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M.2022.08_07

화면 구도를 통한 인물의 강약 표현 연구 - 본인작품 <과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s Strength and Weakness through Screen Composition - Focus on my works -

  • Name : 왕스모/Wang, Si-Mo
  • Info :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2022.08
  • Adviser : 김동현/Kim Dong-Hyun
192.168.95.160

초록

구도는 영화 시청각 언어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훌륭한 영화 구도는 영화 전체의 시각적 효과와 예술적 표현을 한층 끌어올릴 수 있다. 더 나아가 구도 또한 하나의 영화적 미학과 감독적 스타일을 구현한다고 말할 수 있다. 영화 제작 중의 구도는 제재와 주제 사상의 요구에 근거하여 한정된 스크린 공간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사람, 사물, 색, 빛 등을 적절히 조직하여야 한다. 혹은 개별적이거나 부분적인 이미지를 절취하여 조화롭고 완전한 화면을 구성하여야 한다. 갈수록 많은 영화에서 구도를 영화의 주제를 표현하는 시각적 표현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영화 구도의 주체는 보통 인물이다. 인물은 줄곧 화면이 부각하려는 주요 표현의 핵심 대상으로 일반적으로 화면의 핵심 위치에 있다. 영화 구도를 통해 우리는 영화 창작자들이 전하고자 하는 기본적인 메시지 외에도 감독이 인물 관계를 강조하고 싶어 하는 것을 더 잘 볼 수 있다. 이런 인물 관계는 일반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배우의 대화나 행동을 통해 직접적으로 표현되기 어렵다. 사람들에게 어떤 느낌을 주기 위해서는 화면이 필요하다. 인물 간의 강약 관계 표현은 감독이 양자의 구도를 통해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영화는 인물 간의 대화 경별에 따라 달라지고, 시각적인 초점이 달라지는 등 인물 간의 관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처럼 영화 구도는 영상 시각의 미적 감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인물들 간의 강약, 장력, 정서 등도 표현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그 속에서 영화가 부여한 더 많은 함의를 느끼게 한다.

摘要

Abstract

Composition i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audiovisual language of films. Excellent film composition can further enhance the overall visual effect and artistic expression of a film. It can even be said that composition is also a reflection of film aesthetics and director style. The composition in film production should be based on the requirements of the subject matter and thematic ideas, within the limited screen space, the people, objects, colors, light, etc. to be displayed should be properly organized, or individual or partial images should be intercepted, so that Form a coordinated and complete picture. More and more films are using composition as a means of visual expression to express the theme of the film.
The main body of a film composition is usually a character, and the character has always been the core object to be portrayed and expressed in the picture, and generally resides in the core position of the picture.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film, in addition to seeing the basic information that the film creator wants to convey, we can also further see that the director wants to empha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This kind of character relationship is generally complex, and it is difficult to directly present it through actor dialogue or behavior. It requires pictures to give people a certain feeling. The strong and weak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is often expressed by the director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two sides. For example, the film will change with the dialogue between the characters, the visual focus will also change, etc., which will affect the trans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has an important role.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ion of the film not only presents the visual beauty of the image, but also shows the strength, tension and emotion between the characters, so that people can experience more meanings given by the film, which is necessary for film creators. continue to explore.

키워드

  • #영화 구도
  • # 화면 구도
  • # 인물 관계
  • # 구도 방법


  • #Film Composition
  • # Picture Composition
  • # Character Relationship
  • # Composition Method

참고문헌

[Book]

1. 구스타보 메르카도,『영화 제작자의 눈 영화작성의 법칙을 배우는 것』, 초점출판사, 2013
2. 다니엘 아리존,『영화 언어의 문법』, 후랑출판사, 2013

[Academic Journal]

1. 폭학위,“영화 구도의 풍부한 표현력을 이야기”『영화 문학』, Vol.(11), 2012
2. 이양양,“영화 공중 쇼트의 작용을 논”『대중문예』, Vol.(19), 2011
3. 오향동, 이일평,“현재 영화의 공간 구성 예술을 논”『영화 문학』, Vol.(05), 2011
4. 강설,“영화 화면 구성의 예술 표현력”『망종』, Vol.(08), 2015
5. 갈덕,“영화 화면 구성 (하)”『영화 예술』, Vol.(04), 1986
6. 송국림,“영화 구도 조형의 중요성”『서부 방송 TV』, Vol.(16), 2018
7. 탕보천,“영화 기술의 발전이 영상 전파 효과에 대한 연구”『과학 기술 전파』, Vol.9(02), 2017
8. 이견,“쇼트 언어가 텔레비전 뉴스 촬영에서의 응용”『채집 편찬』, Vol.(11), 2021
9. 위리홍,“영화 화면의 구도 디자인 예술 연구”『단편 소설』, Vol.(12), 2013
10. 이위명,“경별이 캐릭터 이미지 메이킹에 대한 작용”『연극의 집』, Vol.(22), 2018
11. 초옹군,“영화 화면의 구도 디자인 예술을 논하다”『영화 문학』, Vol.(17), 2013
12. 길염여,“경별과 구도가 영상 창작에서의 운용과 탐구”『주간지』, Vol.(01), 2016
13. 요아명,“영화 속 쇼트 언어의 운용과 분석”『예술 품감』, Vol.(06), 2017
14. 제정,“마이크로 영화 구도의 예술 표현력”『연극의 집』, Vol.(21), 2015
15. 담열,“영화 미술 중의 화면 구도를 간단히 분석”『영화 문학』, Vol.(24), 2013
16. 고자영,“<독백과 제스처>의 영화화 서사 형식”『안휘방송텔레비전대학 학보』, Vol.(01), 2004
17. 상혜림,“영화 화면의 경별을 간단히 이야기”『영화 문학』, Vol.(20), 2007
18. 왕청,“감독의 각도에서 경별의 서사적 기능을 이해”『기자 관찰』, Vol.(18), 2020
19. 단철,“영화 촬영 예술에 대한 평론”『연극의 집』, Vol.(11), 2010
20. 하양복,“촬영 구도의 균형적인 시각 심리 분석”『호북미술대학 학보』, Vol.(03),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