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NO.M.2021.08_07

유휴산업시설 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通过闲置产业设施的再生,以研究复合文化空间可持续性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Complex Cultural Space through th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 Focusing on Busan Kiswire Center

  • Name : 쉬지아량 (徐嘉良)/XU JIALIANG
  • Info : 석사학위논문/硕士学位论文/Master's thesis/ 2021.08
  • Adviser : 윤지영/尹智映/Yoon Jiyoung
192.168.95.172

초록

문화의 시대라 불리는 현대에서는 문화적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공간이 요구된다. 그러나 막대한 예산을 들여 문화공간을 새롭게 창출하기보다는 유휴시설을 활용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이고 지속가능한 대안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산업시설 재생과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중심으로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네 개 차원으로 본 연구의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또한 개발한 평가지표를 토대로 유휴산업 공간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한 부산의 대표적 사례인 키스와이어센터의 지속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첫째,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고찰로 주제의 선행연구를 통해 유휴산업시설의 재생과 복합문화공간의 개념들을 살펴본 후, 내용을 다시 정리하여 각 개념과 관련된 세부적인 분류를 진행한다. 그리고 지속가능성의 개념에 대한 고찰과 이를 토대로 유휴산업시설 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유휴산업 시설 재생을 재생한 복합문화공간에 관련하여 2000년 이후 재생된 4가지 대표 사례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사례는 유휴산업시설 재생을 재생한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서적과 논문에서 우수 사례로 중복해서 언급된 사례들로 , 중국의 근대 건축설계를 대표하는 도축장 재생의 상하이 1933, 중국 최대의 도자기 공업유적지로 재탄생한 징더전 도계천, 석유비축기지 재생한 서울 마포 문화비축기지, 카세트테이프 공장을 재생한 전주 팔복 예술공장을 선정하였다. 문헌 연구와 직접적인 현장 조사를 통해 유휴산업시설 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하여 평가지표를 도출한다.
 셋째, 부산의 대표적 복합문화공간 재생사례인 키스와이어센터를 선정하여, 문헌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한 평가지표를 적용하여 그 현황과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한다.
넷째, 설문조사 단계로, 선행연구 분석과 이론 고찰에서 도출한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키스와이어센터를 적용된 설문지를 작성하고 설문조사를 진행되었다. 조사 대상은 조사지를 방문했던 143명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주요한 내용은 유휴산업시설 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지속가능성 평가의 네 개 측면(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지속가능성) 별로 34개 평가 항목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산 키스와이어센터의 건축과 공간의 재생 디자인 및 문화예술작품의 도입과 보급으로 주민과 관광객에게 문화적 교양을 향상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예술문화의 부흥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또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더욱 많은 참여자를 유인함으로써 지역발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경제의 발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접근성의 전체 평가지수가 낮은 것은, 현재 부산 키스와이어센터의 대중교통과 공공 공간, 행사정보 제공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특히 C1(표 31, 3.152)을 통해 나타났다. 지하철역에서 비교적 거리가 멀고, 지리적인 위치가 뚜렷하지 않고, 주변의 교통체계가 발전하지 않아 방문객의 접근이 어렵고 이용객의 이동량에 영향을 주기 떄문이다. 특히 직접 조사 시, 공휴일 동안 부산 키스와이어센터와 인근 상점에 많은 인파가 몰렸지만, 주차장의 공간 부족과 주변 도로의 협소함으로 부산 키스와이어센터의 수용량이 크게 제한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키스와이어센터는 지역 교통망을 적극적으로 연결해 키스와이어센터로 가는 직통 서비스 차량을 증편하고 대중교통의 시설 안내 표시를 설치하는 등 대중교통 서비스를 적절하게 제공해야 한다. 또한 주변 근거리의 공공 공간 및 광장과 협업하여 예술 문화 활동을 정기적으로 개최해 인지도를 끌어올리고 이용객을 늘릴 수 있다.
12개 특성의 종합평균에서 3.5점 이상의 평가를 받은 특성은 예술성(표 31, 3.997), 장소성(표 31, 3.738), 복합성(표 31, 3.737), 공공성(표 31, 3.682), 창의성(표 31, 3.603), 활용성(표 31, 3.538), 참여성(표 31, 3.524), 자연성(표 31, 3.511)도 있다. 이는 부산 키스와이어센터가 재생사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여 지역주민과 관광객에게 다양한 문화의 전시, 교육, 휴식의 공간을 제공하고 주변 지역 예술문화 산업과 연계한 전문 예술 브랜드를 입점시켜 지역 정체성과 문화 영향력을 높였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뿐 아니라 키스와이어센터는 산업시설의 재활용과 자연경관 요소를 결합하여 특별한 지형환경을 조성하며 지역 전체의 자연환경에 아이디어와 활력을 더하고 있다. 주민들의 참여성에 대한 지수가 낮은 점으로 볼 때, 문화 활동의 홍보와 소개가 부족해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부산 키스와이어센터의 예술문화 안내와 관련 교육기관 구성 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부산 키스와이어센터의 참여 주체 간 상호협동능력을 강화하고 주민 또는 주민단체에 자주권을 부여하거나 교육에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유의수준 p < 0.05에서 볼 때, 한국과 중국 방문객의 평가에 대해 비교를 진행하면, 34개 평가지표 중 A3(표 32, p0.048*), B1(표 32, p0.023*), D2(표 32, p0.048*), F2(표 32, p0.026*), G3(표 32, p0.000**)에 대한 평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한국 방문객들은 부산 키스와이어센터가 산업 유산 시설 재생을 통해 지역의 역사 유산의 발전에 성공했다는 점에 대해서 상징성을 부여하고 있었다. 또한 경제적으로 국내외 상업브랜드의 참여로 대중의 소비력을 향상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하였으며, 다양한 행사 개최로 지역의 예술 문화산업과 외부 산업의 연결을 촉진해 문화 산업적 사슬을 형성하고 있다고 했다. 반면에 주민 창업과 지방기업 발전에 대한 점수가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어 아직 키스와이어센터의 발전이 급속한 성장에만 머물러 있고, 주변 산업에 대한 파급력과 협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부산 키스와이어센터는 임대료 할인, 훈련 교육 등을 통해 주민과 기업인에 대한 기술 지원과 부산 키스와이어센터의 참여 주체 간 상호협력 강화를 통해 방문객의 수요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실외의 자연경관, 공공 공간 등에 대한 보강과 구체적인 실용성이 부족한 부산 키스와이어센터의 통합이 필요하고, 방문자의 동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물리적 환경의 필요성을 재확인하고 최적화해야 한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는 국내외 대표적인 산업 유산시설의 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우수사례를 분석하여, 지속적인 발전 과정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해 분석하고 평가지표를 마련하여 그 평가지표를 부산 키스와이어센터 사례에 적용해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에 대해 한국과 중국 방문객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해 만족도 및 인식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현재 진행 중이거나 향후 진행될 산업 유산시설을 재생한 복합문화공간의 지속가능성 평가에서 효과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유사한 지속가능한 발전 정책에도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평가지표와 세부 평가항목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더 많은 사례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하고, 지역주민을 포함한 더 많은 이해관계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만족도와 인식의 변화 상황을 추적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제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摘要

  在被称为文化时代的现代,需要能够容纳文化需求的多种形态的空间。但是,与其投入巨额预算创造新的文化空间,不如利用闲置设施,这才是更合理、更可持续的对策。本研究的目的是通过对闲置产业设施再生和复合文化空间的理论考察,以可持续发展为中心,从环境、社会、经济、文化可持续性的四个层面,得出本研究的分析框架。另外,以开发的评价指标为基础,分析将闲置产业空间再生为复合文化空间的釜山代表性事例'Kiswire Center'的可持续性。
第一,作为本研究的理论考察,通过主题的先行研究,观察闲置产业设施的再生和复合文化空间的概念后,重新整理内容,进行与各个概念相关的详细分类。另外,以对可持续性的概念的考察和以此为基础,对通过闲置产业设施的再生而形成的复合文化空间的可持续性进行考察。
第二,就闲置产业设施再生的复合文化空间,选定了2000年以后再生的4个代表性事例。入选的事例包括再生闲置产业设施的复合文化空间的书籍和论文中重复提及的优秀事例,包括代表中国近代建筑设计的屠宰场再生上海1933、重生为中国最大陶瓷工业遗址的景德全道溪川、再生石油储备基地的首尔麻浦文化储备基地、再生盒式磁带工厂的全州八福艺术工厂。通过文献研究和直接现场调查,对通过闲置产业设施再生的复合文化空间的可持续性进行调查及分析得出评价指标。
第三,选定釜山代表性综合文化空间再生事例Kiswire Center,运用通过文献考察和事例分析得出的评价指标,评价其现状和环境、社会、经济、文化可持续性。
第四,问卷调查阶段,以先行研究分析和理论考察中得出的评价指标为基础,编制了适用Kiswire Center的问卷调查。调查对象以访问调查地的143名访客为对象进行了问卷调查。问卷调查的主要内容包括了通过闲置产业设施再生的复合文化空间可持续性评价的四个方面(环境、社会、经济、文化可持续性)34个评价项目。
研究结果如下:因为釜山Kiswire Center以建筑和空间的再生设计及文化艺术作品的引进和普及,为居民和游客提供了提高文化教养的场所,从而实现了地区艺术文化的复兴。另外,通过各种活动吸引更多的参与者,为地区发展注入新的活力,间接影响了地区经济的发展。接近性的整体评价指数较低,是目前釜山Kiswire Center大众交通和公共空间、活动信息提供方面存在问题,特别是通过C1(表31,3.152)得出的结果。因为距离地铁站较远,地理位置不明显,周边交通体系不发达,游客难以接近,影响乘客的出行量。特别是现场调查时,在公休日期间,釜山Kiswire Center和附近商店聚集了很多人,但由于停车场的空间不足和周边道路的狭窄,釜山Kiswire Center的容纳量受到很大限制。因此,Kiswire Center应积极连接地区交通网,增加前往Kiswire Center直达服务车辆,并设置大众交通设施介绍标志等,适当提供大众交通服务。另外与周边近距离的公共空间及广场合作,定期举办艺术文化活动,提高知名度,增加游客。
在12个特性的综合平均中特性评价分数3.5分以上的还有艺术性(表31,3.997)、场所性(表31,3.738)、复合性(表31,3.737)、公共性(表31, 3.682)、创意性(表31, 3.603)、活应用性(表31, 3.538)、参与性(表31, 3.524)、自然性(表31, 3.511)。这说明了釜山Kiswire Center成功开展再生事业,为地区居民和游客提供了多样文化的展示、教育、休息空间,入驻了与周边地区艺术文化产业相关的专业艺术品牌,提高了地区认同感和文化影响力。不仅如此,Kiswire Center还结合产业设施的再利用和自然景观要素,营造了特别的地形环境,为整个地区的自然环境增添了创意和活力。从居民参与性的指数较低来看,由于文化活动的宣传和介绍不足,地区居民无法积极参与,因此釜山Kiswire Center的艺术文化介绍和相关教育机构的建立等非常必要。也可以考虑强化釜山Kiswire Center的参与主体之间的相互合作能力,赋予居民或居民团体自主权或自主参与教育的权利。
从p<0.05来看,对韩国和中国访客的评价进行比较,34项评价指标中,A3(表32, p0.048*) ,B1(表32, p0.023*),D2(表32, p0.048*),F2(表32, p0.026*),G3(表32, p0.000*)等评价指标均有不同。韩国访客认为釜山Kisswire中心通过产业遗产设施的再生,成功发展了地区历史遗产,赋予了象征意义。另外,经济上国内外商业品牌的参与也带来了提高大众消费力的积极效果,通过举办各种活动促进了地区艺术文化产业和外部产业的连接,形成了文化产业链。 相反,据调查居民创业和地方企业发展的分数并不高,这表明Kisswire中心的发展还停留在快速增长阶段,对周边产业的影响力和合作不足。因此,釜山kisswire中心有必要通过租金优惠、训练教育等,对居民和企业界人士提供技术支援,通过加强釜山kisswire中心参与主体间的相互合作,满足访客的需求。此外,还需要对室外自然景观、公共空间等进行加强和缺乏具体实用性的釜山Kiss Swire中心整合,以对访问者动向的理解为基础,再次确认物理环境的必要性,要优化物理和环境。
总体上,本研究分析了国内外代表性产业遗产设施的再生,综合文化空间的优秀事例,整理并分析了持续发展过程中的共同点和差异,并制定了评价指标,将其评价指标应用于釜山Kiswire Center事例,验证了其用处。另外,针对利用闲置产业设施的复合文化空间,以韩国和中国游客为中心进行问卷调查,定量分析满意度和认识,并提出了更加具体的可持续发展方向。该资料在目前正在进行中或今后进行的产业遗产设施再生的综合文化空间可持续性评价中可以作为有效资料使用,并有望对类似的可持续发展政策提出指导方针。
在今后的研究中,可以持续完善评价指标和详细评价项目,对更多事例进行分析和考察,对包括地区居民在内的更多利害关系人进行问卷调查,追踪满意度和认识的变化情况,并由此提出可持续开发的具体建议。

Abstract

instead of investing a lot to construct new cultural space, it is a reasonable and sustainable way that uses idle facilities.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as the Center, the study aims to draw an analytical framework from environment, society, economy and cultural sustainability, through reviewing theories about reutiliz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formation of cultural complex. In addition, based on the evaluation index of development, this paper analyzes the sustainability of Kiswire Center in Busan, a representative case of transforming an idle industrial space into a multi-culture place.
First, review theories. Discusses the concept of reutiliz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multi-cultural complex after the pre-research on the subject, reorganize the content, and conduct a detailed classification related to each concept. Then, explore th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o study the sustainability of cultural complex, based on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Second, select 4 representative cases after the year of 2000 in the terms of multi-culture space renovated by idle industrial facilities. Based on the excellent examples repeatedly mentioned in books and papers, the four cases are Shanghai 1933, a symbol of China’s modern architecture regenerated by a slaughterhouse; Taoxichuan, China’s largest ceramic industrial site in Jingdezhen city; Mapo cultural base in Seoul, revamped by an oil reserve base; and Bafu art factory in Quanzhou, remade from a cassette tape factory, respectivel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field trip, evaluation indexes about the regeneration’s sustainability are obtained.
Thirdly, select Kiswire Center, a representative case in Busan. Assess its sustainability in environment, society, economy and culture by the indexes acquir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Fourth, survey and questionnaire. Design a questionnaire for Kiswire Center in the light of previous research and evaluation indexes, which includes 34 items evaluating program’s sustainability from environment, society, economy and culture. The respondents are 143 visitors who wandered in the survey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utilization of Busan Kiswire Center and the introduction and populariz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works provide a place for residents and tourists to improve their cultural education, thus realizing the revival of regional art and culture. Besides, various activities held in the Center attract a large number of participants who inject new vitality into the regional development, which indirectly spurs the local economy. The reason why its proximity is lower is some problems existing in mass transportation, public space and activity information of Busan Kiswire Center. Especially, the results of C1(Table31, 3.152) show that the Center is far away from the subway station with poor public transport and is not obvious in a map, so it is difficult for tourists to get in. In the field trip, it can be found that many people gathered in Busan Kiswire Center and its nearby shops, especially during public holidays, but due to the lack of parking space and the narrow surrounding roads, the capacity of Busan Kiswire Center was greatly limited. It is suggested that Kiswire Center should proactively connect with the regional transportation network, increase the number of vehicles going direct to the Center, and set up traffic signs, so as to improve travel conditions for the public. Furthermore, the Center should also cooperate with nearby public organizations and squares to hold art and cultural activities regularly, enhancing its reputation and tourists.
Among all 12 characteristics, those which gets more than 3.5 points in comprehensive evaluation are artistry(Table 31, 3.997), locality (Table 31, 3.738), complexity (Table 31, 3.737),publicity (Table 31, 3.682), creativity (Table 31, 3.603), flexibility (Table31, 3.538), participation (Table 31, 3.524) and naturalness (Table 31, 3.511).All these demonstrate that Busan Kiswire Center has successfully carried out the regeneration business, providing diverse cultural exhibition, education and rest space for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settling in professional brands related to the art and culture industry in surrounding areas, and improving the regional identity and cultural influence. Moreover, Kiswire Center combines the industrial facilities and natural landscape to create a special terrain environment, which adds creativity and vital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whole region. The lower index of participation indicates that, due to the insufficient publicity and introduction of cultural activities, the local residents can not actively particip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Busan Kiswire Center to set up educational institution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art and culture. The Center can strengthen the cooperation with other entities as well, empowering residents and groups the right of autonomy and the right to be educated as their will.
Focus on P-value< 0.05 in the 34 indexes. Comparing Chinese and South Korean evaluation, A3(Table 32, p0.048*), B1(Table 32, p0.023*), D2(Table 32, p0.048*), F2(Table32, p0.026*), G3(Table 32, p0.000*) are different. South Korean visitors believe that Busan Kisswire Center has successfully developed the regional historical heritage through the regeneration of industrial heritage facilities, giving it symbolic significance.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commercial brands has also brought about a striking effect on improving the mass consumption power. Through holding various activities, it has promot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gional art industry and the external industry, forming a cultural industry chain. On the contrary, the scores of resident’s start-up and local enterprise’s development are not high, which indicates that the development of Kiswire Center is still in the stage of rapid growth, and its influence and cooperation on surrounding industries are weaker.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Busan Kiswire Center to provide technical support to residents and businessmen by rent concessions, training and education, and to meet the needs of visitors by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 other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outdoor natural landscape and public space of Busan Kiswire need to be strengthened and integrated without specific practicabilit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visitors’ movement, to confirm whether there is a necessity of optimiz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n the whole, this study analyzes the excellent examples of transforming industrial heritage facilities into cultural complex at home and abroad, sorts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formulates evaluation indexes which are applied to Busan Kisswire Center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Besides, in view of cultural complex remade from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is paper conducts a questionnaire survey with Korean and Chinese tourists, making a quantitative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puts forward a sustainable development direction with specific details. These materials and data can be used as effective information for the current or future sustainability evaluation about the regeneration, and they are expected to provide guidelines for similar sustainable development policies.
For the future studies, improvements can made by formulating more detailed and sound evaluation terms, investigating more representative cases, conducting questionnaire survey on more stakeholders including local residents, tracking the changes of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and then putting forward specific sugges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키워드

  • #유휴산업시설
  • # 복합문화공간
  • # 지속가능성
  • # 서비스 디자인
  • # 도시재생

  • #闲置产业设施,复合文化空间歌电影,可持续性,服务设计,都市再生

  • #Idle industrial facilities
  • # Complex cultural space
  • # Sustainability
  • # Service design
  • # Urban regeneration

참고문헌

[Book]

1. 987년 [브룬트란드(Brundtland」보고서] 3가지 요소 재정리
1.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1983
1. 국토해양부, 건축법 시행령 제2장 제14조, 2008.10.29. 개정
2. 야놀자디자인랩, 석정민. 예스24 F1963점. 마루, 2017

[Dissertation]

1. 권오미, 「복합문화공간 기능 결합을 통한 지역사회 문화시설 활성화 방안 연구 김포에코센터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석사논문, 2020
2. 김기현, 「공공 아트센터 운영전략 연구』,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재인용
3. 김미경, 「국내의 복합문화 예술공간 연구 경인미술관 프로그램과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04
4. 김민백, 「건물의 기능 유형에 따른 유휴 공간의 활용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5. 김승환, 「도시 유휴 산업시설의 리노베이션을 통한 ʻ제3의 장소(The Third Place)ʼ 창출에 관한 연구 청주연초제조창의 리노베이션 제안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논문, 2014
6. 김아영.「슬로비즘의 체험을 도입한 복합문화 공간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2
7. 김정호, 「근대건축물 보존·활용을 통한 복합문화공간 계획」,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0
8. 김현정, 「유휴시설을 활용한 전시공간 재생디자인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17
9. 김현주, 「도시재생 맥락에서의 유휴 산업시설 재활용 계획 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2013
10. 루행, 「유휴 산업시설을 재생한 문화산업클러스터에 대한 연구 상하이 1933 노장방(老場坊)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19
11. 박수린, 「유휴시설 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공적 활용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9
12. 박수린, 「유휴시설 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공적 활용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박아현, 「복합문화공간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석사논문, 2012
13. 박영식, 「복합문화공간의 효율적 운영 방안에 대한 연구」,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4. 보일나, 「유휴 산업시설 문화적 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요소 분석 : 한국 부산 F1963과 중국 충칭 베이창 복합문화공간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20
15. 신예솔, 「장소성 회복을 위한 복합문화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6
16. 신예솔,「장소성 회복을 위한 복합문화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6
17. 양현미, 「2018 문화예술교육 공간 포럼: 자발적 삶을 이끄는 네모의 변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18. 윤지혜, 「복합문화공간의 시대별 특성과 활성화 방안연구」,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2013
19. 윤지환, 「서울 문래 예술공간의 나타난 도시 공간의 생산과 전유」,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0. 윤현수, 「유휴공간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효율적 운영방안」,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19
21. 이덕진, 「유휴 공간을 재활용한 문화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2. 이동우,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창신동 봉제골목의 지역자원 활용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6
23. 이윤혜,「폐산업시설 활용 문화 예술공간의 민간 자율 운영 체계를 위한 정책연구:유럽 사례를 바탕으로 한 전략적 운영방안과 연관하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4. 이재민, 「남성 패션 편집매장 및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5
25. 장징위, 「도시 재생 사업에서 커뮤니티 디자인의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 중국 징더전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26. 조연주, 「도시 재생을 위한 유휴산업 시설의 컨버전 방법에 관한 연구 문화공간으로 컨버전한 유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7. 조용석, 「로비 공간 계획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설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1995
28. 조인숙,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논문, 2014
29. 최성환, 「지속 가능한 도시 재생을 위한 철도 폐선부지의 활용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0. 최준,「도시 근대 산업유산의 문화적 재생을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 아트팩토리 조성 운동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논문, 2010
31. 최지영,「유휴 산업유산의 문화공간 재활용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철도유산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9NingNing Zhu, What is experimental music? ——The definition, historical origin and environment of experimental music, Journal of Music Art, Vol.2, 2012, p.24
32. YanZhou Xia, American music geeks-John Cage and his works, Jiao Xiang-Journal of Xi an Conservatory of Music, Vol.3, 1996, p.66

[Academic Journal]

1. 강동진, 「산업 유산 재활용을 통한 지역재생 방법론 연구 산업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1(1), 2010
2. 강철희, 최범찬, 김연림.「창작지원 공간으로서의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창작레시 전시를 갖춘 복합문화공간 사례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Vol.16(3), 2014
3. 김은정, 박언곤, 커뮤니티 공간으로써의 복합문화시설의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 Vol.24(1), 2004
4. 김인호, 윤재은,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 국내 전시관의 재생사례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1(3), 2016
5. 김지현, 장정.「폐산업시설 복합문화공간에 나타난 융합 디자인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Vol.19(1), 2017
6. 김현주, 「문화공간 조성 사례에 나타나는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 계획 방법 연구 유휴 산업시설의 건축물 재활용 계획 방법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6), 2013
7. 박미라, 김문덕, 「유휴산업시설 재생을 통한 상하이 창의공간에 나타난 디자인 표현 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23(6), 2014
8. 박수린,「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3(6), 2018
9. 반영운 , 김유미 , 홍나은 , 한경민 , 백종인, 「지속 가능한 스마트도시 추진방안」, 한국지역학회, Vol.33(1), 2017
10. 엄나너, 이광영, 「지속 가능한 도시 재생을 고려한 공공디자인 접근체계 및 방법에 관한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 Vol.29, 2011
11. 陈国玉,基于城市人文环境的公共建筑艺术的设计研究 —— 以上海1933老场坊改造项目为例[J]. 艺术科技, 2017
12. 蒋文杰,上海工业遗产保护与社区发展的互利关系探析 —— 以1933老场坊为例 [J]. 建筑与文化, 2020
13. 赵崇新. 1933老场坊改造 [J]. 建筑学报, 2008

[Website]

대학일보, “대학원특성화에 관하여”, www.dongseo.ac.kr/aaa
2. 상하이 1933 홈페이지, http://www.1933shanghai.com/
3. 환경 미디어, http://www.ecomedia.co.kr/
4. 전주시청, http://www.jeonju.go.kr/
5. 통하는 건축 아카이브 홈페이지, https://leopon.co.kr/
6. 조병수 홈페이지, https://www.ohseoul.org/post/조병수건축연구소-1/page/3/tag/1100
7. 불산일보, https://n.news.naver.com/article/082/0000418411, 박세익, 2013
8. F1963 홈페이지, http://www.f1963.org/
9. 경성투게더 홈페이지, ttp://cms1.ks.ac.kr/webzine/WebzinePage/view.do?hosu_sqlNum=91&ton_seq=190(경성투게더91호)
10. https://www.bscf.or.kr
11. 온라인 SPSS 분석 소프트웨어, https://spssau.comhttps://zhuanlan.zhih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