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M.2019.02_09

자연 공생 공간에서의 공감각 경험요소에 관한 연구 - 청각적 요소를 중심으로 - 关于自然共生空间的共感体验要素的研究 -以听觉要素为中心- A Study on the Synesthesia Experience for Natural Symbiotic Space -Focused on the Auditory Element-

  • Name : 이연수ㅣLee, Yeon-Su
  • Info : 석사학위논문ㅣ硕士学位论文ㅣMaster's thesisㅣ2019.02
  • Adviser : 박부미ㅣ朴滏美ㅣPark Boo-Mee
192.168.95.161

초록

과학기술의 발전과 문명화의 영향으로 자연을 인간의 욕구 충족 수단으로 간주하는‘도구적 자연관’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자연 훼손 및 인간의 삶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디스토피아적 상황에서 인간들은 다시금 자연이라는 존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간 속 자연 감상과 감성 경험 방법들을 재조명하게 되었다. 생물과 무생물로 이루어진 자연요소는 인간의 감각을 다양하게 자극하여 경험을 활성화시키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우리의 경험은 오감을 통해 색, 빛, 소리, 맛, 향기, 촉감 등의 자극들이 감관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면서 공감각적인 경험을 하게 된다.
자연을 도입한 공간은 인간에게 다양한 감각 경험을 제공하며 이러한 경험은 자연 자체가 그대로 도입되는 한국을 중심으로 동양의 전통공간에서 나타난다. 한국의 대표적인 별서 정원‘소쇄원’을 대상으로. 현장 촬영과 녹취를 진행하고, 실험도구 작성과 설문을 통한 청각, 시각, 공감각 요인을 추출하고, 전문가에 의해 검증된 감각 이미지 형용사 14쌍을 적용한 수정된 IRI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을 활용하였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자연요소를 도입하는 현대건축가의 2000년 이후 건축물 중 자연 요소를 통한 공감각적 경험이 가능한 이타미 준의 수·풍·석 박물관(2005)과 안도 다다오의 지니어스 로사이(2009)를 대상으로 사례 분석 표를 구성하고 차경과 차음적 관점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자극의 공감각적 경험을 분석하고, 소리 파형과 감각 형용사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절차와 그에 따른 내용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 공생 공간과 자연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단일 감각이 아닌 공감각을 통한 경험에 대해 중심적으로 다루었다.
셋째, 청각을 통한 감성 측정 도구를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소리와 색채의 물리적 대응점을 분석하고 색채연구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I.R.I.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을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넷째, 소쇄원을 중심으로 2회에 걸쳐 촬영과 녹취를 진행하고, 예비 설문 준비 단계를 거쳐, 1회의 예비 설문과 2회의 본 설문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를 통한 결과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통공간은 자연 공생 공간이다.
둘째, 일상에서 지각하는 공감각은 대부분 통합형이며 감성적이다.
셋째, 청각과 시각은 서로 연계되어 측정할 수 있다.
청각에 의해 지각되는 소리와 시각에 의해 지각되는 색채들에서 명도는 소리의 높이에, 채도는 소리의 음색으로 연관시킬 수 있다.
넷째, 소리의 파형으로 소리의 종류를 분류하고 감각 형용사와 연결할 수 있다.
소리의 파형은 맑고 탁함을 결정하며, 예비 설문 준비 과정에서 파형과 맑고 탁함의 소리 특징은 감각 형용사 스케일에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청각이 시각보다 공감각과 연계되어 있었다.
1회의 예비실험과 2회의 본 실험 결과 청각과 공감각 실험보다 시각과 공감각의 실험에서 형용사 분포가 더 높은 척도 변화율을 보였으며, 이는 시각에서 감성의 반응이 더 다양한 결과로 시각적 경험이 청각적 경험보다 훨씬 다양함에 따른 결과이자 청각이 시각보다 공감각과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단일 이미지와 연속된 이미지는 시각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준다.
일곱째, 청각과 공감각에 대한 감각 형용사는 거의 일치한다.
10가지의 소리들 중 9가지는 청각과 공감각의 감각 형용사 분포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선택된 감각 형용사가 거의 일치하였지만, 예외로 청각 형용사가 다양하게 분포된 소리는 전체 실험 중에서 유일하게 감각 형용사가 반대로 나타났다. 이는 시각의 영향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
여덟째, 현대공간에 적용된 시·청각적 요소는 파형과 형용사 어휘로 분석할 수 있다.
위에서 정리된 결과 외에, 후속 연구에서는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자연의 소리들의 채집 방법과 다양한 계절과 날씨 그리고 낮과 밤 등의 시간의 변화에 따른 소리들의 비교들과 다양한 소리 분석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그리고 피실험군의 다양성과 그에 따른 감성 척도 이미지와 소리 분석에 대한 데이터화와 공감각 감성 척도 변화 실험에 있어서 감각적인 능력이나 어휘능력에 따른 피 실험자의 분류나 실험도구의 개발이 뒤따른다면, 감성시대에 단일적인 시각 중심 경험에서 공감각적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보다 풍부한 감성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매개적 환경이 될 것이다.

摘要

科学技术的发展和文明的影响,出现了将自然视为满足人类需求手段的"工具性自然观",因此对自然毁损及人类生活也产生了负面的影响。在这种反乌托邦形势下,人类再次认识到自然存在的重要性,重新审视了空间中的自然欣赏和感性经验方法。由生物和无生物组成的自然要素具有刺激人类感觉,激活经验的可能性。我们的经验通过五感,色、光、声、味、触感等刺激相互关联,产生共鸣。
引入自然空间为人类提供多种感觉经验,这种体验将自然本身直接引入的韩国为中心,在东方的传统空间中得以体现。以具有韩国代表性的别墅庭院"潇洒园"为对象,进行现场拍摄和录音,通过实验工具制作和问卷提取听觉、视觉、共感因素,并适用了14对经过专家验证的感官形象形容词修改后的IRI形容词形象尺度。 以这些结果为基础,以引入自然要素的现代建筑家2000年以后的建筑中通过自然要素可以产生共鸣体验的itami zun的水、风、石博物馆(2005)和安藤忠雄的 GENIUS LOCI(2009)为对象,组成案例分析表,根据借景和借音的观点分析视觉和听觉刺激的共鸣体验,并提出声音波形和感觉形容词。研究的程序和相应的内容整理如下。
第一,考察了自然共生空间和自然要素。
第二,不是以单一感觉的研究,而是通过共鸣的体验为中心的研究。
第三,为了通过听觉得出感性测定工具,以先行研究为基础,分析声音和色彩的物理对应点,修正并利用在色彩研究中积极使用的I.R.I.形容词形象的尺度。
第四,以潇洒园为中心分2次进行拍摄和录制,经过预备问卷调查准备阶段,以1次预备问卷调查和2次正式问卷调查来进行。
通过研究的结果整理如下。
第一,韩国传统空间是自然共生空间。
第二,在日常生活中知觉觉的共鸣感大多是综合型和感性型。
第三,听觉和视觉可以互相联系来测定。
在听觉知觉的声音和视觉知觉到的色彩中,明度与声音的高度、彩度与声音的音色相联系。
第四,声音的波形可以分类声音的种类,并与知觉形容词相连接。
声音的波形决定其清浊程度,在预备问卷准备过程中可以看出波形和清浊的声音特征适用于感觉形容词的尺度。
第五,听觉比视觉更与共鸣联系在一起。
1次的预备实验和2次的正式实验结果表明,比起视觉和共感的实验视觉和共感觉的实验,形容词的分布呈现出更高的尺度变化率,这是视觉上的感性反应更多样化的结果,说明视觉上的体验比听觉上的体验更多样,听觉比视觉上的共感觉更联系在一起。
第六,单一形象和连续形象对视觉实验结果产生影响。
第七,对于听觉和共鸣的感觉形容词几乎一致。
10种声音中有9种声音在听觉和共感觉的感觉形容词分布上以最高比率选定的感觉形容词基本一致,但例外的是,听觉形容词分布多样的声音是整个实验中唯一一种与感觉形容词相反。这是根据视觉的影响而得出的结果。
第八,适用于现代空间的视、听觉要素可以用波形和形容词词汇进行分析。
除了以上整理的结果之外,后续研究中还要对自然声音的采集方法和多种季节、天气以及白天和夜晚等随着时间变化的声音进行比较和多种声音分析进行研究。如果被实验群的多样性和由此带来的感性尺度形象、声音分析的数据化和共鸣感度尺度变化实验中,根据感觉能力或词汇能力开发被实验者的分类或实验工具,在感性时代可以从单一的视觉中心体验中共享共鸣感体验的空间,可以提供更丰富的感性体验。

Abstract

With the advance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the influence of civilization, ‘instrumental view of nature’ that considers the nature as the tool to meet the desires of the human-beings has been appeared, and it damaged the nature and influenced our lives, negatively. Under this dystopian situation, people have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n the existence of the nature and reviewed the appreciation of the nature in the space and the methods of appreciation experiences. The elements of nature consisting of living and non-living objects possess the potential to activate the human experiences by stimulating the senses, variously. We experience synesthesia by interactions of multiple stimuli such as color, light, sound, taste, flavor, touch, and so on through our five senses.
The space that the nature is introduced to provides people with a variety of sense experiences and these are appeared in the oriental traditional space around Korea where the nature itself is introduced as it is. Site shooting and recording were performed at ‘ Soswaewon ’ a representative garden in Korea; the elements of synesthesia including hearing and visual senses were extracted by preparations of test tools and survey; and modified image scale of IRI adjective was utilized applying 14 pairs of sense image adjectives which were proven by the specialist. since 2000 by modern architects who introduce the elements of nature based on these results. synesthetic experiences of hearing and visual stimuli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ppropriative landscape and sound waves and sensing adjectives were proposed, in the subjects of Itami Jun’s water, wind, and stone museum (2005) and Ando Tadao’s Genius Loci (2009) that can experience. The study processes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symbiotic space of nature and the elements of nature were reviewed.
Second, focused on the experience deal with of synesthesia rather than a single sense.
Third, physical corresponding points of sounds and colo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recedent study, and image scale of IRI adjectives which has been actively utilized in the studies on colors was modified and used, so as to deduct the measurement tool of senses through hearing sense.
Fourth, site shooting and recording were performed twice at ‘Sosoewon,’ and one pilot survey and two main surveys were conducted after preparation of pilot surve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traditional space is the symbiotic space with nature.
Second, synesthesia in everyday life is mostly integrated and emotional.
Third, auditory sense and visual sense, can be measured interrelatedly.
In the sounds perceived by hearing sense and colors perceived by visual sense, brightness and chroma can be related to key and tone of the sounds, respectively.
Fourth, types of sounds can be classified by sound wave forms and they can be connected to sense adjectives. Wave forms determine the cleanness of the sound and preliminary survey prepar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cleanness were applied to the scale of sense adjectives.
Fifth, auditory sense was related to synesthesia more than visual sense.
Upon the results of a preliminary survey and two times of main tests, higher index change rate of adjective distribution was shown in the test on synesthesia with visual sense than in the test on synesthesia with hearing sense, demonstrating that visual experiences were more dynamic than hearing experiences and hearing sense was related to synesthesia more than visual sense.
Sixth, the continued images and single image affected the results of visual test.
Seventh, sense adjectives on hearing sense and synesthesia are almost identical.
Among 10 sounds, 9 coincided with sensing adjectives which were selected with the highest ratio in the distribution of sensing adjectives for hearing sense and synesthesia, however, the sound distributed with hearing adjectives variously showed the opposite as an exception. This is considered as the result from the influence of visual sense.
Eighth, the visual and hearing elements applied in the modern space can be analyzed with the sound wave forms and the vocabularies of adjectives.
Beside the results abov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on the collection methods of different natural sounds by surrounding environments, comparisons of sound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seasons, weather, time, and so on, and the analyses of various sounds. If the followings are considered; diversity of test groups, sense index image, data on the sound analysis, subjec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apabilities of senses or language skills in the tests on synesthesia index changes, or developments of test tools, it would be the intermediary environment to be able to provide rich sensing experiences as the space to share the synesthetic experiences in the single visual sense-oriented experience of sensing era.

키워드

  • # 자연 공생 공간 # 청각 # 시각 # 공감각 # 감성 척도 # 파형 # 감각 형용사

  • # 自然共生空间 # 听觉 # 视觉 # 共感 # 感性尺度 # 波形 # 感管形容词

  • # Natural Symbiotic Space # Auditory Sense # Visual Sense # Synesthesia # Sensibility Scale # Wave Form # Sense Adjective

참고문헌

[Book]

1. 김중근, 『실내디자인 총론』, 기문당, 1997
2. 권영걸, 『공간디자인 16講』, 도서출판국제, 2001
3. 장연란, 『아리스트텔레스의 인식론』, 서광사, 2000년
4. 조영제, 권명광, 안상수, 이순종, 『디자인사전』, 안그라픽스, 2003
5. Esther M. Sremberg, M. D., 서영조 , 『공간이 마음을 살린다』, 더퀘스트, 2013

[Dissertation]

1. 강인애, 「후각 중심의 공감각적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 강희, 「현대 건축 내․외부에 나타나는 자연도입 유형과 특성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스페이스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3. 강형규, 「현대 건축의 인공화 된 자연도입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논, 2005
4. 곽수연, 「소리를 활용한 체험공간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 곽혜진, 「공감각적 체험을 위한 박물관 전시 연출에 관한연구」,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6. 김가영, 「공감각을 통한 공간 인식의 장소성 구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7. 김륜환, 「한국적 빛의 정서(情緖)에 기반(基盤)한 공동주택 옥외공간에서의 조명설계 방향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8. 김명진, 「공감각을 활용한 중학교 색채 지도 방안」,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9. 김미정, 「소쇄원을 통해 본 전통원림의 차경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0. 김보미, 「시지각적 접근에 의한 공간체험 주거공간 계획」,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1. 김수일, 「이타미 준의 공간에서 나타나는 빛의 표현방법과 특성」,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2. 김수현, 「생태학적 접근방법을 이용한 건축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3. 김재연,「들뢰즈의 감각론에 의한 공감각(共感覺)적 전시공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4. 김춘옥, 「웹 배너광고디자인에서 공감각적용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5. 민정희, 「소리 환경을 도입한 공감각적인 환경 만들기」,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6. 박병민, 「자연친화적 요소를 도입한 보육시설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7. 서보람, 「질 들뢰즈의 감각론을 통한 촉지적 공간의 감성적 특성 연구」,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8. 송경희, 「회화에서 촉각성에 기반한 질감 표현 지도방안 및 효과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9. 이경자, 「자연 친화적 전원주택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0. 최유리, 「자연관이 별서건축 공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1. 허재원, 「사운드의 공감각과 영상 이미지와의 일치감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Academic Journal]

1. 김정은, "이타미 준”, 『월간 SPACE』, 2006, No.458, p.62
2. 김중현, “국어 공감각 표현의 인지 언어학적 연구”,『담화·인지언어학회』, 2001, Vol.8(2)
3. 소현수, "차경(借景)을 통해 본 소쇄원 원림의 구조:”, 『한국전통조경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1 , 29권, (4)
4. 손영하, 윤영일, 이효원, "안도의 건축구성과 대응하는 자연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2009, Vol.11(4)
5. 송정근 , "한국어의 청각형용사와 의성어, 한국언어문학회”, 2018, 韓國言語文學 第104輯
6. 안성혜, "감성정보의 구조화를 위한 공감각 요소 및 변인 추출 ”,『교육학연구』, 2005, Vol.6(4)
7. 정찬섭 "감성과학의 심리학적 측면”,『한국감성과학회지』, 1998, Vol.1 (1)
8. 조영준, “자연과의 공생과 연대, 그리고 제휴기술”,『새한철학회』, 2016, Vol.83 (1)
9. 조현일, “이타미 준의 건축공간에 대한 음악적 해석과 표현”,『한국영상학회논문집』2015, Vol.13,(2)
10. 한명식 “안도다다오 건축에 표현된 일본전통 차경기법에 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08, Vol.17(1)

[Website]

1. 두산세계대백과사전, (http://encyber.com)
2. 에듀넷, “소리의 성질”, (http://www.edunet.net/nedu/contsvc/viewWkstCont.do?clss_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