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M.2022.08_02

역사문화거리 골목의 노드 스페이스 (Node Space)에 관한 연구- 공간구문론과 Feng-GUI를 중심으로 - A Study one Alley Node Spa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 Focused on Space Syntax and Feng-GUI -

  • Name : 류방수/FangXiu, Liu
  • Info :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2022.08
  • Adviser : 홍관선/Hong, Kwan-Seon
192.168.95.160

초록

베이징의 도시발전계획에서 역사문화지역 보호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언급하고 있지만, 인구유동과 외래인구의 증가로 초래한 주택문제는 심각한 토지 재개발을 야기하여 골목과 같은 역사적으로 생활문화를 내포한 장소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본 연구는 역사문화거리에서 노드 스페이스의 공간적 특성과 기능적 역할을 파악하기 위하여 중국 베이징시 대책란(大柵欄) 역사문화거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역사문화거리, 골목, 노드 스페이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을 통하여 각 공간에 표현되는 공간적 특성과 기능을 파악하였고,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대책란 역사문화거리에 대하여 축선도를 작성하였으며, 공간위상분석으로 대책란 역사문화거리에서 전체통합도를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가장 높은 값 3순위까지 선정하여 본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주요 공간적 범위와 교차를 형성한 축선도에서 통제도가 상위 10순위까지의 공간을 한정하여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10개의 물리적 노드 스페이스를 도출하였다. 이후, 대책란 역사문화거리 노드 스페이스에서 표현한 공간적 특성과 기능적 역할을 관측하기 위하여 도출한 10개 노드 스페이스를 대상으로 360도 파노라마 사진을 촬영하여 주목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대책란 역사문화거리 골목 내 노드 스페이스의 공간에서 명확한 연결성, 개방성, 공공성, 다양성과 복합성이 나타났으며, 역사문화거리의 공간적 특성 중의 장소성, 완전성, 진실성, 역사성 등 4가지 특성이 강조된 사실을 파악하였다. 이상의 특성은 공간에서 완충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 생활, 상업 및 오락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역사문화거리가 상업화되면서 촉진한 공간의 리노베이션으로 과거의 공간에서 표현한 문화성과 상징성의 하락은 공간의 쾌적성과 발전의 지속가능성이 저하된 문제라고 판단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향후 역사문화거리에 대한 개발에서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을 명확히 구분하고, 최대한 주거지역의 범위를 보류하여 현재 골목 노드 스페이스의 거주, 생활, 오락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摘要

Abstract

Although Beijing's urban development plan continues to mention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housing problems caused by population movements and an increase in foreign population have caused serious land redevelopment, and places that contain historical living cultures such as alleys are gradually disappearing.
In order to grasp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functions of the node space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this study take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of countermeasure bar in Beijing, China as the object. First of all,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Hutong and node space, this study has master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each space through literature review, formulated the axis map of the so-called countermeasur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by using spatial sentence theory, sorted out the overall integration degree of the strategy bar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in descending order through spatial status analysis, selected the third highest value, and set it as the spatial scope of centralized research in this study, The axis diagram forming the main space range and intersection and the space of the top 10 of the degree of control are limited to 10. This study obtains the following physical node space. In order to observ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functions represented in s, 360 degree panoramic photos were taken with the derived 10 node spaces as objects, and the degree of attention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countermeasure bar has a clear consistency, openness, publicity, diversity and complexity in the node spac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Hutong, and emphasizes the four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such as place, integrity, authenticity and history. The above features not only play a buffer role in the space, but also include service, life, business and entertainment functions. In addition, with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and the promotion of space renovation, the decline in cultural and symbolic performance in the past space is a problem of the decline in space comfort and sustainability of development. In order to deal with these problems,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it is very important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commercial areas and residential areas, maximize the scope of residential areas, and activate the residential, living and entertainment functions of the current Hutong node space.

키워드

  • #역사문화거리
  • # 골목
  • # 노드 스페이스
  • # 공간구문론 주목도 분석


  •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 # Alley
  • # Node Space
  • # Spatial Syntax
  • # Attention Analysis

참고문헌

[Book]

1. 한필원, 『오래된 도시의 골목길을 걷다』,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2
2. B.Hiller & J.Hanson,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3. Edward T. Hall, The Hidden Dimension, Doubleday, 2015
4. Hillier, B.,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5. Jane Jacobs,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Vintage, 1992
6. Kevin Lynch, The Image Of The City, The M.I.T. Press, 1960
7. Ministry of Construction P.R.China, Gb50357-2005 Code for Conservation Planning of Famous Historical and Cultural Cities,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2012
8. Roger Tran-cik, Figure-Groun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ity and Architecture, Beijing Publishing Group, 2009
9. Roger Trancik, Finding Lost Space:Theories of Urban Design, John Wiley&Sons, 1986
10. The People's Government of Beijing City, Beijing Urban Master Plan (2016-2035), XinHua News Agency, 2017
11. Yoshinobu Ashihara, 『The Aesthetic TownscapeII』, 江苏凤凰文艺出版社,2006

[Dissertation]

1. Kang WenZhe, 「Urban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of Yanji in China - A Focus on an Analysis of Space Syntax -」,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 Li ChengXian, 「다문화 공동체생활을 위한 청소년 문화의 집 건축 계획적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3. 강성래, 「공간구문론에 의한 가로배치형태와 상업분포패턴의 상관성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4. 김민석, 「공간의 가시성에 기반한 ERAM모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5. 김상회, 「도시 주거의 골목길에서 놀이를 주제로 한주민 커뮤니티 공간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6. 김석태, 「건축공간주조의 다차원적 분석모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7. 김선호, 「상업가로에서 인터넷사진과 보행량의 상관관계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8. 김재원, 「소통을 위한 성북동 골목길 공동체 계획」,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9. 김종선, 「도시주거지역 내 골목길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0. 김진하, 「역사도심 서순라길지역 골목의 공간특성 및 생활환경 분석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1. 김현주, 「가로공간의 인지도 향상을 위한 결절점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2. 민준홍, 「단위전시공간 분석을 위한 시지각 지표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3. 송민정, 「다시점 결절공간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4. 안인향, 「서울시 역사적 도심부의 보전적 재생을 위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5. 오지운, 「‘장소’로서의 도시 결절점 활용사례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6. 왕이팡, 「중국 역사문화거리의 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17. 유은영, 「공간구문론에 의한 도시중심부 변화와 토지이용과의 상관관계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8. 윤서연, 「‘서촌’역사문화환경 보전 계획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눈문, 2016
19. 이도한, 「도시환경을 위한 옥외간판 개선방안 연구 -경기도 신도시 산본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0. 이몽려, 「역사문화거리 이미지 개선을 위한 옥외간판 디자인연구」, 동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1. 이우상, 「가로 결절점(Node) 광장 개념을 적용한 대학 문화공간 계획안」,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2. 이종렬, 「접근성에 기반한 공간구조 분석모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3. 이지성, 「상업 몰(mall)공간에서 V.P(visualpresentation)의 주목도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4. 조예선, 「중국 역사문화거리재생을 위한 공간 스토리텔링 활용 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25. 주장건, 「호텔로비공간구조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26. 주천우, 「베이징 구시가지 공공공간의 공공성」, 청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7. 최은정, 「도심부 역사문화지역의 상업가로 재생에 관한 연구 : 인사동길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8. 표승화, 「골목길 보전가치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9. 홍관선, 「복합적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의 물리적 환경과 범죄발생의 상관성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0. Cau JiYang, Research on Renewal Design of Public Space in Historical and Cultural Blocks, Master of Design, Beijing University of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2018
31. Chen YongNan, Study on the Spatial Renovation of Hutong Node Space in Dongsi South District of Beijing, Master of Design, Beijing University of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2020
32. Duan XiaoTing, Research on the Hitorical and Cultural Value Carrier of Dashilar Urban from the Persective of historiccal Didtrict Renewal, Master of Design, North China University of Technology, 2018
33. Wang DaYu, Wang Miao, Revisiting the Reconstruc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Families -- the Image of Historical and Cultural Families, Master of Design, Beijing University of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2013
34. Zhang Qi, Research on the Art Design of Public Facilities in Historical Blocks, Master of Design, Soochow University, 2017

[Academic Journal]

1. 민현식, "서울 도심 밀집시가지의 골목길 가꾸기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1, Vol.27(02)
2. 서귀숙, "울 서촌지역 골목의 형태 유형 및 특성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015, Vol.26(04)
3. 조효룡, "박물관 증축유형에 따른 관람다 이용동간 위계변화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021, Vol.2-No.73
4. 조효룡, 서승연, 최진희, 김희균, 국내 메이커 스페이스 운영사 홈페이지 주목도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20, Vol.26(04)
5. 황미영, 임채진, "Space Syntax Model에 의한 공간해석방법에 관한 고찰”, 『한국박물관건축학회논문집』, 1999, Vol.-No.2
6. Bao YiXi, Spatial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cultural blocks, Human Geography, 2012, Vol.5
7. LIAN YUMING, Beijing received the development report - Dashilan, Social Sciences Academic Press(CHINA), 2006
8. Lian YuMing, The Development of Beijing's Sub-District Offices. No.2, Dashilar Chapter, Social Sciences Academic Press(CHINA), 2016
9. Lin Lei, Planning and Urban Design Standards of American, Planners, 2009, Vol.12(04)
10. Wang LiPing, Study on the Landscape Elements and Protection Strategies of Street Interface in Historical Districts, Luse KEJI, 2020, Vol.5
11. Yang GuiLing, Xing HuiMin, Research on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The era of Science, 2011, Vol.19(10)
12. Yao Peng, Investigation on Reconstruction Methods and Use of Public Space in Hutong Buildings in Old City of Beijing, RESEARCH, 2020
13. You XiaoYu, Research status of historical and cultural blocks at home and abroad, BaiDu WenKu, 2015

[Website]

1. 소후뉴스(搜狐新聞), https://news.sohu.com
2. Ministry of Construction P.R.China, https://ishare.iask.sina.com.cn/f/9685567.html
3. https://map.baidu.com/search/
4.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http://www.stats.gov.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