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NO.M.2021.02_04

한(漢)화상석을 활용한 쉬저우박물관의 문화상품 선호도 연구 应用汉画像石的徐州博物馆文化商品喜好度研究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Cultural Products of the Xuzhou Museum using Han Dynasty Relief Stones

  • Name : 우치(吴琦)/WU QI
  • Info : 석사학위논문/硕士学位论文/Master's thesis/ 2021.02
  • Adviser : 송만용/宋万庸/Song, Man Yong
192.168.95.172

초록

한(漢)화상석은 당시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신비로운 창구로 우리를 당시 사람들의 정신적 세계로 안내해준다. 한화상석은 본래 망자를 기리는 제사용 예술품이었다. 한화상석과 화상전(畵像砖)은 무덤 건축의 일부로서 한(漢)대의 장례 의식과 민간 신앙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어 최근 몇 년 동안 중국학자들이 한화상석의 예술형식과 그 특징에 대해 매우 큰 관심을 돌리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관심으로 인해 어느 정도의 연구 성과를 얻은 바 있다.
박물관은 소장품을 통하여 문화를 선양하는 정신을 담고 있을 뿐 아니라, 문화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고 문화의 다양성을 보존하는 중대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박물관은 전통 문양을 활용한 문화상품을 개발하거나 관광지의 건축물에 대한 개발 및 연구를 시도하는 경우가 늘고 있지만 한화상석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은 아직 적은 편이다. 한화상석은 돌 자체의 색상과 다른 조각공예에 의존해 화면을 표현하기 때문에 색채가 부족해 박물관 전시실에서 쉽게 외면당하고 일부 관람객은 발품을 팔아야 감상할 수 있다.
쉬저우는 한 문화의 발원지이기 때문에 다양한 한(漢)문화가 보존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가장 귀하고 역사적인 가치는 쉬저우 한화상석이다. 본 연구는 쉬저우지역 한화상석에 나타난 문양을 이용해 디자인 문화상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 연구는 기존의 한화상석과 관련해 개발한 문화상품의 국내외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박물관 개발사례를 살펴 문화상품의 현황 분석과 방문객의 구매실태 조사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했다.이미 개발된 박물관 문화상품의 특징과 문화상품 개발에 선호도 반영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방문객, 문화상품의 구매실태, 만족도와 비구매 이유,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디자인 컨셉과 개발 방향을 설정한 후 통계 분석을 통해 쉬저우박물관의 한화상석 문화상품 문양의 선호도에 대한 가설 검증, 선호도 분석 결과 등을 도출해 문화상품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한다.

摘要

汉画像石作为可以了解当时生活的神秘窗口,将我们带入当时人们的精神世界。汉画像石原本是纪念亡者的祭祀艺术品。汉画像石和画像砖作为坟墓建筑的一部分,具体体现了汉代的葬礼仪式和民间信仰,因此近几年中国学者开始对汉画像石的艺术形式及其特征给予很大的关注,这种关心也因此取得了一定的研究成果。
博物馆不仅蕴含着通过收藏品弘扬文化的精神,还承担着传达文化知识、保存文化多样性的重大作用。因此,博物馆开发利用传统图案的文化商品或试图开发及研究旅游地建筑物的情况正在增加,但是利用韩华上石形象开发文化商品的情况还比较少。 韩华上石依靠与石头本身颜色不同的雕刻工艺来表现画面,因此色彩不足,很容易在博物馆展示室遭到冷落,部分参观者需要脚踏实地才能欣赏。
徐州是汉文化的发源地,因此保存了多种汉文化,其中最珍贵、历史价值是徐州韩华商石。 本研究将利用徐州地区韩华商石上出现的图案,提出设计文化产品。
研究并行于理论研究和实证研究。 理论研究以有关韩华上石开发的文化商品国内外相关文献和先行研究为中心,观察博物馆开发事例,为分析文化商品现状和调查访客的购买情况提供了理论依据。为了反映已经开发的博物馆文化商品的特征和文化商品开发受欢迎程度,通过问卷调查调查了访客、文化商品的购买情况、满意度和非购买理由、受欢迎程度。 在设定设计理念和开发方向后,通过统计分析得出徐州博物馆的韩华上石文化商品图案的假设验证、喜好度分析结果等,提示文化商品的设计方向。

Abstract

The Han Dynasty relief stone, that served as a mysterious entrance to the old life, brings us into a spiritual world of the people at that time. The Han Dynasty relief stone was originally a sacrificial art that commemorate the dead. The Han Dynasty relief stone and the relief brick were a part of the burial building at that time, which specifically showed funeral rituals and folk beliefs of the Han Dynasty. In recent years, Chinese scholars have begun to pay attention to the art form and characteristics of the Han Dynasty relief stone, and have achieved some research result.
Museums have not only the spirit of promoting their culture through their collections, but also play a major role in conveying cultural knowledge and preserving cultural diversity. Although museums try to use traditional pattern resources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or to study architectural resources in tourist destinations, there are fewer cases in which museums use the image of Han Dynasty relief stones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As the color of the Han Dynasty relief stone is similar to the color of ordinary stone, and it expresses images through the carving technology, the color is blank and it is easy to be ignored in the museum exhibition hall, only some visitors can enjoy it.
Xuzhou is the origin of Han culture and preserves many kinds of Han culture. The most precious historical cultural value is the Xuzhou Han Dynasty relief ston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se the pattern resources appearing on the Han Dynasty stones in Xuzhou to display the design cultural products.
The research takes into account both of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The theoretical research centeres on relevant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advanced research on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Han Dynasty relief stone, and examines the examples of museum development,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for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al products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situation of visitors.
The questionnaire survey is developing the cultural produc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of the cultural products of developed museums. And it investigates the actual situation of visitors, the purchase of cultural products, the satisfaction, the non-purchase reasons, and the preferences. After the design concept and development direction are achieved, the direction of the market design will be accomplished through statistical analyis, such as the verification hypothesis of the preference degree of the cultural product images of the Han Dynasty relief stone of Xuzhou museum,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reference degree.

키워드

  • #한(漢)화상석
  • # 쉬저우박물관
  • # 문화상품

  • #汉画像石,徐州博物馆,文化商品

  • # Han Dynasty Relief Stones
  • # Xuzhou Museum
  • # Cultural Product

참고문헌

[Book]

1. 李慶連, 『徐州年鑑』. 中華書局, 2003
2. 李銀德, 『古彭遺珍 徐州博物館館藏文物精選』, 北京國家圖書出版社,, 2011
3. 土居淑子, 『古代中国の画像石』, 同朋舎, 1986
4. 夏学理, 『文化创意产业概论』, 五南图书出版股份有限公司, 2008
5. 翦伯赞, 『先秦史(선진사)』, 北京大学出版社, 1999, p.343
6. 周承君, 何章強, 袁詩羣, 『文創產品設計(문화상품디자인)』, 化学工业出版社, 2019
7. 顾森, 『秦漢绘画史(진한회화사)』, 人民美术出版社, 2000
8. 朱锡禄, 『嘉祥漢畫像石(가상한 화상석)』, 山東美術出版社, 1992
9. 蒋英炬, 楊愛國, 『漢畫像石和畫像磚(한나라 화상석과 화상전)』, 文物出版社, 2001
10. 刘宗祖, 『漢畫像石藝術:磚石精神(한화상석예술:벽돌정신)』, 西南师范大学出版, 2009
11. 李国新, 『中國漢畫造型藝術圖集(중국한화조형예술도전)』, 大象出版社, 2014
12. 翦伯赞,『 秦汉史(진한사)』, 北京大学出版社, 1983
13. 信立祥『漢代 畵像石의 世界』학연문화사, 2005

[Dissertation]

1. 金慶泰, 「宗敎博物館所藏品을 모티브로 한文化商品에 관한 硏究-圓佛敎博物館 中心으로 -」, 圓光大學校, 박사학위논문,2012
2. 譚麗娜, 「조형언어로서의 한화상석 그림에 관한 연구 -현대디자인에서의 활용을 중심으 로」, 서울産業大學校디자인學碩士學位論文, 2010
3. 박선희, 「문화상품의 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아트 샵의 문화상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2
4. 박지민,「지역성을 기반으로 한관광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 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 박현택, 「박물관의 문화 서비스 확대와 재정 기반 강화를 위한 문화상품 개발 시스템 연 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6. 반철,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윈강석굴상징문양을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동 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7. 유민정, 「중국 도자 공예품의 문화상품 개발사례 연구 석만도자(石灣公仔)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8. 이재민, 「지역 문화를 기반한 패션문화상품 개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9. 이재순, 「박물관 뮤지엄샵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충청남도 공립박물관을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10. 이준화, 「문화관광상품으로서의 기념품 디자인 콘텐츠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7
11. 정경희(郑景喜), 「문화관광축제 활성화를 위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전남대 학교 대학원(全南大學校 大學院) 박사학위논문 2009
12. 정경희, 「문화관광축제 활성화를 위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전남대학교 대 학원(全南大學校 大學院),박사 학위 논문, 2009
13. 진희경, 「전통소재를 이용한 상품디자인전략요소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4. 黄文捷, 「全媒体环境下的主题博物馆品牌传播策略研究——以成龙电影艺术馆为例」, 华东理 工大学硕士学位论文, 2015
15. 姚君洲,「徐州两汉文化视觉设计元素初探」, 江南大学硕士学位论文, 2008
16. 许源, 「徐州博物馆汉代藏品的文化衍生品设计研究」, 中国矿业大学硕士学位论文, 2019
17. 张钰培, 「徐州博物馆文化传播方式更新研究」, 东华大学硕士学位论文, 2018

[Academic Journal]

1. 우치, 송만용, “쉬저우박물관의 한(漢)화상석 문화상품 디자인 융합 개발 전략”『한국과학 예술융합학회 』, Vol.38, No.5, 2020
2. 김지원, "메타상품으로서 문화상품”『한국 디자인 학회』, 2013
3. 나진성, “한국 문화창의제품 현황 분석”『 시사과학 콘텐츠』, 2020
4. 이율화,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상품점의 문화상품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한국디자인문화 학회지 19(2)』, 2013
5. 姜川, "徐州地方文博產品創意開發研究”『設計藝術研究』, 2017, Vol.7 No.4
6. 李百鸣, “中国画思想和技法的传承与融合”, 『中外企业家』,2018
7. 易平, "文化消費語境下的博物館文創產品設計”『包裝工程』, 2018, Vol.39(8)
8. 何佳雨, “以《王者荣耀》为例初探手游文化产业创新”, 『新闻传播』, 2019
9. 徐姗姗, “文創產品設計中的傳統元素應用探析” 『戲劇之家』, 2019
10. 张紫馨, “博物馆文创的设计思维——以首博为例”, 『首都博物馆论丛』, 2015

[Report]

1. 송우성, "고궁 플래시몹'이 이틀 품절된 '태화전' 개진=리툰'을 팔았고”, 중국신문망, 2018
2. 베이징 문화투자 창의산업발전 서비스회사(北京文投文化创意产业发展服务公司) 문예창작부 매니저
3.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공보(中華人民共和國國務院公報), 1986
4. 한발짝은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문화유산 콘텐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개발한 어린이 문화상품 브랜드이다.
5. 單霽翔:以優質文化產品增強文化認同 ——故宮文創研發的啓示 全國文化產業信息平臺

[Website]

1. 생활 백태, 한대의 주요 과학 기술 및 문화 성취 일람표 https://www.lishixinzhi.com/
2. 국립박물관문화재단 홈페이지(https://www.cfnmk.or.kr/user/main/main.do)
3.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16377&cid=40942&categoryId=40011
4. 故宮文化創意體驗館在故宮博物院東長房開幕, 故宮博物院, 2015.9.28. (https://www.dpm.org.cn/classify_detail/179490.html)
5. 徐州郵票管理, http://jsxz.spb.gov.cn/dtxx_3353/202007/t20200702_2584764.html
6. <漢畫像石> 特種郵票 央視國際 (2004年07月07日) http://www.cctv.com/art/special/C12583/20040707/102108.shtml
7. 武利华(徐州汉画像石艺术馆原馆长,研究员), 徐州漢畫像石:體會劉邦故里“大風歌”的遺風 https://www.sohu.com/a/218333653_260616
8. 宋宇晟, "故宫快闪店两天卖断货 “太和殿”开进三里屯”, 中国人民网, http://finance.people.com.cn/n1/2018/0209/c1004-29816087.html 2018.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