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0.02_02

젠더 시각에서 본 당대 중국 영화 포스터 속 여성 이미지 -여성 감독의 작품을 중심으로 - 从社会性别视角看当代中国电影海报女性形象 —以女性导演的作品为中心 Analysis of Female Images in Contemporary Chinese Movie Poster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 Name : 刘丹亚ㅣLIU DANYA
  • Info : 박사학위논문ㅣ博士学位论文ㅣDoctor's thesisㅣ2020.08
  • Adviser : 이동훈ㅣ李东勋ㅣLee, Dong-Hun
192.168.95.161

초록

20세기 후반 서양에서 일어난 제3차 여성 해방 운동은 페미니즘 ‘젠더 연구’의 붐을 가져왔고, 이 연구는 빠르게 미디어 분야에 도입되었다. 영화는 일종의 정보 전달의 중요한 미디어로서, 큰 주목을 받으며, ‘미디어와 젠더 연구’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 되었다. 또한 여성 이미지는 영화 작품의 사상적 함의와 남권 사회에서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 및 젠더 불평등을 반영하며 이로 인해 ‘미디어와 젠더 연구’의 주요 연구 대상이 되었다.
여성 감독은 여성의 신분으로 영화에 개입하여 촬영에 임하므로 남성 감독과는 차별화되는 여성적인 시각을 갖추고 있다. 여성의 생명체험을 바탕으로 여성의 주체성과 자주성을 영화에 반영할 수 있어, 여성의 표현을 더욱 객관화한다. 그렇다면 여성 감독은 남권 이데올로기의 침투와 주류의 통제를 막아낼 수 있을지, 그리고 성별의 입장에 입각하여 비판적 사고를 제기하는 것은 본문에서 중점적으로 다룰 문제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영화 창작에 있어 성별적 압박과 불평등의 문제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살핀다면 고정화된 양성의 개념, 성별질서 그리고 그것들이 영화 창작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 포스터는 영화 사상 내용의 직관화(直观化), 시각화(视觉化)의 표현 형식이다. 포스터 속의 여성 이미지는 영화의 사상적 내용에 중요한 담체로서 영화를 해독하는 비교적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여성 감독의 영화 작품을 중심으로 포스터 속 여성 이미지를 그 분석 대상으로 하여 젠더 문화가 영화 창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중국 여성 감독들은 세계에서 가장 강한 규모의 제작팀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들이 만든 작품은 국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이는 본 연구에 풍부하고 우수한 연구 소재를 제공하였으며, 중국 여성 감독을 연구 범위로 선정한 중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본문은 젠더의 시각에서 당대(1949년-현재) 중국 여성 감독의 영화 포스터에 대해 다루고자 하며 연구의 주안점을 첫째, 당대 중국 젠더 문화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시대적 배경을 사상, 정치, 제도적 차원에서 고찰하여 젠더 문화를 네 가지 발전 단계로 요약하였다. 또한 정치, 경제, 문화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젠더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적 변화의 원인에 대하여 구체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영화, TV 등 문예작품 속 여성 이미지에 대한 창작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젠더 문화의 네 가지 단계적 특징을 요약하였다.
둘째, 당대 중국 영화의 생존 환경, 시기별 창작 경향을 조사하고 여성 감독의 여성 캐릭터 창작의 변화된 특징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면서 여성 감독의 젠더적 관점을 분석하였다.
셋째, 영화 포스터의 여성이미지 분석 부분에서는 먼저, 여성 감독의 영화 포스터의 여성 이미지와 잡지, 광고, 영화와 같은 대중매체 속 여성 이미지에 대한 비교를 통해 시각적 표현에서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이후 이를 토대로 여성 감독의 영화 포스터 속 여성 이미지의 표현 특징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여성 이미지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여 각 포스터가 전달하고자 하는 젠더 문화의 함의를 밝히고, 나아가 여성 이미지 표현과 당대 중국의 젠더 문화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젠더 문화의 영향 하에 여성 이미지의 표현에서의 한계와 문제점에 대한 요약을 진행하였다.
본문은 중국 여성 감독의 영화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영화 포스터의 여성 이미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새로운 시각에서 젠더 문화가 영화 창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것은 ‘영화와 젠더 연구’의 이론 체계의 정비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영화 속의 ‘젠더 억압과 불평등 문제’를 해독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연구 시각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문은 중국 여성 감독들의 창작 실태와 문제점을 밝혀내어 향후 중국 여성 감독뿐만 아니라 중국 영화계의 제작 경향에서 새로운 사고의 방향을 만들어 가는데 기여될 수 있기를 바란다.

摘要

西方第三次女性解放运动带来了女性主义“性别研究”的兴起,这类研究很快被引入到了媒介传播领域。电影作为一种传达信息的重要媒介,得到了很大的关注,成为“媒介和性别研究”的重要组成部分。而女性形象不仅能够折射出电影的思想内涵,还反映着男权社会中的女性刻板印象以及性别不平等现象,因此成为“媒介和性别研究”重点研究对象。
女性导演是以女性身份介入电影拍摄的,具备区别于男性导演的“女性视角”。基于女性生命体验,能够将女性的主体性和自主性注入到电影拍摄中,使女性的表现更为客观化。那么,女性导演,是否能抵制住男权意识形态的渗透和主流话语的控制,真正基于性别立场提出批判性的思考,便是本文要重点讨论的问题。基于这一角度去观察电影创作中是否存在性别压迫和不平等的问题,能更为深刻地理解既定的两性概念、性别秩序以及它们对电影创作产生的影响作用。
电影海报是电影思想内涵的直观化、图像化的表现形式,海报中的女性形象,是电影思想内涵的重要载体,是解读电影的较为直接、有效的路径。因此,本文以女性导演的电影作品为中心,以海报中的女性形象为分析对象,观察性别文化对电影创作产生的影响作用。
中国女性导演拥有规模庞大的创作团队,其作品在国际上具有重大的影响力。这为本研究提供了丰富、优秀的研究素材,是本次选择以中国女性导演为研究范围的重要原因。
本文以社会性别的视角,对当代(1949-今)中国女性导演的电影海报进行研究。首先,从思想、政治、制度层面考察了影响当代中国性别文化形成的时代背景,将性别文化归纳为四个发展阶段。从政治、经济、文化,三个层面,对影响性别文化产生阶段性变化的原因进行了具体分析。并通过对电影、电视等文艺作品中女性形象的创作倾向进行调查和分析,总结出了性别文化的四个阶段特征。其次,对中国电影的生存环境、时期别创作倾向进行调查,并通过对女性导演电影作品的分析,重点阐述了女性导演的时期别性别观点。最后,在海报女性形象分析部分,首先将女性导演电影海报的女性形象与大众媒介中的女性形象进行对比,阐述他们在视觉表现上的异同点。其次,对女性导演电影海报中女性形象的视觉表现特征进行了重点分析。最后,选取具有代表性的女性形象进行了符号学分析,阐释了其传递出的性别文化内涵,进而具体解析了女性形象表现与中国性别文化之间的关系。并且总结出在性别文化影响下女性形象表现上存在的局限和问题。
本文以中国女性导演的电影为中心,以海报女性形象为分析对象,从一个全新的角度观察了性别文化对电影创作的影响作用。这对于“电影与性别研究”的理论体系完善具有重要意义,也为解读电影中的“性别压迫和不平等问题”提供了新的研究视角。同时,希望通过对中国女性导演创作状态及问题的揭示,能为今后的中国女性导演乃至中国电影界的创作倾向提供新的思考方向。

Abstract

The third female liberation movement in the West brought the rise of feminist “gender research”, and such research was quickly introduced into the field of media communication. As an important medium for conveying information, movies have received a lot of attention and become an important part of “media and gender studies”. The female image not only reflects the ideological connotation of the film, but also reflects the stereotypes of women and gender inequality in the patriarchal society, so it has become the key research object of “media and gender research”.
Female directors are involved in filming as females and have a “female perspective” that is different from male directors. Based on women's life experience, women's subjectivity and autonomy can be injected into film shooting, making women's performance more objective. So, whether female directors can resist the penetration of male power ideology and the control of mainstream discourse, and really put forward critical thinking based on gender positions, is the issue that this article focuses on. Based on this perspective, we can observe whether there are problems of gender oppression and inequality in film creation, and we can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stablished gender concepts, gender order and their impact on film creation.
The movie poster is an intuitive and graphical expression of the film's ideological connotation. The female image in the poster is an important carrier of the film's ideological connotation and a relatively direct and effective way to interpret the film.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ilm works of female directors and analyzes the female images in posters to observe the influence of gender culture on film creation.
Chinese female directors have a large-scale creative team, and their works have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world. This provides rich and excellent research materials for this study, which is an important reason for choosing Chinese female directors as the scope of this study.
This article studies the movie posters of contemporary (1949-present) Chinese female directors from a gender perspective. First of all, from the ideological, political, and institutional levels, we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times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contemporary Chinese gender culture, and summarized gender culture into four development stages. From the three levels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e reasons for the staged changes of gender culture are analyzed specifically. And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creation tendency of female images in literary and artistic works such as movies and TV, the four stages of gender culture are summarized.
Secondly, it investigates the living environment of Chinese films and the tendency of creation, and through the analysis of female directors' film works, it focuses on the gender perspective of female directors.
Finally, in the female image analysis part of the poster, the female image of the female director’s movie poster is compared with the female image in the mass media to explain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visual performance. Secondly, it focuses on the visu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female images in female directors' movie posters. Finally, a representative female image figure is selected for analysis, which explains the gender cultural connotation it conveys, and then specif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image performance and Chinese gender culture. And summarized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female image performance under the influence of gender cultur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ilms of Chinese female directors and analyzes the female images of posters, and observes the influence of gender culture on film creation from a new perspective. This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improvement of the theoretical system of “Film and Gender Research”, and also provides a new research perspective for the interpretation of “gender oppression and inequality issues” in movies. At the same time, it is hoped that by revealing the creative status and problems of Chinese female directors, it will provide a new thinking direction for the future Chinese female directors and even the creative tendency of the Chinese film industry.

키워드

  • # 페미니즘 # 젠더 문화 # 중국 여성 감독 # 영화 포스터 # 여성 이미지

  • # 女性主义 # 性别文化 # 中国女性导演 # 电影海报 # 女性形象

  • # Feminism # Gender culture # Chinese female directors # Movie posters # Female images

참고문헌

[Book]

1. 应宇力, 《女性电影史纲》, 北京大学出版社, 2005
2. 金丹元, 《影像美学概论》, 上海大学出版社, 2003
3. 戴元光, 喵正民, 《大众传播学的定量研究方法》, 上海交通大学出版社, 2000
4. 卜卫,《媒介与性别》,南京:江苏人民出版社,2001
5. 韩贺南、张健主编,《女性学导论》,教育科学出版社,2005
6. 武力、王蕾,《富起来、强起来:改革开放40年》,北京时代华文书局有限公司,2019
7. 王海鸣, 《中国电影老海报:解放前》, 河北美术出版社, 2007
8. 王海鸣, 《中国电影老海报:50年代》, 河北美术出版社, 2007
9. 王海鸣, 《中国电影老海报:60年代》, 河北美术出版社, 2007
10. 王海鸣, 《中国电影老海报:70年代》, 河北美术出版社, 2007
11. 王海鸣, 《中国电影老海报:80年代》, 河北美术出版社, 2007
12. 王海鸣, 《中国电影老海报:90年代》, 河北美术出版社, 2007
13. 张敬婕,《性别与传播:文化研究的理论与视野》, 中国传媒大学出版社, 2009
14. 张红萍, 《女性: 从传统到现代》, 北京市档案局, 2016
15. 公衍峰, 杨佳, 《社会性别视角下的新媒体研究》,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17
16. 杨秀芝, 田美丽,《身体, 性别, 欲望》, 武汉大学出版社, 2013
17. 于东晔,女性视阈——西方女性主义与中国文学女性话语,中国社会科学出版社,2006
18. 孙绍先,英雄之死与美人迟暮,北京:社会科学文献出版社,2000
19. 袁曦临,《潘多拉的匣子——女性意识的觉醒》,上海译文出版社,2005
20. 中国国家统计局:《中国的女性与男性》,中国统计出版社,1995
21. 蒋美华,《20世纪中国女性角色变迁》,天津人民出版社,2008
22. 全国妇联妇女研究所课题组,《社会转型中的中国妇女社会地位》,中国妇女出版社,2006
23. 王蕾,《媒介、权力、性别:新中国女性媒介形象变迁与性别平等》,上海交通大学出版社,2018
24. 韦冬,《比较与争锋:集体主义与个人主义的理论、问题与实践》,中国人民大学出版社,2015
25. 王春荣,吴玉杰,《女性声音的诗学》,辽宁大学出版社,2003
26. 西蒙娜·德·波伏娃(Simone de Beauvoir ),《第二性,( Le deuxième sexe》,中国书籍出版社,2004
27. 沈奕斐,《被建构的女性: 当代社会性别理论》,上海人民出版社,2005
28. 许南明、富澜等主编,《电影艺术词典》,北京:中国电影出版社,2005
29. 朱浩, 《电影海报收藏与鉴赏》, 蓝天出版社, 2003
30. 赵东鸣, 《中国电影老海报珍藏》, 中国电影出版社, 2006
31. 黄志伟, 《流光波影: 1905~1966年电影海报精粹>, 上海科学技术文献出版社, 2004

[Dissertation]

1. 龙奕柯,《摩登与抗争-民国电影海报中女性形象设计的符号学研究》, 江南大学硕士学位论文, 2017
2. 赵小敏, 《后现代视野中的当代中国女性电影》, 山东师范大学硕士学位论文, 2007
3. 纪元, 《“在路上”-李玉电影作品研究》, 哈尔滨师范大学硕士学位论文, 2012
4. 郑磊, 《20世纪90年代以来中国女性电影的女性主义解读》, 广西民族大学硕士学位论文, 2010
5. 张玉, 《21世纪新生代电影女性导演的创作研究》, 河南大学硕士学位论文, 2013
6. 牛碧玲, 《21世纪以来中国女性导演们的电影创作探究》, 兰州大学硕士学位论文, 2014
7. 朱德蒙, 《1980年以来中国女性电影解读》, 山东师范大学硕士学位论文, 2010
8. 周晶, 《90年代以后电影文本中女性形象与女性导演》, 华东师范大学硕士学位论文, 2007
9. 黄魏,《‘文革’时期女性形象政治化研究》,首都师范大学博士学位论文,2012
10. 孙秀丽,《克里斯蒂娃解析符号学研究》,东北师范大学博士学位论文,2010
11. 张艳红,《女性主义视野下的媒介批评》武汉大学博士学位论文,2009

[Academic Journal]

1. 刘敬, 《女性电影的概念分析》, 福建江夏大学学报, 2017
2. 张敬婕,《性别与传播研究30年发展轨迹》,妇女研究论丛,2009
3. 钟瑾, 《黄蜀芹的‘未能实现的永远的爱’》, 大众电影,2007
4. 魏红霞, 《80年代中国女性电影中的女性意识》, 浙江大学学报,1998
5. 邓晓川, 《中国80-90年代女性电影的叙事战略》, 北京电影学院学报,1998
6. 金丹元,曹琼, 《女性主义、女性电影抑或女性意识——重识当下中国电影中涉及的几个女性话题》,社会科学,2007
7. 黄蜀芹,《女性,在电影业的男人世界里》,当代电影,1995年第5期
8. 张敏, 《新时代女性电影女性意识的解读》, 江西社会科学, 2003
9. 乔以刚, 《论女性文学的思想含义》, 南开学报, 2005
10. 罗维毅, 《女性美的自然基础与社会基准》, 北京社会科学, 1997, 第2期
11. 李显杰, 《论电影叙事中的女性叙事者和女性意识》, 当代电影, 1994
12. 任一鸣,《用社会性别视角审视女性美标准——关于女性美标准的理论认识》,昌吉学院学报,2005年第2期
13. 张燕, 《看和看谁-香港电影中的女性形象透视”, 电影艺术, 2003
14. 秦志钰, 《女性导演与女性电影-电影‘杨开慧' 拍摄杂感”》, 电影创作, 1995
15. 达志翔, 《建国前后两个时期的中国电影海报比较研究》, 淮北师范大学学报, 2015
16. 潘道生, 《电影海报设计的视觉构成与表现手法》, 电影批评, 2015
17. 杨明子,《国产动画电影海报设计中的视觉要素研究》,中国包装,2017
18. 霍九江, 《电影海报设计的视觉表现》, 电影文学, 2011
19. 张颖, 《提高当代电影海报视觉冲击的思考》, 电影文学, 2014
20. 韩晓倩,《电影海报的视觉要素和色彩构图技法分析》, 出版广角, 2016
21. 窦文, 《电影海报的审美分析》, 艺海, 2010
22. 李琳, 《80年代以来女性电影》, 文艺争鸣, 2006
23. 刘晓萍, 《“规训”“焦虑”与“建构”:当代中国女性导演电影中的身体与空间表达》, 当代电影, 2019
24. 曾晰, 《中国女性电影的女性意识及其他》, 创作评谭, 2018
25. 宋家玲, 《清丽、越轨的笔致——论新世纪以来中国电影女性导演的女性意识表达》, 戏剧影视研究, 2008
26. 郑燕,《近五年中国内地女性电影的转型与表征》, 浙江艺术职业学院学报,2015
27. 远婴, 《女权主义与中国女性电影》, 当代电影, 1990
28. 郭培筠, 《女性意识的嬗变——新时期女性电影创作管窥》, 内蒙古社会科学, 1995
29. 吕红平,林顺利,陈景,《说说性别文化的转变》,人口与发展,2009,Vol. 15 No. 5
30. 田心.《国际妇运风云二百年》,中国妇运,2010年01期
31. 潘道正,海伦和西施:关于女性美的悲剧,河南师范大学学报,第4期,2008
32. 戴锦华,《不可见的女性,当代中国电影中的女性与女性的电影》,当代电影,1994
33. 曹春晓,《格雷马斯符号学矩阵视野下的广告语义分析》,装饰,2015
34. 钱翰,黄秀端,《格雷马斯“符号矩阵”的旅行》,文艺理论研究,2014

[Website]

1. 知乎, 女性电影理论, https://www.zhihu.com/topic/19746995/hot
2. 吴小英,国家与市场意识形态下的女性沉浮,http://www.doc88.com/p-5847161086041.html,2019.3.13
3. 中国网科学:http://science.china.com.cn/2018-03/07/content_40243603.htm,《2018年中国女性职场现状调查报告》,2018.03.07
4. 中国女性真的很能干,劳动参与率世界第一》:http://www.sohu.com/a/305221915_167718,2019
5. 中国妇女研究网: http://www.wsic.ac.cn,2020
6. 1905 电影网: https://www.1905.com
7. 豆瓣网: https://www.douban.com/search?q=电影海报