처리, 움직이는 느낌이나 자연 연상을 주기 위해 다이나믹한 공간의 형태 표출로 방문 고객에게 자연 친화적 서비스 요소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둘째, 압화 조형물의 서비스 스케이프는 자연 친화 소비자들의 소비 문화와 트렌드가 지속적으로 발전, 변화함에 따라 자연 친화적 인테리어 소재 기법과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은 공간에 대한 패러다임이 확장되어 공간에 다양한 특성과 의미를 부여하며, 공간의 시각적 유희 경험을 통해 태도 및 의미적인 행위 의도 측면에도 영향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이상의 압화 조형물 공간 표현이 제공해주는 서비스 스케이프를 통해 소비자가 느끼는 감정반응 태도 및 추천 의도는 높을 것이다의 관계 매커니즘을 연구가설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독립변수로는 압화 조형물의 서비스 스케이프인 심미성, 주변 요소, 쾌적성, 편의성과 몰입, 상호작용으로 설정하였고, 매개변수로 고객 감정반응 및 태도, 추천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가설을 중심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하고, 감정반응과 태도 및 추천 의도라는 잠재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관찰 변인 오차 변량을 미리 계산하여 그 값을 고정시켰다. 먼저 구조 방정식 모델이 좋은 모델인지 아닌지를 평가하기 위해 일반 부합치(GFI)를 분석하였다.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GFI=0.841, NFI=0.904, TLI= 0.978, CFI=0.980, RMSEA=0.011로 GFI 값이 기준치인 0.9보다 다소 낮았으나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전반적으로 양호하였다.
모형 검증 결과, 주가설 1(H1)의 압화 조형물 설치 공간의 압화 조형물의 서비스 스케이프의 고객의 감정 반응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검증 결과는 심미성(B=.541, p<.001) (R2=0.164, F=7.800, p<.001), 주변요소(B=.340, p<.001) (R2=0.150, F=7.037, p<.001), 쾌적성(B=.304, p<.001) (R2=0.110, F=5.041, p<.001), 편의성(B=.305, p<.001) (R2=0.108, F=4.444, p<.001), 몰입(B=.301, p<.001) (R2=0.110, F=5.041, p<.001), 상호작용(B=.333, p<.001) (R2=0.180, F=8.658, p<.001)으로 서비스 스케이프의 고객의 감정반응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가설1(H1)는 채택되었다. 압화 조형물 설치 공간의 서비스 스케이프의 심미성, 주변요소의 서비스 스케이프가 잘 구성되어 있을수록 인지적 감정반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주가설 2(H2)의 검증 결과는 압화 조형물 설치공간의 서비스 스케이프 요소가 고객의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심미성>주변요소>상호작용>편의성>쾌적성>몰입 순으로 감정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가설2(H2)는 채택되었다.
세 번째 주가설 3(H3)의 검증 결과는 압화 조형물 설치공간의 서비스 스케이프 요소가 고객의 테도에 미치는 영향은 3(H3)의 검증 결과는 심미성(B=.772, p<.001) (R2=0.485, F=36.406, p<.001), (B=.354, p<.001) (R2=0.210, F=10.533, p<.001), 쾌적성(B=.381, p<.001) (R2=0.213, F=10.615, p<.001), 편의성(B=.366, p<.001) (R2=0.230, F=11.613, p<.001), 몰입(B=.273, p<.001) (R2=0.217, F=17.040, p<.001), 상호작용(B=.330, p<.001) (R2=0.205, F=10.106, p<.001)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압화 조형물 설치 공간의 서비스스케이프 요소의 태도는 심미성> 쾌적성>편의성>주변요소>상호작용>몰입 순으로 나타났다. 압화 조형물 설치 공간의 서비스스케이프의 심미성, 쾌적성이잘 구성되어 있을수록 인지적 태도가 높았다. 주가설3(H3)은 채택되었다.
연구가설 네 번째 검증 결과 고객의 감정반응과 태도와의 관계에서 주가설4(H4)를 검정한 결과, 고객의 감정 반응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B=.426, p<.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8.1%로 나타났다(R2=0.281, F=14.231, p<.001)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인지적 감정반응이 높을수록 인지적 태도가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가설4(H4)는 채택되었다.
다섯 번째 가설은 태도와 추천 의도의 관계에서 주가설5(H5)를 검정한 결과, 태도가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결과 태도는(B=.800, p<.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2.1%로 나타났다(R2 =0.321, F=27.106, p<.001)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주가설5(H5)은 채택되었다. 태도가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태도는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증결과를 통해 압화조형물 설치 공간의 서비스스케이프는 실질적으로 압화 조형물로 인한 주변의 조형 공간 요소 표현을 보여 줄 수 있는 심미성>주변요소>상호작용>편의성>쾌적성>몰입 순으로 정적영향을 미치며, 압화 조형물이 설치된 공간의 서비스 스케이프는 고객의 감정반응에 직접적인 영향으로 서비스 요소는 감정반응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이용 고객의 감정반응은 고객의 긍정적 만족 태도에 방문 고객의 추천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연구모형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부합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이론적 시사점은 자연 소재의 압화 조형물의 서비스 스케이프를 6가지 요인으로 구분하고 고객의 감정반응, 태도 및 추천 의도와의 인과관계 모형을 살펴봄으로써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자연 소재의 공간 인테리어 분야를 활성화하고 공간을 방문하는 서비스 프로세스별 선행연구를 확장하는 차원에서 자연 소재의 인테리어 공간 요소의 어떤 부분을 개선해야 할지에 대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摘要

如今,服务场景商业空间也发生了变化,不是单纯购买,而是为了满足各种经验和心理需求。这种社会变化提高了空间质量,形成了人与空间相互沟通的互补关系,需要满足消费者需求的空间,因此消费者不是单纯访问自然材料舒适空间,而是为了满足各种体验和心理感性而变化。提高空间的物理质量,形成人与空间相互沟通的相互关系,需要满足消费者感性需求的空间。人类一生在与自然亲和环境持续的人际关系中,对自然主题空间感到安全感,反应最为敏感。与已有的服务场景商业空间不同的方案来展现空间时,以有机体的生命感为主题,将压花雕塑所具有的表现特性概念应用到空间中,可以期待有效的空间展示。不是以已有的服务场景空间中出现的单纯为展示目的,而是通过传达自然的信息方法,通过压花雕塑所具有的自然表现特性概念提供多种体验,从而形成人与自然空间之间的相互关系性的感性。
本研究从理论上系统化了压画的定义、历史和制作方法、种类等,确立了作为空间装饰雕塑的定位。另外,作为压花调度所具有的服务差异化的解决方案,其目的在于使其成为人与自然空间之间的沟通媒介,促进紧密的感性相互作用的发展。
研究假设第一,自然材料压花雕塑服务场景根据消费者的喜好和使用用途,可以诱导用户的积极感情反应。为了重新构成颜色和形态,不统一的线条处理,给移动的感觉或自然联想,应该通过动态空间的形态表现,为访问顾客提供亲近自然的服务要素。
第二,随着自然亲和消费者的消费文化和趋势的持续发展和变化,压花雕塑的服务场景应该提供自然亲和的室内装饰材料技术和指向的方向。以此用户扩大对空间的模式,赋予空间多种特点和意义,通过空间的视觉游戏体验,对态度及有意义的行为诱导层面也产生影响。
通过以上压花雕塑空间表现提供的服务场景,消费者感受到的情感反应态度及推荐意图会很高作为关系机制,提出研究假设。
因此,独立变量被设定为压花雕塑的服务场景的审美性、周边要素、舒适性、便利性和投入性、相互作用,作为媒介变量,把握对顾客感情反应及态度、推荐意图的影响。
以研究假设为中心,分析结构方程式模型,为测定感情反应、态度及推荐意图的潜在变因,事先计算观察变因误差变量,并固定其值。首先,为了评价结构方程式模型是否是好模型,分析了普通符合值(GFI)。结构模型的适合度为GFI=0.841、NFI=0.904、TLI=0.978、CFI=0.980、RMSEA=0.011,虽然GFI值略低于标准值0.9,但结构模型的适合度总体良好。
模型验证结果显示,主假说1(H1)的压花造雕塑设置空间中的压花造型物的服务场景的顾客的鉴定反应存在差异的验证结果为审美性(B=.541,p<。001) (R2=0.164, F=7.800, p<.001), 周边要素(B=340, p<.001) (R2=0.150, F=7.037, p<.001), 舒适性(B=.304, p<.001) (R2=0.110, F=5.041, p<.001), 便利性(B=.305, p<.001) (R2=0.108, F=4.444, p<.001),投入(B=。301, p<.001) (R2=0.110, F=5.041, p<.001), 相互作用(B=.333, p<.001) (R2=0.180, F=8.658, p<.001)显示,服务场景对顾客的感情反应存在差异。主假说1(H1)被采纳了。据调查,压花雕塑设置空间的服务场景的审美性、周边要素的服务场景越好,认知上的感情反应就越高。
第二个主假说2(H2)的验证结果显示,压花雕塑设置空间的服务场景要素对顾客的感情反应的影响按照审美性→周围要素→相互作用→便利性→舒适性→投入的顺序,对感情反应产生注意的影响。 主假说2(H2)被采纳了。
第三个主假说3(H3)的验证结果是,压花雕塑设置空间的服务场景因素对顾客的影响3(H3)的验证结果是审美性(B=772,p<)。001) (R2=0.485, F=36.406, p<.001), (B=.354, p<.001) (R2=0.210, F=10.533, p<.001), 舒适性(B=.381, p<.001) (R2=0.213, F=10.615, p<.001), 便利性(B=.366, p<.001) (R2=0.230, F=11.613, p<.001),投入(B=.273, p<.001) (R2=0.217, F=17.040, p<.001)、相互作用(B=.330,p<.001) (R2=0.205, F=10.106, p<.以001)的形式出现。因此,压花雕塑安装空间的服务场景要素的态度按照审美性→舒适性→便利性→周边要素→相互作用>投入的顺序出现。压花雕塑设置空间的服务场景的审美性、舒适性越好,认知态度就越高。 主假说3(H3)被采纳。
研究假设第四次验证结果显示,从顾客的感情反应和态度之间的关系出发,对主假说4(H4)进行了验证,结果显示,顾客的感情反应对态度的影响是(B=.426,p<.001)统计上显示具有有意的正面影响,说明力为28.1%(R2=0.281,F=14.231,p<.001) 显示具有有意的正(+)的影响,认知上的感情反应越高,认知上的态度就越高。 主假说4(H4)被采纳。
第五种假设是,从态度和推荐意图的关系出发,对主假说5(H5)进行了验证,结果态度对推荐意图产生的影响是结果态度(B=.800,p<.001) 统计上显示有显著的正的影响,说明力为32.1%(R2=0.321,F=27.106,p<.001)有显著影响,因此采纳了主假说(H5)。调查态度是否对推荐意图产生影响,结果态度对推荐意图产生有意的影响。
通过验证结果,压花雕塑设置空间的服务场景实质上以压花造型物能够表现周边造型空间要素的审美性>周围要素>相互作用>便利性>舒适性>投入的顺序产生正的态影响,设置压花造型物的空间服务场景对顾客的感情反应直接影响,服务要素在感情反应上存在差异。另外,通过研究模型验证了用户的情绪反应对顾客的积极满意态度直接影响访问顾客的推荐意图,这符合先行研究结果。
本研究结果的理论启示将自然材料的压花造型物的服务场景分为6个要素,观察顾客的感情反应、态度及推荐意图的因果关系模型,具有学术意义。本研究的意义在于,从激活自然材料的空间室内装饰领域、扩大访问空间的各服务流程的先行研究的角度出发,对自然材料的室内装饰空间要素的哪些部分需要改善提供基础资料。

Abstract

Today's servicescape commercial space is also changing to satisfy various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needs, not simply for the purpose of purchase. These social changes require a space that satisfies the needs of consumers by improving the quality of space and creat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spac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is changing to satisfy various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sensibility. There is a need for a space that satisfies the emotional needs of consumers by improving the physical quality of the space and creating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space. Humans feel a sense of stability and respond most sensitively to the natural motif space in a lifelong human relationship with a nature-friendly environment. Effective space production can be expected by applying the concept of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press-painted sculpture to the space under the theme of the sense of life of the organism when directing the space as a method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servicescape commercial space.
It is not the purpose of a simple display that appears in the existing servicescape space, but rather as a way to convey the message of nature. By providing various experiences through the concept of the natur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pressurized sculptures, the sensibility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natural space is established. This study theoretically systematized the definition, history, production methods, and types of pressed paintings, and established its position as a space interior sculpture. In addition, as an approach to differentiate the service of the pressurized sculpture, it aims to present the development of close emotional interaction by becoming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humans and natural space.
According to the research hypothesis, first, the natural material pressurized sculpture servicescape can induce a positive emotional respons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onsumer's taste and usage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nature-friendly service elements to visiting customers by reconstructing colors and shapes, processing non-uniform lines, and expressing dynamic spaces to give a feeling of movement or association with nature.
Second, the service landscape of the pressed flower sculpture should provide the nature-friendly interior material technique and direction as the consumption culture and trends of nature-friendly consumers continuously develop and change. Through this, users need to expand the paradigm of space to give variou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to the space, and to provide influence on attitudes and meaningful behavioral intentions through the visual play experience of the space.
Through the service landscape provided by the above-mentioned pressurized sculpture spatial expression, the relationship mechanism of the emotional response attitud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elt by consumers will be high as a research hypothesi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esthetics, surrounding elements, comfort, convenience and immersion, and interaction, which are the service landscapes of the pressurized sculpture,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research hypotheses, and observational variable error variables for measuring latent variables such as emotional response, attitud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were calculated in advance and their values were fixed. First, the general fit (GFI) was analyzed to evaluate whethe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a good model or not. The structural model fit was GFI=0.841, NFI=0.904, TLI=0.978, CFI=0.980, RMSEA=0.011,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the standard 0.9, but the structural model fit was good overall.
As a result of the model verification,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assumption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of the servicescape of the pressurized sculpture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pressurized sculpture of the main hypothesis 1 (H1) was esthetic (B=.541, p<.001) (R2= 0.164, F=7.800, p<.001), peripheral factors (B=.340, p<.001) (R2=0.150, F=7.037, p<.001), comfort (B=.304, p<) .001) (R2=0.110, F=5.041, p<.001), convenience (B=.305, p<.001) (R2=0.108, F=4.444, p<.001), immersion (B=. 301, p<.001) (R2=0.110, F=5.041, p<.001), with interactions (B=.333, p<.001) (R2=0.180, F=8.658, p<.001)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motional response of Servicescape's customers. Stock hypothesis 1 (H1) was accepted. It was found that the better the esthetic of the service landscape of the space where the pressurized sculpture was installed and the better the service landscape of the surrounding elements, the higher the cognitive emotional response.
As a result of the second main hypothesis 2 (H2) verification, the effect of the service landscape factor of the pressurized sculpture installation space on the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was significant in the order of aesthetics > surrounding factors > interaction > convenience > comfort > immersion. appeared to have an impact. Stock hypothesis 2 (H2) was accepted.
Third, the verification result of main hypothesis 3(H3)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servicescape factor of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pressurized sculpture on the customer’s perspective was 3(H3), the verification result was esthetic (B=.772, p<.001) ( R2=0.485, F=36.406, p<.001), (B=.354, p<.001) (R2=0.210, F=10.533, p<.001), comfort (B=.381, p<) .001) (R2=0.213, F=10.615, p<.001), convenience (B=.366, p<.001) (R2=0.230, F=11.613, p<.001), immersion (B=. 273, p<.001) (R2=0.217, F=17.040, p<.001), with interactions (B=.330, p<.001) (R2=0.205, F=10.106, p<.001). appear. Accordingly, the attitude of the servicescape element of the space where the pressurized sculpture was installed was in the order of aesthetics > comfort > convenience > surrounding factors > interaction > immersion. The better the aesthetics and comfort of the servicescape in the space where the pressurized sculpture was installed, the higher the cognitive attitude. Stock hypothesis 3 (H3) was accepted.
As a result of testing the stock hypothesis 4 (H4)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emotional responses and attitudes as a result of the fourth test of the research hypothesis, the effect of customers' emotional responses on attitudes was statistically (B=.426, p<.001).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8.1% (R2=0.281, F=14.231, p<.001), which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which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response, the higher the cognitive attitude. Stock hypothesis 4 (H4) was accepted.
The fifth hypothesis is the result of testing stock hypothesis 5 (H5)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32.1% (R2 = 0.321, F = 27.106, p < .0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ttitude affects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the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Through the verification result, the servicescape of the space where the pressurized sculpture is installed has a positive effect in the order of esthetic>peripheral>interaction>convenience>comfort>immersion, which can show the expression of elements of the surrounding space due to the pressurized sculpture. The service landscape of the space where the pressurized sculpture was installed had a direct effect on the emotional response of the customer,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motional response of the service elements.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rough the research model that the emotional response of the customer directly affects the customer's positive satisfaction attitude and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he visiting customer,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cademically significant by classifying the service landscape of natural material pressurized sculptures into six factors and examining a causal relationship model with customers' emotional responses, attitudes,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on which parts of the interior space elements made of natural material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activate the space interior field made of natural materials and expand the prior research for each service process that visits spaces.

키워드

  • #압화 조형물
  • # 서비스 스케이프
  • # 고객감정반응
  • # 인테리어

  • #压花雕塑,服务场景,顾客情感反应,室内装饰

  • #Pressed Flower Sculpture
  • # Servicescape
  • #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 # Interior

참고문헌

[Book]

1. (사)한국프레스플라워협회, 『압화디자인원론』, 부민문화사, 2018、
2. 번트 H. 슈미트, 『체험 마케팅』, 김앤김북스, 2013
3. 김정호, 이미석 공저, 『천연염색과 규방공예』, 2005
4. 농촌진흥청, 『농림부산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2000
5. 강인숙, 송화순, 유효선, 이정숙, 정혜원, 『염색의 이해』, 교학사
6. 김규번, 김종순, 윤영숙 공저, 『누구나 알기 쉬운 천연염색』, 2000
7. 이병욱, 『창조적 디자인 경영』, 국일미디어, 2008
8. 이유재, 『서비스마케팅』, 학현사, 2016
9. 김병헌, 『서비스론』, 지식인, 2016

[Dissertation]

1. 최창배,「자연의 형태에서 도출된 유기적 디자인의 특성 분석」,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 김지현,「공공미술을 통한 도심 속 공공공간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3. 이경미,「화예디자인을 적용한 상업 공간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4. 김동숙,「성형외과 실내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 김주리,「카림 라시드와 파비오 노벰브레의 상업 공간 실내에 나타난 바이오모픽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6. 허차원,「New media의 특성으로 본 현대 건축의 표현 경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7. 김희,「소비자 체험의 유형을 이용한 기업의 브랜드 전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8. 곽혜진,「공감각적 체험을 위한 박물관 전시 연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9. 김나민,「서비스 스케이프의 구성 차원으로서의 다른 고객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0. 나용희, 커피 전문점의 서비스 스케이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1. 서영주,「압화용 식물의 효과적인 누름 건조법에 관하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1
12. 이선경,「서비스 스케이프가 고객 경험과 감정반응 및 가치공동창조에 미치는 영향」,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3. 김세희,「편의점의 서비스 스케이프가 브랜드이미지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4. 이민아,「공간 사용자경험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스케이프 평가지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5. 이민아,「공간 사용자경험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스케이프 평가지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6. 전주형, 여행업의 서비스 품질 평가 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논문, 1996
17. 17. 장정진,「사용성 분석 기반의 서비스 경험 평가 방법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8. 곽혜진,「공감각적 체험을 위한 박물관 전시 연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9. 김기홍,「박람회의 서비스 스케이프에 따른 감정반응이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0. 김희경,「공연장 서비스 스케이프(Servicescape)가 관객 만족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1. 천미영,「e-서비스 케이프와 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감정적 반응이 인터넷 쇼핑몰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2. 한가람,「스포츠 온라인게임의 경험이 사용자의 몰입과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3. 박찬원,「인터넷 사용행동에 관한 이중경로 모형」,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24. 홍민욱,「스포츠센터의 인적서비스와 매력성에 따른 감정반응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5. 양수경,「피부 미용샵 서비스 스케이프가 고객감정반응, 고객 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26. 신정옥, 「양파·옥수수 껍질 압화와 무기발광시트를 이용한 광 매체 압화 조형물 제작 연구」,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Academic Journal]

1. 홍도이, "실내공간에 나타난 유기적 표현요소에 따른 감성적 인지 평가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2013, Vol.24
2. 이정민, "상호작용 공간의 심리·형태적 의의에 관한 연구”,『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7, Vol.2 No.1
3. 김지현, "스페이스 마케팅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09, Vol.15
4. 천지혜, "감성적 이미지 생성기법을 적용한 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대회』, 2007, Vol.51
5. 김규년·김한신, "서비스 스케이프의 사회적 요소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Tourism Research』, 2014, Vol.39 No.3
6. 권민택·나광진, "점포의 디자인 환경요인이 감정반응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브랜드 디자인학연구』, 2018, Vol.16 No.4
7. 김수정, 허북구, 박윤점, "자생 식물을 이용한 압화 작품의 소재 분류 및 표현 경향”,『한국화예디자인학회지』, 2004, Vol.10
8. 우수진, 한혜련, "실내공간 디자인에서의 환경 마케팅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 Vol.9 No.3
9. 이동은, 조문수, 김태연, 구본순 , "압화 작품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화예디자인학회지』, 2007, Vol.17
10. 이동은, 조문수, 김태연, 구본순, "풍경화 압화 작품에 이용되는 식물 소재 및 부재료”, 『화훼연구지』, 2007, Vol.15 No.4
11. 정수연, 정재희, "라이브 커머스의 오락성이 시청자 태도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Vol.19 No.1
12. 안주영, 총체적, "서비스 경험을 만드는 서비스 스케이프 디자인과정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8, Vol.17 No.6
13. 최승담・최문석, "주제공원의 서비스 스케이프가 방문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Vol.27 No.4.
14. 이승희・이현수, "디자인 호텔의 서비스 스케이프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15, Vol.24 No.6
15. 장정진・반영환, "서비스 디자인의 구조적 개념 분석을 통한 평가 고려요소 도출”, 『기초조형학연구』, 2012, Vol.13 No.2
16. 이정민, "상호작용 공간의 심리·형태적 의의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7, Vol.2 No.1
17. 천지혜, "감성적 이미지 생성기법을 적용한 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대회』 2007, Vol.51
18. 전현모, "와인레스토랑의 서비스 스케이프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와인소 믈리에학회』, 2013, Vol.9, No.1
19. 구유리, 안현서, "전통시장의 방문 목적에 따른 서비스 스케이프 경험요인이 방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018, Vol.31 No.1

[Report]

1. Bitner, M. J, Services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Journal of Marketing, 1992, 56(2)
2. M. L. Meuter・A. L. Ostrom・R. I. Roundtree・M. J. Bitner, Self-Service Technologies : Understanding Customer Satisfaction with Technology-Based Service Encounters, Journal of Marketing 64(July 2000)
3. Klous, Peter G. Quality Epiphenomenon: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Quality in Face-to-Face Service Encounter, Managing Employee/Customer Interaction in Service Business, Eds. John A. Czepiel, et al. Lexington Books, 1985
4. Parasuraman, A.・V. A. Zeithaml・L. L. Berry, Servqual: A Mul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1988
5. Baker, J. (1987), The role of the environment in marketing Service: The consumer perspective, inJ. Czepiel, C. Congram and J. Shanahan (eds), The Services Challenge: Integrating for Competitive Advantage. Chicago: AMA.

[Website]

1. https://www.chemidream.com/161
2. https://www.aodr.org
3. https://www.researchgate.net
4. https://academic.naver.com
5. https://www.koreascience.or.kr
6. https://www.ksie.ne.kr
7. https://123dok.co
8. https://www.aodr.org9.
9. https://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